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557B1 -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 Google Patents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557B1
KR102632557B1 KR1020220090668A KR20220090668A KR102632557B1 KR 102632557 B1 KR102632557 B1 KR 102632557B1 KR 1020220090668 A KR1020220090668 A KR 1020220090668A KR 20220090668 A KR20220090668 A KR 20220090668A KR 102632557 B1 KR102632557 B1 KR 10263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ship
rope
shopping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3305A (ko
Inventor
김성태
방금수
김상연
이지환
Original Assignee
동일조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조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조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557B1/ko
Publication of KR2024001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longitudinal movement of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9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axially-movable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선박과 윈치, 상가대와 윈치가 연결되어 선박이 상가대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치우쳐 상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상가 조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WINCH FOR DOCKING OF SHIPS WITH CATAMARANS}
본 발명은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선박과 윈치, 상가대와 윈치가 연결되어 선박이 상가대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치우쳐 상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상가 조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에서 건조되거나 수리된 선박을 바다로 내리거나 바다로부터 육지로 올리기 위해서는 특별한 구조의 장치가 필요하다.
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해안에 근접해 있는 육지에 대형 도크(Dock)를 설치하여 도크 안에서 선박의 건조가 완료되면 갑문의 개폐를 통하여 도크 안으로 해수를 유통시켜 건조된 선박을 수면 위로 부상시킨 다음 선박 자체의 동력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진출시킨다.
반면, 중소형 선박의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육지와 바다 사이에 설치된 레일 위에 대차(11)를 설치하고, 대차(11) 위에 선박(SH)을 상가한 후 윈치(13)로 케이블(12)을 끌어당겨 목표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선박은 크고 무겁기 때문에 미세한 방향 조정이 어려운 관계로 선박의 최초 접근방향이 틀어진 경우 상가를 완료하지 못하고 도중에 선박을 다시 후진시켜 방향을 올바로 잡아야 하는데, 흔히 이러한 시행착오를 반복한 다음에야 비로소 선박을 정확한 위치에 상가할 수 있었다.
또한, 쌍동선의 경우 방향 조정이 더욱 어려워 선박을 상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도 2를 참고하면 쌍동선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선수(100)와 제2 윈치가 제1 로프(510)를 이용하여 연결되고, 쌍동선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선수(200)와 제1 윈치(500)가 제2 로프(610)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즉, 제1 로프(510)와 제2 로프(610)는 크로스된채로 쌍동선을 상가하게 되는데, 이때 쌍동선은 중심점이 2개이므로 선박이 상가대(300) 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가대 상에서 쌍동선의 미세한 방향 조절이 어려워 최초 접근방향이 틀어진 경우 선박의 상가를 완료하지 못하고, 상가 도중에 선박을 후진시켜 방향으로 재조절 해야 하므로 반복된 작업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이 많이 낭비되고 선박에 대한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박의 불안전한 장착, 특히 선박의 중심이 대차의 중심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등 대형 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육상과 해상 간의 선박 이동 시 우려되는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함은 물론 본 공정에서의 작업성 향상 및 인력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선박 상가 조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7797호
본 발명은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 선박과 윈치, 상가대와 윈치가 연결되어 선박이 상가대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치우쳐 상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상가 조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일측에 제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1 윈치; 상기 선박의 타측에 제2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윈치; 상기 선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박의 하부를 받치는 상가대; 상기 상가대의 일측에 제1-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1-1 윈치; 및 상기 상가대의 타측에 제2-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1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는 상기 선박의 일측과 타측에 크로스 결합되어 상기 선박을 상기 상가대의 상부에 상가하고, 상기 제1-1 위치 및 제2-1 윈치는 상기 상가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윈치 및 상기 제1-1 윈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윈치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윈치와 상기 제1-1 윈치는 상기 윈치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1 윈치 및 제1-1 윈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윈치는, 상기 제1 윈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윈치기어; 상기 윈치기어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윈치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와 