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805B1 -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 Google Patents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805B1
KR102022805B1 KR1020180088401A KR20180088401A KR102022805B1 KR 102022805 B1 KR102022805 B1 KR 102022805B1 KR 1020180088401 A KR1020180088401 A KR 1020180088401A KR 20180088401 A KR20180088401 A KR 20180088401A KR 102022805 B1 KR102022805 B1 KR 10202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hull
hull
hydraulic cylinder
fixed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최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선 filed Critical 최광선
Priority to KR102018008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8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부에 위치하고, 선저에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선체; 메인선체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각각이 메인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메인선체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조임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가 메인선체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체결부; 수용공간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메인선체가 전후로 주행하도록 하는 무한궤도주행장치; 및 무한궤도주행장치를 수용공간에 승강시키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무한궤도승강부;를 포함하고, 무한궤도승강부는, 수용공간 내의 상측면과 무한궤도주행장치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왕복동 운동에 의해 무한궤도주행장치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유압실린더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수용공간 내의 상측면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 1 가이드튜브; 및 유압실린더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가이드튜브에 접철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무한궤도주행장치 상에 수직되게 고정되며, 제 1 가이드튜브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무한궤도주행장치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Amphibious dredge barge}
본 발명은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자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탑재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육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선은 항내, 내해, 호수, 하천, 운하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소형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를 해상으로 운반하기 위해 제조된 배를 말한다. 이러한 바지선은 두 지점 사이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항내에 대형선이 접안할 수 없는 경우 등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 본선 옆에 대는 배로 사용되고, 대부분은 예인선에 의해 끌리거나, 밀배에 밀려서 항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지선은 필요에 따라 스스로 이동할 필요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53655호의 "자항 바지선"이 있다. 이는 자체로 항해가 가능하도록 엔진과 프로펠러를 갖는 기관실부가 선체의 선미측 하부로 설치되고, 상기 선체가 균형을 이루면서 선미의 접안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관실부에 대응되는 상기 선체의 선수측으로 선교 및 선실부가 설치되며, 상기 선체의 상면에 갑판으로 이루어진 화물적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해상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나, 육상에서 이동시 차량 등의 적재나 크레인 등과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탑재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육상에서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육상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바지선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해상에서의 이동시 수중이나 해저와의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중심부에 위치하고, 선저에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메인선체; 상기 메인선체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 각각이 상기 메인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메인선체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조임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가 상기 메인선체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체결부; 상기 수용공간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선체가 전후로 주행하도록 하는 무한궤도주행장치; 및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를 상기 수용공간에 승강시키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무한궤도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승강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측면과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왕복동 운동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상측면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 1 가이드튜브; 및 상기 유압실린더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가이드튜브에 접철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 상에 수직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 가이드튜브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튜브;를 포함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이 제공된다.
상기 메인선체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로부터 상기 메인선체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에 의해 메인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선체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설치되는 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는, 상기 무한궤도승강부가 다수로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 각각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에 연결되는 무한궤도; 상기 무한궤도의 궤도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다수로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선체에 설치되는 유압펌프; 및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메인선체에 설치되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는, 상기 무한궤도의 중심이 상기 메인선체의 중심에 대하여 선미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인선체의 중심과 상기 무한궤도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무한궤도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10~40%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면의 모서리 각각에 상기 무한궤도승강부가 수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 및 상기 엔진은, 상기 메인선체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도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하며, 상기 메인선체에 마련되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튜브는, 하단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하단걸림부가 상기 제 2 가이드튜브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튜브는, 상단 둘레에 상기 하단걸림부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단걸림부가 상기 제 1 가이드튜브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선체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의 양측에 유압실린더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각각의 피스톤로드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 각각이 상기 결합홀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과 상기 관통구를 제 1 핀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를 상기 