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594B1 -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 Google Patents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594B1
KR101285594B1 KR1020120001377A KR20120001377A KR101285594B1 KR 101285594 B1 KR101285594 B1 KR 101285594B1 KR 1020120001377 A KR1020120001377 A KR 1020120001377A KR 20120001377 A KR20120001377 A KR 20120001377A KR 101285594 B1 KR101285594 B1 KR 10128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lastic body
air
state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533A (ko
Inventor
최주헌
Original Assignee
최주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주헌 filed Critical 최주헌
Priority to KR1020120001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5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2Annular or U-shaped life-buoys intended to be thrown to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35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deployment of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공기 주입구; 그리고 상기 공기 주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둘둘 말린 상태로 상기 튜브가 압축되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해제된 후 투척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튜브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은 탄성체의 압축에 따라 튜브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압축된 상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구난자에게도 원거리 투척이 가능하여 구조 능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팽창시키는 튜브에서 발생하는 불발 및 폭발 등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TUBE}
본 발명은 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튜브의 투척 사거리를 향상시키고 투척후에는 튜브 내부에 구비된 탄성체의 자동 팽창에 따라 튜브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물놀이 사고시 인명 구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계절과 상관없이 해상 레포츠나 물놀이를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해상 레포츠나 물놀이를 하는 경우 뜻하지 않는 사고로 인하여인명사고가 발생하곤 한다. 인명사고의 경우 대부분이 수영 미숙으로 인하여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물놀이용 튜브가 훼손되거나 놀이배 등의 전복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구명용 도구들이 물놀이 장소에 비치되어 익사자의 구명을 도우고 있다. 구명용 도구의 예로는, 튜브 등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명용 도구로서의 튜브는 구난이 필요로 한 구난 요구자의 위치로 정확하게 던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튜브 자체의 부피가 커서 사용자가 정확하게 파지하는 것이 불편하다. 또 튜브 자체는 비닐지에 에어가 충진된 구성으로 가볍기 때문에, 투척시 쉬게 바람에 날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멀리 그리고 구난 요구자가 있는 위치로 정확하게 투척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따라서 인명사고 발생과 같이 시급한 경우에도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기 위하여 튜브를 복수 번에 걸쳐 투척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 구명용 튜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큰 부피로 인하여 휴대가 불편하였다. 이는 구명용 튜브가 비치된 곳으로 인명 구조범위가 한정될 수밖에 없는 취약한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 구명용 튜브는 오랜 시간 방치될 경우 내부에 충진된 에어가 빠져 구난이 필요한 때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튜브 상태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는 운용 경비가 증가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에 대해 종래 구명용 튜브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적 반응을 통해 자동으로 팽창되는 튜브를 인명구조용 튜브로 사용하는 예가 있다. 이는 튜브를 원거리까지 던질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튜브보다는 인명 구조 능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자동 팽창되는 튜브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튜브몸체의 내부에 가스발생원료분말을 소정량 충진하고, 이를 액상 약품의 화학반응에 따라 가스를 발생시켜 튜브 몸체를 팽창시킨다. 또는 튜브내에 특정 고체의 혼합물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질소가스가 생성되도록 하고 그 질소가스에 의하여 압축된 상태의 튜브를 팽창시킨다.
하지만, 상기의 튜브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자동 팽창되는 것이기 때문에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수도 있다. 이는 제조공정에 따른 문제이거나 보관상에 따른 문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또는 튜브 내에 충진된 약품에 의하여 팽창이 필요한 때가 아닌 시점에 튜브가 폭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않거나 임의 시점에 폭발하는 경우, 인명 구조용 튜브로서의 기능을 성실하게 수행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성이 용이하고, 원거리까지 투척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자동 팽창하는 튜브가 가지는 불발 및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하면서도 튜브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튜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공기 주입구; 그리고 상기 공기 주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둘둘 말린 상태로 상기 튜브가 압축되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해제된 후 투척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튜브의 형태를 형성하게 되는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가 제공된다.
상기 튜브내의 공기 주입량의 증대를 위하여 상기 탄성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상기 탄성체의 팽창에 의해 상기 튜브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마개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외부 마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튜브는 탄성체의 압축에 따라 튜브 자체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압축된 상태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구난자에게도 원거리 투척이 가능하여 구조 능력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는 탄성체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한 자동 팽창 기능에 따라 튜브가 팽창되어 튜브 외형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화학약품 등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팽창시키는 튜브에서 발생하는 불발 및 폭발 등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나은 안전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튜브가 압축되어 미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튜브가 팽창되어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몸체(11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110)는 튜브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110)는 통상 구명튜브에서 사용되는 탄성력이 있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비닐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탄성체(12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120)는 몸체(110) 내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압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체(120)의 예로 메모리폼과 같은 재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20)에는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홈(122)은 튜브내의 공기 주입량의 증가를 위한 것이다. 이렇게 탄성체(120)의 표면에 홈(122)을 형성하면 튜브 전체의 질량을 줄이면서도 튜브 내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홈(122)는 상기 탄성체(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된 형태이고, 그 크기도 상기 탄성체(120)의 외주면의 길이에 비례하여 다르게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서는 상기 홈(122)이 탄성체(120)의 한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외주면을 따라 측면 및 후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홈(122) 대신에 상기 탄성체(120)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도면에는 미도시함)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홀 역시 상기 홈(122)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공기 주입구(13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주입구(130)는 그 공기 주입구(130)를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 마개(132) 및 내부 마개(도면 미도시)가 2중으로 구비된다. 상기 내부 마개는 일반적인 튜브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튜브가 완전하게 팽창이 되면 상기 탄성체(1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공기 주입구(130)의 내부 입구를 차단하여 공기 출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내부 마개는 상기 탄성체(120)가 팽창될 때에만 상기 공기 주입구(130)의 내부 입구를 닫게 되고, 이외에는 상기 공기 주입구(130)가 개방되도록 열려져 있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외부 마개(132)는 사용자나 구난자가 직접 공기 주입구(130)의 외부 입구에 끼워 공기 주입구(130)를 차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구(130)가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이유는 튜브가 투척된 후 빠른 시간에 몸체(110)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튜브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튜브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쌍의 고정부재(140a)(140b)가 구비된다. 즉, 상기 튜브를 둘둘 만 상태에서 튜브내의 탄성체(120)가 팽창되지 않도록 튜브의 둘레를 감싸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재(140a)(140b)는 밸크로나 벨트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140a)(140b)는 사용자가 직접 고정상태를 해제해야 한다.
상기 튜브의 몸체에는 길이 조절용 벨트(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길이 조절용 벨트는 구난자가 자신의 몸의 일부에 걸거나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튜브가 구난자의 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의 사용 예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튜브가 압축되어 미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튜브가 팽창되어 사용시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튜브가 미사용된 예는 도 2와 같다.
튜브는 일단에서부터 둘둘 말린 후 튜브 몸체(110)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고정부재(140a)(140b)에 의하여 둘둘 말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공기 주입구(130)의 외부 마개(132) 및 내부 마개는 열림 상태로서 튜브가 둘둘 말릴 때 튜브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튜브가 최대한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만큼 튜브의 부피는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튜브가 도 2와 같이 되면, 다른 구명용 도구에 비하여 휴대성 및 보관이 용이하다.
그러한 상태에서 튜브가 사용될 수 있는 환경, 예컨대 사람이 물에 빠져 구조를 요청할 경우의 튜브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일단, 사람이 물에 빠져 구조를 요청하게 되면, 구조자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고정부재(140a)(140b)를 해제한 후 구난자에게 투척한다. 이때 고정부재(140a)(140b)가 해제된 상태라도 튜브는 대략 원형으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자는 멀리 있는 구난자에게 정확하게 투척이 가능하다.
튜브가 구난자에게 투척된 후에는 상기 튜브는 탄성체(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점차 팽창되며, 아울러 상기 탄성체(120)에 의한 상기 튜브의 외부 및 내부의 기압차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마련된 공기 주입구(130)를 통해 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0)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 홈이 미 형성될 때보다 공기 주입량이 증대되어 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압축된 상태의 튜브는 구난자에게 투척된 후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원기둥 형상이 되고, 상기 탄성체(120)의 팽창이 완료되면 내부 마개는 상기 탄성체(120)에 의해 상기 공기 주입구(130)의 내부 입구를 닫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튜브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압축된 상태의 튜브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대략 원기둥 형태의 튜브가 되고, 구난자는 상기 튜브를 잡음으로써 부력을 얻게 된다. 한편, 구난자는 상기 튜브를 잡은 상태에서 튜브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공기 주입구(130)의 외부를 외부 마개(132)로 닫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난자는 몸체에 구비된 길이 조절용 벨트를 자신의 가슴이나 팔 등에 걸이 고정시킴으로써, 구조 시간이 길어지거나 다른 외부 환경으로 인해 정신을 잃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튜브를 놓치는 일이 없어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몸체 120 : 탄성체
122 : 홈 130 : 공기 주입구
132 : 외부 마개 140a, 140b : 고정부재

