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593B1 -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 Google Patents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593B1
KR101926593B1 KR1020180049517A KR20180049517A KR101926593B1 KR 101926593 B1 KR101926593 B1 KR 101926593B1 KR 1020180049517 A KR1020180049517 A KR 1020180049517A KR 20180049517 A KR20180049517 A KR 20180049517A KR 101926593 B1 KR101926593 B1 KR 10192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coupling
barge
dredg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상호
Original Assignee
모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상호 filed Critical 모상호
Priority to KR102018004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6Floating substructures a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 수직결합부, 수평결합부로 구성되며, 다수의 선체 결합구조로 인해 제작 및 육상 운송에 있어서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수직결합구조와 수평결합구조에 의한 복합결합방식에 의해 선체간 결합 후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면에서의 작업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이 가능하므로 차량 등에 적재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운반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선체부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나 수심의 문제로 인한 중장비의 접근이 불가한 곳의 접근성이 뛰어나 준설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Barge with bonded hull and dredging method using barge}
본 발명은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 수직결합부, 수평결합부로 구성되며, 다수의 선체 결합구조로 인해 제작 및 육상 운송에 있어서 편의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체부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나 수심의 문제로 인한 중장비의 접근이 불가한 곳의 접근성이 뛰어나 준설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선 또는 준설선은 항만 내부나 하구 등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동력 장치가 없는 부선을 말하며, 부두에서 본선까지 화물이나 장비, 설비 및 대량의 공사재료 또는 공사장비를 해상으로 나르거나 반대로 본선에서 부두까지 화물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하며, 예인선으로 끌거나 밀어서 항해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바지선 또는 준설선은 롱붐 등과 같은 중량물의 운반이나 이를 이용한 작업을 위해서 비교적 큰 큐모로 제작될 경우, 제작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육상 운송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수의 선체를 조립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조립하는 방식의 제안된 선행기술인 조립식 바지선(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4705호(2016.03.30))은 육면체의 다수의 단위선체; 상기 단위선체의 대향 측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호 체결에 의해 인접하는 상기 단위선체가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 연결부재; 및 상기 단위선체의 전후면에 각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선체를 연결하기 위한 전후면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립을 위해 많은 수의 볼팅 등으로 인해 조립과 해체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대부분의 결합력이 볼팅으로만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된 상태의 내구성 증진에 한계를 가지며, 차량 등에 적재시 별도의 적재 장비를 필요로 함으로써, 운반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조립식 바지선(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4705호(2016.03.3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체에 롱붐을 적재하거나 설치할 수 있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직결합구조와 수평결합구조에 의한 복합결합방식의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이 가능한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은
중앙에 위치하는 선체부(110);
상기 선체부(110) 각 일측면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
상기 선체부(110)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120, 130)부가 서로 일측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는 수직결합부(140); 및
상기 선체부(110)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가 각각 선체부(11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결합부(150);로 이루어진 바지선(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체부(110)는 상부에 롱붐(200)이 적재된다.
상기 수직결합부(140)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하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41), 다른 하나의 일측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체결부(141)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결합부는(140)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편(143);
상기 연장편(143)의 끝단에 위치하는 결합너트(144); 및
상기 결합너트(144)에 나사 체결되고,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130)와 선체부(110)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2 체결부(142)가 상기 제 1 체결부(141) 상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결합볼트(145);로 구성된다.
상기 선체부(110)는 선수측과 선미측에 수직의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홀(112a)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2a)을 관통하는 파일(113)이 수중 바닥에 관입됨으로서, 부유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수직결합부(140)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에 연장편(143)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연장편 수용홈(146)과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 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에 상기 연장편 수용홈(146)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트(145)에 의해 바닥면이 가압되는 결합볼트 수용홈(14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141, 142)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에서 각각의 측면 일단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어느하나의 횡단면이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횡단면이 “∨”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결합부(1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에서 서로 접하는 일측 상단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51, 152);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홈(151, 152)이 서로 마주 대하는 개방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결합편(153, 154);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편(153, 154)을 관통하는 제 2 결합볼트(155); 및
상기 제 2 결합볼트(155)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편(153, 154)을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너트(15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홈(151, 152)은 수직결합부(140)에 위치하는 연장편 수용홈(146) 및 결합볼트 수용홈(147)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체부(110)는 일측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6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61)로부터 선체부(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162)에 의해 선체부(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리프팅부(160)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팅부(160)는 상기 선체부의 선수측과 선미측에 각각 한쌍 씩 설치된다.
