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76B1 -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 Google Patents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76B1
KR102041076B1 KR1020190071016A KR20190071016A KR102041076B1 KR 102041076 B1 KR102041076 B1 KR 102041076B1 KR 1020190071016 A KR1020190071016 A KR 1020190071016A KR 20190071016 A KR20190071016 A KR 20190071016A KR 102041076 B1 KR102041076 B1 KR 102041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ing
buoyancy
coupled
track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상호
Original Assignee
모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상호 filed Critical 모상호
Priority to KR102019007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F3/0038Flotation, updrift or stabili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위치하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는 본체함: 및 상기 본체함 각 일측면에 위치하되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부를 포함하는 부력궤도함;으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은 수직결합부와 수평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는 상기 부력궤도함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수직결합부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함의 양 측면 모서리에 복수개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빈공간인 수평결합부 홈에서 결합하되, 상기 수평결합부 홈에 형성된 빈공간의 밑면에서 'ㄷ' 형태의 판재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개구된 본체함 연결편과 부력궤도함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폐쇄된 'ㄷ' 형태인 보조 수평결합부가 결합하되, 상기 본체함 연결편의 'ㄷ' 형태에서 개구된 'ㄷ' 안쪽으로 보조 수평결합부가 내삽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함 연결편과 보조 수평결합부의 각각의 판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수평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의 상부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Coupled Amphibious Dredged Barge And Dredg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에 위치하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는 본체함: 및 상기 본체함 각 일측면에 위치하되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부를 포함하는 부력궤도함;으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은 수직결합부와 수평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는 상기 부력궤도함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수직결합부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함의 양 측면 모서리에 복수개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빈공간인 수평결합부 홈에서 결합하되, 상기 수평결합부 홈에 형성된 빈공간의 밑면에서 'ㄷ' 형태의 판재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개구된 본체함 연결편과 부력궤도함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폐쇄된 'ㄷ' 형태인 보조 수평결합부가 결합하되, 상기 본체함 연결편의 'ㄷ' 형태에서 개구된 'ㄷ' 안쪽으로 보조 수평결합부가 내삽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함 연결편과 보조 수평결합부의 각각의 판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수평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의 상부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준설이라 함은 육지의 하천, 호수, 강, 바다 등의 바닥의 깊이를 보다 깊게 하기 위해 그 바닥에 존재하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파내는 작업, 해저의 토양 등을 단순히 채취하는 작업, 해저 폐기물을 끌어 올려 제거하는 작업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작업을 의미한다.
그러나, 종래의 바지선 또는 준설선은 롱붐 등과 같은 중량물의 운반이나 이를 이용한 작업을 위해서 비교적 큰 큐모로 제작될 경우, 제작에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육상 운송에 있어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수의 선체를 조립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조립하는 방식의 제안된 선행기술인 조립식 바지선(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4705호(2016.03.30))은 육면체의 다수의 단위선체; 상기 단위선체의 대향 측면 상부에 형성되며, 상호 체결에 의해 인접하는 상기 단위선체가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 연결부재; 및 상기 단위선체의 전후면에 각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선체를 연결하기 위한 전후면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조립을 위해 많은 수의 볼팅 등으로 인해 조립과 해체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대부분의 결합력이 볼팅으로만 이루어짐으로써 결합된 상태의 내구성 증진에 한계를 가지며, 차량 등에 적재시 별도의 적재 장비를 필요로 함으로써, 운반 작업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자유롭게 내륙에서 구동될 수 없다는 것도 당면한 큰 문제점으로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륙과 수면에서 준설, 이동 및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준설바지선이 본체함, 부력궤도함, 엔진선등과 쉽게 분리 가능하되, 견고한 체결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면에서 롱붐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외에 엔진선을 결합시켜 수면에서 쉽게 구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준설바지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체부와 부력궤도함이 결합하는 최적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준설바지선을 트레일러등 이동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이동하거나, 거치하여 조립 수선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준설바지선에 