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9231A -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 Google Patents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231A
KR20230089231A KR1020210177693A KR20210177693A KR20230089231A KR 20230089231 A KR20230089231 A KR 20230089231A KR 1020210177693 A KR1020210177693 A KR 1020210177693A KR 20210177693 A KR20210177693 A KR 20210177693A KR 20230089231 A KR20230089231 A KR 2023008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sculpture
dinosaur
anim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187B1 (ko
Inventor
표형근
Original Assignee
표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형근 filed Critical 표형근
Priority to KR102021017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1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8Dolls, faces, or other representations of living forms with mov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10Devices demonstrating the action of an article to be advertis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은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을 갖는 조형물 몸체, 상기 조형물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를 갖도록 내장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부력조절본체,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공기 주입이 가능한 부력조절튜브, 및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조형물 몸체의 부력 균형을 조절하는 이동식 부력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ANIMAL OR DINOSAUR SCULPTURE WITH BUOYANCY BALANC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부력균형 조절이 가능하여 정해진 동작 및 퍼포먼스 구현이 가능하고, 다양한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어류, 포유류 등을 포함하는 각종 동물이나 공룡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이 제작되고 있으며, 가족이나 연인 또는 여행자들이 즐겨 찾는 놀이공원, 테마파크, 아쿠아리움 등에 전시되거나 이를 이용한 공연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동물이나 공룡 등의 외관을 갖는 조형물을 만들고, 이들 조형물을 이용하여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다양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공연 또는 전시 사업이 다양하게 기획되고 있다.
그런데, 동물이나 공룡 등의 외관을 갖는 조형물의 경우 부력이 균형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제작된 동물이나 공룡 등의 외관을 갖는 조형물은 그 자체의 특유의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중에 가라앉거나, 머리부위만이 수중으로 가라앉거나, 꼬리부위만이 수중으로 가라앉는 등 부력 균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공연 기획자가 의도하는 자세를 구현하거나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조절이 가능하며, 부력 균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고, 다양한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는 조형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4936호(2020.11.04, 공개일)가 있으며, 움직이는 동물 조형물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 선행문헌에 개시된 동물 조형물은 수중에서 자세 유지 및 다양한 퍼포먼스를 구현하는 조형물이 아니라, 육상에서 광고 또는 전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부력 균형 기능에 관하여 전혀 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4936호
본 발명은 목적은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강화 조절을 통해 부력 균형 기능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형물의 자세 및 퍼포먼스 구현이 가능한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강화 조절을 통해 부력 균형 기능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형물의 자세 및 퍼포먼스 구현이 가능한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은,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을 갖는 조형물 몸체; 상기 조형물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를 갖도록 내장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부력조절본체;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공기 주입이 가능한 부력조절튜브; 및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부력 균형을 조절하는 이동식 부력몸체;를 포함한다.
부력조절본체는, 외부의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복수의 수류구;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수류구는 상기 조형물 몸체를 관통하는 홀과 연결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형물 몸체를 관통하는 홀을 통해 외부의 물이 복수의 수류구를 통과하여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부력조절튜브는, 상기 부력조절본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력조절튜브는,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 중 상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력조절튜브는, 내부공간에 공기를 채우도록 외부의 공기를 주입 받는 공기주입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부력조절튜브는, 과압밸브를 더 포함한다. 과압밸브는 부력조절튜브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기준치보다 클 때 내부 공기압 조절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조절튜브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설정 기준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은, 상기 공기주입밸브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상기 공기탱크와 상기 공기주입밸브 사이를 연결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공급라인; 및 상기 공기공급라인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주입밸브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공기공급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서, 상기 조형물 몸체는,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동물 또는 공룡의 몸통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한다.
