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573Y1 - 수난 인명구조기 - Google Patents

수난 인명구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573Y1
KR200411573Y1 KR2020060000454U KR20060000454U KR200411573Y1 KR 200411573 Y1 KR200411573 Y1 KR 200411573Y1 KR 2020060000454 U KR2020060000454 U KR 2020060000454U KR 20060000454 U KR20060000454 U KR 20060000454U KR 200411573 Y1 KR200411573 Y1 KR 200411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air
tube
air supply
rescu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철
Original Assignee
이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왕철 filed Critical 이왕철
Priority to KR2020060000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5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미숙 등으로 인한 익사사고가 발생될 때에 신속한 구조(救助)를 위한 안전성과 정확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익사자 인명구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수단과 구난자(救難)에게 정확히 도달되는 긴 호스로 구성되는 안내수단과 함께 구난자를 부상시킬 수 있는 에어튜브의 구난수단을 구성하여 위급시에 에어를 공급함으로 기다란 호스가 빨리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고 구난자가 구난튜브에 의해 구조받은 후 지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난수단을 구비한 수난 인명구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난요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로의 구난용구를 제공하여 지상으로의 안내 및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구난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수단과 공급에어의 방출에 의해 구난요구자에게 정확히 도달되는 긴 호스로 구성되는 안내수단과 함께 구난자를 부상시킬 수 있는 구난 부상튜브의 구난수단 및 구난자를 지상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성하여 위급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수난 인명구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난자(救難) 구조(救助)구명부이(life lines)

Description

수난 인명구조기{The rescue apparatus for saving live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의 (a)는 본 고안 안내수단의 단면도.
(b)와 (c)는 본 고안의 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의 (a)(b)(c)(d)(e)(f)는 본 고안의 구난수단을 보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은 도 4의 (f) 확대단면도.
도 6의 (a)는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과의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b)는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정면도.
(C)는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이 압축에어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안내수단과 구명수단의 절첩 및 권선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내수단 11; 에어공급튜브 20; 구난수단
21; 부상튜브 22; 생명줄 30; 이송수단
31; 구명줄 40; 에어공급수단 41,41-1; 송풍기
42; 출구 44; 체결수단 45; 작크
46; 클립 50; 압축에어수단 51; 케이스
52; 개폐부 55; 고정수단 56; 체결판
본 고안은 저수지, 호수 또는 바다, 강 등에서 수영미숙 등으로 인한 익사사고가 발생될 때에 신속한 구조(救助)를 위한 안전성과 정확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익사 인명구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수단과 구난자(救難)에게 정확히 도달되는 긴 호스로 구성되는 안내수단과 함께 구난자를 부상시킬 수 있는 에어튜브의 구난수단을 구성하여 위급시에 에어를 공급함으로 기다란 호스가 빨리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고 구난자가 구난튜브에 의해 구조받은 후 지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난수단을 구비한 수난 인명구조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여름철에 더위를 피하기 위한 물놀이와 강이나 호수에서의 천렵(川獵) 또는 호수 등에서의 낚시 또는 해빙기에 얼음타기 등 많은 사람들은 물가에서의 놀이를 자주 즐기게 된다.
이러한 물가 놀이에서는 부득이 물로의 익수를 하게 되고 이때에 수영미숙 또는 물놀이기구인 튜브, 놀이배 등의 전복에 의한 긴급한 익사자가 자주 발생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익사사고의 신속한 구명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구명용 도구들을 구 난요구자에게 긴급히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사고에 사용하도록 호수 등에는 구급차원에서 지역단체에서 제공되는 안내판과 함께 튜브와 로우프가 비치되고 있다.
상기 구명도구로 휴대한 비닐튜브는 비닐지에 에어가 충진된 구성으로 가볍고 바람에 날려 멀리 그리고 구난요구자의 위치로 정확한 전달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이와 달리 지방단체에서 비치한 구명부이(life lines)나 끈, 기다란 나뭇가지를 제공하나 상기 구명부이는 무겁고 끈이 매달려 요구자의 위치로 전달이 어렵고 나뭇가지는 그 길이가 한정되어 깊이 위치된 구난요구자에게 도달되는 않는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개선된 신기술에 의한 구난용구들이 알려지고 고안된 바 있다.
일예로 미국에서 수입되는 발사형태의 가스팽창식 튜브(일명 구조로켓탄)가 최근에 수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구난도구는 발사장치와 가스팽창식튜브 및 가스팽창식 튜브를 내장하기 위한 포탄형 하드케이스로 이루어져 발사장치에 에어를 충전시킨 후 에어의 힘으로 하드케이스를 발사하고, 물에 입수되면서 튜브에 부착된 가스가 폭발하여 튜브를 팽창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켓탄은 원거리 익수자에게 신속한 긴급구호수단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발사장치 등의 구성요소가 고가 장비로서 전문구조용으로만 이용되고 일반대중들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과,
착지위치가 구난요구자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의 재발사에 따른 준비과정이 복잡하여 소요 시간이 길어 신속히 구난 효과에 한계가 있다.
