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043A -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043A
KR20220144043A KR1020210050229A KR20210050229A KR20220144043A KR 20220144043 A KR20220144043 A KR 20220144043A KR 1020210050229 A KR1020210050229 A KR 1020210050229A KR 20210050229 A KR20210050229 A KR 20210050229A KR 20220144043 A KR20220144043 A KR 20220144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vessel
life
right sides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민
Original Assignee
김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민 filed Critical 김수민
Priority to KR1020210050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043A/ko
Publication of KR2022014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좌,우 양측에 구명튜브가 장착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선박전복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전복장지장치는 선박의 좌,우 양측에 충전가스 주입시 선박을 물에 떠있게 하는 부력을 갖도록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는 구명튜브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구명튜브의 개구된 가장자리 주연부는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밀봉된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Vessel rollover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marine vessel sinking}
본 발명은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을 운행하는 선박이 불의의 기상악화로 인하여 침몰 내지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동시에 각종 장비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선박은 선체 내부에 기계실, 펌프실, 객실, 창고 등과 같은 다양한 실내공간이 구획되어 있도록 설계되어 건조되고 있다.
또한 모든 선박은 기상악화 및 외부의 영향으로 인한 침몰 등에 대비하여야 하는데, 특히 사람이 많이 탑승하게 되는 여객선에 해당하는 선박에는 소규모 구명정을 비롯하여 각종 안전장구 등을 비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객선의 경우는 큰 강이나 해상에서 운항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승객을 위한 객실 이외에 많은 사람들이 공용으로 이용하는 구내음식점, 휴개실 및 각종 음료를 제공하는 카페 등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여객선의 객실에는 침대, 간편 옷장 및 TV 등 가전제품이 비치되어 있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도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강이나 해상에서 정해진 항로를 따라 운행하는 도중에 여객선이 불의의 기상악화로 인해 정상적으로 운행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정해진 항로로 운행하는 여객선 등의 선박이 불의 기상악화로 인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는 사고를 대비하여 탑승자들 스스로 미리 준비해 둔 구명조끼 등 구명장비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들 개개인이 물에 떠있는 상태에서 안전하게 구조되기를 기다릴 수는 있겠으나, 여객선이 침몰하게 될 경우에는 여객선의 갑판이나 객실, 창고 등의 공간에 보관 및 비치되어 있는 각종 장비 및 물품들은 물속에 빠지게 되는 피해는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에 빠진 탑승자들이 구명조끼 등을 이용하여 물에 떠있게 될 경우에는 빠른 시간안에 구조해야 하며, 만약 구조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물에 빠져 떠있는 사람들에게 저체온증의 피해가 발생하게 되는 위험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0935호(2016. 11. 15.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773596호(2017. 08. 25.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2147654호(2020. 08. 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강이나 바다를 운행하는 모든 선박이 운행 도중에 불의의 기상악화로 인해 파도가 심하게 요동치게 되더라도 선박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지게 되거나 또는 전복되는 사고를 당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박에 탑승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물에 빠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선박에 실려있는 각종 장비 등을 물에 빠뜨려 분실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전복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선박의 좌,우 양측에 구명튜브가 장착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선박전복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명튜브는 각각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되, 상기 구명튜브 각각은 선박의 좌,우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밀봉부재에 가장자리 주연부가 각각 밀봉된 부착된 채 충전가스를 주입시에는 선박을 물에 안전하게 떠있게 하는 부력을 갖도록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는 한편, 충전가스 배출시에는 부피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밀착 형성되어 선박의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명튜브는 충전가스 배출시 부피를 최소화된 상태로 축소되어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상,하부 개폐판 및 상기 상,하부 개폐판의 전,후 양단을 커버하도록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면 고정판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부 개폐판 각각의 연결단은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개폐판의 일단은 선박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경첩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돌기는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에 삽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착탈돌기는 충전가스 충진시 팽창되는 구명튜브 각각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착탈요홈에서 분리되는 한편, 구명튜브 각각에 주입되었던 충전가스의 전량 배출시에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축소된 상태에서는 선박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에 삽입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을 운행하는 도중에 갑작스러운 기상악화 등으로 인하여 파도가 심하게 요동치거나 암초에 부딪치는 상고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선박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지 