KR20220019426A - 바지선 - Google Patents
바지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19426A KR20220019426A KR1020200099827A KR20200099827A KR20220019426A KR 20220019426 A KR20220019426 A KR 20220019426A KR 1020200099827 A KR1020200099827 A KR 1020200099827A KR 20200099827 A KR20200099827 A KR 20200099827A KR 20220019426 A KR20220019426 A KR 202200194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ull
- barge
- protruding member
- bogie frame
- moo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적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선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계류설비가 설치되는 돌출부재 및 선체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선체의 측면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돌출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바지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선체 내 화물의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선은 바다 또는 강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소형 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나 구조물 등을 해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제조된 선박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바지선은 추진기를 추가로 설치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자체적인 동력이 없어 이동 시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지선(10)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의 바지선(10)은 선체(11)의 너비가 넓고, 선체(11) 상부의 갑판이 평평하여 갑판 상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적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지선(10)을 계류시키기 위한 설비로서 선체(11)의 선수부와 선미부의 갑판 상에는 계류용 윈치 등의 계류설비(1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바지선(10) 계류 시, 계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갑판의 가장자리에 계류설비(1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바지선(10)은 갑판 상에 계류설비(12)가 설치되어 있어, 계류설비(12)에 의해 화물의 선적 가능 범위(r)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고, 선체(11)의 폭보다 넓은 선체 블록 등의 큰 구조물은 갑판 상의 계류설비(12)와 간섭되어 선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육상에서 화물을 선적할 때 선적용 치구(carrier)가 갑판에 설치된 계류용 윈치 등의 계류설비(12)와 간섭되어 화물 선적 작업에 큰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바지선, 구체적으로는 갑판 상부의 화물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선체의 폭보다 넓은 화물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는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적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선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계류설비가 설치되는 돌출부재 및 선체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선체의 측면에서 돌출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돌출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바지선을 제공한다.
또한, 돌출부재는 완충 및 부유 기능을 갖도록 내부가 빈 통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선체 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바지선을 제공한다.
또한, 돌출부재는 선체의 선수부, 중앙부 및 선미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바지선을 제공한다.
또한, 승강부재는 선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돌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대차프레임, 대차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대차프레임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대차프레임과 대향하는 선체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대차프레임과 대향하는 선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대차프레임과 결합되고, 대차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바지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은 선체의 양측면에 계류설비가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재를 구비하고, 선체의 측면에서 돌출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갑판 상부의 화물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선체의 폭보다 넓은 화물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또한, 선체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출부재가 방벽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 선박과 충돌 시 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체의 직접적인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한 바지선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류설비의 와이어를 부두에 결속하여 바지선의 계류시키는 과정에서, 계류설비가 구비된 돌출부재를 선체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계류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지선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계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 화물이 선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의 계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에 화물이 선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을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은 기존의 바지선 대비 선체(110) 내 화물의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계류 시 계류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한 침몰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은, 선체(110), 돌출부재(120) 및 승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10)는 바지선(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의 갑판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선체(110)에는 계류용 윈치 등의 계류설비가 구비되지 않고, 갑판의 전체에 걸쳐 선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0)는 선체(110)의 양쪽 측면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돌출부재(120)에는 계류설비(121)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에서 선수부, 중앙부 및 선미부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부재(120)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재(12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12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스폰손(sponson)으로서, 