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10B1 - 투척형 구명튜브 - Google Patents

투척형 구명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10B1
KR101064610B1 KR1020110012841A KR20110012841A KR101064610B1 KR 101064610 B1 KR101064610 B1 KR 101064610B1 KR 1020110012841 A KR1020110012841 A KR 1020110012841A KR 20110012841 A KR20110012841 A KR 20110012841A KR 101064610 B1 KR101064610 B1 KR 10106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hrowing
compartment
guide por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어메딕
Priority to KR102011001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2Annular or U-shaped life-buoys intended to be thrown to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투척형 구명튜브에 관한 것으로, 투척시 접힌 상태이며 투척 후 팽창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가 접힌 상태에서 투척이 용이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부를 수용하며, 상기 튜브부의 팽창시 파손되는 덮개와, 상기 튜브부 내에 마련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이산화탄소를 팽창시켜 상기 튜브부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부와, 상기 튜브부가 원하는 위치에 투척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팽창장치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투척 후, 원격에서 조종되어 해상 또는 수상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투척 거리를 향상시켜 보다 먼 거리에 있는 조난자도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척형 구명튜브{Throw type lifebelt}
본 발명은 투척형 구명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투척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투척할 수 있도록 한 투척형 구명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튜브는 해상 또는 수상에서 조난을 당한 사람을 구하기 위하여, 공기가 충진된 수지재의 구명도구이며, 물 밖의 안전한 위치에서 조난자의 주변으로 투척하여 조난자가 구명튜브를 잡고 해상 또는 수상에서 떠 있을 수 있게 한다.
이처럼 해상 또는 수상의 조난자를 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명튜브는 특성상 공기가 충진된 상태로 조난자 주변으로 투척되어야 하나, 공기가 충진된 구명튜브는 투척시 공기의 저항을 받아 상대적으로 투척거리가 짧아 지상등의 안전이 확보된 투척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조난자는 구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요원은 구명튜브를 휴대하고 사고의 발생시 구명튜브를 투척하여 조난자를 구조하고 있으나, 공기가 충진된 구명튜브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여러개를 동시에 휴대할 수 없어, 조난자들이 많은 경우 또는 조난자들 사이의 거리가 상당히 떨어진 경우, 구명튜브가 부족하여 조난자들을 모두 구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척시 공기의 저항을 줄여 보다 먼 거리까지 투척할 수 있는 투척형 구명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휴대시에는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이며, 원하는 위치에 투척 후 팽창되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한 투척형 구명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투척된 구명튜브가 팽창할 때 소음과 열의 발생을 방지하여, 2차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투척형 구명튜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투척형 구명튜브는, 투척시 접힌 상태이며 투척 후 팽창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가 접힌 상태에서 투척이 용이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부를 수용하며, 상기 튜브부의 팽창시 파손되는 덮개와, 상기 튜브부 내에 마련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이산화탄소를 팽창시켜 상기 튜브부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부와, 상기 튜브부가 원하는 위치에 투척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팽창장치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 투척형 구명튜브는, 공기가 충진되지 않은 상태로 투척 후, 원격에서 조종되어 해상 또는 수상에서 팽창되도록 구성되어, 투척 거리를 향상시켜 보다 먼 거리에 있는 조난자도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투척형 구명튜브는 휴대시에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시의 구명튜브의 부피를 줄여 구조자 1인이 다수의 구명튜브를 휴대할 수 있어, 다수의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 투척형 구명튜브는 압축된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카트리지를 인플레이터로 격발할 때 발생하는 소음과 열을 줄여, 소음과 열에 의한 조난자의 2차 피해를 방지하며, 열에 의해 구명튜브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팽창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팽창장치부의 일실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인플레이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투척형 구명튜브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구명튜브의 투척후 팽창된 상태의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는, 휴대시 구형으로 접어 휴대하는 튜브부(10)와, 상기 튜브부(10)의 외측에서 튜브부(10)를 접은 상태로 수용하여 구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덮개부(40)와, 상기 튜브부(10)의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압축 이산화탄소를 상기 튜브부(10)에 팽창 공급하여 튜브부(10)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부(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팽창장치부(20)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콘트롤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튜브부(10)는 수지재의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안전을 위하여 2중 구조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부(10)는 팽창되었을 때 일반적인 도넛형의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투척과 휴대가 용이하도록 덮개부(40)에 접힌 상태로 수용된다.
