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311B1 -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311B1
KR101489311B1 KR20130149327A KR20130149327A KR101489311B1 KR 101489311 B1 KR101489311 B1 KR 101489311B1 KR 20130149327 A KR20130149327 A KR 20130149327A KR 20130149327 A KR20130149327 A KR 20130149327A KR 101489311 B1 KR101489311 B1 KR 101489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tube body
air
tension sp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진
권정연
노재성
Original Assignee
강혜진
권정연
노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진, 권정연, 노재성 filed Critical 강혜진
Priority to KR2013014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35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deployment of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팽창튜브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팽창공간부를 형성한 튜브본체; 상기 팽창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본체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 상기 튜브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부재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튜브본체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용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튜브본체를 신속 및 정확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체를 튜브본체 내에 충전시킬 수 있어 상기 튜브본체의 부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팽창튜브{EXPANSION TUBE FOR SAVING LIFE}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팽창튜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튜브를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팽창된 튜브를 재사용하기 위한 정비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강, 호수, 바다 등에서 물놀이 또는 낚시 등의 다양한 수상 레져스포츠를 즐기고 있다.
특히, 물놀이 또는 수상 레져스포츠를 즐기는 과정에서 수영이 미숙한 사람들의 경우 익사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익사사고 발생시 신속한 구명을 위하여 바다 및 호수 등에는 구급차원에서 지역단체에서 제공되는 안내판과 함께 튜브가 비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튜브는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구성으로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원거리에 위치한 구난자에게는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구난자에게 튜브를 용이하게 투척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형태의 구난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는 외부로부터 기체가스를 공급받아 팽창하는 튜브(10)와, 상기 튜브(10)에 대하여 기체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탱크(30)와, 상기 가스주입탱크(30)의 가스를 개폐단속하는 안전핀(2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는 상기 튜브(10), 가스주입탱크(30), 및 안전핀(20)은 상호 복잡한 기계적 연동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작동 신뢰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주입탱크(30)는 반복적으로 가스를 충전해야하는 비용발생 및 정비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는 가스주입탱크(30)의 무게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원거리 투척이 가능하나 그 거리가 10m이상을 넘기기 힘들며, 바람, 비 등의 환경변화에 따라 구난자 위치로 정확하게 투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24844호(2003.08.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튜브를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팽창된 튜브를 재사용하기 위한 정비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는, 내부에 팽창공간부를 형성한 튜브본체; 상기 팽창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본체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 상기 튜브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부재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튜브본체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용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공기유입부재는 튜브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튜브본체 팽창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는 상기 팽창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입부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심부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는 외주 둘레에 주름부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양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마감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의 결합공 내측 둘레에는 상기 튜브본체의 팽창시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폐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착용 스토퍼는 상기 튜브본체의 양측단부를 가압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용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유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용 플레이트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는 원격조종용 수송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의 외주 둘레는 안전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 그물망의 테두리에는 부상용 부유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본체를 복수로 구성하여 넓고 큰 확장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본체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과, 상기 튜브본체 내부로 외기를 주입하는 공기유입부재 및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에 의한 상기 튜브본체가 팽창시키는 탈착용 스토퍼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상기 튜브본체를 신속 및 정확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체를 튜브본체 내에 충전시킬 수 있어 상기 튜브본체의 부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텐션스프링을 이용한 튜브본체의 팽창구성은 상기 튜브본체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정비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용 팽창튜브는 내부에 팽창공간부(101)를 형성한 튜브본체(100)와, 상기 팽창공간부(101)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본체(100)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200)과, 상기 튜브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기유입부재(300)와,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탈착용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튜브본체(100)는 내부에 기체가 충전되는 팽창공간부(101)를 형성한 것으로, 물에 가라앉지 않고 뜰 수 있도록 된 부유체이다.
