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95B1 -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 Google Patents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95B1
KR101653495B1 KR1020150067805A KR20150067805A KR101653495B1 KR 101653495 B1 KR101653495 B1 KR 101653495B1 KR 1020150067805 A KR1020150067805 A KR 1020150067805A KR 20150067805 A KR20150067805 A KR 20150067805A KR 101653495 B1 KR101653495 B1 KR 10165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further provided
rescue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림
Original Assignee
이계림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림, 김민주 filed Critical 이계림
Priority to KR1020150067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1Boats, rafts, buoy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reflectors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구난 상황을 전송하는 한 편 사람이 직업 투구할 수 있는 팽창식 구명 장비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의 인원을 탑승시키되 사람이 직접 던져 전개할 수 있고, 자동 고주파 송수신으로 인한 신속한 대인 구난상황 전송 및 구조를 가능케 할 수 있도록 장치를 게시하며,
상술한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부면 일측에 방수 하우징(110)이 구비된 케이스부(100)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구비된 한편, 일측면에 제어장치(230)가 구비된 배터리부(210)와, 상기 제어장치(2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제어 연결 송신부(231)와, 상기 제어 연결 송신부(231)에 의한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도록 일측면 상단에 제어 수신부(405)가 구비되고, 일측 하단에 솔레노이드(402)가 구비된 벨브부(400)와, 상기 솔레노이드(402)의 하단에 연결 구비된 봄베(B)로 구비되며, 상기 봄베(B)의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는 구명 리프트(70)가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호스(50)에 의해 공기압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연결호스(50)가 연결된 구명 리프트(70)의 일측단에 기류 증폭기(9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구난상황을 전송케 할 수 있는 구난 장치를 빠른 시간내에 발출하도록 하여 구조의 성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Throwing Liferaft of Rapid Inflatable With a Real Time device to Transfer disaster situations}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구난 상황을 전송하는 한 편 사람이 직업 투구할 수 있는 팽창식 구명 장비에 관한 것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의 인원을 탑승시키되 사람이 직접 던져 전개할 수 있고, 자동 고주파 송수신으로 인한 신속한 대인 구난상황 전송 및 구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투구형 스마트 팽창식 구명 뗏목에 관한 것이다.
해상 구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안은 구난 상황에 처한 선박과 승선객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일이고, 가급적이면 빠른 시간내에 위치 파악이 완료 되어야지만 성공적인 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업을 정상적으로 완료하지 못했을 때는 선박에 탑승한 인원이 사망케 되므로 발견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한 편, 이상과 같은 발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난자 또한 수색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구조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명벌, 구명환 등과 같은 장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구명벌은 다수의 인명이 한꺼번에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생존확률이 아주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언급한 구명벌에 관한 예시로써 일본 공개 특허공보 2002-544062호에 기술되어 있는 자동 복원과 팽창이 가능한 구명 뗏목을 참고할 수 있는데, 당해 기술과 같은 구명벌은 팽창 가능한 측벽과 측벽 사이에 위치한 바닥을 갖춘 뗏목 본체를 가지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팽창 가능한 튜브 부품은 뗏목 본체의 수직선상에서 정해진 각도로 뗏목 본체의 외주로 상향하고 다른 곳에도 뻗어 뗏목 본체의 한쪽에서 다른 측으로 늘어난 아크부를 형성하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한 편, 이상과 같은 장치를 통해 생존을 확보하는 한 편, 성공적인 구조를 위해 오랜 시간동안 정보와 상황을 해안 본부에 송신하도록 하여 생존 확률을 극대화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과제를 구현케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문헌은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04-189088호에 기술되어 있는 해난 구조 경보 장치 및 해난 구명 보트를 참고할 수 있다.