이때, 부력조절본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길이를 가진다. 또한, 이동식 부력몸체는,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제1, 2, 3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1 몸체부가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제2 몸체부 및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3 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아 조형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를 제1 몸체부를 향해 이동시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부력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3 몸체부가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제2 몸체부 및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1 몸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아 조형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를 제3 몸체부를 향해 이동시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부력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가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조형물의 움직임을 유도해야 하는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를 제3 몸체부를 향해 이동시켜 꼬리 부위를 수중에서 위로 부상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머리 부위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조형물의 자세 및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가 수중으로 가라앉도록 조형물의 움직임을 유도해야 하는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를 제1 몸체부를 향해 이동시켜 머리 부위를 수중에서 위로 부상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꼬리 부위가 수중으로 가라앉는 조형물의 자세 및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동식 부력몸체는, 부력을 갖는 소재 또는 형상의 부재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부력몸체는, 제1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몸체부와, 제3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길이를 갖는 부력조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력조절본체의 외부 면에는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며 부력조절본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이동레일이 구비되고, 이동식 부력몸체는 이동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리니어모션 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부력몸체는 이동레일을 이탈하지 않고서 이동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휠 및 휠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식 부력몸체는 부력조절본체의 외부 면에서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이동하기 위해 랙 피니언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동식 부력몸체는, 부력조절본체의 외부 면에서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이동하며, 제1, 2, 3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한 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조형물 몸체의 전 구간, 즉 제1, 2, 3 몸체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력을 추가하여 부력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레일의 전단에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되고, 이동레일의 후단에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토퍼는 이동레일을 따라 조형물 몸체의 전방, 즉 제1 몸체부를 향해 이동한 이동식 부력몸체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장치로서, 이동식 부력몸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2 스토퍼는 이동레일을 따라 조형물 몸체의 후방, 즉 제3 몸체부를 향해 이동한 이동식 부력몸체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장치로서, 이동식 부력몸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은, 이동식 부력몸체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외부의 스위치(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달된 이동식 부력몸체의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이동식 부력몸체를 설정 위치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는 공기공급밸브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공기주입밸브를 통해 부력조절튜브에 공급되어야 할 공기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강화 조절을 통해 부력 균형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의 부력 균형 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아쿠아리움 등에서 수중 또는 수면 상에서의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의 자세 유지 및 다양한 동작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는 대로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을 이용한 다양한 아쿠아 공연이 가능하며 관람자에게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공룡 조형물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조형물(예: 상어 등)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 적용된 부력균형 조절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공룡 조형물의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조형물(예: 상어 등)의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공룡 조형물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조형물(예: 상어 등)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에 적용된 부력균형 조절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은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강화 조절을 통해 부력 균형 기능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조형물의 자세 및 퍼포먼스 구현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10)은 조형물 몸체(100, 200), 부력조절본체(300), 부력조절튜브(400),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형물 몸체(100, 200)는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의 예시적인 형상이 나타나 있다. 다만,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는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동물, 예를 들어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의 예시적 형상이 나타나 있다. 다만,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는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는 다양한 재질로 성형 및 제작될 수 있다.
부력조절본체(300)는 조형물 몸체(100, 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를 갖도록 내장될 수 있다.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으로는 물의 유입이 가능하다.
부력조절본체(300)는 조형물 몸체(100, 200)에 내장되어 조형물 몸체(100, 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박스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 박스형상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내부공간(301)이 확보된다.
부력조절튜브(4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에 내장된다.
예를 들어, 부력조절튜브(4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 중 상부 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부력조절튜브(400)의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며, 부력조절튜브(400)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양성 부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부력조절본체(400)의 외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부력조절본체(40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한데, 부력조절본체(400)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하여 설정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조형물 몸체(100)의 전, 후 부력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10)에서, 부력조절본체(300)의 하부에는 복수의 수류구(31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류구(31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에 물을 유입시키는 물 유동 통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의 수류구(310)는 조형물 몸체(100, 200)를 외부와 관통시키는 홀(190, 290)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과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형물 몸체(100, 200)를 관통하는 홀(190, 290)을 통해 유입된 물은 복수의 수류구(310)를 통과하여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까지 유입되며,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10)에서, 부력조절튜브(400)는 부력조절본체(30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부력조절튜브(4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에서,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부력조절튜브(4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내부공간(301) 중 상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부력조절튜브(400)는 공기주입밸브(410)를 더 포함한다.
공기주입밸브(410)는 부력조절튜브(400)의 내부공간(401)에 공기를 채울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공기를 주입 받도록 개폐되는 밸브 장치이다.
예를 들어, 공기주입밸브(410)는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될 때 개방되어 부력조절튜브(400)로 공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공기의 주입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주입 통로를 폐쇄시켜 공기의 외부 배출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력조절튜브(400)는 과압밸브(420)를 더 포함한다.
과압밸브(420)는 부력조절튜브(400)의 내부공간(401)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기준치보다 클 때 내부 공기압 조절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력조절튜브(400)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이 설정 기준치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10)은 공기공급장치(430)를 더 포함한다.
