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39B1 - 인명구조장치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39B1
KR101555939B1 KR1020130048582A KR20130048582A KR101555939B1 KR 101555939 B1 KR101555939 B1 KR 101555939B1 KR 1020130048582 A KR1020130048582 A KR 1020130048582A KR 20130048582 A KR20130048582 A KR 20130048582A KR 101555939 B1 KR101555939 B1 KR 10155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generating agent
gas generating
reaction liquid
sepa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810A (ko
Inventor
백종태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씨아이제이
Priority to KR1020130048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39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2Annular or U-shaped life-buoys intended to be thrown to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난파 및 자연재해 등의 재난을 통해 발생되는 수중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달이 용이하고 대형 인명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어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는 투척에 의하여 조난자가 위치한 목표지점에 도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인명구조장치(1000)로서,
분리막(300)에 의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기체발생제(111) 및 반응액체(211)가 수용되며, 상기 분리막(300)의 파괴에 의하여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가 상호 반응하여 생성된 반응가스가 부력형성부(100)를 팽창시켜 부력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명구조장치 {Device for saving a life}
본 발명은 수중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난자에게 인명구조장치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여 인명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수중 재난 및 사고 등으로 발생하는 인명피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수중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천안함 사고를 비롯하여 지진, 해일, 유람선 난파 등의 재난 및 사고가 각 국가별로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재난으로 인해 대형 인명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여름철 물놀이 인파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고, 산업발전에 따라 레저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수상 레포츠가 다양해지고 이를 즐기는 사람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의식의 부족으로 다양한 수중 인명사고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인명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인명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명조끼, 구명튜브 등과 같은 인명구조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구명조끼의 경우는 몸에 착용해야 하는 것으로, 비착용자가 대부분인 현실을 감안할 때, 불시에 발생하는 수중 재난 구조용으로 활용하기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으며, 구명튜브는 일정 장소에 보관하여 구조용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부피가 큰 관계로 중.장거리 조난자에게 구명용품 전달이 불가한 단점이 있어, 수중 인명구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종래의 인명구조장치는 구조할 수 있는 사람의 수가 소수로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하여 다급한 상황에서 종래의 인명구조장치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특히, 대형 인명 사고가 발생할 경우 인명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피해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어린아이가 수중 재난을 당할 경우,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본인은 물론 주변 사람까지 익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즉, 어린이 물놀이, 수영 등과 같은 다양한 수중 인명사고 시, 구조를 위해 수중으로 뛰어든 사람까지 함께 인명피해를 입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대형 인명 구조를 위한 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선박 등의 난파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는 인명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세계적으로 대형 수중인명피해를 방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24844호(이하, 선행고안1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고안1은 휴대용 비상 튜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가스 저장부, 압축가스 공급부, 손잡이, 튜브 결합부, 튜브 및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가스 공급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여 외부의 충격이나 갑작스런 동작에도 정상적으로 튜브에 압축가스가 주입되는 기계적 신뢰도를 높이고,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부피의 감소로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비상 튜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고안1의 경우, 구명튜브와 유사한 인명구조장치로 공기주입의 신뢰도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겠으나, 휴대하지 않을 경우 전달이 용이하지 못하며,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많은 사람들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며, 중장거리 인명피해 및 대형 인명 구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인명구조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24844호 (2003.08.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놀이 인명피해, 또한 선박의 난파 및 자연재해 등의 재난을 통해 발생되는 수중 인명사고가 발생할 경우, 전달이 용이하고 대형 인명을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어 수중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중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1000)는, 투척에 의하여 조난자가 위치한 목표지점에 도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인명구조장치(1000)로서, 분리막(300)에 의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기체발생제(111) 및 반응액체(211)가 수용되며, 상기 분리막(300)의 파괴에 의하여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가 상호 반응하여 생성된 반응가스가 부력형성부(100)를 팽창시켜 부력을 획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공 모양의 복수 개의 부력형성체(120)와, 상기 부력형성체(120)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력형성체(1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기둥(130)과, 복수 개의 상기 부력형성체(120)들 사이에 실 또는 