당해 기술의 요지는 전력 소진의 우려를 없애고 구조 정보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조난자의 현재 위치를 구조자에게 확실하게 답변할 수 있는 해난 구조 경보 장치 및 해난 구명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기와 구조 신호 발신기로 되어 구조 호치 수단과 상기 구조 호치 수단에 급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태양 전지와 충전기로 되어 전원 수단으로 구성되며, 구조 호치 수단과 전원 수단은 태양 전지에서 나오는 전력으로 충전된 충전기로부터의 급전으로 발광기에서 발광과 구조 신호 발신기에서 구조 신호 발신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오랜 시간동안 해상 본부에 통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구명벌과 같은 부양식 구명장치는 조류에 의해 휩쓸려 갈 수 있기 때문에 위치와 신원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를 해상 본부에 전송할 수 있어야 하는데, 언급된 기술들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수행할 때 시간이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다수를 수용케 할 수 있는 구명 장비는 별도의 조작이 필요한 한 편 기계적인 힘을 빌려야 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써, 실시간으로 구난상황을 전송케 할 수 있는 구난 장치를 빠른 시간내에 발출하도록 하여 구조의 성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을 얻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면 일측에 방수 하우징(110)이 구비된 케이스부(100)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구비된 배터리부(210)와, 상기 배터리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어장치(230)와, 상기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도록 하는 벨브부(400) 및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솔레노이드(402)와, 상기 솔레노이드(402)의 하단에 연결된 봄베(B) 및 상기 봄베(B)의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는 구명 리프트(70)가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호스(50)에 의해 공기압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편, 상기 연결호스(50)가 연결된 구명 리프트(70)의 일측단에 기류 증폭기(91)가 구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발출이 가능하며, 상기 구명 리프트(70)의 일측 상부면에 구비된 주파수 송신부(99)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난자가 있는 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발출된 구명 리프트(70)는 3명 내지 7명의 소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보다 신속한 수용을 위해 기류 증폭기(91)의 공기압 증폭을 통해 구명 리프트(70)를 보다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원 발명이 당면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원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구난상황을 전송케 할 수 있는 구난 장치를 빠른 시간내에 발출하도록 하여 구조의 성공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부(100)에서 구명 리프트(71)가 발출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부(100)의 개방 이전 상태를 도시한 실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부(100)의 내부 모습을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실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 하우징(110)의 외부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터리부(210) 및 제어장치(230)의 모습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명 리프트(70)의 일측단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 실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브부(400)의 외부 형태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브부(400)와 가스 오프너(480)의 내부 형태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 마개(591)가 포함된 마개부(590)의 충전단자(560) 방수구조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장치(230)와 그 주변 구성요소간의 결합 및 구성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배선도.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과 실시예를 토대로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내부면 일측에 방수 하우징(110)이 구비된 케이스부(100)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구비된 배터리부(210)와, 상기 배터리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어장치(230)와, 상기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도록 하는 벨브부(400) 및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 솔레노이드(402)와, 상기 솔레노이드(402)의 하단에 연결된 봄베(B) 및 상기 봄베(B)의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는 구명 리프트(70)가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호스(50)에 의해 공기압을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한편, 상기 연결호스(50)가 연결된 구명 리프트(70)의 일측단에 기류 증폭기(91)가 구비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간내에 발출이 가능하며, 상기 구명 리프트(70)의 일측 상부면에 구비된 주파수 송신부(99)에 의해 실시간으로 조난자가 있는 위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예를 토대로 장치에 의한 효과를 얻고자 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전원 버튼(235)을 누른 후, 벨브부(400) 전면에 구비된 개방 래버(410)를 올리면 상기 솔레노이드(402)가 열리고, 봄베(B)로부터 공기가 발출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케이스부(100)를 수면으로 던지거나 선박이나 건물 등의 제어실에 의해 장치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공기의 발출은 반드시 도 3 혹은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배터리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어장치(230)를 활성화 하여야 하며, 전원 버튼(235)을 통해 제어장치(230)를 활성화 시키거나, 