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88Y1 -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88Y1
KR200422288Y1 KR2020060009347U KR20060009347U KR200422288Y1 KR 200422288 Y1 KR200422288 Y1 KR 200422288Y1 KR 2020060009347 U KR2020060009347 U KR 2020060009347U KR 20060009347 U KR20060009347 U KR 20060009347U KR 200422288 Y1 KR200422288 Y1 KR 200422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buoyancy
buoyancy body
s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Priority to KR2020060009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63C2007/125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using buoyant masses, e.g. foams, or a large plurality of small buoyant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 2개의 몸체를 결합하여 선체를 구성하되, 상기 선체 측면에는 내부에 경량이며 저밀도인 수분 비흡수 재질의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체 측면으로 내부에 경량의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결합함으로써, 선박의 무게를 증가시킴 없이 선박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선체의 파손을 최소화시킴과 더불어, 선체 중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상기한 부력체의 자체 부력을 통해 선박의 뒤집힘 및 침몰을 방지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선박, 선체, 부력체, 조립구조, 침몰방지

Description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sinking of ship}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선체와 부력체의 제2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선체와 부력체의 제3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부력체의 제2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선체 110 ; 전방몸체
115 ; 후방몸체 120 ; 삽입홈
125, 225 ; 수밀소재 150, 155 ; 보조부력부
170, 175 ; 턱 180 ; 돌출편
185, 220a ; 고정돌기 190, 310, 360 ; 볼트
200 ; 부력체 210 ; 전방지지체
215 ; 후방지지체 220 ; 삽입홈
285 ; 고정홈 300, 350 ; 고정부재
315, 365 ; 관통홀 315a ; 고정돌기
본 고안은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경량의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선체 측면에 구비하여 돌발적인 충돌사고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선체의 파손 정도를 줄임과 더불어, 선박의 선체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선체의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선박이 균형을 잃거나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위에 떠다니는 선박 중 특히 어선이나 돛단배 등 소형 선박의 경우 정박시 파도에 의해 서로 충돌하거나 운항시 물속의 암초 등 자연/비자연적인 구조물에 부딪히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는 심한 경우 선박의 침몰로 이어지는 등 안전성 면에서 큰 위험요소가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단순히 두꺼운 재질의 보강재를 선체 외측면에 부착하여 선체를 보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와 같이 무겁고 두꺼운 재질의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것은 선박의 무게를 현저히 증가시켜 운행시 동력을 많이 소모시키게 되고, 이러한 무게에 반해 선체의 안전성은 사용자가 기대하는 수준을 확보하기 곤란하여 효율상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선박의 과다한 중량 및 선체의 두꺼운 두께는 타 선박과의 충돌시 상대편 선박에 심각한 파손을 입히게 되는 추가의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충돌에 따른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박의 무게를 증가시킴 없이, 돌발적인 충돌사고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선체의 파손 정도를 줄임과 더불어, 선체 중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선체의 부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선박이 균형을 잃거나 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는, 전후방 2개의 몸체를 결합하여 선체를 구성하되, 상기 선체 측면에는 충돌시 외부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선박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체는, 측면 하단에 상기 부력체를 지지하도록 돌출편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돌출편에 지지된 부력체를 선체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편 상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저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핀과 홈의 조합으로 구성된 결속수단을 통해 선체 및 부력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및 부력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부력체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홈 및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및 부력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재에 선체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 및 부력체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선체의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는, 전후방 2개의 지지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그 상면에는 상기 전후방 지지체를 서로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고정부재가 결속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전후방 2개의 지지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그 중 하나는 상단에 결합고리가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면에 상기 결합고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체는, 전후방 몸체의 결합부위를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 및 ‘」’ 형태의 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체 내측에는 내부에 부력재를 충전한 보조부력부가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재는 저밀도의 수분 비흡수 발포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선체와 부럭체의 제2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선체와 부럭체의 