여기서, 상기 튜브본체(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막대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넛(donut) 모양의 원호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튜브본체(100)는 외주 둘레에 주름부(111)를 형성한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 양측단에 결합되며 후술할 공기유입부재(300)가 결합되는 결합공(121)을 형성한 마감캡(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주름부(111)는 후술할 텐션스프링(200)에 의한 상기 몸체부(110)의 압축 및 팽창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13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고정플레이트(130)의 중심부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의 직경에 대응하는 고정홀(131)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마감캡(120)의 결합공(121) 내측 둘레에는 상기 튜브본체(100)의 팽창시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폐부재(140)가 형성된다(도 5참조).
즉, 상기 탄성밀폐부재(140)는 평상시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에 접하는 간섭이 사라지면, 상기 마감캡(120)의 결합공(121)을 폐쇄시켜 상기 팽창공간부(101) 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며, 이 공기 압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밀폐부재(14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텐션스프링(200)은 상기 팽창공간부(10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튜브본체(100)를 압축 및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텐션스프링(200)은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일측 마감캡(120)에 밀착되고 타단은 타측 마감캡(120)에 밀착되어 외부의 압력에 의해 압축작용하고, 압축이 소멸되면 팽창작용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는 상기 튜브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외부의 기체를 상기 튜브본체(100)로 주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흡입구(30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심부분에는 상기 흡입구(30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0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302)는 공기유입부재(300)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는 상기 튜브본체(100)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튜브본체(1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튜브본체(100) 팽창시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는 상기 팽창공간부(101) 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텐션스프링(200)의 팽창작용에 의해 상기 튜브본체(100)가 팽창하는 동안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를 통해 외부의 기체를 흡입하여 상기 튜브본체(100)의 팽창공간부(101)의 팽창압력을 높임으로써, 그에 따른 상기 튜브본체(100)의 부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용 스토퍼(400)는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20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200)의 복원력으로부터 상기 튜브본체(100)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용 스토퍼(400)는 상기 튜브본체(100)의 양측단부를 가압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용 플레이트(410)와,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용 플레이트(410)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고정핀(420)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공기유입부재(300)에는 상기 고정핀(420)을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고정핀(420)을 제거하면 상기 텐션스프링(200)을 압축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력이 소멸됨에 따라 상기 가압용 플레이트(410)는 텐션스프링(200)의 팽창하는 탄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로부터 이탈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튜브본체(100)의 외주 둘레는 안전 그물망(500)의 구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 그물망(500)은 익사사고에 처한 구조자를 향해 원거리 투척시 튜브본체(100)가 구조자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낙하하더라도 상기 안전 그물망(500)이 펼쳐지는 넓은 반경을 이용하여 상기 튜브본체(100)를 구조자 쪽으로 신속히 잡아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안전 그물망(500)의 테두리에는 부상용 부유물(510)이 설치하여 안전 그물망(500)이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본체(100)는 복수로 구성하여 넓고 큰 확장형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도 7참조).