따로 이동식 거치대가 적용되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이용하는 준설공법을 시행함에 있어 편의성 및 속도성을 제공하고, 저비용의 준설작업을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은 중앙에 위치하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는 본체함(100): 및 상기 본체함(100) 각 일측면에 위치하되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부를 포함하는 부력궤도함(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은 수직결합부(VL)와 수평결합부(HL)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수직결합부(VL)는 상기 부력궤도함(110)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100)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110)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평결합부(HL)는 상기 수직결합부(VL)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함(100)의 양 측면 모서리에 복수의 직육면체 형태의 빈공간인 수평결합부 홈(H3)에서 결합하되, 상기 수평결합부 홈(H3)에 형성된 빈공간의 밑면에서 'ㄷ' 형태의 판재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개구된 본체함 연결편(H1)과 부력궤도함(110)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폐쇄된 'ㄷ' 형태인 보조 수평결합부(HL2)가 결합하되, 상기 본체함 연결편(H1)의 'ㄷ' 형태에서 개구된 'ㄷ' 안쪽으로 보조 수평결합부(HL2)가 내삽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함 연결편(H1)과 보조 수평결합부(HL2)의 각각의 판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수평고정핀(H2)에 의해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의 상부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체함(100)의 선수와 선미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으로 통공된 형태로서 3개 이상의 홀수개로 각각 형성된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이 구성되고,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대응되는 파일형태로서 무게중심추(150)가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내삽된다.
상기 무게중심추(150)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무게중심추 핀홀(151)이 형성되어, 상기 무게중심추 핀홀(151)에 무게중심추 핀(152)이 삽입되어 무게중심추(150)가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내삽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이 수상에서의 추진력을 갖게하는 엔진선(120)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상기 엔진선(120)은 양측면에 측면부력부(123)가, 중앙부에 엔진부(122)가, 말단후부에 스크류(125)가 위치한다.
상기 엔진선(120)과 본체함(100)은 하부에서는 수직결합부(VL)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엔진선(120)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100)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110)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에서는 엔진선(120) 상부에 상기 무게중심추(150)가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연장되는 형태로서 바깥으로 돌출된 결합홈(121)과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을 내삽하여 결합한다.
상기 엔진선(120)과 부력궤도함(110)은 상부에서 상기 수평결합부(HL)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함(100)의 양측면 하부 선수와 선미 부분에 각각 육면체의 빈공간인 거치대 홈(106)을 형성하여 측면이 'ㄱ' 형태이되 단면이 사각형인 이동식 거치대(160)가 결합되어 준설바지선(ADB) 하부에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LCVS)이 형성되어 준설바지선 수리 및 운송수단에 의해 준설바지선(ADB)을 이동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이동식 거치대(160)의 하부 일면에 유압실린더(부호 미부여 및 도면 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식 거치대(160)가 상기 본체함(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될 수 있다.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과 엔진선(120)은 각각 내부에 빈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104)를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궤도함(110)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본체결합부력부(111), 궤도부 (112)및 궤도결합부력부(113)로 위치하여 결합된다.
상기 궤도부(112)의 상부는 보조수평결합부(HL2), 하부는 수 수직결합부(VL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결합부력부(111)와 궤도결합부력부(113)는 상부는 주 수평결합부(HL1), 하부는 암 수직결합부(VL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궤도부(112)와 본체결합부력부(111), 상기 궤도부(112)와 궤도결합부력부(113)는 각각 상부는 수평결합부(HL)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수직결합부(VL)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궤도부(112)는 캐터필터 방식으로 구동되되, 전 후단 상부에 각각 구동부(1121a, 1121b)가 위치하여 준설바지선(ADB)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궤도함(110)의 외부 측면에 수직으로 파일이 관통하여 수심 지대에 고정하도록 하는 스팟홀(140)을 2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을 이용한 준설공법에 있어서,
상기 준설공법은
상기 무게중심추가 설치된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수면으로 이동하여 하역하는 준설바지선 이동 하역단계(S100);
롱붐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S200);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준설바지선 이동단계(S300);
이동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S400);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S500);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S600); 및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S7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내륙과 수면에서 준설, 이동 및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제공하는데, 특히 수상에서는 저수심에서, 내륙에서는 연약지반에서 활용도가 매우 크다.