않고 수면에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에 탑승하고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선박에 실려있는 각종 장비를 비롯하여 탑승자들의 휴대물품 등을 분실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선박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선박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가스의 배출시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의 선박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선박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가스 충진시 팽창된 구성을 나타낸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선박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가스의 배출시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의 선박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선박의 좌,우측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가스 충진시 팽창된 구성을 나타낸 선박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충전가스 배출시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상,하부 개폐판 및 전,후면 고정판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선박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가 충전가스 충진시 부피가 최대로 팽창된 구성을 일부 단면하여 나타낸 선박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인 구명튜브를 대형선박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선박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선박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는 충전가스 충진시 선박(1)이 물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상시키는 부력을 형성하도록 부피를 최대로 팽창시킬 수 있는 구명튜브(2a)(2b)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충전가스 배출시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개구된 가장자리 주연부(21)가 선박(1)의 좌,우측(1a)(1b)에 밀봉된 상태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의 가장자리 주연부(21)는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밀봉부착부재(22)에 밀봉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충전가스 배출시에는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상,하부 개폐판(3a)(3b)과,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고정 부착된 채 상기 상,하부 개폐판(3a)(3b) 각각의 전,후 양단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후면 고정판(4a)(4b)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충전가스 주입시에는 선박(1)이 물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력을 갖는 상태로 부피가 최대로 팽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박(1)에는 구명튜브(2a)(2b) 각각에 충전가스를 주입시키기 위한 충전가스용기(5a)(5b)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선박(1)의 좌,우측(1a)(1b)에는 충전가스용기(5a)(5b)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가스를 구명튜브(2a)(2b) 각각으로 주입시키는 가스주입용 체크밸브(5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는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에 주입되어 있는 충전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용 체크밸브(61)와 상기 가스배출용 체크밸브(61)를 통해 구명튜브(2a)(2b)에 충전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펌프(6a)(6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충전가스용기(5a)(5b) 및 진공펌프(6a)(6b) 각각은 선박(1)에 형성되어 있는 기계실(미도시)이나 창고 및 조타실(10)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충전가스용기(5a)(5b)에 저장되어 충전가스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작동되는 전자밸브(51)의 개방작동에 의하여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펌프(6a)(6b) 각각은 충전가스의 주입에 의해 부피가 최대로 팽창된 구명튜브(2a)(2b)의 부피를 최소화 상태로 축소시키고자 할 때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진공펌프(6a)(6b) 각각을 구동시키게 되면 가스배출용 체크밸브(61)을 통해 구명튜브(2a)(2b) 각각에 주입되어 있는 충전가스를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을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피를 축소시키기 위해 주름진 상태로 접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개폐판(3a)(3b)과 전,후면 고정판(4a)(4b) 사이에는 충전가스의 배출작동에 의해 부피가 최소로 축소되는 구명튜브(2a)(2b)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의 가장자리 주연부(21)는 선박(1)의 좌,우측(1a)(1b)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밀봉부착부재(22)에 밀봉된 상태로 연결 부착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개폐판(3a)(3b) 각각의 연결단(31)(32)은 힌지축(3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 개폐판(3a)의 일단(34)은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경첩(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개폐판(3b)의 일단(35)에는 착탈돌기(3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탈돌기(36)는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8)에 삽입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 이완되도록 구성된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한 하부 개폐판(3b)의 일단(3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착탈돌기(36)와 상기 착탈돌기(36)가 삽입 및 분리되는 착탈요홈(8)은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에 주입되어 있던 충전가스가 전량 배출되어 부피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는 상기 착탈돌기(36)가 착탈요홈(8)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에 충전가스가 주입되어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착탈돌기(36)가 착탈요홈(8)에서 분리 이완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전자밸브(51)의 개방작동에 의하여 충전가스용기(5a)(5b)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게 될 때에는 팽창압력이 상,하부 개폐판(3a)(3b)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개폐판(3b)의 