또한 발사장치는 에어의 충전량에 따라 사거리가 매우 불규칙하고, 정확성이 떨어져 익수자로부터 멀리 빗나가는 사례가 많은 문제점 및 수입에 의존되어 고가의 외화낭비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국내특허 공개번호 2002년 0023698호의 투척용 인명 구조환에서는 손으로 잡고 쉽게 던질 수 있도록 한 크기의 케이스 내에 가스팽창식 튜브를 채운 구명환을 제시하여 휴대와 투척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바 이는 단순히 투척용으로 한정된 바 있어 이러한 구성에서도 투척의 편리성만이 증대되고 있고 그 정확성이나 안전성 및 신속성이 결여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외의 여러 구난용구들이 있으나 이들도 익수자가 미리 착용하는 것 또는 투척용으로 구성되어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지 못하다.
특히, 종래의 구난용구들은 투척 등에 의해 구난요구자에게 제공되면 구난요구자 스스로 구명용구의 위치로 이동과 함께 제공된 구난용구를 이용하여 피난을 하게 되고 이때에 요구자는 이미 탈진된 상태에서 스스로 헤쳐나와야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긴장과 많은 힘을 소모하여 정신이 혼미한 탈진상태에서의 신속한 피난이 어렵고 이로 인한 2차적인 탈진으로 구난용구에서의 이탈 등으로 구난을 받지 못하게 되어 생명을 잃게 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구난요구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로의 구난용구를 제공함과 제공 후 구난요구자를 지상으로의 안내 및 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구난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수단과 공급에어의 방출에 의해 구난요구자에게 정확히 도달되는 긴 호스로 구성되는 안내수단과 함께 구난자를 부상시킬 수 있는 구난튜브의 구난수단 및 구난자를 지상으로 신속히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성하여 위급시에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로 제공되어 구난요구자의 구난과 함께 주변의 인명구조자로부터의 도움에 의하여 신속하게 지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 공급으로 펼쳐지는 기다란 호스의 안내수단을 구비하여 에어충진으로 펼치지는 호스가 구난요구자에게 정확히 이동되도록 함과,
상기 호스의 단부에는 확장 또는 구난자의 안전한 탑승을 위한 부상튜브와 다수의 생명줄(life lines))을 구성시켜 구난요구자가 쉽게 생명줄을 잡고 부상튜브에 승선 및 몸을 지탱시켜 주는 구난수단과,
상기 구난수단에는 지상으로 연결된 기다란 구명줄을 구성시켜 구난수단의 구난요구자를 지상에서 당겨 신속히 안전한 지상으로의 이송을 할 수 있는 이송수단를 구성하며 상기 에어튜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은 호스에 체결되어 호스 내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기 또는 호스단부에 고압축통을 내재시켜 고압축에어의 방출에 의한 에어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안내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구난수단을 보인 실시예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과의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의 (C)는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이 압축에어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요부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에어의 주입으로 펼쳐지는 기다란 관형의 에어공급튜브(11)로 구성된 안내수단(10)을 구성하여 에어충진으로 펼쳐지는 안내수단(10)이 구난요구자에게 정확히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에어공급튜브(11)는 비닐지의 양단을 열융착과 함께 통상의 관형의 호스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내수단(10)과 일체로 단부에는 확장된 크기로 구난요구자의 안전한 탑승을 위한 부상튜브(21)와 다수의 생명줄(22)을 외주연으로 구성시켜 구난요구자가 쉽게 생명줄(22)을 잡고 부상튜브(21)에 승선 및 몸을 지탱시켜 주는 구난수단 (20)을 일체로 구성된다.