실타래 형태의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부력형성체(120)와 연결기둥(13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상기 기체발생제(111)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110)를 형성하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력형성부(100); 상기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내부 공간인 제2공간부(210)에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반응하는 반응액체(211)가 수용되는 액체수용부(200);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도록, 상기 제1공간부(110) 및 상기 제2공간부(210)를 격리 구획하는 분리막(300); 일측단이 상기 액체수용부(200)의 타측에 삽입되는 개방핀(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방핀(400) 일측단이 상기 제1공간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리막(300)이 파괴되어, 상기 제1공간부(110) 및 상기 제2공간부(210)가 연통되도록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며, 투척 직후 상기 분리막(300)이 파괴되도록 하거나, 또는 타이머를 내장시켜 상기 분리막(300) 파괴 시점을 조절하거나, 또는 높이감지센서를 구비시켜 분리막(300) 파괴시점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부력형성부(100)는,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반응하지 않은 단계에서는 오뚜기 형태, 또는 곤봉 형태, 또는 럭비공 형태, 송이버섯 형태, 타원 형태, 구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보관 또는 투척 시점에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되, 투척 후 목표지점 도착 시점에는 상기 부력형성부(100)의 팽창에 의하여 튜브 또는 그물 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기체발생제(111)는 물과 혼합될 경우 산소를 발생시키며, 상기 반응액체(211)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반응액체(211)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발사수단(500a, 500b)에 의하여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에 의하면, 부력형성부(100)가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난자에게 전달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기체발생제와 반응액체를 이용하여 기체를 발생시킴으로써, 압축용기 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장치가 간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는 상기 부력형성부의 형태에 의해 하나의 상기 인명구조장치로 많은 수의 조난자들을 구조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어, 소수의 물놀이 인명피해의 경우 또는 난파 및 자연재해와 같이 다수의 인명피해 등의 다양한 경우에 모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여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는 평상시에는 상기 부력형성부가 압축한 형태로 구비됨으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며, 또한 용이하게 투척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뿐 아니라, 공중에서 비행하는 동안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명구조장치의 투척에 의해 조난자가 부상을 당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부력형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부력형성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다른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의 또 다른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중인명구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단면도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는 부력형성부(100), 액체수용부(200), 분리막(300) 및 개방핀(400)을 포함한다.
상기 부력형성부(100)는 일측이 개구되며, 내부에 제1공간부(110)가 형성되는 매트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부(110)에는 기체발생제(111)가 수용되며, 상기 기체발생제(111)는 초과산화칼륨(KO2)과 산화망간(MnO), 이산화망간(MnO2) 등의 망간산화물과 산화규소(SiO2)을 혼합한 분말을 압축 가공해 제조한 고형물인 산소발생제이다. 상기 기체발생제(111)는 산소발생제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액체수용부(200)는 상기 부력형성부(100)의 개구된 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제2공간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수용부(200)는 일측이 상기 부력형성부(100)와 연결되며 타측이 폐쇄되되, 폐쇄된 측에 개방핀(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부(210)에는 상기 기체발생제와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응액체(211)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기체발생제는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발생제로 상기 반응액체(211)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력형성부(100)로의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반응성 및 부피 팽창력이 있는 이산화탄소 또는 탄산가스 등이 상기 반응액체(211)에 용해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액체(211)는 물 이외에도 상기 기체발생제와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상기 분리막(300)은 상기 부력형성부(100)와 상기 액체수용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평상시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가 혼합되어 반응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개방핀(400)에 의해 개방되기 쉬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핀(400)은 판 형상의 가압부(410)와 상기 가압부(4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개방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20)는 일단부가 상기 가압부(410)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상기 액체수용부(200)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상기 개방핀(400) 전체가 상기 액체수용부(200) 내부 및 부력형성부(100)까지 삽입될 경우, 상기 제1공간부(110)와 제2공간부(210)가 연통되도록 개방된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핀(400)은 평상시에는 상기 개방부(420)의 일부가 제2공간부(210) 내부에 삽입된다. 도 3(a)에 도시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410)를 가압할 경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부(420)가 모두 삽입되어 상기 분리막(300)을 개방한다. 