상기 덮개부(40)는 실리콘 고무 또는 직물류일 수 있으며, 여러 조각을 밸크로 테이프 또는 단추로 부착하여 구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40)는 내부에 수용된 튜브부(10)가 팽창될 때 그 접착부분이 접착해제되어 튜브부(10)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튜브부(10)의 내부에는 팽창장치부(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팽창장치부(20)는 투척 후 구조자가 투척 위치가 정확한지 확인한 상태에서 리모트 콘트롤러(30)를 조작하면 압축 이산화탄소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천공을 형성하여 이산화탄소를 팽창시켜 그 튜브부(10)의 내부로 공급하여 그 튜브부(10)를 팽창시킨다.
도 3은 상기 팽창장치부(20)의 일실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팽창장치부(20)의 일실시예는, 리모트 콘트롤러(3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와, 상기 수신부(21)에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23)의 전원을 공급제어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전원부(23)의 전원을 공급받아 격발하여 압축 이산화탄소가 충진된 카트리지(24)에 천공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1)와 리모트 콘트롤러(30)는 적외선통신,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해진 주파수의 신호가 수신부(21)에 수신되면 제어부(22)는 건전지인 전원부(23)의 전원을 스위치를 통해 인플레이터(25)로 공급한다.
상기 인플레이터(25)는 내부에 화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부(23)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격발기에 의하여 그 화약이 폭발하면서 발생되는 압력으로 공이를 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24)에 천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팽창장치부(20)에 의하여 상기 튜브부(10)는 덮개부(40)를 파손시킴과 아울러 도 2와 같이 공기가 충진된 튜브의 형태로 팽창하여, 구난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팽창장치부(20)에 적용되는 인플레이터(25) 및 카트리지(24)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플레이터(25)는 일측에 격발실(110)이 마련되며, 그 격발실(110)의 타측으로 상기 격발실(110)보다 직경이 더 작은 제1 및 제2가이드부(120,130)가 연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20)에 다수의 압력해소구(1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120,130)의 외면에 마련된 방열핀(140)을 포함하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100)의 격발실(110)에 결합되어 압력의 누설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선(210)을 압력의 누설없이 상기 격발실(110)에 삽입되는 격발기(220)에 연결되도록 하는 상부캡(200)과, 상기 격발실(110)과 제1가이드부(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격발시 압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120)로 이동하는 공이고정부(310)와, 상기 공이고정부(310)의 저면부에 고정되며, 첨점부가 상기 제2가이드부(130) 내에 위치하는 공이(320)와, 격발 후 상기 공이(320)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330)와, 상기 바디부(100)의 제1가이드부(120)와 제2가이드부(130)의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120)와 제2가이드부(130)의 외면과의 사이에 격실(410)을 형성하는 측면케이스부(400)와, 압축가스를 저장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130)의 끝단에 결합되며, 격발시 하향 이동하는 상기 공이(320)에 의해 천공되어 가스를 상기 제2가이드부(130)로 배출하는 카트리지(24)와, 상기 제2가이드부(130)와 측면케이스부(400)의 측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24)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0)는 양단의 직경이 상이한 관상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바디부(100)의 일단은 직경이 더 크며, 그 직경이 더 큰 공간부에 화약이 충진되는 격발실(110)이 마련된다.
상기 격발실(110)의 개구부에는 상부캡(200)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캡(200)은 화약의 폭발에 대해서도 견고한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며, 외부에서 전류를 공급하는 전선(210)을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격발실(110) 내로 유입시키고, 그 격발실(110) 내에서 상기 전선(210)을 통해 공급된 전류가 통전되면서 열을 발생시켜, 화약을 격발하는 격발기(2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격발실(110)의 하부측의 바디부(100) 형상은 상기 격발실(110)이 내측에 마련되는 일단의 직경에 비하여 더 작은 직경으로 하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직경이 더 작은 타단측은 내측에 제1가이드부(120)와 제2가이드부(130)가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인 격발실(110)측으로 부터 연속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이(32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그 바디부(110)의 타단 외측에는 방열핀(140)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 방열핀(140)은 압축 가스가 팽창하여 공급될 때 온도가 낮아지며, 이 온도가 낮은 가스와 상기 격발시 발생하는 열을 열교환시켜 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발실(110)과 제1가이드부(120) 사이에는 공이고정부(31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그 공이고정부(310)의 아래쪽에는 공이(32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공이고정부(310)는 공이에 비하여 단면적이 넓어 상기 격발로 팽창하는 공기압력을 공이로 용이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20)와 제2가이드부(130)의 사이에는 중앙에 통공이 마련된 단턱(15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이(320)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걸림부(321)는 결합상태에서 단턱(150)의 아래에 접하여 공이(320)가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공이(320)의 걸림부(321)의 하부에는 압축된 상태에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330)가 마련되어 있으며, 공이(320)의 끝단은 카트리지(500)를 천공하기 위한 첨점부(322)를 구비한다.