탈부착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윈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윈치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프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윈치가 결합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고정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로프홀더; 및 상기 로프홀더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선박과 탈부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가대는, 상기 상가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1 홀; 및 상기 제1-1 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로프의 일단에는 제1-1 윈치가 결합되고, 상기 제1-1 로프의 타단에는 제1-1 고정부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상가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1 홀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 윈치와 제1 홀의 각도, 제1-1 윈치와 제1-1 홀의 각도, 제1 윈치와 제1-1 윈치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박을 상가대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1 윈치와 제2-1 윈치의 구성으로 선박의 이동을 일측 및 타측에서 가이드해줌으로써 선박의 중심이 상가대의 중심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등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이 상가대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치우쳐 상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을 충격이나 손상 없이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상가한 후 목표지점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상가 조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쌍동선 상가 조정 장치를 나타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윈치 및 제1-1 윈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윈치 레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윈치 및 제1-1 윈치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로 제1 고정부가 제1 선수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경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선박 상가 시 상가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선박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라 함은 도 5를 기준으로 X축 방향이고, '폭 방’'이라 함은 도 5를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수직 방향'이라 함은 도 5를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일측'이라 함은 제1 선수(10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측'이라 함은 제2 선수(200)가 형성된 부분이다. '일단'이라 함은 제1 윈치(500)가 형성된 부분이며, '타단'이라 함은 제1 고정부(130)가 형성된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는 제1 선수(100), 제2 선수(200), 상가대(300), 상가대 레일(400), 제1 윈치(500), 제2 윈치(600), 제1-1 윈치(700), 제2-1 윈치(800) 및 윈치레일(900)로 구성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종래에 쌍동선 상가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쌍동선 선박의 하부에는 상가대(300)가 형성되고, 상가대(300)의 하부에는 상가대(3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가대 레일(400)이 형성된다.
제1 선수(100)의 일 지점에는 제1 홀(110)이 형성되고, 제2 선수(200)의 일 지점에는 제2 홀(210)이 형성된다.
제1 윈치(500)에 권취되어 있는 제1 로프(510)는 제1 홀(110)에 결합되고, 제2 윈치(600)에 권취되어 있는 제2 로프(610)는 제2 홀(210)에 결합된다.
즉, 제1 로프(510)와 제2 로프(610)는 크로스되어 형성되고, 제1 윈치(500)와 제2 윈치(600)를 이용하여 선박을 상가대(300)의 상부로 상가하게 된다.
이때, 상가대(300) 상에서 선박의 미세한 방향 조절이 어려워 최초 접근방향이 틀어진 경우 선박의 상가를 완료하지 못하고, 상가 도중에 선박을 후진시켜 방향으로 재조절 해야 하므로 반복된 작업으로 인해 인력과 시간이 많이 낭비되고 선박에 대한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가대(30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윈치와 결합시켜 상가대(300)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가대(300)의 일측에 제1-1 홀(310)이 형성되고, 상가대(300)의 타측에는 제2-1 홀(320)이 형성된다.
제1-1 윈치(700)에 권취되어 있는 제1-1 로프(710)는 제1-1 홀(310)과 결합하고, 제2-1 윈치(800)에 권취되어 있는 제2-1 로프(810)는 제2-1 홀(320)과 결합한다.
이때, 제1 홀(110), 제2 홀(210), 제1-1 홀(310) 및 제2-1 홀(320)의 내부에는 각각 고정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즉, 제1 로프(510)와 제2 로프(610)는 각각 선박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하여 선박을 상가대(300)의 상부로 상가시키고, 제1-1 로프(710)와 제2-1 로프(810)는 각각 상가대(300)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하여 상가대(300)를 끌어 올리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윈치(500), 제1-1 윈치(700), 제2 윈치(600) 및 제2-1 윈치(800)의 구성은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미도시), 감속기와 연동하여 로프를 권취하는 드럼(미도시), 감속기의 회전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드럼에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일단이 감속기에 연결된 축 상으로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외삽 설치된다.
즉, 제1 윈치(500), 제2 윈치(600), 제1-1 윈치(700) 및 제2-1 윈치(800)는 종래의 선박용 윈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제1 윈치(500) 및 제1-1 윈치(7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윈치(500) 및 제1-1 윈치(700)의 하부에는 라운드진 형상을 나타내는 윈치레일(900)이 형성된다.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윈치(500)와 제1-1 윈치(700)만 도시하였지만, 제1 윈치(5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윈치(600) 및 제2-1 윈치(800)의 하부에도 윈치레일(900)이 형성된다.