상기 선체부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는 측단에 구성된 공기 유입홈;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의 하부방향 이동하는 공기 유입로; 및
상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골;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은 바지선(100) 구성들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를 결합하는 결합단계(S200), 결합된 바지선(100)을 수면에 하역하는 바지선 하역단계(S300), 하역된 바지선(100)에 파일(113)을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S400), 파일(113)이 설치된 바지선(100)에 롱붐(200)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S500), 롱붐(200)이 적재된 바지선(100)을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바지선 이동단계(S600), 바지선(100)이 이동된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S700),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S800), 준설위치 선점 후, 파일(113)을 고정하는 파일 고정단계(S900), 파일고정 후,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S1000), 준설에 의해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S1100), 준설토 이적 후, 바지선(100)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200) 및 분리단계(S1200) 후, 분리된 바지선(100) 구성들을 이동수단에 적재하는 적재단계(S130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단계(S200)는 선체부(110)의 좌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120)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120)가 위치한 측에서 좌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130)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된 후, 상기 우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120)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120)가 위치한 측에서 우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130)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바지선 이동단계(S600)는 적재된 롱붐(200)의 버켓이 수중바닥을 짚으며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다수의 선체 결합구조로 인해 제작 및 육상 운송에 있어서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2) 본 발명은 수직결합구조와 수평결합구조에 의한 복합결합방식에 의해 선체간 결합 후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면에서의 작업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은 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이 가능하므로 차량 등에 적재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운반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4) 본 발명은 선체부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나 수심의 문제로 인한 중장비의 접근이 불가한 곳의 접근성이 뛰어나 준설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공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에 롱붐이 적재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결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리프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준설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체부에 롱붐이 적재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결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리프팅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100)은 선체부(110),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 수직결합부(140) 및 수평결합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체부(110)는 상부에 롱붐(200)이 적재된다. 상기 롱붐(200)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건설기계인 굴삭기 또는 포크레인이라고도 불리는 굴착기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붐(버켓과 결합하는 수단)의 길이가 15m 이상인 것으로 한다.
상기 선체부(100)는 중앙에 위치하며, 선수측과 선미측에 수직의 고정부재(112)에 의해 고정홀(112a)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2a)을 관통하는 파일(113)이 수중 바닥에 관입됨으로서, 부유 위치에 고정되어 수류에 의한 위치 변동이나 뻘 등에 잠기는 것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일(113)은 끝단에 형성된 홀에 연결되는 로프를 이용하여 선체부(110),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뽑거나, 고정홀(112a)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12)는 선체부(112) 내측이 부력 형성을 위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점을 감안하여 고정홀(112a)이 이러한 공간과 기밀되게 유지하도록 하는 관부재로서, 본 실시예처럼 선체부(110)에서 선수측에 위치하는 경우 선체부(110)를 관통하여 용접되거나, 선체부(110)에서 선미측에 위치하는 경우 선체부(110) 선미측 후단에 상하 다수의 고정판(114)을 매개로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는 선체부(110)의 각 일측면에 전후로 위치한다. 제 1 결합선체부(120)은 제 2 결합선체부(130)의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제 2 결합선체부(13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서로 결합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선체부(110)과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는 부력 발생을 위하여 내측에 밀폐되도록 마련되는 공간으로 출입하도록 커버(111, 121, 131)가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버(111, 121, 131)는 실링부재를 매개로 플랜지 이음에 의해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는 내측에 밀폐된 공간 형성과 함께 구조적 강도 증진을 위하여, 모서리에 대응하도록 위치하는 스틸 각재를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서 프레임을 형성하고, 각 면을 이루는 철판을 가장자리에 각재가 부착되도록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시킴과 아울러, 면과 면끼리 기밀을 위하여 용접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에는 하중에 의한 면의 처짐이나 파손을 방지하도록 강도보강을 위하여 스틸 각재가 적절히 용접 등에 의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수직결합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선체부(110)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가 서로 일측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한다.
