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293B1 -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293B1
KR101556293B1 KR1020130079288A KR20130079288A KR101556293B1 KR 101556293 B1 KR101556293 B1 KR 101556293B1 KR 1020130079288 A KR1020130079288 A KR 1020130079288A KR 20130079288 A KR20130079288 A KR 20130079288A KR 101556293 B1 KR101556293 B1 KR 101556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ousing
opening
seal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104A (ko
Inventor
박형길
이동현
백광준
이진석
오세면
박광근
송지수
이태구
노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2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이동 가능한 추진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하우징 내부의 일부 공간을 수밀시킬 수 있는 개폐부 및, 하우징의 수밀을 위해 개폐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Closing and opening device of a ship}
본 발명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추진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선체의 위치 제어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인 추진장치는 고장 시 선박 전체를 육상의 조선소로 이동시켜 수리해야 하는데, 오일 및 가스 탐사를 위한 시추선이나 다양한 선박 및 수중 구조물의 정비선 등의 경우 장기간 현장에 계류해야 하므로 그 지점에서 바로 유지, 보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에는 수중 설치 방법을 이용하여 선체에서 바로 착탈이 가능한 고정식 추진장치 혹은 캐니스터 등을 이용한 승강식 추진장치가 구비된다.
수중 설치식 추진장치의 경우, 정비를 위해 별도의 잠수장비와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로부터 분리작업을 수중에서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어려운 수중 분리작업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어져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수중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또한, 승강식 추진장치 중 캐니스터 타입을 이용한 경우, 상기 추진장치를 캐니스터 하부에 장착하여 선체 하우징 내부에 위치시키고, 유지, 보수작업을 위해 캐니스터를 추진장치와 함께 흘수면 위로 상승시켜 선체 하우징 상부의 별도의 공간에서 추진장치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그러나, 캐니스터 타입의 추진장치는 중량체인 구조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겁고, 정비시 흘수면 위로 상승시킬 경우 이동 거리가 길며 이를 위한 추가장치들이 갑판 위에 구비되어 있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고액의 유지, 보수 비용이 든다. 이에 따라, 추진장치의 정비를 위하여 상기 추진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동력이 요구되며, 풍랑이 심한 환경에서는 중량체인 추진장치를 선박의 상부측에 유지한 상태로 추진장치를 보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추진장치가 선박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는 선박의 하부 구조 중 일부가 들어올려지게 된 상태이므로, 선박에 불안정성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하우징 일 공간을 폐쇄 및 수밀시켜 선박 및 해양구조물 내부에서 추진장치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수밀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추진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부 공간을 수밀시킬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수밀을 위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외측부에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중앙부 양 측면에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으로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 전방 측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지부재 상에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 전방 측면과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형성된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는 몸체의 하부면 양 측부에 설치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면에 다수의 휠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어는 상기 휠 홈이 형성된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하부면에 제3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이탈 방지 및 상기 하우징의 수밀을 위해 진행방향 후방 측면에 도어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용부재는 일측면에 상기 도어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통형 구조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구동부재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스토퍼의 전면부 및, 상기 도어스토퍼 전면부와 접촉하는 수용부재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4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의 양측부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하우징 상부 공간을 수밀시키는 바, 추진장치를 선박 및 해양구조물 내부(하우징 상부공간부터 그 위의 장소)로 수납시켜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항해 시 일부 추진장치를 하우징 내부에 수납시킴으로써 추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개폐부의 일면에 설치된 실링부재를 통해 하우징 상부 공간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하우징 상부 공간이 도어에 의해 수밀된 후 하우징 상부에 유입된 해수가 배수되면, 작업자가 수밀된 상기 하우징 상부 공간으로 들어가 용이하게 추진장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상기 하우징 상부 공간과 함께 구동부재가 포함된 수용부재가 함께 수밀되는 바, 구동부재 선택의 폭이 넓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수용부재 내부 공간이 도어에 의해 수밀된 이후 작업자가 수용부재 내부로 들어가 용이하게 구동부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승, 하강 가능한 가압부재를 통해 하우징 상부의 수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추진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 장치의 개폐부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폐쇄 후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폐쇄될 때 수밀되는 부분(I, II, III)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선박은 항해를 위한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자체 동력으로 특정 지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위치 및 자세를 유지하여 다양한 목적을 수행하는 해양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100)는 하우징(110), 개폐부(200) 및 실링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하 이동 가능한 추진장치(4)가 내부에 설치된 선체의 일부와 같은 구성 요소이다. 