상기 개방핀(400)은 상기 개방부(420)가 상기 분리막(30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삽입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사용자가 가압부(410)를 가압할 경우, 상기 개방부(420)가 상기 분리막(300)에 닿아 상기 분리막(300)을 개방하여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가 서로 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420)는 삽입홀과 상기 분리막(300)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핀(400)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되, 억지 끼움 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방핀(400)의 고정방법 및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 및 고정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를 이용함으로써, 압축용기 등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장치가 간소화 될 수 있으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력형성부(100)는 상기 분리막(300)이 분리되어 내부 공간부에서 산소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형성부(100)와 상기 액체수용부(200)는 연결되어 곤봉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공기저항이 감소되어 사용자가 장거리에 위치한 조난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용이할 뿐 아니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력형성부(100)는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반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오뚜기 형태, 곤봉 형태, 럭비공 형태, 구 형태, 타원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한 가스발생으로 압축된 부력형성부(100)의 부피가 증가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되어 부력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형성부(100a)를 나타낸 평면도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력형성부(100a)의 형태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상기 부력형성부(100a)는 구 형상의 복수개의 부력형성체(120)와, 상기 부력형성체(1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기둥(130)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부력형성체(120)와 복수 개의 연결기둥(13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제1공간부(110)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1공간부(110)에 기체가 발생하면 상기 부력형성부(100a)의 부피가 증가한다. 상기 부력형성부(100a)는 하나의 상기 부력형성체(120)가 중심을 이루며, 중심을 이루는 상기 부력형성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을 이루며 복수 개의 상기 연결기둥(130) 일단부가 연결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결기둥(130)의 타단부에는 다른 부력형성체(1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부력형성부(100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짐으로써, 한 명의 조난자를 구조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여러 명의 조난자를 동시에 구조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난파 및 자연재해 등의 재난으로 많은 조난자들이 조난될 경우에도 많은 조난자들을 신속하고 빠르게 구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력형성부(100a)는 상기 부력형성체(120)들 사이를 연결하는 실 형태의 연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연결기둥(130)의 타단부에 연결된 부력형성체(120)들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연결기둥(130)에 비해 조난자들이 상기 부력형성체(120)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끝이 오픈되어 있는 실타래처럼 풀어놓는 방식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40)는 물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내수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형성부(100a)는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형성부(100b)를 나타낸 평면도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형성부(100b)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형성부(100b) 역시 복수 개의 부력형성체(120)와 복수 개의 연결기둥(130)을 포함한다. 상기 부력형성부(100b)는 복수 개의 부력형성체(120)가 사각형태를 이루고 복수 개의 상기 부력형성체(120) 사이를 복수 개의 상기 연결기둥(130)이 연결하는 형태로 그물과 같은 형태이다. 상기 부력형성부(100b)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그물 형태 뿐 아니라,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남 없이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로,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1000)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사용자가 조난자에게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투척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로, 사용자는 개방핀(400)의 가압부(410)를 가압한 후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조난자에게 투척한다.
도 6(b)는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가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사용자가 투척하여 비행하는 동안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반응하여 공중에서 기체가 주입되어 부력이 형성된 부력형성부(100a)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상기 부력형성부(100a)가 압축된 상태로 조난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므로 압축된 부력형성부(100a)에 의해 조난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투척 즉시 상기 분리막(300)이 파괴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분리막(300) 파괴 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가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타이머 이외에도 높이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분리막(300) 파괴시점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에 따른 다른 사용을 나타낸 상태도로, 도 7 및 도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장치(1000)의 다른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난자에게 손으로 투척할 수도 있고, 또한 발사수단(500a, 500b)에 의하여 발사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발사수단(500a)이 석궁 형태인 것을 나타낸 상태도로, 사용자는 석궁 형태의 화살 대신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장착시켜 발사함으로써 보다 장거리 조난자에게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전달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발사수단(500b)이 대포 형태인 것을 나타낸 상태도로, 사용자는 대포 형태의 대포탄 대신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장전하여 보다 장거리의 조난자에게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를 전달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석궁 형태보다 더욱 장거리에 있는 조난자를 구조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상기 발사수단(500a, 500b)에 의해 발사됨으로써, 조난자가 장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1000)는 보다 효율적인 구조 활동을 위하여,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 일측에 위치감지센서를 배치하여, 조난시 조난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조난자 구조 활동이 지연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이란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확(harvest)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용하는 기능으로, 에너지 하베스팅의 주요 에너지원은 진동ㆍ사람의 움직임ㆍ빛ㆍ열ㆍ전자기파 등이다. 즉, 본 발명의 인명구조장치(1000)는 구조자가 부력형성부(100)에 의지하고 있을 경우, 손으로 작동시키는 왕복장치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인명구조장치