(2) 본 발명은 상기 준설바지선이 본체함, 부력궤도함, 엔진선등과 쉽게 분리 가능하되, 각기 견고한 결합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수면에서 롱붐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외에 엔진선을 결합시켜 수면에서 쉽게 구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준설바지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체부와 부력궤도함이 결합하는 최적의 구조를 제공한다.
(5) 본 발명은 상기 준설바지선을 트레일러등 이동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이동하거나, 거치하여 조립 수선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6) 본 발명은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이용하는 준설공법을 시행함에 있어 편의성 및 속도성을 제공하고, 저비용의 준설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이동거치대가 적용되어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있어서 일 구성인 엔진선이 본체함과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체함과 엔진선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하부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무게중심추와 이와 결합된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엔진선을 분리시킨 사시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엔진선을 분리시킨 것을 나타내되,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이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본체함, 부력궤도함 및 엔진선을 분리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이 결합된 것은 나타낸 상세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본체함, 부력궤도함 및 엔진선을 분리시키되, 측면의 부력궤도함을 각각 본체결합부력부, 궤도부, 궤도결합부력부로 분리시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수평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17은 측면의 부력궤도함을 각각 본체결합부력부, 궤도부, 궤도결합부력부로 분리시켜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이동거치대가 적용되어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을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 있어서 일 구성인 엔진선이 본체함과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체함과 엔진선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하부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무게중심추와 이와 결합된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엔진선을 분리시킨 사시도면이며, 도 9 및 10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엔진선을 분리시킨 것을 나타내되,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에서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이 어떻게 결합된 것인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본체함, 부력궤도함 및 엔진선을 분리시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이 결합된 것은 나타낸 상세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본체함, 부력궤도함 및 엔진선을 분리시키되, 측면의 부력궤도함을 각각 본체결합부력부, 궤도부, 궤도결합부력부로 분리시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수평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 및 17은 측면의 부력궤도함을 각각 본체결합부력부, 궤도부, 궤도결합부력부로 분리시켜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은 중앙에 위치하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는 본체함(100): 및 상기 본체함(100) 각 일측면에 위치하되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부를 포함하는 부력궤도함(110);으로 구성된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은 수직결합부(VL)와 수평결합부(HL)에 의해 결합된다.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결합부(VL)는 상기 부력궤도함(110)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100)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110)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1, 13, 15를 참조하면 상기 수평결합부(HL)는 상기 수직결합부(VL)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함(100)의 양 측면 모서리에 복수의 직육면체 형태의 빈공간인 수평결합부 홈(H3)에서 결합하되, 상기 수평결합부 홈(H3)에 형성된 빈공간의 밑면에서 'ㄷ' 형태의 판재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개구된 본체함 연결편(H1)과 부력궤도함(110)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폐쇄된 'ㄷ' 형태인 보조 수평결합부(HL2)가 결합하되, 상기 본체함 연결편(H1)의 'ㄷ' 형태에서 개구된 'ㄷ' 안쪽으로 보조 수평결합부(HL2)가 내삽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함 연결편(H1)과 보조 수평결합부(HL2)의 각각의 판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수평고정핀(H2)에 의해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의 상부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함(100)의 선수와 선미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으로 통공된 형태로서 3개 이상의 홀수개로 각각 형성된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이 