확대도면에 도시된 제1-1 윈치(70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1 윈치(700)에 권취된 제1-1 로프(710)를 조절하기 위한 윈치기어(720)가 형성되고, 윈치기어(72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부(730)가 형성된다.
윈치레일(900)과 슬라이딩부(730)는 제1-1 윈치(700)가 윈치레일(9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LM 가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730)의 하부에는 스토퍼(74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스토퍼(740)는 슬라이딩부(730)와 윈치레일(900)의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1 윈치(70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슬라이딩부(730)로부터 스토퍼(740)를 분리한 뒤 윈치레일(900)을 따라 제1-1 윈치(70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스토퍼(74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부(730)와 레일부를 고정시킨다.
즉, 제1 윈치(500)와 제1 홀(110)의 각도, 제1-1 윈치(700)와 제1-1 홀(310)의 각도, 제1 윈치(500)와 제1-1 윈치(7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박을 상가대(300)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1-1 윈치(700)와 제2-1 윈치(800)의 구성으로 선박의 이동을 일측 및 타측에서 가이드해줌으로써 선박의 중심이 상가대(300)의 중심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등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이 상가대(300)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치우쳐 상가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을 충격이나 손상 없이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상가한 후 목표지점까지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제1 윈치(500) 및 제1-1 윈치(700)와 연결되는 고정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부는 제1 고정부(130) 및 제1-1 고정부(330)로 구성되고, 제1 고정부(130)는 제1 로프(510)를 이용하여 제1 윈치(500)와 연결되고 제1-1 고정부(330)는 제1-1 로프(710)를 이용하여 제1-1 윈치(700)와 연결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선박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고정부(미도시)와 제2 윈치(600)가 연결되고, 상가대(3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1 고정부(미도시)와 제2-1 윈치(800)가 연결된다.
제1 고정부(130)는 선박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선박의 상부에 형성된 제1 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1 고정부(330)는 상가대(300)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가대(300)의 상부에 형성된 제1-1 홀(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고정부(130)는 프레임(131), 로프 홀더(132) 및 체결부(133)를 포함하고, 프레임(131)의 일측에 제1 로프(510)를 권취시키는 로프 홀더(132)가 형성된다.
로프 홀더(132)의 일측에는 체결부(133)가 형성되며, 체결부(133)를 이용해서 제1 고정부(130)를 탈부착하여 제1 고정부(1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제1 고정부(130)와 제1-1 고정부(33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고, 제1 윈치(500)와 제1-1 윈치(7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윈치(500), 제1-1 윈치(700), 제2 윈치(600) 및 제2-1 윈치(80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선박의 미세한 방향 조절이 가능하므로 선박이 상가대(300) 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로 제1 고정부(130)가 제1 선수(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될 경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선수(100), 즉 선박의 내부에는 중공부(120)가 형성되고 중공부(120)에 제1 고정부(130)가 위치될 수 있다.
제1 선수(100)의 상부에는 제1 도어(140)가 형성되고, 제1 도어(140)의 상부면에는 제1 도어(140)를 길이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 손잡이(180)가 형성된다.
또한, 선박의 일측에는 제1 고정부(130)를 삽입시키기 위한 중공부(120)와 중공부(120)를 밀폐시킬 수 있는 제2 도어(150)가 형성된다.
제2 도어(150)는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공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의 도어레일(170)이 형성되고, 제2 도어(150)는 도어레일(1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선박의 일측에 제1 고정부(130)가 설치된 중공부(120)를 제2 도어(15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고정부(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내측에 제1 고정부(130)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의 상부에 중공부(120)와 연통되는 제1 도어(140)를 형성하고, 선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제2 도어(150)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제1 고정부(130)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히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고정부(130)와 제1 윈치(500)가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2 도어(150)에는 도어 홈(160)이 형성되어 있고, 로프는 도어 홈(160)을 통해 통과하여 제1 윈치(500)와 연결된다.