하우징(110)은 선박(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통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10)은 서로 직교하는 네 개의 측벽을 포함하고, 하부면이 하방으로 개방되어, 추진장치(4)가 상기 하부에 형성된 개구(130)를 통하여 선박(2)의 외측부로 하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진장치(4)는 선박(2)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아지무스 스러스터(Azimuth thruster)이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에는 일 측면에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0)의 외측부에는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는 도어(220)가 설치된다.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된 도어(220)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 때, 도어(220)가 닫힌 상태에서 상부 공간은 수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구부(120)는 하우징(110) 일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개구부(12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하우징(110) 일 측면에는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기 위한 하우징측 진입문(14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220)의 이동방향으로 볼 때 도어(220)의 전방이란, 도어(220)가 하우징(110)을 폐쇄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 즉 도 2에서 볼 때 우측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한편, 선박 및 해양구조물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상하 이동 가능한 추진장치(4)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 장치의 개폐부를 나타낸 투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수용부재(210), 도어(220), 구동부재(230), 지지부재(240) 및 수용홈 (25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수용부재(210)는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0)의 외측부에 설치된다. 이 때, 수용부재(210)는 추진장치(4)가 하부면으로 하강되어 구동될 때 상기 도어(2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즉, 수용부재(210)는 도어(2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도어(220)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하우징(110) 측부에 설치된다. 이 때, 수용부재(2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장치(100) 외부로 도어(2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우징(110) 일 측면으로 개구된 통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재(210)는 하우징(110) 측면 개구부(120)와 연결되는 부분이 병목 형상을 갖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용부재(210)는 도어(220)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220)의 몸체(221)보다 큰 내부공간을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어(220)는 몸체(221), 휠(222) 및 도어스토퍼(2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21)는 상기 도어(220)가 완전히 닫힐 때 하우징(110)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횡방향 단면에 상응하는 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몸체(221)는 도어(220)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하우징(110)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방수 구조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몸체(221)가 판형 구조체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 개구부(120)의 형상과 폐쇄되는 하우징(110)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휠(222)은 몸체(221)가 도어(22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221)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때, 휠(222)은 몸체(221)의 하부면 양 측부에 도어(220)의 진행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될 수 있다. 휠(222)은 몸체(221)의 하측면에 대하여 상기 휠(222)의 하단부가 약간만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몸체(22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휠(222)은 롤러 또는 그 밖의 구름 부재의 구성일 수 있다.
도어스토퍼(223)는 몸체(221)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이 때,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도어스토퍼(223)는 도어(220)가 완전히 폐쇄될 때 상기 도어스토퍼의 전면부(223a)가 수용부재(210)에 접촉하여 상기 도어(220)가 상기 하우징(11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측면 개구부(120)를 폐쇄시킬 있도록, 몸체(221)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판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이 때, 도어스토퍼의 전면부(223a)는 몸체(221)와 결합된 면으로, 도어스토퍼의 후면부(223b)는 전면부(223a)에 평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어스토퍼(223)는 반드시 판형 구조체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 개구부(120)를 폐쇄시켜 하우징(110) 상부 공간을 수밀시킬 수 있도록 위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와 5를 다시 참조하면, 도어(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용부재(210) 내부의 도어(220)의 후방에 구동부재(230)가 설치된다. 구동부재(230)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재(230)는 일면에 봉형의 연결부재(231) 일 단부가 결합된다. 연결부재(231)의 타 단부는 도어스토퍼의 후면부(223b)와 결합된다. 이 때, 구동부재(230)는 연결부재(231)를 통하여 도어(220)로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부재(230)는 상기 도어(220)에 가하는 동력을 실시간 확인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재(230)가 설치되는 위치는 반드시 수용부재(210)의 내부에 제한되지 않으며, 선박 및 해양구조물 내부의 임의의 장소일 수 있다.