구성되고,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대응되는 파일형태로서 무게중심추(150)가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내삽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무게중심추(150)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무게중심추 핀홀(151)이 형성되어, 상기 무게중심추 핀홀(151)에 무게중심추 핀(152)이 삽입되어 무게중심추(150)가 선수 무게중심추 홀(105a)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내삽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2, 5,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이 수상에서의 추진력을 갖게하는 엔진선(120)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엔진선(120)은 양측면에 측면부력부(123)가, 중앙부에 엔진부(122)가, 말단후부에 스크류(125)가 위치한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상기 엔진선(120)과 본체함(100)은 하부에서는 수직결합부(VL)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엔진선(120)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100)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110)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VL2)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에서는 엔진선(120) 상부에 상기 무게중심추(150)가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에 연장되는 형태로서 바깥으로 돌출된 결합홈(121)과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105b)을 내삽하여 결합한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상기 엔진선(120)과 부력궤도함(110)은 상부에서 상기 수평결합부(HL)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1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함(100)의 양측면 하부 선수와 선미 부분에 각각 육면체의 빈공간인 거치대 홈(106)을 형성하여 측면이 'ㄱ' 형태이되 단면이 사각형인 이동식 거치대(160)가 결합되어 준설바지선(ADB) 하부에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LCVS)이 형성되어 준설바지선 수리 및 운송수단에 의해 준설바지선(ADB)을 이동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기 이동식 거치대(160)의 하부 일면에 유압실린더(부호 미부여 및 도면 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도면 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식 거치대(160)가 상기 본체함(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함(100)과 부력궤도함(110)과 엔진선(120)은 각각 내부에 빈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104)를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도 14, 16, 17을 참조하면 상기 부력궤도함(110)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본체결합부력부(111), 궤도부 (112)및 궤도결합부력부(113)로 위치하여 결합된다.
도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궤도부(112)의 상부는 보조수평결합부(HL2), 하부는 수 수직결합부(VL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결합부력부(111)와 궤도결합부력부(113)는 상부는 주 수평결합부(HL1), 하부는 암 수직결합부(VL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궤도부(112)와 본체결합부력부(111), 상기 궤도부(112)와 궤도결합부력부(113)는 각각 상부는 수평결합부(HL)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수직결합부(VL) 방식으로 결합된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궤도부(112)는 캐터필터 방식으로 구동되되, 전 후단 상부에 각각 구동부(1121a, 1121b)가 위치하여 준설바지선(ADB)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궤도함(110)의 외부 측면에 수직으로 파일이 관통하여 수심 지대에 고정하도록 하는 스팟홀(140)을 2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팟홀은 수상에서 일종의 위치 고정장치로 사용되는바, 이러한 고정장치는 수동에 의하므로 수질에 미치는 악영향이 전혀 없다.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ADB)을 이용한 준설공법에 있어서,
상기 준설공법은
상기 무게중심추가 설치된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수면으로 이동하여 하역하는 준설바지선 이동 하역단계(S100);
롱붐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S200);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준설바지선 이동단계(S300);
이동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S400);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S500);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S600); 및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S7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내륙과 수면에서 준설, 이동 및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제공하는데, 특히 수상에서는 저수심에서, 내륙에서는 연약지반에서 활용도가 매우 크다.
(2) 본 발명은 상기 준설바지선이 본체함, 부력궤도함, 엔진선등과 쉽게 분리 가능하되, 각기 견고한 결합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수면에서 롱붐에 의해 이동하는 방법외에 엔진선을 결합시켜 수면에서 쉽게 구동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4) 본 발명은 준설바지선을 제작함에 있어서, 선체부와 부력궤도함이 결합하는 최적의 구조를 제공한다.