제2 도어(150)를 통해 작업자가 중공부(120) 내에 설치되는 제1 고정부(130)를 제1 윈치(500)에 연결하도록 하는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선박의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중공부(1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제2 도어(150)를 선박의 일측에 복수 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선박의 상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제1 고정부(130)를 선박의 내부로 하강시킴으로써, 제1 고정부(130)가 선박의 탑승자에게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로부터 제1 고정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고정부(130)에 권취되는 로프의 움직임에 따라 제1 고정부(130)가 중공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선박의 바닥이나 중공부(120)의 가장자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1 고정부(130)의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도어(150)가 중공부(120)를 폐쇄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3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제1 고정부(130)에 가해지는 외부 하중에 의해 중공부(12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선박의 탑승자를 안전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은 제1 고정부(130)에 권취되는 로프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제1 고정부(130)에 권취되는 로프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선박 상가 시 상가대의 상부에 형성되는 선박 가이드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선박에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본체부(340) 및 선박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본체부(350)로 구성된다.
제1 본체부(340)와 제2 본체부(350)는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는 제1 본체부(340)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가대의 상부에 선박이 상가되어 있으며, 상가대의 하부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윈치레일을 이동하기 위한 구성이며, 윈치레일은 상가대를 지정된 장소로 끌어올리기 위한 이동장치이다.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본체부(340)는 접촉부(341), 거치부(342), 제1 실린더(343), 제2 실린더(344) 및 지지부(345)로 구성되며, 이때,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 본체부(340)와 제2 본체부(350)의 초기 형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지지부(345)의 하부는 상가대(300)의 상부에 맞닿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부(345)의 타측의 상부에는 제1 실린더(343)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부(345)의 타측의 하부에는 제2 실린더(344)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실린더(343)와 제2 실린더(344)는 지지부(345)와 결합 시, 제1-1 고정부(123)에 의해 결합되며, 제1 실린더(343)와 제2 실린더(344)는 지지부(345)의 일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형성되되, 제1 실린더(343)와 제2 실린더(344)는 유압(공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실린더(343)와 제2 실린더(344)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12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고정부(121)는 제1 실린더(343)와 거치부(3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거치부(342)의 일측면에는 접촉부(341)가 맞닿아 형성되고, 접촉부(341)의 일측면은 선박의 일측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342)는 접촉부(341)와 제1 실린더(343), 제2 실린더(344)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접촉부(341)와 거치부(342)는 제1 실린더(343) 및 제2 실린더(344)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지지부(345)의 일측과 지지부(345)의 하부에 맞닿아 형성되는 상가대(300)의 일측에는 지지부 홀(345a)이 형성되고, 지지부 홀(345a)의 내부에 핀(346)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핀(346)이 지지부(345)와 상가대(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지지부(345)가 상가대(3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핀(346)은 지지부(345)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핀(346)을 분리한 뒤 지지부(345)를 상가대(300) 상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제1 본체부(340) 및 제2 본체부(35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핀(346)과 지지부(345), 상가대(300)를 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즉, 선박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본체부(340)와 선박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본체부(350)는 상가대(30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길이 방향으로의 선박의 길이에 맞추어 변경 가능하다.
제1 실린더(343) 및 제2 실린더(344)의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부(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며, 핀(346)을 지지부(345)로부터 분리시켜 제1 본체부(340)를 직접 이동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한 쌍의 제1 고정부(121)를 길이 방향으로 조절시켜 접촉부(341)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도 있다.
또한, 제1 실린더(343) 및 제2 실린더(344)는 지지부(345)와 결합되어 있는 채로 일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즉, 상가대(300) 상에서 선박의 미세한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최초 접근방향이 틀어진 경우 제1 실린더(343) 및 제2 실린더(344)의 각도, 거리를 조절하여 선박의 상가를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선박의 불안전한 장착, 특히 선박의 중심이 대차의 중심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등 대형 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제1 선수,
110 : 제1 홀,
120 : 중공부,
130 : 제1 고정부,
131 : 프레임,
132 : 로프 홀더,
133 : 체결부,
140 : 제1 도어,
150 : 제2 도어,
160 : 도어 홈,
170 : 도어레일,
180 : 도어손잡이,
200 : 제2 선수,
210 : 제2 홀,
300 : 상가대,
310 : 제1-1 홀,
320 : 제2-1 홀,
330 : 제1-1 고정부,
340 : 제1 본체,
341 : 접촉부,
342 : 거치부,
343 : 제1 실린더,
343a : 제1 고정부,
343b : 제2 고정부,
344 : 제2 실린더,
345 : 지지부,
345a : 지지부 홀,
346 : 핀
400 : 상가대레일,
500 : 제1 윈치,
510 : 제1 로프,
600 : 제2 윈치,
610 : 제2 로프,
700 : 제1-1 윈치,
720 : 윈치기어,
730 : 슬라이딩부,
740 : 스토퍼,
750 : 제1-1 로프,
800 : 제2-1 윈치,
810 : 제2-1 로프,
900 : 윈치레일.