지지부재(240)는 하우징(110)의 중앙부 양 측면에 설치된다. 도 3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지지부재(240)는 도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240)는 도어(220)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도어(220)의 하부를 지지한다. 다만, 지지부재(240)는 하우징(110)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10)의 양 측면 내벽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241)는 지지부재(240) 상부면에 도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도 3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가이드(241)는 휠(222)이 수용되어 구를 수 있도록 휠(222)의 너비보다 큰 폭을 구비한 상방향으로 개방된 'ㄷ'자형 레일 구조체이다. 또한, 가이드(241)는 수용부재(2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241)는 지지부재(240) 상에 설치되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지부재(24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돌출 형성된 일 형상일 수 있다.
수용홈(250)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0)의 맞은편 측벽에 형성된다. 이 때, 수용홈(250)의 단면은 도어(220)의 전방 측면이 수용될 수 있도록 몸체(221)의 전방 측 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수용홈(250)은 홈의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의 전방 측면이 수용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동작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폐쇄 후 가압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부분의 단면도이다.
실링부(300)는 제1 실링부재(310), 제2 실링부재(320), 제3 실링부재(330) 및 제4 실링부재(340)를 포함한다.
제1 실링부재(310)는 지지부재(240) 상부면에 도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실링부재(310)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241)의 한 쌍의 수직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바형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재(310)는 휠(222)과 접촉한 면이 도어(220)의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110) 상부 공간을 수밀시키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재(310)는 상기 휠(222)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를 견디는 내마모성 소재일 수 있다. 한편, 제1 실링부재(310)는 막형 구조체로 가이드(241)의 표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재(310)는 수용홈(250)과 휠(222)이 접촉하는 상기 수용홈(250) 내벽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과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휠 홈(311)이 제1 실링부재(310)의 표면 상에 도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7 내지 9를 다시 참조하면, 휠 홈(311)은 다수 개의 휠(222)이 휠 홈(311)으로 각각 수용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 과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휠 홈(311)간 간격은 휠(222) 간 간격에 상응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휠 홈(311)은 몸체(221)의 하부면 하측으로 돌출된 휠(222)의 일 부분이 전부 수용 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 때, 휠 홈(311)은 도어(220)가 이동되면서 수용되었던 휠(220)이 용이하게 이탈하여 다른 휠 홈(311)으로 반복 수용될 수 있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휠 홈(311)이 상기 휠(222)의 반경 이하의 깊이를 갖는 반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320)는 수용홈(250)의 내벽과 도어(220)가 접촉하는 면을 수밀시키기 위해 몸체(221)의 전방 측면과 수용홈(250) 내벽에 형성된다.이 때,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 실링부재(320)는 몸체(221)의 전방 측면에 형성되는 바형 실링부재인 몸체측 제2 실링부재(320a)를, 수용홈(250) 내벽에 형성되는 막형 실링부재인 수용홈측 제2 실링부재(3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실링부재(320)는 탄성 변형되어 접촉면을 수밀시키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제3 실링부재(330)는 몸체(221)의 하면 측부에 형성된다. 이 때, 제3 실링부재(330)는 도어(220)의 진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바형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 실링부재(330)가 도어(220)의 하면 양 측단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휠(222)이 상기 한 쌍의 제3 실링부재(330) 사이로 상기 제3 실링부재(330)와 각각 이웃하여 배치되는 구성이나, 반드시 이러한 배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제3 실링부재(330)는 휠(222)이 휠 홈(311)으로 수용될 때 상기 제1 실링부재(3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3 실링부재(330)는 제1실링부재(310)와 함께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110) 상부 공간의 수밀성을 강화시키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제4 실링부재(340)는 수용부재(210)가 도어(220)의 폐쇄 시 하우징(110) 상부 공간과 함께 수밀될 수 있도록 수용부재(210)의 내벽과 도어스토퍼 전면부(223a)에 형성된다. 