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07B1 -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 Google Patents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07B1
KR101956507B1 KR1020180080548A KR20180080548A KR101956507B1 KR 101956507 B1 KR101956507 B1 KR 101956507B1 KR 1020180080548 A KR1020180080548 A KR 1020180080548A KR 20180080548 A KR20180080548 A KR 20180080548A KR 101956507 B1 KR101956507 B1 KR 101956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plate
lifesaving
dele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길
Original Assignee
임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길 filed Critical 임종길
Priority to KR102018008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728/00
    • B63B27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025/028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using remote control means, e.g. wireless contro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부트에 관한 것으로,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선체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한명 이상의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보트 및 상기 보트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트를 제어하는 RC 장치를 포함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LIFEBOAT WITH RC DEVICE}
본 발명은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트에 RC 장치를 적용 시킨 후, 원거리에서 보트를 조정하여 보다 신속하게 익수자를 구조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한 것이다.
해양레저의 활성화 추세 등에 따라 해양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매년마다 수상안전 사고 발생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인명사상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일어날 경우, 익수자를 구하기 위해 구조원들은 직접 타서 운전하여 구조하지만, 구조원이 직접 운전하게 되면, 익수자와 비슷한 시야높이를 갖게 되어 시야확보가 어렵고, 더욱이 익수자가 물속에 빠질 경우에는 구조원이 익수자를 발견하는데 어려워지며, 물속에 빠진 익수자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는 익수자의 사망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 뿐만 아니라, 폭풍과 폭우 등 날씨, 파도, 조류, 갯바위 등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의 구조는 구조원이 시야확보 하는데 어려움은 물론이고, 상기 열악한 환경에 의해 익수자와 구조원들까지 위험에 빠뜨리게 되어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트에 RC 장치를 적용시킨 후, 원거리에서 보트를 조정하여 보다 신속하게 익수자를 구조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선체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한명 이상의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보트 및 상기 보트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트를 제어하는 RC 장치를 포함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는, 둘레면 또는 하나 이상의 일면에 형성되는 부력부; 상기 보트가 구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보트로부터 익수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보내는 센서부; 카메라, 스피커, 전원스위치, 라이트가 구비된 전장품부 및 상기 익수자가 파지하여 상기 보트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보트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로 형성되고 표면에 우레아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C 장치는, 상기 보트를 ON/OFF로 설정하여 상기 보트의 작동 및 중지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버튼;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보트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상기 보트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전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RC 장치와 결합되어 충전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RC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는,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외측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회동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일단측 상면에 전후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홈 및 상기 손잡이홈 내부면과 상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 타단측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보트는, 익수자 또는 익수자를 목격한 목격자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트와 RC 장치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트는, 하단에 설치되며 공기를 주입 후 팽창하여 물 위로 뜨게 하도록 형성된 공기부력장치; 상기 보트 내부 공간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보트 내부 공간에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도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보트에 RC 장치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조원들은 보다 시야확보를 할 수 있으며, 익수자를 보다 신속하게 구조하여 사망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RC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부력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C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RC 장치와 조향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부력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알림부를 통한 사람과 보트 및 RC 장치간의 통신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도 9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보트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RC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보트(1) 및 RC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트(1)는 물위에 떠서 움직이는 것으로, 선체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한명 이상의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보트(1)는 유체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선체부가 전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트(1)는 부력부(10), 구동부(11), 센서부(12), 전장품부(13) 및 손잡이(14)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부(10)는 사람이 탈 수 있는 보트보다 면적이 작은 보트(1)가 물 위에 더욱 잘 뜨게하고, 보트(1)의 균형이 잡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트(1)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력부(10)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로 형성되고 표면에 우레아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볍고 부력이 우수하고, 쿠션감이 있어 익수자가 보트(1)에 매달릴 경우 다소 편안함을 줄 수 있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1)는 보트(1)가 구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트(1)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11)는 보트(1)에 익수자가 매달려 구조되는 구조인 본 발명에서 워터젯 방식으로 트윈 구조로 형성되어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팬(fan)의 회전이나 공기압에 의한 방식으로 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센서부(12)는 보트(1)로부터 익수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보트(1) 전단부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적이지 않고, 보트(1)의 하부나 둘레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가 익수자를 감지하는 방식은, 익수자의 열 측정이나 적외선에 의해 감지되거나 익수자의 함성 소리의 주파수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익수자가 감지될 수 있다.
이때, 보트(1)가 익수자 인근의 일정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센서부(12)에 의해 보트의 속도가 자동으로 제어되고, 이에 따라, 보트(1)가 익수자에게 근접하게 도달하여 익수자가 보트(1)에 용이하게 매달릴 수 있다.