공기공급장치(430)는 공기주입밸브(410)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공기공급장치(430)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431), 공기탱크(431)와 공기주입밸브(410) 사이를 연결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공급라인(432), 및 공기공급라인(432)에 구비되며 공기주입밸브(41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공기공급밸브(4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10)에서, 조형물 몸체(100, 200)는 다수의 몸체부, 즉 제1, 2, 3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0, 210)는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1 몸체부(110)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2를 참조하면 제1 몸체부(210)는 동물, 예를 들어 상어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2 몸체부(120, 220)는 동물 또는 공룡의 몸통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2 몸체부(120)는 공룡의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2를 참조하면 제2 몸체부(220)는 동물, 예를 들어 상어의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3 몸체부(130, 230)은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제3 몸체부(130)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도 2를 참조하면 제3 몸체부(230)는 동물, 예를 들어 상어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부력조절본체(300)는 제1 몸체부(110, 210)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몸체부(120, 220)와, 제3 몸체부(130, 230)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때,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데, 제1, 2, 3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1 몸체부(110, 210)가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제2 몸체부(120, 220) 및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3 몸체부(130, 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아 조형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제1 몸체부(110, 210)를 향해 이동시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부력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반대로,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3 몸체부(130, 230)가 몸통 부위에 대응하는 제2 몸체부(120, 220) 및 머리 부위에 대응하는 제1 몸체부(110, 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중으로 가라앉아 조형물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제3 몸체부(130, 230)를 향해 이동시켜 부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부력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를 상대적으로 부상시키는 조형물의 움직임을 유도해야 하는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제1 몸체부(110, 210)를 향해 이동시켜 머리 부위를 수중에서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도 4 및 도 6 참조).
반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를 상대적으로 수중에서 가라앉는 조형물의 움직임을 유도해야 하는 경우,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제3 몸체부(130, 230)를 향해 이동시켜 꼬리 부위를 수중에서 위로 부상시킬 수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이와 같이,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을 갖는 조형물 몸체(100, 200)의 다양한 자세 및 움직임을 이동식 부력몸체(500)의 위치 조절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다양한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재미 및 감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제1 몸체부(110, 210)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몸체부(120, 220)와, 제3 몸체부(130, 230)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길이를 갖는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필요한 위치에서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부력조절본체(300)의 외부 면에는 이동레일(5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레일(510)은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설치되며 부력조절본체(30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이동레일(510)을 따라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 구동 장치, 즉 리니어모션 구동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니어모션 구동장치는 관용적으로 알려진 LM 가이드와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주는 랙 피니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식 부력몸체(500)는 부력조절본체(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 이동하며, 조형물 몸체(100, 200)를 구성하는 제1, 2, 3 몸체부(110, 210, 120, 220, 130, 23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조형물 몸체(100, 200)의 전 구간, 즉 제1, 2, 3 몸체부((110, 210, 120, 220, 130, 230) 중 임의의 위치에서 부력을 증가시켜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 200)의 다양한 자세 변화 및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한편, 이동레일(510)의 전단에는 제1 스토퍼(511)가 구비되고, 이동레일(510)의 후단에는 제2 스토퍼(51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스토퍼(511)는 이동레일(510)을 따라 조형물 몸체(100, 200)의 전방, 즉 제1 몸체부(110, 210)를 향해 이동한 이동식 부력몸체(50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한다. 이로써 이동식 부력몸체(500)가 조형물 몸체(100, 200)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스토퍼(512)는 이동레일(510)을 따라 조형물 몸체(100, 200)의 후방, 즉 제3 몸체부(130, 230)를 향해 이동한 이동식 부력몸체(50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한다. 이로써, 이동식 부력몸체(500)가 조형물 몸체(100, 200)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은, 이동식 부력몸체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한다(도 3 참조).
제어부(600)는 외부의 스위치(또는 사용자 단말기)(700)에서 전달된 이동식 부력몸체(500)의 동작 신호를 입력 받아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설정 위치로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공기공급밸브(433)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공기주입밸브(410)를 통해 부력조절튜브(400)에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공룡 조형물의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에서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110)를 상대적으로 부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 중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110)를 향해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W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 중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110)의 부력이 증가하여 수중에서 위로 부상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에서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130)를 상대적으로 부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 중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130)를 향해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W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룡 형상의 조형물 몸체(100) 중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130)의 부력이 증가하여 수중에서 위로 부상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조형물(예: 상어 등)의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동작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에서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210)를 