이때 구난수단(20)은 일정한 크기인 구난요구자가 승선할 때의 부상력이 발휘되고 또한 구난요구자가 편리한 승선과 승선후의 안전성이 충족되는 형상 및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난수단(20)에는 지상으로 연결된 기다란 구명줄(31)을 1 이상 구성시 켜 구난수단(20)을 구난요구자의 위치로 이동과 구난수단(20)에 승선한 구난요구자를 지상에서 당겨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의 이송을 할 수 있는 이송수단(3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튜브(11)로 구성되는 구난수단(30)의 일측에는 AC 또는 DC전원 모터로 연동되는 송풍기(41) 및 유류를 이용한 동력기 송풍기(41-1)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40)으로 구성되어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상과 함께 본 고안의 에어공급수단(40)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에어공급튜브(11)의 단부측에 케이스(51)로 형성된 압축에어통을 구성시켜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52)의 작동에 따른 개폐로 압축에어를 에어공급튜브(11)로 방출시켜 에어공급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압축에어통은 교체가능하도록 한 압축에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1)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5)으로 체결판(56)과 체결못(57)을 구성되고 또는 지상의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로우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공급수단(40)(50)은 출구(42)를 가지며 출구(42)의 외주면에는 에어공급튜브(11)와 교합되는 체결수단(44)이 구성되어 착탈을 이루게 되며 체결수단(44)은 작크(45), 클립(46) 또는 매직테이프 등을 이용한 착탈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에어공급수단(40)의 출구(42)에 결합된 에어공급튜브(11)와 부상튜브(21)는 부상튜브(21)에서부터 권선 또는 가지런히 절첩되어 에어공급으 로 용이하게 풀림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미도시된 케이스 또는 용이한 풀림이 가능한 묶음으로 구성되며 에어공급수단(40)과 일체로 이동이 편리하도록 보관된다.
미설명부호 48은 전원코드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안내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구난수단을 보인 실시예의 평면도 및 도 6은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과의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수, 강 또는 바닷가 등의 물놀이 장소에 공지와 같이 비치되고 또는 119구급요원들에게 구난장비로 제공된다.
물가에서 물놀이 또는 수상보트 등을 이용한 수상스포츠를 즐길 때 수영미숙 또는 놀이기구의 전복 등으로 익수 구난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에 본 고안을 이용한 구난요구자를 구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본 고안 에어공급수단과 일체로 에어공급튜브 및 부상튜브가 가지런히 절첩된 상태의 본 고안의 구조기를 물가로 이동하고 방향을 구난요구자의 방향으로 설정하여 포장케이스의 탈거 또는 묶음끈을 풀고 전원 또는 DC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로 연동되는 팬을 구동함으로서 송풍기(41)에 의한 에어를 방출하게 된다.
상기 방출되는 에어는 출구(42)에 결합된 에어공급튜브(11)로 공급되면서 에어공급튜브(11)를 팽창시키고 권선된 에어공급튜브는 팽창에 의해 펼쳐지면서 풀림 과 함께 에어공급튜브(11)가 전면으로 길고 빠르게 펼쳐져 구난요구자의 위치로 정확히 이동하여 그 끝단 구난수단(20)이 구난요구자의 근접위치에 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에어의 공급으로 팽창되어 권선이 풀림되는 에어공급튜브(11)는 실험결과 약 50m의 경우 약 1분 내에 펼침됨으로 신속한 구난을 기대할 수 있고 펼침시간은 송풍기의 확대 또는 동력원의 크기에 따라 보다 빠른 펼침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에 바람이나 물결 및 파도에 의한 영향을 받아 구난요구자의 위치를 벗어나게 되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구난수단(20)에 고정된 구명줄(31)을 양측에서 당겨 조절함으로 구난수단의 부상튜브(21)가 구난요구자에게 근접시켜 구난요구자가 쉽게 생명줄(22)을 잡을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이동된 구난수단(20)의 부상튜브(21)를 구난요구자가 잡고 구조를 기다리거나 또는 요구자가 크고 넓은 부상튜브(21) 위로 승선하여 안정을 취할 수 있고 또는 근접위치의 또 다른 구난요구자 위치로 구명줄(31)에 의한 이동으로 함께 구조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구난장비로 동시에 1 이상의 구난요구자를 구조할 수 있는 특징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 의해 구조된 구난요구자가 승선한 부상튜브(21)를 지상에서 구명줄(31)로 당겨 구난요구자를 지상으로 이송하게 됨으로 긴장과 탈진으로 진치 구난요구자를 안전하게 구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 의해 구난요구자를 안전하게 구조하며 다음 사용을 위하여 에어공급 수단(40)의 송풍기(41)에서 에어공급튜브(11)를 분리시켜 부상튜브(21)에서부터 권선시킴으로 부상튜브(21)와 구명줄(31) 및 에어공급튜브(11)가 일체로 권선됨과 함께 충진에어를 제거하게 되고 이와 같은 권선 후에 다시 에어공급튜브(11)의 입구측을 송풍기(41)에 결합하여 보관함으로 긴급한 상황에서 빠르게 본 고안을 사용할 수 있게 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과 안전성 및 사용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의 에어공급튜브(11) 및 부상튜브(21)는 견고성이 있는 또는 직물지와 열융착된 비닐지 등 공지의 수상안전기준에 접합한 비닐 등을 사용하여 양단을 열융착시켜 관체로 구성하는 에어공급튜브(11)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에 에어공급튜브(11) 및 부상튜브(21)는 도 1과 2에서와 같이 양단이 열융착되는 단순관체 및 부상튜브와 함께 안전성 및 구난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공급튜브(11)를 다수의 열융착부를 구성시켜 넓은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상구성은 구난요구자가 상기 넓은 판상으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또는 구조자가 탈진상태의 구난요구자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 구난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되고 권선상태에서 에어충진에 의한 펼침이 용이하고 빠르게 소망위치로 펼쳐지는 직진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내수단(10)으로 통상의 호스관으로 구성하면 관체가 적어 빠른 에어공급을 이룰 수 있게 되는 특징이 발휘된다.