(5) 본 발명은 상기 준설바지선을 트레일러등 이동수단에 의해 간편하게 이동하거나, 거치하여 조립 수선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6) 본 발명은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이용하는 준설공법을 시행함에 있어 편의성 및 속도성을 제공하고, 저비용의 준설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ADB :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100 : 본체함
104 : 밀폐커버 105a : 선수 무게중심추 홀
105b : 선미 무게중심추 홀 110 : 부력궤도함
111 : 본체결합부력부 112 : 궤도부
1121a, 1121b : 구동부 113 : 궤도결합부력부
120 : 엔진선 121 : 결합홈
122 : 엔진부 123 : 측면부력부
125 : 스크류 140 : 스팟홀
150 : 무게중심추 151 : 무게중심추 핀홀
152 : 무게중심추 핀 160 : 이동식 거치대
LCVS :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 106 : 거치대 홈
HL : 수평결합부 VL : 수직결합부
HL1 : 주 수평결합부 H1 : 본체함 연결편
H2 : 수평고정핀 H3 : 수평결합부 홈
HL2 : 보조 수평결합부 VL1 : 암 수직결합부
VL2 : 수 수직결합부

Claims (9)

  1. 중앙에 위치하되 상부에 롱붐이 적재되는 본체함: 및
    상기 본체함 각 일측면에 위치하되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궤도부를 포함하는 부력궤도함;으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은 수직결합부와 수평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는 상기 부력궤도함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결합부는 상기 수직결합부가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함의 양 측면 모서리에 복수개로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빈공간인 수평결합부 홈에서 결합하되, 상기 수평결합부 홈에 형성된 빈공간의 밑면에서 'ㄷ' 형태의 판재로 돌출되어 바깥으로 개구된 본체함 연결편과 부력궤도함에 연결되어 바깥으로 폐쇄된 'ㄷ' 형태인 보조 수평결합부가 결합하되, 상기 본체함 연결편의 'ㄷ' 형태에서 개구된 'ㄷ' 안쪽으로 보조 수평결합부가 내삽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함 연결편과 보조 수평결합부의 각각의 판재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수평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의 상부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함의 선수와 선미 상부에서 하부까지 수직으로 통공된 형태로서 3개 이상의 홀수개로 각각 형성된 선수 무게중심추 홀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이 구성되고,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에 대응되는 파일형태로서 무게중심추가 상기 선수 무게중심추 홀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에 내삽되되,
    상기 무게중심추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마다 무게중심추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무게중심추 핀홀에 무게중심추 핀이 삽입되어 무게중심추가 선수 무게중심추 홀과 선미 무게중심추 홀에 내삽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의 후부에 결합되어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이 수상에서의 추진력을 갖게하는 엔진선이 추가되어 구성되되,
    상기 엔진선은 양측면에 측면부력부가, 중앙부에 엔진부가, 말단후부에 스크류가 위치하며,
    상기 엔진선과 본체함은 하부에서는 수직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엔진선 하부 모서리 전체에 'ㄴ' 형태로 돌출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와 이에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본체함의 하부에 상기 부력궤도함에 형성된 'ㄴ' 형태의 돌기에 맞물리도록 아랫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인 수 수직결합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에서는 엔진선 상부에 상기 무게중심추가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에 연장되는 형태로서 바깥으로 돌출된 결합홈과 상기 선미 무게중심추 홀을 내삽하여 결합하며,
    상기 엔진선과 부력궤도함은 상부에서 상기 수평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의 양측면 하부 선수와 선미 부분에 각각 육면체의 빈공간인 거치대 홈을 형성하여 측면이 'ㄱ' 형태이되 단면이 사각형인 이동식 거치대가 결합되어 준설바지선 하부에 이동식 트레일러 거치 공간이 형성되어 준설바지선 수리 및 운송수단에 의해 준설바지선을 이동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이동식 거치대의 하부 일면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식 거치대가 상기 본체함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리프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함과 부력궤도함과 엔진선은 각각 내부에 빈공간을 밀폐하는 밀폐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궤도함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본체결합부력부, 궤도부 및 궤도결합부력부로 위치하여 결합되며,