선체(110)의 측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 각종 계류설비(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바지선의 선체에 설치되었던 계류설비(121)가 선체(110)의 외측에 구비된 돌출부재(120)에 설치됨으로써, 선체(110) 내 화물의 선적 가능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12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통체 형태로 형성되고, 바지선(100) 운항 시 해수에 잠기지 않도록 저면이 선체(110) 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돌출부재(120)는 외부로부터의 충돌을 방어할 수 있는 방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돌출부재(120)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내부가 빈 통체 구조로서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바지선(100)이 외부 선박과 충돌하는 경우, 선체(110)의 양측면에 복수로 구비된 돌출부재(120)가 방벽 역할을 하여 선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체(110)의 직접적인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바지선(100)이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130)는 선체(110)의 측면과 돌출부재(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부재(130)는 실린더 구동 구조나 모터 구동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 구동 구조를 포함하는 승강부재(130)의 구성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승강부재(130)는 대차프레임(131), 구동모터(미도시), 피니언기어(132) 및 랙기어(133) 및 가이드부재(미도시)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차프레임(131)은 선체(110)의 측면과 대향하는 돌출부재(12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대차프레임(131)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피니언기어(132)가 축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미도시)는 피니언기어(132)와 연결되어 피니언기어(1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구동하며, 피니언기어(132)와 직결되거나 기어 결합 구조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대차프레임(131)에 한 쌍의 피니언기어(132)가 구비되고, 구동모터(미도시)와 기어 결합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한 쌍의 피니언기어(132)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랙기어(133)는 대차프레임(131)과 대향하는 선체(110)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랙기어(133)에는 대차프레임(131)의 피니언기어(132)가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미도시)는 대차프레임(131)과 대향하는 선체(110)의 측면에 구비되어, 선체(110)의 측면에 대차프레임(131)을 고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대차프레임(1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써, 가이드부재(미도시)는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선체(11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고, 레일에는 대차프레임(131)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승강부재(13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구동을 통해 선체(110) 측면의 랙기어(133)와 맞물리게 결합된 대차프레임(131)의 피니언기어(132)를 회전시킴으로써, 대차프레임(131)을 선체(110) 측면에서 랙기어(133)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차프레임(131)에 지지되는 돌출부재(120)를 선체(110)의 측면에서 승강시킬 수 있다.
이때, 선체(110)에 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하거나,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무선컨트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승강부재(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승강부재(130)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랙/피니언기어(132,133)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랙/피니언기어(132,133) 대신에,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선체(110)의 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갖는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롤러(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를 승강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의 계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류설비(121)가 설치된 돌출부재(120)는 선체(110)의 측면에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재(120)에 구비된 계류용 윈치(121a)의 와이어를 부두에 결속하여 바지선(100)의 계류시키는 과정에서, 돌출부재(120)를 선체(11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계류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의 선수부, 중앙부 및 선미부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부재(120)가 구비되고, 각각의 돌출부재(120)에 계류설비(121)가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수부 또는 선미부의 돌출부재(120)에 구비된 계류설비(121) 외에도, 선체(110) 중앙부 양측의 돌출부재(120)에 구비된 계류설비(121)를 이용하여 계류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에 화물(1)이 선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은 선체(110)의 갑판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화물(1)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통상의 바지선의 경우 선체의 선수부 및 선미부 갑판에 계류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육상에서 화물을 선적할 때 선적용 치구(carrier)가 갑판에 설치된 계류용 윈치 등의 계류설비와 간섭되는 문제가 있어 화물 선적에 불편함이 있었고, 선체의 폭보다 넓은 선체 블록 등의 큰 구조물은 선적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선체(110)의 양측면에 방벽 기능을 갖는 복수의 돌출부재(120)를 구비하고, 각각의 돌출부재(120)에 계류설비(121)를 구비하여, 화물을 선적 시 선적용 치구(carrier)와 계류설비(12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체(110) 갑판의 전체에 걸쳐 화물(1)을 선적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화물의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10)의 폭보다 넓은 선체 블록 등의 큰 구조물(1)을 선적하는 경우에는, 승강부재(130)를 구동하여 선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된 돌출부재(1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선적되는 구조물(1)과 돌출부재(120)에 구비된 계류설비(121)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선체(110)의 폭보다 넓은 구조물 등의 화물(1)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100)은 선체(110)의 양측면에 계류설비(121)가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재(120)를 구비하고, 선체(110)의 측면에서 돌출부재(120)를 승강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갑판 상부의 화물 선적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선체(110)의 폭보다 넓은 화물(1)도 용이하게 선적할 수 있다.