100 : 부력형성부
110 : 제1공간부 111 : 기체발생제
120 : 부력형성체 130 : 연결기둥
140 : 연결부
200 : 액체수용부
210 : 제2공간부 211 : 반응액체
300 : 분리막
400 : 개방핀 410 : 가압부
420 : 개방부
500a, 500b : 발사수단

Claims (13)

  1. 투척에 의하여 조난자가 위치한 목표지점에 도착하도록 이루어지는 인명구조장치(1000)로서,
    분리막(300)에 의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기체발생제(111) 및 반응액체(211)가 수용되며, 상기 분리막(300)의 파괴에 의하여 기체발생제(111)와 반응액체(211)가 상호 반응하여 생성된 반응가스가 부력형성부(100)를 팽창시켜 부력을 획득하도록,
    공 모양의 복수 개의 부력형성체(120)와, 상기 부력형성체(120)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력형성체(120)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기둥(130)과, 복수 개의 상기 부력형성체(120)들 사이에 실 또는 실타래 형태의 연결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부력형성체(120)와 연결기둥(13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상기 기체발생제(111)가 수용되는 제1공간부(110)를 형성하는 그물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력형성부(100);
    상기 제1공간부(1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내부 공간인 제2공간부(210)에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반응하는 반응액체(211)가 수용되는 액체수용부(200);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상호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도록, 상기 제1공간부(110) 및 상기 제2공간부(210)를 격리 구획하는 분리막(300);
    일측단이 상기 액체수용부(200)의 타측에 삽입되는 개방핀(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개방핀(400) 일측단이 상기 제1공간부(110)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리막(300)이 파괴되어, 상기 제1공간부(110) 및 상기 제2공간부(210)가 연통되도록 개방되도록 이루어지며,
    투척 직후 상기 분리막(300)이 파괴되도록 하거나, 또는 타이머를 내장시켜 상기 분리막(300) 파괴 시점을 조절하거나, 또는 높이감지센서를 구비시켜 분리막(300) 파괴시점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형성부(100)는
    상기 기체발생제(111)와 상기 반응액체(211)가 반응하지 않은 단계에서는 오뚜기 형태, 또는 곤봉 형태, 또는 럭비공 형태, 송이버섯 형태, 타원 형태, 구 형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보관 또는 투척 시점에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되, 투척 후 목표지점 도착 시점에는 상기 부력형성부(100)의 팽창에 의하여 튜브 또는 그물 형태의 형상을 가지며 부피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발생제(111)는 물과 혼합될 경우 산소를 발생시키며,
    상기 반응액체(211)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액체(211)는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발사수단(500a, 500b)에 의하여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명구조장치(1000)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능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장치.
KR1020130048582A 2013-04-30 2013-04-30 인명구조장치 KR101555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82A KR101555939B1 (ko) 2013-04-30 2013-04-30 인명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582A KR101555939B1 (ko) 2013-04-30 2013-04-30 인명구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10A KR20140129810A (ko) 2014-11-07
KR101555939B1 true KR101555939B1 (ko) 2015-09-25

Family

ID=5245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582A KR101555939B1 (ko) 2013-04-30 2013-04-30 인명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919A (zh) * 2020-07-23 2020-10-27 大庆长垣能源科技有限公司 防气窜金属密封裸眼封隔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165B1 (ko) * 2014-11-13 2016-07-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 수직이착륙 비행체의 부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무인 수직이착륙 비행체
CN106043628B (zh) * 2016-08-11 2017-11-24 林静仪 便携式水上救生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50Y1 (ko) * 2005-08-11 2005-10-19 이승훈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KR100842790B1 (ko) * 2007-01-15 2008-07-01 박순세 구명튜브 및 구명튜브 발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150Y1 (ko) * 2005-08-11 2005-10-19 이승훈 위치추적장치가 구비된 구명튜브
KR100842790B1 (ko) * 2007-01-15 2008-07-01 박순세 구명튜브 및 구명튜브 발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7919A (zh) * 2020-07-23 2020-10-27 大庆长垣能源科技有限公司 防气窜金属密封裸眼封隔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810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863B1 (ko) 어린이용 익수자 구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102250B1 (ko) 쓰나미 대피용 구명장치
US10358197B2 (en) Lifesaving rope apparatus, life jacket, and water lifesaving device
KR101555939B1 (ko) 인명구조장치
KR101779293B1 (ko) 화재진압과 인명구조가 가능한 다목적 무인비행체
US20150360759A1 (en) Safety Device and Inflating Apparatus Therefor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WO2014110632A1 (en) Safety device
CN106477005A (zh) 救生装置及救生手环
CN107585277A (zh) 一种落水救生网枪
CN206885297U (zh) 延展式救生圈
CN110371275A (zh) 一种自动防溺水救生手环
US6129036A (en) Water-pressure sensitive dye release apparatus
CN101870347A (zh) 游泳时佩戴的带救生圈功能的手表
KR20180115649A (ko) 휴대가 용이한 수해 구조용 구명기구 발사장치
CN205022831U (zh) 便捷式自动充气防溺手环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CN216603852U (zh) 一种基于人机工程学的多功能救生舱
CN107010185A (zh) 延展式救生圈
CN206107519U (zh) 一种防溺水腰带
CN107499475A (zh) 一种落水救生枪
KR102120587B1 (ko) 투척형 장구함이 구비된 자동 팽창 구명장구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KR101914490B1 (ko) 구조용 튜브
RU1774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расывания спасательного надувного плота с борта суд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