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037B1 -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 Google Patents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037B1
KR102086037B1 KR1020180103278A KR20180103278A KR102086037B1 KR 102086037 B1 KR102086037 B1 KR 102086037B1 KR 1020180103278 A KR1020180103278 A KR 1020180103278A KR 20180103278 A KR20180103278 A KR 20180103278A KR 102086037 B1 KR102086037 B1 KR 10208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uoyancy body
buoyancy
deck house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넥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넥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넥스젠
Priority to KR102018010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선체의 전복시 신속하게 부력체가 팽창되어 수중에 잠긴 일측에 부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수면을 따라 부유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선체; 내부에 실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연장된 마스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대향되도록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선체의 전복시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데크하우스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1부력체를 포함하는 제1에어백장치; 및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되 상기 선체의 전복시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는 제2에어백장치를 포함하는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ship having apparatus for delaying capsize}
본 발명은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전복시 신속하게 부력체가 팽창되어 수중에 잠긴 일측에 부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은 해류나 파도 또는 바람에 의해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서징(serging), 히빙(heaving) 및 스웨잉(swaying)의 6자유도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선체의 전후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롤링 운동은 선박의 측면 면적이 정면 또는 후면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실질적으로 선박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운동이다.
이때,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기상 악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 선체에 작용되는 모멘트가 증가하여 선체가 임계각도 이상으로 좌현 또는 우현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전복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롤링 운동 시 선체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지지하여 전복이 방지되도록 선체의 양측부에 별도의 부력체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도의 부력체가 장착되더라도 해양 환경 내지 각종 외부 요인에 의한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체가 전복된 이후에는 전복 이전 상태로의 복원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중에 뒤집어진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침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 해상교통의 활성화 및 어업 활동의 증가 추세에 따라 선박의 침몰 발생건수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의 침몰은 인명 피해와 같은 1차 피해뿐만 아니라, 침몰 후 선체가 부식되고 해수압이나 조류로 인해 파손 부위가 증가되는 경우 연료의 유출 등에 따른 광범위한 해양 오염으로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2차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체의 전복을 방지시키거나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지연시켜 탑승한 인원의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해양 오염이 방지되도록 침몰 이전에 인양할 수 있는 선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2961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전복시 신속하게 부력체가 팽창되어 수중에 잠긴 일측에 부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을 따라 부유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선체; 내부에 실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연장된 마스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대향되도록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선체의 전복시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데크하우스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1부력체를 포함하는 제1에어백장치;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되 상기 선체의 전복시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는 제2에어백장치; 상기 제1부력체 및 상기 제2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 및 조작에 따라 상기 기체공급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하우스의 측벽부에 의해 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실내공간측의 공기가 상기 기체공급수단 측으로 흡입되어 상기 제1부력체와 상기 제2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기체공급수단의 유입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백장치는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데크하우스의 측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에어백장치는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에어백장치는 상기 제1에어백장치의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데크하우스의 일측이 부력을 제공하는 선체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각 에어백장치의 부력체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선체가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어 탑승자가 대피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이 확보되므로 선박의 안전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에어백장치가 상기 데크하우스의 측면부 상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선체의 전복시 상기 제1에어백장치가 구동되면 별도의 위치 보정 작업 없이도 즉각적으로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전복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셋째, 상기 제2에어백장치는 제1에어백장치의 위치보다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선체의 전복시 측방향 반대측에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는 깊이에 따라 조절된 부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하여 균형있게 부유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지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에서 일측 제1에어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이 제1에어백장치 및 제2에어백장치가 구동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은 선체(10), 데크하우스(20), 마스트(30), 제1에어백장치(40) 그리고 제2에어백장치(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 및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전복지연장치로서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은 외부 충격이나 충돌에 의한 기상 악화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선체(10)가 원상태로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좌현 내지 우현 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제1에어백장치(40) 및 상기 제2에어백장치(50)에 의해 전복되는 것이 지연되는 선박이다. 여기서, 상기 선체(10)가 전복된다라 함은 상기 선체(10)가 복원력의 한계를 넘어서 롤링 운동됨에 따라 원상태로의 복원이 불가능하게 기울어져 수중(w)에 잠기도록 뒤집어지는 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고하중의 대형선박에 구비되는 경우 선체(10)가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대형선박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이 작은 소형선박에 구비되는 경우 선체(10)의 전복이 방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선체(10)는 수면(wf)을 따라 부유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구조체로,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추진부, 방향 조절을 위한 조향부 등이 탑재 및 장착된다.