상기 제어장치(23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된 안테나(240)를 통해 선박이나 건물 등의 제어실에서 원격으로 조종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제어장치(230)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 편, 활성화된 제어장치(230)는 사용하는 구명장치에 따라 솔레노이드(402)의 개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버튼(235)의 이격된 일측면에 조작 버튼(237)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장치(230)가 활성화 여부 및 벨브부(40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림LED(236)가 상기 전원 버튼(235)과 대응 이격된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장치(230)를 통한 벨브부(400)의 제어를 통해 구명 리프트(70)의 발출 시간 및 발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면 상단에 제어 수신부(405)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230)의 외주면 일측에 제어 연결 송신부(231)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장치의 구비를 통해 구명 리프트(70)를 작동케 함에 있어서, 상기 구명 리프트(70)의 일측 상부면에 구비된 주파수 송신부(99)가 상기 구명 리프트(70)가 모두 펼쳐진 이후 실시간으로 해안 본부에 상황과 위치를 송신하도록 하는데, 상기 주파수 송신부(99)는 20Mhz 내지 500Mhz에 속하는 대역의 저주파를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저주파는 주파수 도약과 같은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해안 본부로 상황과 위치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주파수 송신부(99)의 전원 공급 역시도 벨브부(40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 연결 송신부(231)로부터 전원 공급을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발출된 구명 리프트(70)는 3명 내지 7명의 소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보다 신속한 수용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기류 증폭기(91)의 공기압 증폭을 통해 구명 리프트(70)를 보다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류 증폭기(91)는 코안다(coanda)효과에 의해 구명 리프트(70)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임으로써 벨브부(400)에서 발출된 공기압을 12배 내지 25배로 늘려 공기압을 증폭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통상에 널리 유통되는 장치를 사용하게 되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이때 상술한 코안다 효과는 장치 내주면 측단부에서 유체가 흐를 때, 그 표면에 유체가 밀착 하면서 흐르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통한 예시로써 대한민국 등록 실용 공보 제 20-0253922호에 게시된 에어건과 같은 장치적인 설계 및 기술 실시를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적은 양의 공기만으로도 공기의 증폭 발출이 가능함으로써 구명 리프트(70)는 빠른 발출이 가능한 것이다.
한 편, 빠른 발출을 통해 전개된 구명 리프트(70)는 구난 상황에 처한 승선원들이 안전하게 올라타도록 상기 구명 리프트(70)의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손잡이부(71)가 더욱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선원의 구조 대기를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명 리프트(70)를 전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하우징(110)에 의해 구명 리프트(70)를 갈아 끼우기만 하면 여러번 반복 실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수 하우징(110)은 도 4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배터리부(210)와 제어장치(230)를 누전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해수면 위로 던졌을지라도 장치를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방수 플레이트(600)가 구비되도록 한다.
방수 플레이트(600)는 고무, 라텍스, 실리콘과 같은 신축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며, 일측 상면에 다수의 버튼 도포부(61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 버튼(235) 및 조작 버튼(237)의 빈 틈새로 해수 등이 스며들어 누전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LED의 발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LED도포판(620)이 상기 버튼 도포부(610)와 대응된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일측 상면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신축 합성 고분자 화합물로 제작되는 방수 플레이트(600)를 지탱할 수 있도록 지탱 플레이트(605)가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를 통해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면을 완전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밀봉 플레이트(609)가 구비된다.
이때, 밀봉 플레이트(609)와 지탱 플레이트(605)는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재질과 같은 경질 합성 고분자 혹은 금속재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와의 결합을 수행할 때 상기 밀봉 플레이트(609)와 지탱 플레이트(605)를 통한 압착으로 인해 방수 플레이트(600)의 부피가 일시적으로 증감케 함으로써, 상기 증감된 부피가 방수 플레이트(600)의 내주면을 막음으로써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배터리부(210)는 전력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 충전단자(560)가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내용과 같이 충전단자(560)에도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충전단자(560)의 외주면에 방수 링(570)이 끼워지고, 상기 충전단자(560)의 상면에 마개부(59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마개부(590)의 전면에 돌출 마개(591)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단자(560)로의 해수 유입 차단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방수 기능이 구비됨으로써 케이스부(100)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봄베(B)의 리필 역시 가능케 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벨브부(400)의 상단에 가스 오프너(480)가 구비되도록 한다.