일단(35)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돌기(36)가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8)에서 분리 이완되며, 또한 상기 상부 개폐판(3a)의 일단(34)은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경첩(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부 개폐판(3a)(3b)은 도 3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최대로 팽창되는 구명튜브(2a)(2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에 충전가스가 주입되어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었을 때에는 팽창된 구명튜브(2a)(2b)가 선박(1)을 물에 떠있게 하는 부력을 유지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시예와 같이 중,소형의 선박(1)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대형 선박(1a)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전복방지장치는 구명튜브(2a)(2b)를 선박(1)의 좌,우측(1a)(1b)에 장착하여 상기 선박(1)을 운행하는 도중에 기상악화 등에 의해 파도가 심하게 요동치거나 암초에 충돌하게 선박(1)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지거나 또는 전복되지 않고 물에 안정된 상태로 떠있게 하는데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선박(1)이 정상적으로 운행하게 될 때에는 선박(1)의 좌,우측(1a)(1b)에 장착되어 있는 구명튜브(2a)(2b) 각각은 충전가스가 전량 배출되어 부피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 전,후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면 고정판(4a)(4b)과 상기 전,후면 고정판(4a)(4b) 사이에 폐쇄작동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하부 개폐판(3a)(3b)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 2 및 도 6 참조)이며, 이때 상기 선박(1)은 구명튜브(2a)(2b)가 삽입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 개폐판(3a)(3b) 및 전,후면 고정판(4a)(4b)이 수면(w)보다 높은 위치에서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상,하부 개폐판(3a)(3b) 중 하부 개폐판(3b)의 일부 및 전,후면 고정판(4a)(4b)의 일부만 수면(w)에 잠기도록 형성된 상태로 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부 개폐판(3) 및 전,후면 고정판(4a)(4b)이 수면(w)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거나 일부만 수면(w)에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선박(1)은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선박(1)이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도중에 갑작스러운 기상변화로 인해 돌풍이 불면서 파도가 심하게 요동치게 될 때에는 선박(1)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게 되거나 전복될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선박(1)의 안전운행을 책임지는 선장 등이 선박(1)의 운행에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예견 내지 감지한 생태에서는 충전가스용기(5a)(5b)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가스를 구명튜브(2a)(2b) 각각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전자밸브(51)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개방시키게 되며, 상기 전자밸브(51)가 개방조작되면 충전가스용기(5a)(5b)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충전가스가 신속하게 상기 구명튜브(2a)(2b)에 주입됨으로써 구명튜브(2a)(2b) 각각의 주입되는 충전가스에 의해 부피가 최대로 팽창하는 상태가 된다.(도 3 및 도 7 참조)
상기와 같이 전자밸브(51)의 개방작동에 의해 충전가스용기(5a)(5b)에 저장되어 있는 있는 충전가스가 구명튜브(2a)(2b)속으로 주입됨에 따라 상기 구명튜브(2a)(2b) 각각은 부피가 팽창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구명튜브(2a)(2b)가 팽창될 때의 팽창압력에 의해 하부 개폐판(3b)의 일단(3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착탈돌기(36)는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8)에서 분리 이완되는 동시에 상부 개폐판(3a)의 일단(34)은 선박(1)의 좌,우측(1a)(1b)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경첩(7)에 의하여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는 구명튜브(2a)(2b)의 상부측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명튜브(2a)(2b)는 주입되는 충전가스에 의하여 부피가 최대상태로 팽창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7 참조)
상기 구명튜브(2a)(2b)의 부피가 최대로 팽창하게 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명튜브(2a)(2b)의 부력에 의해 선박(1)이 물에 떠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기상악화로 인해 발생하는 돌풍이나 심하게 요동하는 파도로 인하여 선박(1)이 일측으로 심하게 기울거나 또는 전복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박(1)에 탑승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박(1)에 실려있는 각종 장비를 비롯하여 탑승자들의 각종 휴대물품 등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위험한 상황속에서도 선박(1)을 안전하게 운행하면서 위험한 위치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선박(1)을 목적지(항구 등)까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밸브(51)를 수동으로 개방조작하지 않고 수면(w)의 수압 등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 등의 작동에 의하여 전자밸브(51)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선박(1)을 운행하는 도중에 불의의 기상악화 등으로 인하여 상기 구명튜브(2a)(2b)를 최대로 팽창시킨 상태로 목적지(항구 등)까지 운행한 다음에는 안전한 장소에서 충전가스 주입으로 팽창되었던 구명튜브(2a)(2b)를 팽창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 축소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는 선박(1)에 구비되어 있는 진공펌프(6a)(6b)를 가동시켜서 상기 구명튜브(2a)(2b)에 주입되어 있던 충전가스를 배출시켜 부피를 최소화상태로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명튜브(2a)(2b)에서 충전가스를 배출시키는 작용으로 부피를 축소시킬 때에는 구명튜브(2a)(2b)를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름진 상태로 접어주면서 축소시키게 되면 부피를 최소화상태로 축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선박(1)의 좌,우측(1a)(1b)에 폐쇄상태로 재조립되는 상,하부 개폐판(3a)(3b) 및 전,후면 고정판(4a)(4b) 사이의 삽입공간으로 삽입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명튜브(2a)(2b)의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에서 재조립된 상,하부 개폐판(3a)(3b)의 삽입공간으로 재삽입 설치하는 수단으로 선박(1)을 다시 안전하게 정상 운행할 수는 있게 된다.