피스톤로드와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로드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 중에서 상기 제 1 핀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을 상기 수직중공부의 상단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상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수직중공부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선체로부터 상기 지지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선체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정겸용리프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 의하면, 무한궤도를 이용한 주행에 의하여, 차량의 탑재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육상에서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육상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바지선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무한궤도의 승강 구조에 의해 해상에서의 이동시 수중이나 해저와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수직조임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수평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무한궤도주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무한궤도승강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고정겸용리프팅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서 고정겸용리프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100)은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수직조임부(140), 수평체결부(150), 무한궤도주행장치(170) 및 무한궤도승강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선체(110)는 중심부에 위치하고, 선저에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수용공간(115)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메인선체(110)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각각 위치한다. 제 1 확장선체(120)는 제 2 확장선체(130)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확장선체(13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부력 발생을 위하여 내측에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커버(111,121,131)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버(111,121,131)는 실링부재를 매개로 플랜지 이음에 의해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선체(110)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는 내측에 밀폐된 공간 형성과 함께 구조적 강도 증진을 위하여,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스틸 각재를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서 프레임을 형성하고, 각 면을 이루는 철판을 가장자리에 각재가 부착되도록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면과 면끼리 기밀을 위하여 용접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에는 하중에 의한 면의 처짐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강도 보강을 위하여 스틸 각재가 적절히 용접 등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조임부(14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각각이 메인선체(1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본 실시례와 반대로 메인선체(110)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조임부(140)는 예컨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하단 모서리에 상방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걸림부(141)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하단 모서리에 하방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제 1 걸림부(141) 상에 폭방향 이동이 억제되도록 결합되는 제 2 걸림부(142)와,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로부터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편(143)와, 연장편(143) 각각의 끝단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 상에 위치하는 조임너트(144)와, 조임너트(144) 각각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에 의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2 걸림부(142)가 제 1 걸림부(141) 상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조임볼트(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 1 걸림부(141)와 연장편(143)이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에 형성되고, 제 2 걸림부(142)가 형성됨과 아울러 조임볼트(145)에 의한 가압되는 측이 메인선체(110)임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조임부(140)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어느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에 연장편(143)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수용홈(146)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중 다른 하나의 측부 상단 모서리에 제 1 수용홈(146)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조임볼트(145)에 의해 바닥면이 가압되는 제 2 수용홈(1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걸림부(141,142)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 각각의 측면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횡단면이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횡단면이 "∨"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걸림부(141)가 "∨"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제 2 걸림부(142)가 "∨"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체결부(150)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가 메인선체(11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수평체결부(15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와 메인선체(110)에서 서로 접하는 측부 상단 모서리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과,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 각각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개방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과,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을 관통하는 체결볼트(155)와, 체결볼트(155)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을 결합시키는 체결너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체결편(153,154)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체결홈(151,152) 각각은 수직조임부(140)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수용홈(146,147) 각각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 공간 활용도와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선체(110)에는 리프팅부(160)와 고정겸용리프팅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부(160)는 다수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은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61)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161)로부터 메인선체(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162)에 의해 메인선체(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부(160)는 메인선체(110) 등의 안정적인 리프팅을 위하여, 메인선체(110)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한 쌍씩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로드(162)는 유압실린더(161)로부터 인출되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유압실린더(161)로부터 인출되는 부재와 이에 축결합되는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압실린더(161)의 동작을 위하여, 조작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압실린더(161)에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부(미도시)가 메인선체(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압공급부는 예컨대 후술하게 될 무한궤도주행장치(170)에 유압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유압펌프(177)일 수 있다. 