이는 일정 해상 지역에 다수의 구조자가 발생할 경우, 다수의 구조자를 동시에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튜브본체(100)의 구성에 따른 크기가 넓어질수록 그에 비례하여 인명구조 수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튜브본체(100)는 원격조종용 수송장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람이 직접 튜브본체(100)를 투척하는 것보다 원격조종용 수송장치인 비행기 또는 보트를 이용할 경우보다 신속 정확하게 튜브본체(100)를 구조자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튜브본체(100)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200)과, 상기 튜브본체(100) 내부로 외기를 주입하는 공기유입부재(300) 및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20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300)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200)에 의한 상기 튜브본체(100)를 팽창시키는 탈착용 스토퍼(400)를 각각 구성함으로써, 상기 튜브본체(100)를 신속 및 정확하게 팽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기체를 튜브본체(100) 내에 충전시킬 수 있어 상기 튜브본체(100)의 부상능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텐션스프링(200)을 이용한 튜브본체(100)의 팽창구성은 상기 튜브본체(100)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정비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튜브본체
110 : 몸체부
120 : 마감캡
130 : 고정플레이트
140 : 탄성밀폐부재
200 : 텐션스프링
300 : 공기유입부재
400 : 탈착용 스토퍼
500 : 안전 그물망

Claims (11)

  1. 내부에 팽창공간부를 형성한 튜브본체;
    상기 팽창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튜브본체를 압축 및 팽창 가능하게 하는 텐션스프링;
    상기 튜브본체의 일측과 타측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부재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평상시 상기 텐션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며, 구난자 발생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로부터 이탈하여 텐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튜브본체가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용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공기유입부재는 튜브본체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튜브본체 팽창시 상기 공기유입부재는 상기 팽창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부재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심부분에는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는 외주 둘레에 주름부를 형성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양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유입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마감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의 결합공 내측 둘레에는 상기 튜브본체의 팽창시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유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밀폐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용 스토퍼는 상기 튜브본체의 양측단부를 가압 상태로 밀착되는 가압용 플레이트와, 상기 공기유입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용 플레이트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는 원격조종용 수송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의 외주 둘레는 안전 그물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그물망의 테두리에는 부상용 부유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본체를 복수로 구성하여 넓고 큰 확장형 형상으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20130149327A 2013-12-03 2013-12-03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101489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327A KR101489311B1 (ko) 2013-12-03 2013-12-03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9327A KR101489311B1 (ko) 2013-12-03 2013-12-03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311B1 true KR101489311B1 (ko) 2015-02-06

Family

ID=5259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9327A KR101489311B1 (ko) 2013-12-03 2013-12-03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3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80B1 (ko) *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놀이용 안전 튜브장치
KR102113421B1 (ko) * 2019-04-05 2020-05-20 박주현 드론용 구명튜브
KR20200062611A (ko) 2018-11-27 2020-06-04 유한회사 손수다혜 수상 인명구조장비용 긴급전원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221Y1 (ko) 2005-09-06 2005-11-15 손행숙 구명 튜브
KR101323748B1 (ko) 2012-06-25 2013-10-31 주식회사 콘텐츠파크 투척용 구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221Y1 (ko) 2005-09-06 2005-11-15 손행숙 구명 튜브
KR101323748B1 (ko) 2012-06-25 2013-10-31 주식회사 콘텐츠파크 투척용 구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80B1 (ko) * 2016-06-29 2017-10-2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놀이용 안전 튜브장치
KR20200062611A (ko) 2018-11-27 2020-06-04 유한회사 손수다혜 수상 인명구조장비용 긴급전원공급장치
KR102113421B1 (ko) * 2019-04-05 2020-05-20 박주현 드론용 구명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0914A1 (en) Water rescue device
KR101624055B1 (ko) 수상 인명 구조용 튜브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KR101091823B1 (ko) 수상 인명구조장치
KR20110135569A (ko) 팽창전개식 구조튜브
CN201816734U (zh) 大覆盖面远投式救生圈
KR101803042B1 (ko) 드론용 인명구조장치
CN102700693A (zh) 一种水上营救用救生圈
KR101791587B1 (ko) 다수 인명 구조장치
US9259368B2 (en) Patient transporter with sponsons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KR101680700B1 (ko) 휴대용 투척식 구명 장치
US20140261149A1 (en) Contingency notification and assistance device for divers in distressed situations
IT201700010263A1 (it) Dispositivo salvagente estensibile
CN202163605U (zh) 快速充气腰带式水中应急救生圈
JP3959496B2 (ja) 個人用救命ボート
KR10145707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KR101325811B1 (ko) 팽창식 구명동의의 가스공급장치
KR200458268Y1 (ko) 안전 구명튜브
KR200411573Y1 (ko) 수난 인명구조기
KR101285594B1 (ko) 자동팽창 기능을 갖는 튜브
KR101227043B1 (ko) 구명조끼
CN206141794U (zh) 一种充气救生圈
JP3201727U (ja) 浮力体及びこれを用いた救命具
CN104085514A (zh) 一种救生装置及救生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