1 : 선박 10 : 조타실
1a,1b : 좌,우측 2a,2b : 구명튜브
21 : 가장자리 주연부 22 : 밀봉부착부재
3a,3b : 상,하부 개폐판 31,32 : 연결단
33 : 힌지축 34,35 : 일단
36 : 착탈돌기 4a,4b : 전,후면 고정판
5a,5b : 충전가스용기 51 : 전자밸브
52 : 가스주입용 체크밸브 6a,6b : 진공펌프
61 : 가스배출용 체크밸브 7 : 경첩
8 : 착탈요홈

Claims (4)

  1. 선박의 좌,우 양측에 구명튜브가 장착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선박전복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명튜브는 각각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되, 상기 구명튜브 각각은 선박의 좌,우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밀봉부재에 가장자리 주연부가 각각 밀봉된 부착된 채 충전가스를 주입시에는 선박을 물에 안전하게 떠있게 하는 부력을 갖도록 부피가 최대로 팽창되는 한편, 충전가스 배출시에는 부피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로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밀착 형성되어 선박의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튜브는 충전가스 배출시 부피를 최소화된 상태로 축소되어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상,하부 개폐판 및 상기 상,하부 개폐판의 전,후 양단을 커버하도록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전,후면 고정판 사이에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개폐판 각각의 연결단은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개폐판의 일단은 선박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경첩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폐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돌기는 선박의 좌,우측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에 삽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착탈돌기는 충전가스 충진시 팽창되는 구명튜브 각각의 팽창압력에 의하여 착탈요홈에서 분리되는 한편, 구명튜브 각각에 주입되었던 충전가스의 전량 배출시에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축소된 상태에서는 선박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착탈요홈에 삽입 결합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KR1020210050229A 2021-04-19 2021-04-19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KR20220144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29A KR20220144043A (ko) 2021-04-19 2021-04-19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229A KR20220144043A (ko) 2021-04-19 2021-04-19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043A true KR20220144043A (ko) 2022-10-26

Family

ID=8378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229A KR20220144043A (ko) 2021-04-19 2021-04-19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04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935A (ko) 2015-05-04 2016-11-15 홍 대 박 해양선박구조장치와구명장비
KR101773596B1 (ko)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102147654B1 (ko) 2020-01-30 2020-08-25 우창진 침몰방지 구조를 가진 선박 및 선박용 선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935A (ko) 2015-05-04 2016-11-15 홍 대 박 해양선박구조장치와구명장비
KR101773596B1 (ko)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102147654B1 (ko) 2020-01-30 2020-08-25 우창진 침몰방지 구조를 가진 선박 및 선박용 선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3913A (en) Aquastabilized survival raft
US10640183B2 (en) Ship having anti-sinking and anti-capsize device for emergency
US200401946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ships and harbors from attack by vessels
US20100147205A1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CN1465500A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CA1289819C (en) Self-righting monohull vessel
WO2013167805A1 (en) Marine vessel
US3259926A (en) Life sphere
US3268925A (en) Life-saving raft
EP3464052B1 (en) Anti-sinking and anti-fire safety system for boats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KR20220144043A (ko)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CN2574992Y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CN108557029A (zh) 一种船用应急充气气囊装置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RU2469903C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GB2369803A (en) A vessel having emergency inflatable buoyancy means
US7069873B2 (en) Watercraft with inflatable stabilization ring
KR200478864Y1 (ko) 자유낙하 구명정의 속도 완화장치
EP2045182A2 (en) Fluid displacement body for emergency floatation of marine craft
KR100563635B1 (ko) 침몰 방지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
EP1256516A2 (en) Ocean survival unit
SU10366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вышени остойчивости и плавучести судна
KR20160077869A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