따라서, 유압실린더(161)는 예컨대 유압펌프(177)로부터 유압라인(미도시)을 통해서 제어밸브의 개폐 동작에 의해 유압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에 한하지 않고, 메인선체(110)에는 유압실린더(161)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포트가 마련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공급부의 유압호스를 메인선체(110)의 포트에 연결시키고, 이러한 외부 유압공급부에 의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유압실린더(161)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리프팅부(160)의 유압실린더(161)를 구동시키는 유압공급부가 메인선체(110)에 대하여, 내장형으로 구성되거나, 외장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212)의 돌출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리프팅부(160)와 함께 메인선체(110) 등을 리프팅시키거나, 수중바닥에 관입됨으로써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211)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212)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지지로드(212)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213)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지지로드(212)의 양측에 유압실린더(214)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유압실린더(214) 각각의 피스톤로드(215)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216)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로드(212)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217)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218) 각각이 결합홀(216)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지지링(217)과 관통구(213)를 제 1 핀(219)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지지로드(212)를 피스톤로드(215)와 연결시키고, 지지로드(212)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유압실린더(214)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213) 중에서 제 1 핀(219)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221)을 수직중공부(211)의 상단(211a)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에 관통 설치하여 상단(21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지지로드(212)가 수직중공부(211)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2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메인선체(110)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214)는 앞서 설명한 리프팅부(160)의 유압실린더(161)의 구동 방식이 동일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유압실린더(214)는 수직중공부(211) 내에 브라켓(222)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위치 및 고정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예컨대 지지로드(212)를 메인선체(110)로부터 하강시,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하강시켜서 제 1 핀(219) 및 지지링(217)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212)를 상단(211a) 상측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하강시킨 다음, 지지로드(212)의 단계적으로 연속 하강을 위하여, 수직중공부(211)의 상단(211a) 바로 위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에 제 2 핀(221)을 관통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 2 핀(221)이 상단(211a)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로드(212)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핀(219)을 해체한 다음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지지링(217)과 함께 상승시켜서, 제 1 핀(219)을 직전에 끼워졌던 관통구(213)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와 지지링(217)에 함께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215)를 지지로드(21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2 핀(221)을 관통구(213)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하강시킴으로써 지지로드(212)에 대한 단계적인 연속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한된 유압실린더(214)의 동작범위에도 불구하고, 지지로드(212)를 원하는 길이만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예컨대 지지로드(212)를 메인선체(110)로부터 상승시,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상승시켜서 제 1 핀(219) 및 지지링(217)에 의해 연결된 지지로드(212)를 상단(211a) 상측에 위치하는 범위 내에서 상승시킨 다음, 지지로드(212)의 단계적으로 연속 상승을 위하여, 수직중공부(211)의 상단(211a) 바로 위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에 제 2 핀(221)을 관통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 2 핀(221)이 상단(211a)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로드(212)의 하강을 방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 1 핀(219)을 해체한 다음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지지링(217)과 함께 하강시켜서, 제 1 핀(219)을 직전에 끼워졌던 관통구(213)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와 지지링(217)에 함께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피스톤로드(215)를 지지로드(212)에 연결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제 2 핀(221)을 관통구(213)로부터 분리시킨 후, 유압실린더(214)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215)를 상승시킴으로써 지지로드(212)에 대한 단계적인 연속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제한된 유압실린더(214)의 동작범위에도 불구하고, 지지로드(212)를 원하는 길이만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0에서 (a) 및 (b)에서와 같이, 선체(110,120,130)는 대개 유압실린더(161)에 피스톤로드(162; 도 10 (c) 참조)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면에 부유하거나, 지면(1)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선체(110,120,130)를 육상을 통해서 특정 위치까지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c)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161)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2)가 하방으로 인출됨으로써, 선체(110,120,130)를 지면(1)으로부터 일정 높이(H), 예컨대 120~140cm 정도로 상승시킨다. 이때,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메인선체(110)로부터 지지로드(212)의 돌출에 의해 리프팅부(160)의 피스톤로드(162)와 함께 선체(110,120,130)를 리프팅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의 (d)에서와 같이, 이러한 고정겸용리프팅부(210)는 지지로드(212)를 수중바닥(2)에 관입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선체(110,120,130)가 리프팅부(160)나 리프팅부(160)와 고정겸용리프팅부(210)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상승하면, 피스톤로드(162) 및 지지로드(212)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반수단, 예컨대 운반트럭의 짐칸을 선체(110,120,130)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유압실린더(161,215)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2) 및 지지로드(212)를 삽입시키면, 선체(110,120,130)는 운반트럭의 적재함에 안착되고, 이로 인해 선체(110,120,130)의 리프팅을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한편, 유압실린더(161)는 선체(110,120,130)의 리프팅 높이(H)를 확보하기 위한 행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무한궤도주행장치(170)는 수용공간(115)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메인선체(110)가 전후 주행 및 방향 전환을 하도록 한다. 무한궤도주행장치(170)는 무한궤도승강부(180)가 다수로 연결되는 본체(171)와, 본체(171)에 마련되는 유압모터(172)와, 유압모터(172)에 의해 회전하도록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173)과, 구동스프라켓(173) 각각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174)과, 구동스프라켓(173)과 종동스프라켓(174)에 연결되는 무한궤도(175)와, 무한궤도(175)의 궤도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다수로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76)와, 유압모터(172)의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하도록 메인선체(110)에 설치되는 유압펌프(177)와, 유압펌프(177)를 구동시키도록 메인선체(110)에 설치되는 엔진(178)을 포함할 수 있다.