가스 오프너(480)는 새로운 봄베(B)의 입구를 파괴 개방하도록 하여 봄베(B)를 벨브부(400)에 고유 존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오프너(480)의 내주면 상단에 스프링(482)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482)의 하단에 추진판(484)이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추진판(484)의 일측면에는 가지형 트리거(485)가 구비되고, 상기 가지형 트리거(485)를 타격할 수 있도록 트리거 버튼(489)이 가지형 트리거(485)의 이격된 일측단에 구비되는 한 편, 상기 가스 오프너(480)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사용자의 임의로 상기 스프링(482)의 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프링(482)의 힘을 이용하여 상기 추진판(484)의 전면에 구비된 니들(490)이 봄베(B)의 상단을 가격하여 터뜨릴 수 있는 것이다.
한 편, 이상과 같은 장치의 재 장전은 봄베(B)의 공기압으로도 가능케 할 수 있는데, 상기 니들(490)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 공압 챙(491)이 봄베(B)의 공기압을 받고 상면으로 올라가면서 스프링(482)을 밀어내므로 가지형 트리거(485)가 다시 장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 편, 이상과 같은 가스 오프너(480)를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402)를 개방하여 사용하여야 상기 솔레노이드(40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비된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빠른 속도로 구명 리프트(70)를 펼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한 대인 구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모든 구체적인 내용을 특허 청구범위에 의한 적법한 실시가 가능하도록 하며, 그에 자명하거나 본 요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범위가 존속 가능한 기한동안 유효하도록 할 수 있다.
50 : 연결호스 70 : 구명 리프트
71 : 손잡이부 91 : 기류 증폭기
99 : 주파수 송신부 100 : 케이스부
110 : 방수 하우징 210 : 배터리부
230 : 제어장치 231 : 제어 연결 송신부
235 : 전원 버튼 236 : 알림LED
237 : 조작 버튼 240 : 안테나
400 : 벨브부 402 : 솔레노이드
405 : 제어 수신부 410 : 개방 래버
480 : 가스 오프너 482 : 스프링
484 : 추진판 485 : 가지형 트리거
489 : 트리거 버튼 490 : 니들
491 : 공압 챙 560 : 충전단자
570 : 방수 링 590 : 마개부
591 : 돌출 마개 600 : 방수 플레이트
605 : 지탱 플레이트 609 : 밀봉 플레이트
610 : 버튼 도포부 620 : LED도포판
B : 봄베

Claims (12)

  1.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는 구명 리프트(70)와, 내부면 일측에 방수 하우징(110)이 구비된 케이스부(100)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구비된 한편, 일측면에 제어장치(230)가 구비된 배터리부(210)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전원 버튼(235)과, 상기 제어장치(230)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제어 연결 송신부(231)가 구비된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을 구성함에 있어서,
    일측 하단에 솔레노이드(402)를 구비하는 한 편, 일측면 상단에 제어 수신부(40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230)의 제어를 받도록 하는 벨브부(4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장치(230)를 통해 사용하는 구명장치에 따라 솔레노이드(402)의 개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원 버튼(235)의 이격된 일측면에 조작 버튼(237)이 더 구비되고,
    일측 상면에 다수의 버튼 도포부(610)가 구비된 방수 플레이트(600)가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에 더 구비되고,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 일측 상면에 다수의 버튼 도포부(6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하면에 지탱 플레이트(60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상면에 밀봉 플레이트(609)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버튼(235)과 대응 이격된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 알림LED(2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4. 제 1항에 있어서,
    벨브부(400)의 전면에 개방 래버(410)가 구비되고,
    벨브부(400)의 상단에 가스 오프너(4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5. 제 4항에 있어서,
    가스 오프너(480)의 내주면 상단에 스프링(48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482)의 하단에 추진판(484)이 더 구비되고,
    상기 추진판(484)의 일측면에는 가지형 트리거(485)가 구비되고,
    상기 가지형 트리거(485)의 이격된 일측단에 트리거 버튼(489)이 상기 가스 오프너(480)의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6. 제 5항에 있어서,
    추진판(484)의 전면에 니들(490)이 구비되고,