상기 공이고정부(310)의 하부측 상기 제1가이드부(120)에는 상기 격발실(110) 내에서 팽창되는 공기의 압력을 해소하는 압력해소구(121)가 다수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압력해소구(121)는 격발실(110)에서 팽창 및 가열된 공기를 상기 격실(410)로 유도한다. 상기 격실을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측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120,130)의 외측에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측면케이스부(400)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이다.
상기 격발실(110) 내에서 화약이 폭발하면서 발생하는 공기의 팽창 압력에 의하여 공이고정부(310)와 공이(320)는 제1가이드부(120)와 제2가이드부(130)를 따라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공이(320)의 첨점부(322)는 상기 제2가이드부(130)의 끝단에 결합된 카트리지(24)에 천공을 형성한다.
이때 탄성부(330)는 압축된 상태이며, 상기 팽창되는 공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나, 상기 압력해소구(121)들을 통해 팽창되는 공기가 격실(410)로 유출되면서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탄성부(3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공이(320) 및 공이고정부(310)는 제1 및 제2가이드부(120,130)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카트리지(24)의 상부측은 공이(320)에 의해 천공이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된 압축 이산화탄소가 팽창 유출되어 배출부(600)의 배출공(610)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출된 이산화탄소는 튜브부(20)를 순간적으로 팽창시켜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팽창 유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상기 제2가이드부(130)의 내측에도 공급되어 바디부(100)의 하부측에 충진된다. 상기 압축 이산화탄소가 팽창되면서 온도가 매우 낮아지게 되며, 그 바디부(100)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격실(410)로 배출된 가열 팽창된 공기는 상기 격실내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낮아진다. 이때 방열핀(140)들에 의해 상기 가열 팽창된 공기와 온도가 낮은 이산화탄소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격발시 발생한 가열 팽창된 공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 팽창된 공기는 격실(410)을 지나면서 그 방열핀(140)들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어 배출속도가 저하되며, 따라서 열교환시간이 증가하여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도 현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즉, 상기 방열핀(140)들은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표면적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 팽창된 공기의 배기속도를 낮추고, 소음기의 역할을 하여 열과 소음을 동시에 줄일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격실(410)에는 흡음재를 더 충진시켜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으며, 가열 팽창하는 공기의 배출속도를 지연시켜 열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플레이터(25)는 소음과 열의 발생을 줄여 조난자의 2차 적인 피해를 방지하고, 열에 의해 수지재인 튜브부(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는,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 튜브부(10)의 외면에 릴선 연결부(11)를 마련하고, 릴(50)과 릴선을 통해 연결한 상태에서 투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릴선을 통해 상기 튜브부(10)의 투척 및 팽창 후, 조난자를 안전한 지상으로 구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의 다른 실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구명튜브는, 원기둥형의 덮개부(40)에 튜브부(10)가 수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구형 덮개부(40)와 동일한 작용으로 투척과 휴대가 용이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덮개부(40)는 튜브부(10)를 투척시 보다 먼 거리까지 투척될 수 있도록 공기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덮개부(40)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구형, 원기둥형, 다각형 기둥형 등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튜브부 20:팽창장치부
30:리모트 콘트롤러 40:덮개

Claims (5)

  1. 투척시 접힌 상태이며 투척 후 팽창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가 접힌 상태에서 투척이 용이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부를 수용하며, 상기 튜브부의 팽창시 파손되는 덮개와, 상기 튜브부 내에 마련되어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 이산화탄소를 팽창시켜 상기 튜브부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부와, 상기 튜브부가 원하는 위치에 투척되었을 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팽창장치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투척형 구명튜브에 있어서,
    상기 팽창장치부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공급제어하는 제어부; 및
    일측에 격발실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격발실에 비해 직경이 작은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가 연속으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외면에 다수의 방열핀이 마련되며, 상기 격발실과 인접한 상기 제1가이드부에 마련된 다수의 압력해소구를 구비하는 바디부와, 상기 격발실을 기밀시키며 전선을 상기 격발실내로 인입시켜 격발기를 격발시키는 상부캡과, 상기 격발실에서 격발시 가열 팽창되는 공기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의 끝단에 결합된 카트리지에 천공을 형성하고, 탄성부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공이 및 공이고정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외측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외면과의 사이에 격실을 제공하여, 상기 압력해소구들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 팽창된 공기와 상기 카트리지에서 방출되는 가스간의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측면케이스부와, 상기 측면케이스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마련된 바디부의 측면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카트리지에서 방출되는 가스를 상기 튜브부로 공급하는 배출부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격발되어, 압축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카트리지에 천공을 형성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투척형 구명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다수의 조각들이 상호 부착되어 상기 투척이 용이한 형태인 구형, 원기둥형, 다면체 또는 다각형기둥의 형태를 유지하며,
    상기 튜브부가 팽창될 때 상기 다수의 조각들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형 구명튜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의 외면에 릴선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릴선이 연결된 상태로 투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척형 구명튜브.