전장품부(13)는 카메라(13a), 스피커(13b), 전원스위치(미도시), 라이트(13c) 및 경광등(13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3a), 스피커(13b), 라이트(13c), 및 경광등(13d)은 방수 처리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3a)는 물 속 또는 물 밖을 촬영하여 영상을 기록하는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1) 상면에 1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한정적이지 않고, 보트(1) 둘레면 또는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3a)는 시계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물 속 또는 물 밖을 고루 촬영할 수 있다.
스피커(13b)는 전기적 신호를 진동으로 변화시켜 음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익수자 또는 여러 사람들이 들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익수자에게 구조를 알릴 수도 있고, 그 외로 안내방송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라이트(13c)는 광원에서 나온 빛을 제어하여 안개 발생 또는 시간에 따른 조도변화 등의 사용상황에 맞게 조절 후 발사하는 것으로, 주로 시야가 보이지 않는 야간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13b)와 라이트(13c)는 보트(1)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보트(1) 전단부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원스위치(미도시)는 보트(1)를 작동 또는 중지시키는 버튼으로, 이는 통상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경광등(13d)은 보트(1)로 익수자를 구조하기 위하여 작동시키는 경우 작동되어 빛을 발산하여 긴급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손잡이(14)는 구조시 익수자가 파지하여 보트(1)에 매달릴 수 있도록 보트(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보트(1) 측면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4)에 구조 부환 등을 연결시켜 익수자를 보트(1) 외에도 구명 부환 등으로도 구조할 수 있다.
RC 장치(2)는 보트(1)를 제어하는 것으로, 무선으로 통신되어 원거리에서 구조자가 보트(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RC 장치(2)는 전원버튼(20), 조작부(21), 속도제어부(22) 및 디스플레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20)은 보트(1)를 ON/OFF로 설정하여 보트(1)의 작동 및 중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21)는 사용자로부터 보트(1)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스크린(미도시)을 손으로 터치한 후 드래깅 방법 등 다양하게 보트(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속도제어부(22)는 보트(1)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버튼 형식 UP/DOWN 방식으로 제어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속도의 수치 값을 입력받아 보트(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속도제어부(22)는 센서부(12)에 의해 익수자로부터 보트(1)까지의 거리가 감지되어 신호발생 될 때, 자동으로 속도를 낮출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는 보트(1)에 장착된 카메라(13a)로부터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것으로, 영상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RC 장치(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는 필수사항은 아니며, RC 장치(2)가 디스플레이부(23) 이외에도 TV 나 모니터를 연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RC 장치(2)에 디스플레이부(23)가 구비됨으로써, RC 장치(2)를 조정하는 구조원은 물속의 내부를 더욱 상세히 관찰할 수 있다.
부력부작동버튼(24)은 부력부(1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RC 장치(2)는 부력부작동버튼(24) 없이도, 전원버튼(20)에 의해서 부력부(10)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트(1)에 RC 장치(2)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조원들은 보다 시야확보를 할 수 있으며, 익수자를 보다 신속하게 구조하여 사망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력부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보트(100)와 RC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트(100)는 부력부(110), 구동부(120), 센서부(130) 및 전장품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보트(100)의 형상, 부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존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보트(100)의 형상 및 부력부(11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100)는 물위에 떠서 움직이는 것으로, 선체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한명 이상이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I)이 형성될 수 있다.
부력부(110)는 보트(100)가 물 위에 뜨게하고, 보트(100)의 균형이 잡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트(100) 양측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력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100)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할 뿐, 한정적이지 아니하며, 보트(100)의 둘레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부력부(110)는 보트(100) 외부로 인출되거나 보트(100)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부(110)가 인출 또는 인입될 시의 이송수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트(100) 내부에 형성된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이송될 수 있으며, 부력부(110)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부력부(110) 양측으로 롤러가 구비되어 슬라이딩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C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RC 장치와 조향장치의 결합 예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부력부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운전석(D), 조향장치(S), RC 장치(2) 및 부력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를 제외하고, 운전석(D), 조향장치(S), RC 장치(2) 및 부력부(1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보트(100)는 조향장치(S)가 구비된 운전석(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향장치(S)는 보트(100)가 시계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RC 장치(2)가 작동 안 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조향장치(S)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RC 장치(2)와 결합되어 RC 장치(2)를 충전할 수 있다.