    상기 니들(490)의 상단 외주면에 공압 챙(491)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30)의 일측 상면에 안테나(2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8.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부(210) 일측면에 구비된 충전단자(560)가 상기 방수 하우징(110)의 상면에 노출 구비되고,
    상기 충전단자(560)의 외주면에 방수 링(570)이 끼워지는 한 편, 전면에 돌출 마개(591)가 구비된 마개부(590)가 상기 충전단자(560)의 상면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도포부(610)와 대응된 상기 방수 플레이트(600)의 일측 상면에 LED도포판(6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402)의 하단에 봄베(B)가 연결 구비되며,
    구명 리프트(70)가 상기 벨브부(400)의 일측단에 구비된 연결호스(50)에 의해 공기압을 받을 수 있도록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연결호스(50)가 연결된 구명 리프트(70)의 일측단에 기류 증폭기(91)가 구비되고,
    상기 구명 리프트(70)의 일측 상부면에 주파수 송신부(99)가 구비되고,
    구명 리프트(70)의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손잡이부(71)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1020150067805A 2015-05-15 2015-05-15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10165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05A KR101653495B1 (ko) 2015-05-15 2015-05-15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05A KR101653495B1 (ko) 2015-05-15 2015-05-15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495B1 true KR101653495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05A KR101653495B1 (ko) 2015-05-15 2015-05-15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24B1 (ko) * 2016-12-16 2018-06-21 대한민국 팽창식 구명장치의 스마트 다중 구동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251Y1 (ko) * 2002-01-07 2002-04-09 박용근 구명용 부구
KR20070095471A (ko) * 2005-07-19 2007-10-01 안미영 구명 조끼
KR101064610B1 (ko) *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투척형 구명튜브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251Y1 (ko) * 2002-01-07 2002-04-09 박용근 구명용 부구
KR20070095471A (ko) * 2005-07-19 2007-10-01 안미영 구명 조끼
KR101064610B1 (ko) * 2011-02-14 2011-09-15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투척형 구명튜브
KR20150001199U (ko) * 2013-09-11 2015-03-20 박훈근 가스 팽창식 튜브가 구비된 무인 구명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724B1 (ko) * 2016-12-16 2018-06-21 대한민국 팽창식 구명장치의 스마트 다중 구동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14B1 (ko)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KR101535401B1 (ko)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CN108454783B (zh) 一种带浮标的水下平台抛缆装置
KR101801348B1 (ko) 해상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 시스템
US6195039B1 (en) Location signalling apparatus
EP2594476B1 (en) Passive safety system and personal equipment on vessels for man-overboard situations
US10373469B2 (en) Autonomous people rescue system for vessels and shipwrecks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CN107902056B (zh) 一种智能救生圈释放装置
US9415847B2 (en) Man-overboard rescue and retrieval system
KR20170101644A (ko) 원격 및 수동제어가 가능한 투하식 팽창형 구명보트
AU2016203538A1 (en) "Aerobuoy". A flying personal flotation device.
CN109466726A (zh) 一种基于无人机平台的海上救援系统及救援方法
KR101653495B1 (ko)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101733752B1 (ko) 다기능 부이봇 시스템
KR102101816B1 (ko) 해상 구조용 무인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방법
CN109823493B (zh) 水上大规模人命快速救援方法
KR101956507B1 (ko)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KR102120587B1 (ko)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US9975614B2 (en) Person-in-the-water rescue and retrieval system
KR20180115649A (ko) 휴대가 용이한 수해 구조용 구명기구 발사장치
CN210212718U (zh) 一种快速定位精准救援的动力救生衣
US10850815B2 (en) Water rescue devices using expanding flotation nets and other expanding, body-gripping forms
KR200392304Y1 (ko) 익수자 구조용 소형 무선조종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