  4. 삭제
  5. 삭제
KR1020110012841A 2011-02-14 2011-02-14 투척형 구명튜브 KR10106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41A KR101064610B1 (ko) 2011-02-14 2011-02-14 투척형 구명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841A KR101064610B1 (ko) 2011-02-14 2011-02-14 투척형 구명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610B1 true KR101064610B1 (ko) 2011-09-15

Family

ID=44957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841A KR101064610B1 (ko) 2011-02-14 2011-02-14 투척형 구명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95B1 (ko) * 2015-05-15 2016-09-01 이계림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101702095B1 (ko) 2015-09-01 2017-02-03 주식회사 리치앤노블 구명용 에어밴드
KR20170003773U (ko) 2016-04-25 2017-11-02 윤기훈 다목적 발사기 구명 건
KR20200006467A (ko) 2018-07-10 2020-01-20 장동환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20200017148A (ko)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KR102129467B1 (ko) * 2019-05-29 2020-07-02 김강석 수상 인명구조용 튜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584A (ja) * 1992-12-08 1994-06-21 Shin Meiwa Ind Co Ltd 誘導式救助装置
KR20020023698A (ko) * 2001-12-07 2002-03-29 김형수 투척용 인명 구조환
KR100952995B1 (ko) 2009-08-21 2010-04-16 박용환 자동 공기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584A (ja) * 1992-12-08 1994-06-21 Shin Meiwa Ind Co Ltd 誘導式救助装置
KR20020023698A (ko) * 2001-12-07 2002-03-29 김형수 투척용 인명 구조환
KR100952995B1 (ko) 2009-08-21 2010-04-16 박용환 자동 공기주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495B1 (ko) * 2015-05-15 2016-09-01 이계림 실시간 구난 상황 송수신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투구형 쾌속 팽창식 구명 뗏목
KR101702095B1 (ko) 2015-09-01 2017-02-03 주식회사 리치앤노블 구명용 에어밴드
KR20170003773U (ko) 2016-04-25 2017-11-02 윤기훈 다목적 발사기 구명 건
KR20200006467A (ko) 2018-07-10 2020-01-20 장동환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20200017148A (ko)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KR102129467B1 (ko) * 2019-05-29 2020-07-02 김강석 수상 인명구조용 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610B1 (ko) 투척형 구명튜브
KR20190131322A (ko)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KR20150057525A (ko) 투척식 익수자 구명 장치
KR20170103257A (ko) 드론용 인명구조장치
CN103552536A (zh) 自动充气救生衣装置
KR101894203B1 (ko) 호흡용 공기취입식 후드
KR101526908B1 (ko) 투척용 구명장치
KR20090038053A (ko) 원터치 타입 자기팽창 튜브
JP3214415U (ja) エアバッグ機構
KR100842790B1 (ko) 구명튜브 및 구명튜브 발사장치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CN103552535A (zh) 自动充气救生衣
KR20170086920A (ko) 팽창부력재를 이용한 구명조끼
KR20180115649A (ko) 휴대가 용이한 수해 구조용 구명기구 발사장치
KR101555939B1 (ko) 인명구조장치
KR101066963B1 (ko)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KR102153627B1 (ko)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KR20160047115A (ko) 투척식 구명장비
KR102474256B1 (ko) 스마트 구명 장치
KR101943949B1 (ko)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KR200392304Y1 (ko) 익수자 구조용 소형 무선조종보트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