이때, 상기 선체(10)의 선수부는 유체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전측으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협소화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체(10)의 내부에는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10)는 횡방향 복원력을 갖도록 하단측 선저부의 좌우방향 폭 간격이 상단측 데크부의 좌우방향 폭 간격 미만으로 협소화될 수 있으며 좌현 및 우현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 복원력이라 함은 파도 등의 외부 영향으로 인한 상기 선체(10)의 롤링(rolling) 운동시 횡경사가 제거되는 최초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힘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데크하우스(20)는 내부에 실내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선체(10)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데크하우스(20)는 상기 선체(10)의 상단측 데크부 상면에 결합되며 사방을 에워싸도록 구비되되 상벽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상벽부의 내측으로 상기 실내공간(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측벽부 어느 일측에는 상기 실내공간(2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출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체(10)의 선수부에 대향되도록 전방 측을 향하는 측벽부의 타측에는 창문(2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간(21)에는 상기 조향부와 연결되는 조향핸들, 각종 제어장비 및 통신장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크하우스(20)에는 상기 실내공간(21)을 구획하는 내벽이 배치되어 별도의 선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데크하우스(20)는 실질적으로 탑승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트(30)는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선체(10)의 이동시 바람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후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30)는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전후방향 중심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트(30)는 상기 상벽부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장비와 연결되는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거나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조명(23a)이 장착된 라이트부(23)의 후방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에서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백장치(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10)의 좌현 및 우현에 대향되도록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즉,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는 상기 선체(10)의 우현, 즉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좌측에 배치되고,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는 상기 선체(10)의 좌현, 즉 정면에서 바라본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는 제1케이스, 제1구동커버(41c) 및 제1부력체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를 예로써 설명하면, 일측 제1케이스(41A)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선체(10)의 우현측에 대향되는 측벽부의 전후방향 폭 길이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는 개구측이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은 상기 선체(10)의 우현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타측 제1케이스의 개구측은 상기 선체(10)의 좌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 제1구동커버(41c)는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는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을 커버하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는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에 형합되는 외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 테두리 내측에 억지 끼움될 수 있으며 입구측을 밀폐하도록 가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제1부력체(42A)의 내부에 기체가 유입되어 팽창됨에 따라 그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제1구동커버(41c)가 상기 제1케이스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이 개방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에 인접한 수납공간의 내면을 따라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의 외곽 테두리가 상기 삽입홈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 테두리 어느 일측에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가 힌지 연결되어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힌지 회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의 팽창시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이 개방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는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데크하우스(20)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된다.
상세히,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는 기체가 충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는 팽창형(inflatable) 구조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는 내부에 충진공간이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부피가 조절되도록 고무, 합성고무, 폴리에테르, 강화폴리비닐 등의 유연한(flexibl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는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 전후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팽창시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선체(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가 팽창되면 상기 선체(10)가 기울어진 각도와 상관없이 라운드진 외면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부력이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에는 후술되는 기체공급수단(60)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의 일측 제1토출단(61b)이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는 상기 수납공간에 공급되는 기체가 상기 충진공간에 유입되어 팽창되도록 개구측 테두리가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 테두리 내측을 따라 연결되어 밀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는 평상시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가 수축되어 접히거나 말려진 상태로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수납공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의 개구측에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평상시라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선체(10)가 전복되지 않은 정상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는 실질적으로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되 상기 데크하우스(2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1에어백장치(40)는 상기 선체(10)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측면부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에어백장치(40)는 장폭방향이 상기 선체(10)의 전후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에 구비된 제1부력체는 팽창시 장폭방향이 상기 선체(10)의 전후방향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는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측면부 상측, 상기 상벽부 및 상기 측면부가 상호 연결된 부분과 인접한 측면부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가 구동되면 별도의 위치 보정 작업 없이도 즉각적으로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양측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전복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마스트(30)에 구비되며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2부력체(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제2케이스, 제2구동커버(41c) 및 상기 제2부력체(5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케이스, 상기 제2구동커버(41c) 및 제2부력체(5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케이스, 상기 제1구동커버(41c) 및 상기 제1부력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에어백장치(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선체(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의 장폭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장폭방향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선체(10)의 좌현 및 우현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력체(52) 또한 팽창시 상기 선체(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마스트(30)를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장폭방향 양측단부가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선체(10)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균일하게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력체(52)는 팽창된 상태로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장폭방향 단부 측이 수중(w)에 입수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선체(10)를 중심으로 롤링 운동되며 상기 데크하우스(20)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에 따라 수중(w)에 잠기는 깊이가 상이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크하우스(20)의 내부에 탑승인원이 많거나 각종 장비 등이 많이 수용된 경우 상기 데크하우스(20)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 증가되어 상기 제2부력체(52)의 장폭방향 단부 측이 수중(w)에 더 깊게 잠길 수 있다.