상대적으로 부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 중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210)를 향해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W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 중 머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1 몸체부(210)의 부력이 증가하여 수중에서 위로 부상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에서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230)를 상대적으로 부상시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 중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230)를 향해 이동식 부력몸체(500)를 W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어 형상의 조형물 몸체(200) 중 꼬리 부위에 해당하는 제3 몸체부(230)의 부력이 증가하여 수중에서 위로 부상하는 움직임을 보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로서 수중 또는 수면 위에서 몸체의 길이 방향 전체 구간에 대해 부분적인 부력 강화 조절을 통해 부력 균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 또는 공룡 등의 형상을 갖는 조형물의 부력 균형 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놀이동산 또는 아쿠아리움 등과 같이 수중환경이 구비된 공연장 내에서 동물 또는 공룡 형상으로 제작된 다양한 조형물에 대해 자세 변화 및 다양한 동작 구현이 가능해 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목표한대로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을 이용한 다양한 공연 및 전시 관람이 가능하여 관람자에게 많은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100: 조형물 몸체(또는 공룡 조형물 몸체)
110: 머리부
120: 몸통부
130: 꼬리부
190: 홀
200: 조형물 몸체(또는 상어 조형물 몸체)
210: 머리부
220: 몸통부
230: 꼬리부
290: 홀
300: 부력조절본체
301: 내부공간
310: 수류구
400: 부력조절튜브
401: 내부공간
410: 공기주입밸브
420: 과압밸브
431: 공기탱크
432: 공기공급라인
433: 전자밸브
500: 이동식 부력몸체
510: 이동레일
511: 제1 스토퍼
512: 제2 스토퍼
600: 제어부
700: 스위치(또는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동물 또는 공룡 형상을 갖는 조형물 몸체;
    상기 조형물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길이를 갖도록 내장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부력조절본체;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공기 주입이 가능한 부력조절튜브; 및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조형물 몸체의 부력 균형을 조절하는 이동식 부력몸체;
    를 포함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본체는,
    외부의 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복수의 수류구;
    를 더 포함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튜브는,
    상기 부력조절본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튜브는,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 중 상부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튜브는,
    외부의 공기를 주입 받아 내부공간에 공기를 채우는 공기주입밸브;
    를 더 포함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 몸체는,
    동물 또는 공룡의 머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동물 또는 공룡의 몸통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동물 또는 공룡의 꼬리 부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3 몸체부;
    를 포함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본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제3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길이를 갖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8. 설정 형상을 갖는 조형물 몸체;
    상기 조형물 몸체에 내장되며, 내부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가능한 부력조절본체;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내부공간에 내장되며, 공기 주입이 가능한 부력조절튜브; 및
    상기 부력조절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조형물 몸체의 부력 균형을 조절하는 이동식 부력몸체;
    를 포함하는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KR1020210177693A 2021-12-13 2021-12-13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KR102621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93A KR102621187B1 (ko) 2021-12-13 2021-12-13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693A KR102621187B1 (ko) 2021-12-13 2021-12-13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231A true KR20230089231A (ko) 2023-06-20
KR102621187B1 KR102621187B1 (ko) 2024-01-05

Family

ID=8699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693A KR102621187B1 (ko) 2021-12-13 2021-12-13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1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039A (ko) * 2013-12-11 2015-06-19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20170103430A (ko) * 2016-03-04 2017-09-13 황명회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101868912B1 (ko) * 2017-05-12 2018-07-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수중운동체용 중성부력 제어장치
KR20200050123A (ko) * 2018-11-01 2020-05-11 (주)아이로 로봇 물고기의 기울기 및 부력조절장치
KR20200124936A (ko) 2019-04-25 2020-11-04 조원석 움직이는 동물 조형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8039A (ko) * 2013-12-11 2015-06-19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20170103430A (ko) * 2016-03-04 2017-09-13 황명회 선박의 자세 안정 및 전복 방지장치
KR101868912B1 (ko) * 2017-05-12 2018-07-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 수중운동체용 중성부력 제어장치
KR20200050123A (ko) * 2018-11-01 2020-05-11 (주)아이로 로봇 물고기의 기울기 및 부력조절장치
KR20200124936A (ko) 2019-04-25 2020-11-04 조원석 움직이는 동물 조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187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118A (en) Animal toy with floatation device
EA200900771A1 (ru) Погружаемый аппарат, способ его погружения и погружаемая игрушка
US11110364B2 (en) Motorized aquatic toy with articulated tail
US8782934B2 (en) Apparatus for housing artificial features and improved internal magnets for use in artificial features
US3773015A (en) Aquarium diver
KR20230089231A (ko) 부력균형 조절 기능을 갖는 동물 또는 공룡 조형물
US20040152374A1 (en) Self-propelled aquatic toy
US2511323A (en) Jet propelled toy boat
US3650056A (en) Animated aquatic display
JP2018094961A (ja) 浮沈装置
US20030163937A1 (en) Artificial aquarium having magnetic and water pump drive system
US20170055498A1 (en) Retention Safety Devices and Uses
US2991076A (en) Aquatic amusement device
KR102180978B1 (ko) 외해 수중 가두리 장치
CN116390883A (zh) 利用全息图的基于iot的交互式船艇
US2914887A (en) Toy submarine
US717798A (en) Amusement apparatus.
JP2018088920A (ja) 水中ウキ
JP7305204B2 (ja) ルアー
CZ2619U1 (cs) Plovací loutka
GB20840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a submerged model in a tank
JP3139133U (ja) 内部に装飾品が浮かぶ玩具ボールの構造
JP2573799B2 (ja) 水遊び玩具
WO2011108917A1 (en) Submersible boat, comprising a diving tank having an inflatable buoyancy body
EP1158118A3 (en) Pull-rope actuated water pla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