무한궤도주행장치(170)는 무한궤도(175)의 중심이 메인선체(110)의 중심에 대하여 선미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되, 메인선체(110)의 중심(O)과 무한궤도(175)의 중심(O') 간의 거리(d)가 무한궤도(175)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10~40%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선체(110)의 중심(O)과 무한궤도(175)의 중심(O') 간의 거리(d)가 무한궤도(175)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10% 미만인 경우, 메인선체(110) 등이 수중에 부유시 무게중심이 선미측으로 부족하게 이동하여 수면에서의 이동시 저항을 줄이도록 기여하는 것이 부족하고, 40% 초과인 경우, 메인선체(110) 등이 수중에 부유시 무게중심이 선미측으로 과도하게 이동함으로써, 메인선체(110) 등의 선수측이 과도하게 들리게 되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본체(171)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의 모서리 각각에 무한궤도승강부(180)가 수직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무한궤도주행장치(170)가 무한궤도승강부(180)에 의해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유압모터(172)는 일례로 구동스프라켓(173) 각각에 인휠모터 타입 또는 개별 구동 연결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본체(171)에 단일로 설치되어 구동스프라켓(173) 각각에 기어나 스프라켓 등을 통해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유압펌프(177) 및 엔진(178)은 메인선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16) 내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유압실린더(161,181)에도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인선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9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유압모터(172) 및 유압실린더(161,181)에는 유압펌프(177)로부터 유압을 공급받기 위한 유압라인(177a)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조작부(19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밸브의 개폐에 의해 유압라인(177a)을 통해 유압모터(172) 또는 유압실린더(161,181)에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유압모터(172)를 구동시키도록 한다.
무한궤도승강부(180)는 무한궤도주행장치(170)를 수용공간(115)에 승강시키도록 다수로 설치된다. 무한궤도승강부(18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일례로,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과 무한궤도주행장치(170)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왕복동 운동에 의해 무한궤도주행장치(17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81)와, 유압실린더(18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 1 가이드튜브(182)와, 유압실린더(18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가이드튜브(182)에 접철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무한궤도주행장치(170) 상에 수직되게 고정되며, 제 1 가이드튜브(182)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무한궤도주행장치(17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튜브(18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실린더(181)는 실린더 끝단이 메인선체(110)의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에 볼트나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피스톤로드(181a)의 끝단이 무한궤도주행장치(170)의 본체(171) 상에 볼트나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튜브(182)는 상단의 플랜지가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에 볼트나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하단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하단걸림부(182a)가 제 2 가이드튜브(183)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튜브(183)는 하단의 플랜지가 본체(171) 상에 볼트나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단 둘레에 하단걸림부(182a)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단걸림부(183a)가 제 1 가이드튜브(18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의 (a)에서와 같이, 메인선체(110) 등이 수면에 부유시, 무한궤도승강부(180; 도 7에 도시)의 동작에 의해 무한궤도주행장치(170)가 수용공간(115; 도 3에 도시) 내측으로 삽입되어, 무한궤도승강장치(170)가 수중에 저항으로 작용하거나, 해저 바닥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무한궤도승강장치(170)는 전체 높이에 대하여 40~60% 정도가 무한궤도승강부(180)에 의해 수용공간(115)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0의 (b)에서와 같이, 메인선체(110) 등이 육상에서 이동시, 무한궤도승강부(180; 도 7에 도시)의 동작에 의해 무한궤도주행장치(170)가 수용공간(115; 도 3에 도시)으로부터 완전히 돌출하여 지면(1)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의 (c)에서와 같이, 메인선체(110) 등이 리프팅부(160) 및 고정겸용리프팅부(210)에 의해 지면(1)으로부터 이격하여, 차량의 적재함 등에 쉽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음은 이미 자세히 언급한 바와 같다.