상기 수직결합부(140)은 예컨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중 어느 하나의 일측 하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41)와 다른 하나의 일측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142)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편(143)과, 상기 연장편(143)의 끝단에 위치하는 결합너트(144)와, 상기 결합너트(144)에 나사 체결되고,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130)와 선체부(110)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2 체결부(142)가 상기 제 1 체결부(141) 상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결합볼트(14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에서는 제 1 체결부(141)와 연장편(143)이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에 형성되고, 제 2 체결부(142)가 형성됨과 아울러 결합볼트(145)에 의한 가압되는 측이 선체부(110)임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반대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결합부(140)은 상기 수직결합부(140)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에 연장편(143)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연장편 수용홈(146)과,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 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에 상기 연장편 수용홈(146)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트(145)에 의해 바닥면이 가압되는 결합볼트 수용홈(14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141, 142)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에서 각각의 측면 일단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어느하나의 횡단면이 “∨”의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횡단면이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처럼 제 1 체결부(141)가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체결부(142)가 “∨”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반대로 "∧"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결합부(150)는 상기 선체부(110)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가 각각 선체부(110)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와 선체부(110)에서 서로 접하는 일측 상단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2 결합홈(151, 152)과, 상기 제 1 및 2 결합홈(151, 152)이 서로 마주 대하는 개방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2 결합편(153, 154)과, 상기 제 1 및 2 결합편(153, 154)을 관통하는 제 2 결합볼트(155)와, 상기 제 2 결합볼트(155)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 1 및 2 결합편(153, 154)을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너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결합편(153, 154)은 육면체 구조를 가지는 제 1 및 제 2 결합홈(151, 152)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결합홈(151, 152) 각각은 수직결합부(140)에 위치하는 연장편 수용홈(146) 및 결합볼트 수용홈(147)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 공간 활용도와 제작 및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선체부(110)은 리프팅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리프팅부(16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은 선체부(110)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161)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61)로부터 선체부(110)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162)에 의해 선체부(110)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한다. 또한 리프팅부(160)는 선체부(110)의 안정적인 리프팅을 위하여 선체부(110)의 선수측과 선미측 각각에 한쌍 씩 설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161)의 동작을 위하여, 조작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압실린더(161)에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는 유압공급부(미도시)가 선체부(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선체부(110)에는 유압실린더(161)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포트가 마련됨으로서,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유압공급부의 유압호스를 선체부(110)의 포트에 연결시키고, 이러한 외부 유압공급부에 의한 작동유체의 공급 및 배출에 의해 유압실린더(161)가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리프팅부(160)의 유압실린더(161)를 구동시키는 유압공급부가 선체부(110)에 대하여, 내장형으로 구성되거나, 외장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서 (a)에서와 같이 선체(110, 120, 130)는 대개 유압실린더(161)에 피스톤로드(162)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면(1)에 놓여져서 보관되는데, 이러한 선체(110, 120, 130)를 육상을 통해서 특정 위치까지 운반하고자 하는 경우, (b)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161)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2)가 하방으로 인출됨으로서,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를 지면(1)으로 부터 일정 높이(H), 예컨대 120 ~ 140 cm 정도로 상승시킨다. 이때, 피스톤로드(162)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운반수단, 예컨대 운반트럭의 짐칸을 선체(110, 120, 130) 아래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유압실린더(161)의 동작에 의해 피스톤로드(162)를 삽입시키면, 선체(110, 120, 130)는 운반트럭의 잠칸에 안착되고, 이로 인해 선체(110, 120, 130)의 리프팅을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한편, 유압실린더(161)는 선체(110, 120, 130)의 리프팅 높이(H)를 확보하기 위한 행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는 측단에 구성된 공기 유입홈(미도시)과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체부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의 하부방향 이동하는 공기 유입로(미도시)와, 상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골(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예인선에 의해 주행시 골을 통해 물의 흐름이 선체(110, 120, 13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유도됨으로써 주행성이 향상되고, 바람에 의한 진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입홈(3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후 배출골을 통해 배출됨으로서 선체(110, 120, 130)의 저부와 수면 사이에 공기층을 부분적으로 형성시켜 선체(110, 120, 130)와 수면과의 마찰저항을 보다 줄여 이송 저항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 일면에 있어서,