또한, 선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돌출부재(120)가 방벽 기능을 수행하여, 외부 선박과 충돌 시 선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선체(110)의 직접적인 파손을 억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한 바지선(100)의 침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류설비(121)의 와이어를 부두에 결속하여 바지선(100)의 계류시키는 과정에서, 계류설비(121)가 구비된 돌출부재(120)를 선체(11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하측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계류력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화물 100 : 바지선
110 : 선체 120 : 돌출부재
121 : 계류설비 130 : 승강부재
131 : 대차프레임 132 : 피니언기어
133 : 랙기어
110 : 선체 120 : 돌출부재
121 : 계류설비 130 : 승강부재
131 : 대차프레임 132 : 피니언기어
133 : 랙기어
Claims (4)
- 상부에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선적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상기 선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고, 계류설비가 설치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선체의 측면과 상기 돌출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측면에서 상기 돌출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돌출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바지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완충 및 부유 기능을 갖도록 내부가 빈 통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상기 선체 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바지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 중앙부 및 선미부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바지선.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선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돌출부재의 일면에 구비되는 대차프레임;
상기 대차프레임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대차프레임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대차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랙기어; 및
상기 대차프레임과 대향하는 상기 선체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대차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대차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바지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827A KR20220019426A (ko) | 2020-08-10 | 2020-08-10 | 바지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827A KR20220019426A (ko) | 2020-08-10 | 2020-08-10 | 바지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9426A true KR20220019426A (ko) | 2022-02-17 |
Family
ID=8049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9827A KR20220019426A (ko) | 2020-08-10 | 2020-08-10 | 바지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194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50270A1 (en) * | 2022-06-22 | 2023-12-28 | Switch Barge Llc | Barge systems and methods of us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520B1 (ko) | 2006-01-05 | 2007-10-09 | 천지해건설(주) | 에프알피 바지선 |
-
2020
- 2020-08-10 KR KR1020200099827A patent/KR2022001942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520B1 (ko) | 2006-01-05 | 2007-10-09 | 천지해건설(주) | 에프알피 바지선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50270A1 (en) * | 2022-06-22 | 2023-12-28 | Switch Barge Llc | Barge systems and methods of u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7062B1 (ko) | 개선된 컨버터블 선박 | |
US7219615B2 (en) | Extended semi-submersible vessel (ESEMI) | |
AU2009310624B2 (en) |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 |
AU1825101A (en) | Craft for embarking/landing on unequipped shorelines | |
WO2003062046A1 (en) | Transporting a ship over shallows of a watercourse | |
KR20020081378A (ko) | 잠수형 중화물용 쌍동선 | |
US3515086A (en) | System for handling cargo lighters and cargo hatch covers aboard ship | |
KR20220019426A (ko) | 바지선 | |
EP3810500B1 (en) |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 |
JP2017094988A (ja) |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 |
WO2017179229A1 (ja) | 船舶、船舶を使用した搬送方法 | |
WO2015136086A1 (en) | A quay structure, a quay arrangement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structure | |
KR101166718B1 (ko) |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 |
KR101131573B1 (ko) | 반잠수식 모바일 하버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법 | |
US11795647B2 (en) | Installation arrangement with jack-up rig and a barge and a method for setting up the installation arrangement | |
EP1492699B1 (en) | Submersible watercraft | |
US4292915A (en) | Ocean-going barge carrier | |
US20170334523A1 (en) | Vessel with selectively deployable hull members | |
KR102632557B1 (ko) |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 |
WO2017201234A1 (en) | Vessel with selectively deployable hull members | |
CN220054099U (zh) | 一种包含下水工作船的下水系统 | |
US6334401B1 (en) | Floating structure for the transfer of cargo | |
WO2017222469A1 (en) | Semi-submersible vessel | |
JP3229239U (ja) | モジュール式オフショア多機能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及び一体式操作プラットフォーム | |
WO2023250270A1 (en) | Barge systems and methods of u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