도 10의 (d)에서와 같이, 고정겸용리프팅부(210)가 지지로드(212)를 수중바닥(2)에 관입되도록 함으로써 메인선체(110),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고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에 따르면, 무한궤도를 이용한 주행에 의하여, 차량의 탑재나 크레인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육상에서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면서도 신속한 육상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바지선을 이용한 다양한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무한궤도의 승강 구조에 의해 해상에서의 이동시 수중이나 해저와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메인선체 111 : 커버
114 : 고정판 115 : 수용공간
116 : 설치공간 120 : 제 1 확장선체
121,131 : 커버 130 : 제 2 확장선체
140 : 수직조임부 141 : 제 1 걸림부
142 : 제 2 걸림부 143 : 연장편
144 : 조임너트 145 : 조임볼트
146 : 제 1 수용홈 147 : 제 2 수용홈
150 : 수평체결부 151 : 제 1 체결홈
152 : 제 2 체결홈 153 : 제 1 체결편
154 : 제 2 체결편 155 : 체결볼트
156 : 체결너트 160 : 리프팅부
161 : 유압실린더 162 : 피스톤로드
170 : 무한궤도주행장치 171 : 본체
172 : 유압모터 173 : 구동스프라켓
174 : 종동스프라켓 175 : 무한궤도
176 : 가이드롤러 177 : 유압펌프
177a : 유압라인 178 : 엔진
180 : 무한궤도승강부 181 : 유압실린더
181a : 피스톤로드 182 : 제 1 가이드튜브
182a : 하단걸림부 183 : 제 2 가이드튜브
183a : 상단걸림부 190 : 조작부
210 : 고정겸용리프팅부 211 : 수직중공부
211a : 상단 211b : 개방홈
212 : 지지로드 213 : 관통구
214 : 유압실린더 215 : 피스톤로드
216 : 결합홀 217 : 지지링
217a : 관통홀 218 : 지지핀
219 : 제 1 핀 221 : 제 2 핀
222 : 브라켓

Claims (8)

  1. 중심부에 위치하고, 선저에 하방을 향하여 개방되는 수용공간(115)이 형성되는 메인선체(110);
    상기 메인선체(110)의 양측 각각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 각각이 상기 메인선체(11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메인선체(110)가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의 측부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되도록 하는 수직조임부(140);
    상기 제 1 및 제 2 확장선체(120,130)가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평방향으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다수의 수평체결부(150);
    상기 수용공간(115)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메인선체(110)가 전후로 주행하도록 하는 무한궤도주행장치(170); 및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를 상기 수용공간(115)에 승강시키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무한궤도승강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무한궤도승강부(180)는,
    상기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과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에 양단이 고정되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왕복동 운동에 의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81);
    상기 유압실린더(18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115) 내의 상측면에 하방으로 수직되게 고정되는 제 1 가이드튜브(182); 및
    상기 유압실린더(18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가이드튜브(182)에 접철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 상에 수직되게 고정되며, 상기 제 1 가이드튜브(182)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 2 가이드튜브(183);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마련되는 수직중공부(211)에 관통하도록 지지로드(212)가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로드(212)에 양측으로 관통하는 관통구(213)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212)의 양측에 유압실린더(214)가 각각 수직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4) 각각의 피스톤로드(215)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홀(216)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212)의 외측에 삽입되는 지지링(217)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핀(218) 각각이 상기 결합홀(216) 각각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217)과 상기 관통구(213)를 제 1 핀(219)이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212)를 상기 피스톤로드(215)와 연결시키고, 상기 지지로드(212)의 단계적인 상승 또는 단계적인 하강을 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14)의 신축을 반복할 때마다 다수의 관통구(213) 중에서 상기 제 1 핀(219)이 관통하는 위치를 변경하기 전에, 제 2 핀(221)을 상기 수직중공부(211)의 상단(211a)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구(213)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상단(211a)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로드(212)가 상기 수직중공부(211)로부터 하강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선체(110)로부터 상기 지지로드(21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메인선체(110)의 리프팅과 수중바닥의 관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고정겸용리프팅부(210)를 더 포함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선체(110)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6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61)로부터 상기 메인선체(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로드(162)에 의해 메인선체(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선체(110)의 전측과 후측 각각에 설치되는 리프팅부(160)를 더 포함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는,
    상기 무한궤도승강부(180)가 다수로 연결되는 본체(171);
    상기 본체(171)에 마련되는 유압모터(172);
    상기 유압모터(172)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173);
    상기 구동스프라켓(173) 각각에 일렬로 배열되도록 상기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174);
    상기 구동스프라켓(173)과 상기 종동스프라켓(174)에 연결되는 무한궤도(175);
    상기 무한궤도(175)의 궤도 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본체(171)의 양측에 각각 다수로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76);
    상기 유압모터(172)의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선체(110)에 설치되는 유압펌프(177); 및
    상기 유압펌프(177)를 구동시키도록 상기 메인선체(110)에 설치되는 엔진(178);