이 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4 실링부재(340)는 수용부재(210)의 내벽에 형성된 실링부재인 수용부재측 제4 실링부재(340a)와, 도어스토퍼 전면부(223a)에 형성된 실링부재인 도어스토퍼측 제4 실링부재(34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4 실링부재(340)는 막형 구조체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 실링부재(340)에 의해 수용부재(210) 내부 공간이 수밀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구동부재(230)가 상기 수용부재(2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밀되는 수용부재(21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10)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일면에 수용부재측 진입문(34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작업자는 수용부재(210)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재(230)와 도어스토퍼(223) 등을 유지보수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측 진입문(341)은 수용부재(210)의 일면에 해치의 형태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재(350)는 하우징(110) 상부에서 하부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에 설치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350)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사각 프레임 구조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압부재(350)는 폐쇄된 도어(220)의 상측부를 가압하여 하우징(110) 상부 공간의 수밀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기 도어(220)의 진행방향에 수평한 하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부재(350)는 상하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110) 내벽과 접촉하는 일면에 래크 기어(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래크와 접촉하여 상기 가압부재(350)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내벽에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300)는 구동부재(230)에 의한 도어(22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구동부재(230)가 도어(220)의 이동을 정밀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재(320)는 내부에 수용홈(250)으로 수용되는 도어(220)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미도시)는 제4 실링부재(340)와 도어스토퍼(223)간 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4 실링부재(340) 또는 수용부재(210)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상부 공간이 수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1 실링부재(310)와 제3 실링부재(330)가 접촉하는 면에 각각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실링부재측에 설치된 센서(미도시)는 휠(220)이 휠 홈(311)에 온전히 수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제3 실링부재(330)측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링부재측 센서(미도시)와 제3 실링부재측 센서(미도시)는 상기 도어(22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수용홈(250)과 가장 가까운 휠(220)과 휠 홈(31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미도시)는 광센서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의 구성요소간 결합관계를 설명하였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추진장치(4)가 하우징(110) 하부로부터 개폐부(200)를 거쳐 하우징(110) 상부로 상승되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20)가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20)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이동한다. 도어(220)는 하면에 결합된 휠(222)을 통해 제1 실링부재(310)와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 때, 휠(222)은 도 7 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실링부재(310)의 표면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휠 홈(311)에 대하여, 진행방향에 따라 수용과 이탈을 반복하며 이동된다. 또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휠(222)이 휠 홈(311) 수용될 때 마다 제1 실링부재(310)와 제3 실링부재(330)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즉, 휠 홈(311)은 도어(220)의 진행방향으로 휠(222)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폐쇄될 때 수밀되는 부분((I),(II),(III))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220)가 전방으로 전부 이동되면, 복수개의 휠(222)이 복수개의 휠 홈(311)에 모두 수용된 상태로 도어(220)의 전방이 수용홈(250)의 내벽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어스토퍼의 전면부(223a) 또한 수용부재(210)의 내벽과 접촉하게 된다.
즉, 하우징(110) 내부 공간은 상기 도어(220)에 의해 추진장치(4)가 존재하는 하우징(110) 상부 공간과, 상기 하우징(110) 하부면의 개방된 공간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하우징(110)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때, 몸체측 제2 실링부재(320a)가 수용홈측 제2 실링부재(320b)와 접촉하는 부분(도 10의 I 부분) 및 도어스토퍼측 제4 실링부재(340b)가 수용부재측 제4 실링부재(340a)와 접촉하는 부분(도 10의 III 부분) 은 구동부재(230)로부터 도어(220)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수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110) 상부 공간은 하부 공간으로부터의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수밀된다.
또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0) 상부에 위치한 가압부재(350)가 폐쇄된 도어(220) 상부 쪽으로 수직 하강하여 몸체(221)의 상부면을 가압한다. 이 때, 도 10에서 볼 수 있듯, 상기 가압에 의해 휠(222)과 제3 실링부재(330)가 제1 실링부재(310)와 접촉하는 부분(도 10의 II 부분)도 가압된다. 상기 가압부재(350)의 가압을 통하여, 도어(220)의 중량으로만 수밀되던 II 부분의 수밀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10)도 II 부분과 III 부분의 접촉을 통해 폐쇄 및 수밀된다.