제3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 중 부력체의 제2결합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은, 분리 생산된 전후방몸체(110)(115)를 서로 결합시켜 선체(100)를 조립하고, 조립된 선체(100)의 양측면에는 외부에서의 충격 및 충돌시 그 충격량을 흡수하여 선체(100)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내부에 충전된 부력재(235)의 부력을 통해 선체(100)의 뒤집힘 및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부력체(20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력재(235)는 경량이며 저밀도의 수분 비흡수 발포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200)는 상기 선체(100) 측면 하단에 일정길이 돌출 형성된 돌출편(180) 상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돌출편(180)은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돌기(185)를 일정 간격으로 상방향 돌설하고, 상기 부력체(200)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돌기(185)가 삽입되어 부력체(200)가 선체(100)의 돌출편(180)에 이탈됨 없이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고정홈(285)을 형성하여 부력체(200)의 설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200)와 선체(100)는 그 상면에 부력체(200)와 선체(1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고정부재(300)를 밀착시킨 후 핀과 홈의 조합으로 구성된 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300)를 부력체(200)와 선체(100)의 상면에 단단히 고정시키면 부력체(200)의 선체(100) 설치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는 선체(1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정한 개수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부착하면 될 것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0)의 결합구조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체(100)와 부력체(200)의 상면에는 각각의 삽입홈(120)(22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300)에는 상기 선체(100) 및 부력체(200)의 삽입홈(120)(220)에 대응되게 관통홀(315)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300)를 관통홀(315)이 선체(100)와 부력체(200)의 삽입홈(120)(220)에 각각 부합되도록 선체(100) 및 부력체(200) 상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관통홀(315)을 통해 삽입홈(120)(220)에 각각의 볼트(310)를 체결하면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선체(100)와 부력체(200)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선체(100) 및 부력체(200) 상면에 밀착 고정되므로 선체(100)와 부력체(20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의 결합구조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 상면에 삽입홈(120)을 형성하고, 상기 부력체(200)의 상면에는 제1실시예의 삽입홈 대신 고정돌기(220a)를 상방향 돌설하여, 상기 고정돌기(220a)가 고정부재(300)의 일측 관통홀(315)에 끼움되도록 고정부재(300)를 선체(100) 및 부 력체(200) 상면에 밀착시킨 후 고정부재(300)를 타측 관통홀(315)을 통해 선체(100)의 삽입홈(120)에 볼트(310)를 체결하면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선체(100)와 부력체(200)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선체(100) 및 부력체(200)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의 결합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315a)를 고정부재(300)에 관통홀을 대체하여 하방향으로 돌설하고, 상기 부력체(20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돌기(315a)에 대응되게 삽입홈(220)을 형성하는 구조의 제3실시예로 변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200)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전후방 2개의 지지체(210)(215)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체(210)와 후방지지체(215)는 상기한 선체(100)와 부력체(200)의 결합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구조의 고정부재(350)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면 될 것이다.
즉,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의 상면에는 삽입홈(23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350)는 상기 삽입홈(230)에 대응되게 관통홀(36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350)를 전후방 지지체(210)(215) 상면에 밀착시킨 후 상기 관통홀(365)을 통해 삽입홈(230)에 각각의 볼트(360)를 체결하면 상기 고정부재(350)가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를 서로 연결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의 결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지지체(215)의 상면 측단부에 ‘¬’자 형태로 된 결합고리(240)를 형성하 고, 전방지지체(210)의 상면 측단부엔 상기 결합고리(240)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245)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고리(240)가 결함홈(245)에 걸림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홈(245)을 기준으로 전방지지체(210)의 바깥쪽 상면(250)은 기준점인 전방지지체(2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자 형태로 된 결합고리(240)의 아랫부분을 지지하므로 걸림고리(240) 걸림시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의 높이가 균일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후방 지지체(210)(215)의 측면에는 수밀소재(225)를 부착시켜 선박의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몸체(110)(115)는 바람직하게는 내측으로 전후방부에 내부에 부력재(135)가 충전된 보조부력부(150)(155)를 형성하여 외부에서의 충격 및 충돌시 충격량을 흡수하여 선박의 파손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선박의 균형유지와 선박침몰 방지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부력재(135)는 부력체 내부에 충전된 것과 동일하게 경량이며 저밀도의 수분 비흡수 발포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후방몸체(110)(115)의 측면 단부, 즉 서로 결합되는 부위는 상호 밀착 결합이 용이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와 ‘「’ 형태의 각진 턱(170)(175)으로 형성하고, 상기 턱(170)과 턱(175) 사이에는 턱(170)(175)의 종방향 형태를 따라 그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수밀소재(125)를 삽입하여 선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방몸체(110)(115)의 턱(170)(175)은 바람직하게는 공업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1차 부착하고, 그 측면에는 나사홈(195)을 형성하여 볼트(190) 등의 결속수단으로 2차 고정시킴으로써, 그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160과 260은 각각 부력체(200)와 보조부력부(150)(155) 내에 부력재를 삽입하기 위한 투입공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애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는, 선체 측면으로 내부에 경량이며 저밀도의 수분 비흡수 재질의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결합함으로써, 선박의 무게를 증가시킴 없이 선박 충돌시 그 충격량을 흡수하여 선체의 파손을 최소화시키고, 선체 중 일부가 파손된 경우라도 상기한 부력체의 자체 부력을 통해 선박의 뒤집힘 및 침몰을 방지할 수 있어 선박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2)