즉, RC 장치(2)는 조향장치(S)에 접지하는 방식으로 결합된 후, 충전되면서 보트(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C 장치(2)는 조향장치(S)와 결합되는 형태 외에 남은 구성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부력부(110)는 보트(100)가 물 위에 뜨고, 보트(100)의 균형이 잡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트(100) 내부에 형성되어 인출 및 인입이 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110)는 제1 플레이트(111) 및 제2 플레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111) 일단측 상면에는 전후측 길이방향으로 손잡이홈(111a)이 형성되며, 제2 플레이트(112) 타단측 상면에는 손잡이홈(111a) 내측면과 상응하여 결합하는 보조손잡이(112a)가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력부(11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자면, 부력부(110)가 보트(100) 양측 내부로부터 양 외측으로 인출될 시,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는 서로 적층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112)는 제1 플레이트(111)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111) 일단측 상면에 전후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홈(111a) 내부면은 제2 플레이트(112) 타단측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보조손잡이(112a) 외부면과 상응하여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직접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112)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 제2 플레이트(112)는 회동되었다가 어느 일정부분에 도달하여 사선형태로 이루어졌을 때, 스토퍼장치(미도시)에 의해 회동이 멈추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장치(미도시)에 의해 회동이 멈추면, 익수자는 제2 플레이트(112)에 돌출된 손잡이(112a)를 잡을 수 있다.
따라서, 부력부(110)에 제1 및 제2 플레이트(111, 112)가 구비됨으로써 구조원들은 익수자를 보다 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인원을 수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알림부를 통한 사람과 보트 및 RC 장치간의 통신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1는 도 9의 A-A'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알림부(3), 공기부력장치(150), 수위센서(160) 및 도어장치(170)를 제외한 남은 구성들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의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이를 제외한 알림부(3), 공기부력장치(150), 수위센서(160) 및 도어장치(17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알림부(3)는 사람(H)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보트(100)와 RC 장치(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람(H)은 익수자 또는 익수자를 발견한 목격자일 수 있다.
이때, 익수자 또는 목격자가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은 육성으로 전달할 수도 있으나, 버튼방식으로 형성된 전달장치(미도시)를 파지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알림부(3)를 통해 익수자 또는 목격자로부터 신호 전달받은 구조원들은 보다 신속하게 익수자를 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부력장치(150)는 보트(100)가 물위에 뜨게 하는 것으로, 보트(100) 하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한 후 팽창되어 물위에 뜨게 할 수 있다.
이때, 공기부력장치(150) 내부에는 다수개의 분사구(미도시)가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팽창된 공기부력장치(150)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수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수위센서(160)는 보트(100) 내부 공간(I)에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내부 공간(I)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장치(170)는 수위센서(160)에 의해 개폐되어 보트(100) 내부 공간(I)에 유입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부력장치(150), 수위센서(160) 및 도어장치(17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자면, 보트(100)가 운전되는 동안 물은 내부 공간(I)에 유입하게 되는데, 유입되는 물의 깊이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수위센서(160)가 소리, 진동 또는 조명 등으로 구조원에게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를 전달받은 구조원은 보트(100)의 운행은 잠시 중지시키고, 분사구(미도시)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부력장치(150)를 팽창시킨다.
공기부력장치(150)가 팽창하게 되면, 도어장치(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내부 공간(I)에 유입된 물이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내부 공간(I)에 유입된 물이 다 배출되면, 도어장치(170)는 폐쇄되고, 팽창된 공기부력장치(150)는 분사구(미도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수축시킨다.
따라서, 공기부력장치(150), 수위센서(160) 및 도어장치(17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는 구조원이 직접가서 물을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H: 사람
I: 내부 공간
S: 조향장치
D: 운전석
1, 100: 보트
10, 110: 부력부
111: 제1 플레이트
111a: 손잡이홈
112: 제2 플레이트
112a: 보조손잡이
11, 120: 구동부
12, 130: 센서부
13, 140: 전장품부
13a, 141: 카메라
13b, 142: 스피커
13c, 143: 라이트
13d: 경광등
14: 손잡이
150: 공기부력장치
160: 수위센서
170: 도어장치
2: RC 장치
20: 전원버튼
21: 조작부
22: 속도제어부
23: 디스플레이부
24: 부력부작동버튼
3: 알림부

Claims (10)

  1. 인명구조보트에 있어서,
    선체 외관을 형성하며, 적어도 한명 이상의 익수자를 구조할 수 있는 보트 및
    상기 보트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트를 제어하는 RC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보트는,
    둘레면 또는 하나 이상의 일면에 형성되는 부력부;
    상기 보트가 구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보트로부터 익수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신호보내는 센서부;
    카메라, 스피커, 전원스위치, 라이트가 구비된 전장품부 및
    상기 익수자가 파지하여 상기 보트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부는,
    상기 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외측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 상면으로부터 회동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일단측 상면에 전후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홈 및