이후, 수밀된 하우징(110) 상부 공간은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해 유입된 해수가 배수된다. 또한, 하우징(110) 일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밀된 하우징(110) 상부 공간으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우징측 진입문(1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수밀된 상기 하우징(110) 상부 공간으로 들어가 용이하게 추진장치(4)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수용부재(210) 내부 공간이 도어스토퍼(223)에 의해 수밀된 이후 수용부재(210) 일면에 설치된 수용부재측 진입문(341)을 통하여 수밀된 상기 수용부재(210) 내부로 들어가 용이하게 구동부재(230) 및 도어스토퍼(223)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 선박 4: 추진장치
100: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 장치 110: 하우징
120: 측면 개구부 130: 하면 개방부
140: 하우징측 진입문 200: 개폐부
210: 수용부재 220: 도어
221: 몸체 222: 휠
223: 도어스토퍼 223a: 도어스토퍼 전면부
223b: 도어스토퍼 후면부 230: 구동부재
231: 연결부재 240: 지지부재
241: 가이드 250: 수용홈
300: 실링부 310: 제1 실링부재
311: 휠 홈 320: 제2 실링부재
320a: 몸체측 제2 실링부재 320b: 수용홈측 제2 실링부재
330: 제3 실링부재 340: 제4 실링부재
340a: 수용부재측 제4 실링부재 340b: 도어스토퍼측 제4 실링부재
341: 수용부재측 진입문 350: 가압부재
I: 몸체측 제2 실링부재와 수용홈측 제2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부분
II: 도어스토퍼측 제4 실링부재가 수용부재측 제4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부분
III: 휠과 제3 실링부재가 제1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부분

Claims (16)

  1. 상하 이동 가능한 추진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부 공간을 수밀시킬 수 있는 개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수밀을 위해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중앙부 양 측면에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지부재 상에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도어의 양측부 상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를 구비한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하우징 외측부에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부재 상부에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으로 가이드를 구비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 전방 측면에 상기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의 진행방향 전방 측면과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형성된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몸체의 하부면 양 측부에 설치되는 휠을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와 접촉하는 면에 다수의 휠 홈이 형성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휠 홈이 형성된 상기 제1 실링부재와 접촉하는 하부면에 제3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이탈 방지 및 상기 하우징의 수밀을 위해 진행방향 후방 측면에 도어스토퍼를 구비한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일측면에 상기 도어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통형 구조체인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내부에 상기 도어를 개폐 구동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유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도어스토퍼의 전면부 및, 상기 도어스토퍼 전면부와 접촉하는 수용부재의 일면에 마련되는 제4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16. 삭제
KR1020130079288A 2013-07-05 2013-07-05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KR101556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88A KR101556293B1 (ko) 2013-07-05 2013-07-05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88A KR101556293B1 (ko) 2013-07-05 2013-07-05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104A KR20150006104A (ko) 2015-01-16
KR101556293B1 true KR101556293B1 (ko) 2015-10-01

Family

ID=5256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288A KR101556293B1 (ko) 2013-07-05 2013-07-05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90B1 (ko) 2015-05-06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워터 타이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104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271B1 (ko) 접혀 들어갈 수 있는 추진 장치 또는 대응물을 위한 정비 공간
CN204507207U (zh) 半潜式海洋平台及其下浮体
CN109338883A (zh) 一种桥梁水下结构检测平台及其工作方法
KR102022805B1 (ko)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KR200469118Y1 (ko) 상하이동 가능한 문풀 장치 및 상기 문풀 장치를 갖춘 해상구조물
KR101556293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US6755701B2 (en) Amphibious vehicle with submersible capacity
KR101663725B1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용 개폐장치
KR200469399Y1 (ko) 문풀에 설치되는 유동 억제 장치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20002422U (ko) 상하이동 가능한 선박용 플로어 장치
KR101704434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40022999A (ko) 반잠수식 드릴링 유닛의 애지머스 스러스터 설치방법
NL2016759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KR10142217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9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792478B1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GB2114195A (en) Marine railroad
KR101298628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잠수사 이송장치용 도어 모듈 및 이것의 운용 방법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30002931U (ko) 선박용 슬라이딩방식 풍우밀 도어
KR20170106568A (ko) 선체 외벽 유지보수장비
KR10142217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RU2406642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абот на акватор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