  1. 전후방 2개의 몸체를 결합하여 선체를 구성하되, 상기 선체 측면에는 충돌시 외부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선박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부력재가 충전된 부력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측면 하단에 상기 부력체를 지지하도록 돌출편이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기 돌출편에 지지된 부력체를 선체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상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부력체 저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핀과 홈의 조합으로 구성된 결속수단을 통해 선체 및 부력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및 부력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부력체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홈 및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선체 및 부력체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고정부재에 선체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관통홀 및 부력체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선체의 삽입홈에 체결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전후방 2개의 지지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그 상면에는 상기 전후방 지지체를 서로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고정부재가 결속수단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전후방 2개의 지지체를 결합하여 구성하되, 그 중 하나는 상단에 결합고리가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면에 상기 결합고리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전후방 몸체의 결합부위를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 및 ‘」’ 형태의 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측에는 내부에 부력재를 충전한 보조부력부가 전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12.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재는 저밀도의 수분 비흡수 발포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KR2020060009347U 2006-04-07 2006-04-07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KR200422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47U KR200422288Y1 (ko) 2006-04-07 2006-04-07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47U KR200422288Y1 (ko) 2006-04-07 2006-04-07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88Y1 true KR200422288Y1 (ko) 2006-07-27

Family

ID=4177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347U KR200422288Y1 (ko) 2006-04-07 2006-04-07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8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KR101954127B1 (ko) * 2018-10-30 2019-03-05 모상호 부력분포 가변형 토운선
KR102041076B1 (ko) * 2019-06-14 2019-11-06 모상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538326B1 (ko) 2023-02-27 2023-05-31 주식회사 시원조경 조립식 장식용 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1784A (ko) * 2014-02-04 2015-08-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길이 가변 선박
KR101864555B1 (ko) * 2017-11-14 2018-06-04 최광선 조립식 복수 선체를 가지는 바지선
KR101954127B1 (ko) * 2018-10-30 2019-03-05 모상호 부력분포 가변형 토운선
KR102041076B1 (ko) * 2019-06-14 2019-11-06 모상호 결합식 수륙양용 준설바지선과 이를 이용한 준설공법
KR102538326B1 (ko) 2023-02-27 2023-05-31 주식회사 시원조경 조립식 장식용 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2288Y1 (ko)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US8402908B2 (en) Dock system
TWI433796B (zh) 自動固緊之可移除鰭片系統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KR101070242B1 (ko) 연결식 푼툰수납틀이 구비된 부유해상구조물
KR100971941B1 (ko) 조립형 부구
KR200422289Y1 (ko) 부력재를 구비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
KR102239760B1 (ko)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부력장치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2055413B1 (ko) 보조 부력체 유닛의 설치를 통해 부분적인 부력보강이 가능한 수상 부유 구조물
KR101027624B1 (ko) 선박용 조립식 부력 탱크
KR20120040945A (ko) 조립형 부구
KR200403270Y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양구조체
CN108657371B (zh) 一种船舶艏部结构及其设计方法
KR200242444Y1 (ko) 조립식 고무보트
US20240149990A1 (en) Rolling reduction boat
KR102395682B1 (ko) 롤링 방지용 부잔교
KR20130058425A (ko) 부력지붕을 구비한 낚시배
KR102220920B1 (ko) 롤링저감 및 안정성이 구비된 해상부유구조물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KR100648092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설치구조
KR100937462B1 (ko) 고무보트의 회전 방지키
KR20010107332A (ko) 가두리 양식장의 구조물 설치구조
CN106585869A (zh) 船舶防沉龙骨结构和防沉船艇
KR100936513B1 (ko)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