Claims (7)

  1. 선박의 일측에 제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1 윈치;
    상기 선박의 타측에 제2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 윈치;
    상기 선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선박의 하부를 받치는 상가대;
    상기 상가대의 일측에 제1-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1-1 윈치; 및
    상기 상가대의 타측에 제2-1 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제2-1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프와 상기 제2 로프는 상기 선박의 일측과 타측에 크로스 결합되어 상기 선박을 상기 상가대의 상부에 상가하고,
    상기 제1-1 위치 및 제2-1 윈치는 상기 상가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치 및 상기 제1-1 윈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윈치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윈치와 상기 제1-1 윈치는 상기 윈치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제1 윈치 및 제1-1 윈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치는,
    상기 제1 윈치의 일측에 형성되는 윈치기어;
    상기 윈치기어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윈치레일의 내부에 삽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부와 탈부착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윈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윈치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1 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프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윈치가 결합되고, 상기 로프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고정부가 결합되는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되는 로프홀더; 및
    상기 로프홀더의 일단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선박과 탈부착 가능한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가대는,
    상기 상가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1 홀; 및
    상기 제1-1 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로프의 일단에는 제1-1 윈치가 결합되고, 상기 제1-1 로프의 타단에는 제1-1 고정부가 결합되는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고정부는 상기 상가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1 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인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KR1020220090668A 2022-07-22 2022-07-22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KR10263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68A KR102632557B1 (ko) 2022-07-22 2022-07-22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668A KR102632557B1 (ko) 2022-07-22 2022-07-22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305A KR20240013305A (ko) 2024-01-30
KR102632557B1 true KR102632557B1 (ko) 2024-02-02

Family

ID=8971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668A KR102632557B1 (ko) 2022-07-22 2022-07-22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5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869A (ja) 2002-07-04 2004-02-05 Nippon Stainless Kozai Kk 船体用台車
KR101606180B1 (ko) 2014-12-15 2016-03-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형 운하 가이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9392A (ja) * 1993-05-18 1994-11-29 Ishii Zosenjo:Kk リフタ−上の船の姿勢保持方法および装置
KR102157797B1 (ko) 2019-09-26 2020-09-1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의 상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869A (ja) 2002-07-04 2004-02-05 Nippon Stainless Kozai Kk 船体用台車
KR101606180B1 (ko) 2014-12-15 2016-03-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형 운하 가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305A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2045B2 (ja) 調整可能な杭保持システム、船舶および杭設置方法
CN111655934B (zh) 桩柱保持系统
EP3696074B1 (en) Catamaran type vessel
CN102325695A (zh) 用于装备风帆的机械装置
KR20110092004A (ko) 해양 구조물의 거중 설비
KR102632557B1 (ko) 쌍동선 선박을 가진 선박의 상가를 위한 윈치
KR101670579B1 (ko)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US9896160B2 (en) Moon pool control device for a marine vessel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101835052B1 (ko) 붐의 이동이 가능한 해상 크레인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2038756B1 (ko) 관절식 용골 스커트를 갖는 부유식 플랫폼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220019426A (ko) 바지선
IE45617B1 (en) Handling of aquatic vessels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101805493B1 (ko) 해양플랜트용 스러스터 리커버리의 상승운전 제어장치
KR101516560B1 (ko) 캐니스터 안내장치 설치방법
KR10148767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606697B1 (ko) 라이프 래프트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KR10149731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47520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40303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