본 발명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은 바지선(100) 구성들을 준비하는 준비단계(S100), 선체부(110)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120, 130)를 결합하는 결합단계(S200), 결합된 바지선(100)을 수면에 하역하는 바지선 하역단계(S300), 하역된 바지선(100)에 파일(113)을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S400), 파일(113)이 설치된 바지선(100)에 롱붐(200)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S500), 롱붐(200)이 적재된 바지선(100)을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바지선 이동단계(S600), 바지선(100)이 이동된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S700),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S800), 준설위치 선점 후, 파일(113)을 고정하는 파일 고정단계(S900), 파일고정 후,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S1000), 준설에 의해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S1100), 준설토 이적 후, 바지선(100)을 분리하는 분리단계(S1200) 및 분리단계(S1200) 후, 분리된 바지선(100) 구성들을 이동수단에 적재하는 적재단계(S130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단계(S200)는 선체부(110)의 좌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120)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120)가 위치한 측에서 좌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130)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된 후, 상기 우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120)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120)가 위치한 측에서 우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130)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파일 설치단계(S400)는 파일(113) 설치가 끝난 후, 선미측에 무게중심판을 설치한다. 상기 무게중심판은 롱품이 적재될 시, 안전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중심을 잡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지선 이동단계(S600)는 적재된 롱붐의 버켓이 수중바닥을 짚으며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지선은 일반적으로 준설수심 1.0 ~ 7.0 m 가량 수심에 적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버켓을 수중바닥에 짚으며 이동하고,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선미 후측에 스크루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은 다수의 선체 결합구조로 인해 제작 및 육상 운송에 있어서 편의성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수직결합구조와 수평결합구조에 의한 복합결합방식에 의해 선체간 결합 후 내구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면에서의 작업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선체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이 가능하므로 차량 등에 적재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운반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선체부에 롱붐이 적재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나 수심의 문제로 인한 중장비의 접근이 불가한 곳의 접근성이 뛰어나 준설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바지선 110 : 선체부
112 : 고정부재 112a : 고정홀
113 : 파일
120, 130 :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
140 : 수직결합부 142 : 제 2 체결부
143 : 연장편 144 : 결합너트
145 : 결합볼트 146 : 연장편 수용홈
147 : 결합볼트 수용홈 150 : 수평결합부
151, 152 : 제 1 및 제 2 결합홈
153, 145 : 제 1 및 제 2 결합편
155 : 제 2 결합볼트 156 : 제 2 결합너트
160 : 리프팅부 161 : 유압실린더
162 : 피스톤 200 : 롱붐
S100 : 준비단계 S200 : 결합단계
S300 : 준설선 하역단계 S400 : 파일설치단계
S500 : 크레인 적재단계 S600 : 선체이동단계
S700 :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 S800 : 준설위치 선점단계
S900 : 파일고정단계 S1000 : 준설단계
S1100 : 준설토 이적단계 S1200 : 분리단계
S1300 : 적재단계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바지선 구성들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선체부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를 결합하는 결합단계;
    결합된 바지선을 수면에 하역하는 바지선 하역단계;
    하역된 바지선에 파일을 설치하는 파일 설치단계;
    파일이 설치된 바지선에 롱붐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
    롱붐이 적재된 바지선을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바지선 이동단계;
    바지선이 이동된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
    준설위치 선점 후, 파일을 고정하는 파일 고정단계;
    파일고정 후,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
    준설에 의해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
    준설토 이적 후, 바지선을 분리하는 분리단계; 및
    분리단계 후, 분리된 바지선 구성들을 이동수단에 적재하는 적재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바지선은 중앙에 위치하는 선체부,
    상기 선체부 각 일측면에 전후로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
    상기 선체부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가 서로 일측 상단과 하단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켜서 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는 수직결합부 및
    상기 선체부 또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가 각각 선체부에 수평방향으로고정 또는 체결되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결합부로 이루어진 바지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체부는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며,
    상기 수직결합부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 하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다른 하나의 일측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체결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제 2 체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결합부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편,
    상기 연장편의 끝단에 위치하는 결합너트 및