    을 포함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한궤도주행장치(170)는,
    상기 무한궤도(175)의 중심이 상기 메인선체(110)의 중심에 대하여 선미측으로 치우치도록 설치되되, 상기 메인선체(110)의 중심(O)과 상기 무한궤도(175)의 중심(O') 간의 거리(d)가 상기 무한궤도(175)의 전후 길이에 대하여 10~40%에 해당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171)는,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면의 모서리 각각에 상기 무한궤도승강부(180)가 수직되도록 마련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77)와 상기 엔진(178)은,
    상기 메인선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16)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81)에도 구동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하며, 상기 메인선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90)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튜브(182)는,
    하단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하단걸림부(182a)가 상기 제 2 가이드튜브(183)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튜브(183)는,
    상단 둘레에 상기 하단걸림부(182a)의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상단걸림부(183a)가 상기 제 1 가이드튜브(182)의 외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8. 삭제
KR1020180088401A 2018-07-30 2018-07-30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KR102022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1A KR102022805B1 (ko) 2018-07-30 2018-07-30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401A KR102022805B1 (ko) 2018-07-30 2018-07-30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805B1 true KR102022805B1 (ko) 2019-09-18

Family

ID=680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401A KR102022805B1 (ko) 2018-07-30 2018-07-30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8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705A (zh) * 2020-02-28 2020-07-03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适于现场快速搭建快速拆除的管子输送装置
CN113665695A (zh) * 2021-07-16 2021-11-19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可升降带驱动履带行走机构
CN114537062A (zh) * 2020-11-24 2022-05-27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拖挂式两栖运输车水上车体连接装置
KR102448906B1 (ko) * 2022-03-22 2022-09-30 차재권 리프트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박
KR102448903B1 (ko) * 2022-01-14 2022-09-30 차재권 선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
WO2023064460A1 (en) * 2021-10-14 2023-04-20 Eddy Pump Corporation Modular bar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465A (en) * 1982-03-26 1985-05-28 Triplett Richard A Track type four sprocket wheel drive crawler tractor
KR900004978B1 (ko) * 1987-09-25 1990-07-16 김연근 토사 운반선
JPH05179673A (ja) * 1991-12-26 1993-07-20 Internatl Rimooto Corp:Kk 浅水域用作業機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9465A (en) * 1982-03-26 1985-05-28 Triplett Richard A Track type four sprocket wheel drive crawler tractor
KR900004978B1 (ko) * 1987-09-25 1990-07-16 김연근 토사 운반선
JPH05179673A (ja) * 1991-12-26 1993-07-20 Internatl Rimooto Corp:Kk 浅水域用作業機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705A (zh) * 2020-02-28 2020-07-03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适于现场快速搭建快速拆除的管子输送装置
CN114537062A (zh) * 2020-11-24 2022-05-27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拖挂式两栖运输车水上车体连接装置
CN114537062B (zh) * 2020-11-24 2023-12-2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拖挂式两栖运输车水上车体连接装置
CN113665695A (zh) * 2021-07-16 2021-11-19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可升降带驱动履带行走机构
WO2023064460A1 (en) * 2021-10-14 2023-04-20 Eddy Pump Corporation Modular barge
KR102448903B1 (ko) * 2022-01-14 2022-09-30 차재권 선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
KR102448906B1 (ko) * 2022-03-22 2022-09-30 차재권 리프트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05B1 (ko)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US11739497B2 (en) Amphibious platform vehicle-vessel
US3842785A (en) Amphibious marsh craft
US6918801B2 (en) Amphibious vehicle
KR101926593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US20150016887A1 (en) Walking system and method adapted for use on a dry-dock to transport a ship
CN101410291A (zh) 浮桥,船坞及用于船坞的方法
US6755701B2 (en) Amphibious vehicle with submersible capacity
CN105947124A (zh) 折叠式机动栈桥
CN108407561B (zh) 一种近海多栖式移动船
KR102065268B1 (ko)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KR101078366B1 (ko) 수륙양용 준설선에 구비된 부력장치
US55584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recting a marine structure
CN205602059U (zh) 折叠式机动栈桥
KR101908406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US4416210A (en) Drill barge transport by surface effect vehicles
EP1492699A1 (en) Submersible watercraft
KR20070051103A (ko)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KR100671438B1 (ko) 소형 수문이 장착된 도크 게이트
RU137656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RU2460668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снятия судна с мели
KR810001197B1 (ko) 선박 도킹 플랜트
KR20110003843A (ko) 조립식 준설선
JP2022051402A (ja) 水中ブルドーザ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