    상기 궤도부의 상부는 보조수평결합부, 하부는 수 수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결합부력부와 궤도결합부력부는 상부는 주 수평결합부, 하부는 암 수직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궤도부와 본체결합부력부, 상기 궤도부와 궤도결합부력부는 각각 상부는 수평결합부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부는 수직결합부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궤도부는 캐터필터 방식으로 구동되되, 전 후단 상부에 각각 구동부가 위치하여 준설바지선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궤도함의 외부 측면에 수직으로 파일이 관통하여 수심 지대에 고정하도록 하는 스팟홀을 2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
  9. 청구항 1, 3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에 있어서,
    상기 준설공법은,
    무게중심추가 설치된 상기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수면으로 이동하여 하역하는 준설바지선 이동 하역단계;
    롱붐을 적재시키는 롱붐 적재단계;
    준설장소로 이동시키는 준설바지선 이동단계;
    이동 장소의 수심을 확인하는 준설위치 수심확인단계;
    수심확인 후 준설위치를 선점하는 준설위치 선점단계;
    선점된 준설위치에서 준설하는 준설단계; 및
    준설토를 이적하는 준설토 이적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190071016A 2019-06-14 2019-06-14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41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16A KR102041076B1 (ko) 2019-06-14 2019-06-14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16A KR102041076B1 (ko) 2019-06-14 2019-06-14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076B1 true KR102041076B1 (ko) 2019-11-06

Family

ID=6854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016A KR102041076B1 (ko) 2019-06-14 2019-06-14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53B1 (ko) * 2020-01-10 2020-12-14 모상호 조립식 선박용 고정 스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88Y1 (ko) * 2006-04-07 2006-07-27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KR20100100251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수륙양용 준설선에 구비된 부력장치
KR101926593B1 (ko) * 2018-04-30 2018-12-07 모상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1954127B1 (ko) * 2018-10-30 2019-03-05 모상호 부력분포 가변형 토운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288Y1 (ko) * 2006-04-07 2006-07-27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KR20100100251A (ko) * 2009-03-05 2010-09-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수륙양용 준설선에 구비된 부력장치
KR101926593B1 (ko) * 2018-04-30 2018-12-07 모상호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1954127B1 (ko) * 2018-10-30 2019-03-05 모상호 부력분포 가변형 토운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053B1 (ko) * 2020-01-10 2020-12-14 모상호 조립식 선박용 고정 스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7741B2 (en) Earth retaining system such as a sheet pile wall with integral soil anchors
KR102008154B1 (ko) 이동식 거치대가 적용된 부력함 결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22805B1 (ko) 수륙 양용 준설 바지선
US11739497B2 (en) Amphibious platform vehicle-vessel
KR101864555B1 (ko)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KR101926593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과 그 바지선을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41076B1 (ko)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US6918801B2 (en) Amphibious vehicle
KR101113208B1 (ko) 조립형 준설선과 그 조립방법
KR101954127B1 (ko) 부력분포 가변형 토운선
KR102111890B1 (ko) 다목적 수륙양용 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US6755701B2 (en) Amphibious vehicle with submersible capacity
KR102081031B1 (ko) 수륙양용 준설 바지선과 롱리치 굴삭기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044123B1 (ko) 바지선과 토운선을 결합한 준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JP7285392B2 (ja) L型ケーソン構造
KR101908406B1 (ko) 결합식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JP3327515B2 (ja) 分割組立式海上作業台船
JP3224300U (ja) 枠型軽量ドレッジ
KR102065268B1 (ko) 고정과 리프팅 겸용 장치를 가지는 바지선
KR102346580B1 (ko)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JP5815908B1 (ja) グラブバケット
KR102093948B1 (ko) 그리드형 다짐판 및 이를 이용한 동다짐 및 고르기 방법
JP2004044200A (ja) ジャケット構造体
JP4121305B2 (ja) 水底地盤掘削用プラウとこのプラウを用いた水底管体敷設工法
JP2826040B2 (ja) 全開式土運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