    상기 결합너트에 나사 체결되고,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 상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결합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선체부는 선수측과 선미측에 수직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홀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는 파일이 수중 바닥에 관입됨으로서, 부유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결합부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 상단에 연장편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연장편 수용홈과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 중 다른 하나의 일측 상단에 상기 연장편 수용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볼트에 의해 바닥면이 가압되는 결합볼트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부는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에서 각각의 측면 일단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어느하나의 횡단면이 “∨”의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횡단면이 “∨”형태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와 선체부에서 서로 접하는 일측 상단에 서로 연결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홈,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홈이 서로 마주 대하는 개방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결합편,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편을 관통하는 제 2 결합볼트 및
    상기 제 2 결합볼트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편을 결합시키는 제 2 결합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홈은 수직결합부에 위치하는 연장편 수용홈 및 결합볼트 수용홈과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선체부는 일측에 수직되게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로부터 선체부의 저면으로 인출되는 피스톤에 의해 선체부가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리프팅부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선체부의 선수측과 선미측에 각각 한쌍 씩 설치되고,
    상기 선체부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는
    측단에 구성된 공기 유입홈,
    상기 공기 유입홈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선체부와 제 1 및 제 2 결합선체부의 하부방향 이동하는 공기 유입로 및
    상기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이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선체부의 좌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가 위치한 측에서 좌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된 후, 우측선수에 제 1 결합선체부를 결합하고, 상기 제 1 결합선체부가 위치한 측에서 우측선미 방향으로 제 2 선체결합부가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설치단계는 파일 설치가 끝난 후, 선미측에 무게중심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이동단계는 적재된 롱붐의 버켓이 수중바닥을 짚으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180049517A 2018-04-30 2018-04-30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192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17A KR101926593B1 (ko) 2018-04-30 2018-04-30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517A KR101926593B1 (ko) 2018-04-30 2018-04-30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593B1 true KR101926593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517A KR101926593B1 (ko) 2018-04-30 2018-04-30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5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6B1 (ko) * 2019-06-14 2019-11-06 모상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44123B1 (ko) * 2019-06-14 2019-11-12 모상호 바지선과 토운선을 결합한 준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81031B1 (ko) * 2019-09-09 2020-02-24 최광선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111890B1 (ko) * 2019-10-11 2020-05-15 모상호 다목적 수륙양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191053B1 (ko) * 2020-01-10 2020-12-14 모상호 조립식 선박용 고정 스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076B1 (ko) * 2019-06-14 2019-11-06 모상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44123B1 (ko) * 2019-06-14 2019-11-12 모상호 바지선과 토운선을 결합한 준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81031B1 (ko) * 2019-09-09 2020-02-24 최광선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111890B1 (ko) * 2019-10-11 2020-05-15 모상호 다목적 수륙양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191053B1 (ko) * 2020-01-10 2020-12-14 모상호 조립식 선박용 고정 스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593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1864555B1 (ko)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US6450734B1 (en) Transportation underwater tunnel system
KR102008154B1 (ko) 이동식 거치대가 적용된 부력함 결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CN101245603B (zh) 浮式拱围堰及其施工方法
KR102022805B1 (ko)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KR101908406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CN109610501B (zh) 一种长短多桶负压桩筒型海上风电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980067A (zh) 采用上驳工艺长距离运送沉管的施工方法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CN107338760B (zh) 一种低潮差港区岸壁沉箱码头结构及其建造方法
JP7452745B2 (ja) ジャケット、ジャケット構造物およびジャケッ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209798867U (zh) 一种用于疏浚分层吹填的管路系统
CN102261101A (zh) 大型接力泵船的装备方法
KR102065268B1 (ko)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CN205707187U (zh) 挖运一体船
KR102041076B1 (ko)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383736B1 (ko) 크레인 레일기초 일체형 케이슨 및 시공 방법
CN105836059A (zh) 挖运一体船
CN218317184U (zh) 一种用于疏浚工程的水上闸板阀平台
KR101182281B1 (ko) 조립식 준설선
KR102044123B1 (ko) 바지선과 토운선을 결합한 준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CN113374935A (zh) 船吊法水下安装水厂取水口头部的施工方法
US9677577B1 (en) Dredge having modular hydraulic manifolds
CN107313416B (zh) 水工构件拼装式水上预制平台及预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