Claims (3)

  1. 튜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체;
    상기 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 공기 주입구; 그리고
    상기 공기 주입구가 열린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둘둘 말린 상태로 상기 튜브가 압축되면,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튜브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해제된 후 투척되면, 상기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튜브의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내의 공기 주입량의 증대를 위하여 상기 탄성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거나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에는 상기 탄성체의 팽창에 의해 상기 튜브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마개가 형성되고, 외부에는 외력에 의해 개폐되는 외부 마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KR1020120001377A 2012-01-05 2012-01-05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KR10128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77A KR101285594B1 (ko) 2012-01-05 2012-01-05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377A KR101285594B1 (ko) 2012-01-05 2012-01-05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533A KR20130080533A (ko) 2013-07-15
KR101285594B1 true KR101285594B1 (ko) 2013-07-17

Family

ID=48992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377A KR101285594B1 (ko) 2012-01-05 2012-01-05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48A (ko) *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534B1 (ko) * 2018-11-20 2022-02-08 강동호 물놀이용 튜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15Y1 (ko) 1998-04-01 2001-09-17 박수영 에어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015Y1 (ko) 1998-04-01 2001-09-17 박수영 에어쿠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148A (ko) *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KR102153628B1 (ko) * 2018-08-08 2020-09-0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533A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3130B1 (ko) 수상 스포츠 팽창 조끼
US4280239A (en) Self righting, automatically inflatable life raft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KR20160125681A (ko) 자동 구명튜브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EP3577020B1 (en) Extensible life-preserving device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US2869151A (en) Buoyant belt
KR20140130839A (ko) 자동 구명튜브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102133378B1 (ko) 수상용 인명구조 장치
US4498880A (en) Hurlable water rescue aid
KR200260119Y1 (ko) 인명구조용 에어조끼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101905691B1 (ko) 팽창식 부력가방
JP2002264890A (ja) 個人用救命ボート
KR101227043B1 (ko) 구명조끼
KR200458268Y1 (ko) 안전 구명튜브
KR20200006467A (ko)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101278134B1 (ko) 구명장치
KR20160047115A (ko) 투척식 구명장비
US9193421B1 (en) Safety device to quickly locate a drowning victim
KR20200017148A (ko) 탄성 팽창 부력체
KR20180063476A (ko)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