즉, 상기 제2부력체(52)는 상기 선체(1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제1부력체와 더불어 상기 데크하우스(20)에 부력을 제공하여 전복을 지연시키되 하중에 따라 작용되는 부력이 조절됨으로써 균형있게 부유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롤링 운동되어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상부측에 작용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제2부력체(52)의 수중(w)에 잠기는 깊이가 상이해져 부력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선체(10)가 기울어지더라도 전복이 지연된 상태로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의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마스트(30)의 측면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상면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에어백장치(50)가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의 위치보다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측방향 반대측에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수중(w)에 잠기는 깊이에 따라 조절된 부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크하우스(20)가 과도하게 수중(w)에 잠기는 것이 방지되고 균형있게 부유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지연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에어백장치(50)는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의 전측 내지 후측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전후방향에 걸쳐 부력이 작용되는 구간이 더욱 증가되므로 상기 선체(1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이 제1에어백장치(40) 및 제2에어백장치(50)가 구동되는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은 기체공급수단(60) 및 조작부(70)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상기 제1부력체 및 상기 제2부력체(52)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기체를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에 각각 연결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이때,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상기 조작부(70)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프레셔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하나의 컴프레셔로 구비되어 복수개의 토출단이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복수개의 컴프레셔로 구비되면 각 컴프레셔와 연결된 각각의 토출단이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각 부력체(42A,42B,52)에 각각 개별적으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상기 제1부력체 및 상기 제2부력체(52)와 연결되는 각 토출단(60b,60c,60d)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상부에 각 에어백장치(40,50)와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와 연결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의 유입단(60a)은 상기 실내공간(21)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의 유입단(60a) 및 각 토출단(60b,60c,60d)은 실질적으로 내부에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로 내지 튜브 등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구동되면 유입단(60a)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21) 측의 공기가 상기 기체공급수단(60) 측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흡입된 공기가 각 토출단(60b,60c,60d) 중 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부력체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상기 조작부(70)의 조작에 대응하여 즉각적으로 해당 부력체에 기체를 공급한다.
이때, 기체공급수단(60)의 유입단(60a)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면 전복시 수중(w)에 잠겨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에어백장치(40) 내지 제2에어백장치(50)의 미작동으로 인해 전복지연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의 유입단(60a)이 상기 실내공간(21)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면 상기 선체(10)가 전복되더라도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측벽부에 의해 즉각적인 물의 유입이 방지되어 상기 실내공간(21)에 잔존하는 공기를 즉각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선체(10)가 전복되더라도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의 유입단(60a)을 통해 상기 실내공간(21)에 잔존하는 공기가 흡입되어 공급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에 구비되는 전원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7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전원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70)의 조작시 상기 보조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작부(70)는 조작에 따라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작부(70)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 내지 레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조작부(70)는 별도의 센서 등을 통해 전복을 감지하여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탑승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70)가 조작되면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기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기체공급수단(60)에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70)가 복수개의 레버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은 복수개의 컴프레셔로 구비되어 각각의 레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복수개의 레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조작부(70)가 하나의 레버로 구비되는 경우 탑승자가 상기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상기 일측 제1부력체(42A),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에 모두 기체를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의 전복이 지연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예컨대, 상기 선체(10)가 좌현 방향, 즉 타측을 향해 기울어져 탑승자가 상기 선체(10)의 전복이 진행 중임을 인지하면 상기 조작부(70)를 조작하여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탑승자가 복수개의 레버 중 상기 선체(10)가 전복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조작부(70)를 조작하면 상기 기체공급수단(60)이 구동되어 타측 제1토출단(61c) 및 제2토출단(61d)을 통해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에 기체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가 일정 부피 이상으로 팽창되면 공기압에 의해 상기 타측 제1구동커버 및 상기 제2구동커버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제1부력체(42B) 및 상기 제2부력체(52)가 상기 타측 제1케이스 및 상기 제2케이스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수중(w)에 잠기는 상기 데크하우스(20)의 측벽부의 하부에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선체(10)가 전복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데크하우스(20)는 전복시 실질적으로 일측이 상기 선체(10)의 부력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이 각 부력체의 부력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부분적으로만 수중(w)에 잠긴 채 전복되는 것이 지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선체(10)의 전복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 및 상기 제2에어백장치(50)에 의해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탑승자가 대피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의 확보가 가능하므로 선박의 안전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의 전복이 지연되는 동안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장비 내지 물품들을 이송시킬 수 있어 전복에 의한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100)는 상기 