    상기 손잡이홈 내부면과 상응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 타단측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트는,
    하단에 설치되며 공기를 주입 후 팽창하여 물 위로 뜨게 하도록 형성된 공기부력장치;
    상기 보트의 내부 공간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내부 공간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보트의 내부 공간에 유입된 물을 배출하는 도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유입된 물이 다 배출되면, 상기 도어장치가 폐쇄되고 공기부력장치가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RC 장치는,
    상기 보트를 ON/OFF로 설정하여 상기 보트의 작동 및 중지하도록 형성되는 전원버튼;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작부 및
    상기 보트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를 포함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는,
    조향장치가 구비된 운전석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RC 장치와 결합되어 충전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RC 장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보트는,
    익수자 또는 익수자를 목격한 목격자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보트와 RC 장치로 전송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10. 삭제
KR1020180080548A 2018-07-11 2018-07-11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KR101956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48A KR101956507B1 (ko) 2018-07-11 2018-07-11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48A KR101956507B1 (ko) 2018-07-11 2018-07-11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07B1 true KR101956507B1 (ko) 2019-03-08

Family

ID=6580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48A KR101956507B1 (ko) 2018-07-11 2018-07-11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684A (zh) * 2020-05-09 2020-09-01 哈尔滨商业大学 一种岸基遥控救援溺水者的应急装置
CN116331449A (zh) * 2023-05-31 2023-06-27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用卷扬拖拽装置的救生艇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89Y1 (ko) * 1999-01-22 2002-01-18 사태형 무인 인명 구조 보트
KR200378562Y1 (ko) * 2004-12-23 2005-03-16 장근대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20100009213U (ko) * 2009-03-11 2010-09-24 (주)보고 단속선박
JP2013212771A (ja) * 2012-04-02 2013-10-17 Yamaha Motor Co Ltd 船舶
KR101482486B1 (ko) * 2011-04-07 2015-01-21 앤써니 씨. 멀리건 원격 제어되는 동력 구조 부표
KR20170001616U (ko)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문풀의 접이식 가이드 어레이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101812283B1 (ko) * 2017-03-22 2018-01-04 주식회사 제이엠보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및 수상 인명구조 시스템
KR20180001477U (ko) * 2016-11-09 2018-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해상 구조물의 침수 차단설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989Y1 (ko) * 1999-01-22 2002-01-18 사태형 무인 인명 구조 보트
KR200378562Y1 (ko) * 2004-12-23 2005-03-16 장근대 뚜껑이 구비된 절첩식 상자
KR20100009213U (ko) * 2009-03-11 2010-09-24 (주)보고 단속선박
KR101482486B1 (ko) * 2011-04-07 2015-01-21 앤써니 씨. 멀리건 원격 제어되는 동력 구조 부표
JP2013212771A (ja) * 2012-04-02 2013-10-17 Yamaha Motor Co Ltd 船舶
KR20170001616U (ko) * 2015-10-30 2017-05-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문풀의 접이식 가이드 어레이
KR101773596B1 (ko) * 2016-05-04 2017-08-31 김종철 비상시 침몰방지 및 전복방지 장치가 비치된 선박
KR20180001477U (ko) * 2016-11-09 2018-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해상 구조물의 침수 차단설비시스템
KR101812283B1 (ko) * 2017-03-22 2018-01-04 주식회사 제이엠보트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및 수상 인명구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5684A (zh) * 2020-05-09 2020-09-01 哈尔滨商业大学 一种岸基遥控救援溺水者的应急装置
CN111605684B (zh) * 2020-05-09 2021-01-19 哈尔滨商业大学 一种岸基遥控救援溺水者的应急装置
CN116331449A (zh) * 2023-05-31 2023-06-27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用卷扬拖拽装置的救生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01B1 (ko)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EP3041733B1 (en) Self-propelled craft
KR101801348B1 (ko) 해상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 시스템
US7056179B2 (en) Combination inflator and manifold assembly
KR10208161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ES2289418T3 (es) Controlador remoto inalambrico para yates.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KR101956507B1 (ko)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CN106628060B (zh) 无人救生船
CN107416148A (zh) 自寻式仿生智能救生圈
CN108583814A (zh) 一种水域救援设备
KR20170101644A (ko) 원격 및 수동제어가 가능한 투하식 팽창형 구명보트
KR20160095297A (ko) 구명벌의 자동 탈착 및 이를 이용한 완전 자동 구명벌 작동 시스템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JP2012116387A (ja) 水難救助用無線ヘリコプター及び水難者救助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RU2718826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лавучим спаса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на дистанционном управлении
KR100339056B1 (ko) 무인 원격 구명선
CN216580932U (zh) 一种水上智能救生系统
KR20190141972A (ko) 수상 조난자를 위한 선박용 구조장치
AU2002307962A1 (en) Sub aqua breathing system
KR102120587B1 (ko)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KR20150051272A (ko) 구조용 선박
KR102368566B1 (ko) 수중 활동 보조 장치
KR200260989Y1 (ko) 무인 인명 구조 보트
KR101653495B1 (ko)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