선체(10)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에어백장치와,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에 장착되는 구동감지수단과, 상기 구동감지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한 쌍의 보조에어백장치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에어백장치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에어백장치(40)와 대응되는 구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에어백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보조에어백장치는 상기 기체공급수단(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선체(10)의 내부에 별도의 기체탱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기체탱크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감지수단은 각 에어백장치의 케이스로부터 구동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동감지수단은 자성체 및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를 예로써 설명하면,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에는 자성체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 제1케이스(41A)에는 상기 마그네틱센서가 상기 일측 제1구동커버(41c)의 결합시 상기 자성체와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감지수단은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 상기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에 각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구동커버의 착탈상태를 감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측 제1에어백장치(40A) 및 상기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구동커버가 분리되면, 분리된 구동커버의 자성체와 이격된 마그네틱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구동커버가 분리된 에어백장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보조에어백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측 제1에어백장치(40B)의 타측 제1구동커버가 분리되면 그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된 타측 보조에어백장치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에어백장치는 파손 등으로 인해 상기 선체(10) 또는 상기 데크하우스(2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선체(10)의 측면부에 부력을 보강함으로써 전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조에어백장치는 각 에어백장치의 구동시 그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연동되도록 제어되므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아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선체 20: 데크하우스
30: 마스트 40: 제1에어백장치
50: 제2에어백장치 60: 기체공급수단
70: 조작부 100: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Claims (5)

  1. 수면을 따라 부유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선체;
    내부에 실내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선체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연장된 마스트;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선체의 좌현 및 우현에 대향되도록 상기 데크하우스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선체의 전복시 기울어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데크하우스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1부력체를 포함하는 제1에어백장치;
    상기 마스트에 구비되되 상기 선체의 전복시 부력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는 제2부력체를 포함하는 제2에어백장치;
    상기 제1부력체 및 상기 제2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과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수단; 및
    조작에 따라 상기 기체공급수단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크하우스의 측벽부에 의해 물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기 실내공간측의 공기가 상기 기체공급수단 측으로 흡입되어 상기 제1부력체와 상기 제2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기체공급수단의 유입단은 상기 실내공간과 연통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백장치는 상기 선체의 전후방향으로 상기 데크하우스의 측면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에어백장치는 상기 선체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어백장치는 상기 제1에어백장치의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3278A 2018-08-31 2018-08-31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208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78A KR102086037B1 (ko) 2018-08-31 2018-08-31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278A KR102086037B1 (ko) 2018-08-31 2018-08-31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037B1 true KR102086037B1 (ko) 2020-03-06

Family

ID=6980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78A KR102086037B1 (ko) 2018-08-31 2018-08-31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16A (ko) * 1972-03-10 1974-01-07
KR101429611B1 (ko) 2012-09-26 2014-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선박 및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선박의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방법
KR20150119587A (ko) * 2014-04-16 2015-10-26 이애란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KR20160024555A (ko) * 2014-08-26 2016-03-07 서종근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16A (ko) * 1972-03-10 1974-01-07
KR101429611B1 (ko) 2012-09-26 2014-08-1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선박 및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선박의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방법
KR20150119587A (ko) * 2014-04-16 2015-10-26 이애란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KR20160024555A (ko) * 2014-08-26 2016-03-07 서종근 선박 침몰 방지용 에어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9772B1 (en) Rigid hull inflatable boat with foam insert
KR101694864B1 (ko) 선박 침몰 예방장치
EP2720938B1 (en) Inflatable floatable liferaft for marine rescue
AU2002237853A1 (en) Rigid hull inflatable boat with foam insert
WO2007079345A2 (en) Catamaran air cushion ship with folding, retractable seals
US4919067A (en) Self-righting monohull vessel
CN1465500A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US4836120A (en) Self-righting waterborne craft
US7305931B1 (en) Rigid chambered boat hull with inflatable perimeter
CN2574992Y (zh) 船舶自动应急避碰减摇脱浅抗沉防倾覆装置
US5325804A (en) Fuel-efficient watercraft with improved speed, stability, and safety characteristics
JPH09142381A (ja) 転覆船の姿勢復元装置
KR101962797B1 (ko) 안전운항을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에어백 운용 시스템
US20220111939A1 (en) Flat-bottomed fluvial transport boat comprising inflatable buoyancy tanks
KR20110012040U (ko) 부력보충용 팽창튜브를 갖는 선박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EP1403179A1 (en) Catamaran
US8033235B2 (en) Water craft
KR200393946Y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GB2439732A (en) Automated waterborne vessel fender deployment system
US1273298A (en) Life-boat.
KR20220144043A (ko) 해양 선박침몰방지를 위한 선박전복방지장치
GB2332653A (en) Buoyancy systems for marine craft
GB2229969A (en) A ferry having inflatable reserve buoya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