이러한 선택은 호수, 강 등의 지역적 여건에 따라 선택구성되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는 약 10~100m 까지 구분된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구성하 고 설치장소에 따라 길이를 구분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튜브(11)와 일체로 구성되는 부상튜브(21)는 도 5에서와 같이 넓고 큰 확장형으로 구성되어 구난요구자가 상기 부상튜브(21)에 승선하여 안정을 취할 수 있으며 구조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 휴식과 안전성이 충족되어야 하며 특히 부상튜브(21)의 외주면에는 구난요구자가 쉽고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다수의 생명줄(22)을 구비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구난수단(20)에는 지상으로 연결된 기다란 구명줄(31)을 1 이상 구성시켜 구난수단(20)을 구난요구자의 위치로 이동과 구난수단(20)에 승선한 구난요구자를 지상에서 당겨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의 이송을 할 수 있는 이송수단 (30)을 구성한다.
상기 에어공급튜브(11)로 구성되는 구난수단(30)의 일측에는 AC 또는 DC전원 모터로 연동되는 송풍기(41) 및 유류를 이용한 동력 송풍기(41-1)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40)으로 구성되어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는 사용장소에서의 사용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일예로 호수, 저수지 등에는 전원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DC전원을 이용하는 송풍기의 사용과 또는 산간벽지 등에서는 엔진을 이용하는 동력송풍기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함께 본 고안의 에어공급수단(40)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공급튜브(11)의 단부측에 케이스(51)와 체결되고 상기 케이스(51)에는 공지의 고압축 에어통을 구성시킨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52)의 작동에 따라 압축에어가 에어공급튜브 (11)로 방출됨으로 에어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고압축에어통은 교체가능하도록 한 압축에어수단(50)으로 전원이 없는 장소 또는 고압축방출에 따른 빠른 펼침작용의 증대와 함께 특히 가볍고 이송이 용이하여 많은 구난자를 구조하는 119 등에서의 구조요원들의 사용에 한층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51)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수단(55)으로 체결판(56)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에 체결못(57)으로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요구된다.
즉, 고압축에어가 빠르게 방출되고 빠른 펼침되는 에어공급튜브(11)의 이동힘으로 하중이 가벼운 케이스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태풍 등의 기후조건에서 바람에 의해 가벼운 기체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체부를 지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기체부에 로우프 등으로 지상의 고정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로우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공급수단(40)(50)은 출구(42)를 가지며 출구(42)의 외주면에는 에어공급튜브(11)를 착탈하는 체결수단(44)이 구성되어 에어공급튜브(11)의 착탈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착탈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에어의 누출이 적은 구조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작크(45) 또는 클립(46) 또는 매직테이프 등을 이용한 착탈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빠르고 안전한 연결 및 에어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요구한 다.
상기 압축에어를 사용 또는 용량이 적은 송풍기를 이용할 때의 다량의 에어를 신속히 공급하지 못할 때에 공급된 에어가 역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에어공급튜브(11) 또는 부상튜브(21)의 출구측에 도면에 미도시된 에어개폐밸브를 구성시켜 충진효과를 높일 수 있고 적은량의 에어로 충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에어공급수단으로 전원과 동력송풍기 또는 고압에어로 펼침 및 부상되는 구난수단을 신속하게 구난요구자에게 정확히 제공시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빠른 구난을 할 수 있는 작용과 탈진상태의 구난요구자를 빠르고 안전하게 지상으로의 안내이송 및 구난수단의 부상튜브에 의한 안전한 피신을 하도록 하는 특징과 구성이 송풍기와 여기에 체결되는 에어공급튜브 및 일체로 구성되는 부상튜브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한 특징에 의한 대량생산과 사용에 따라 긴급한 익사사고를 예방 및 구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전원과 동력송풍기 또는 고압에어로 에어를 공급하여 펼침 및 부상되는 구난수단의 에어튜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난요구자에게 제공시켜 긴급을 요하는 상황에서의 빠른 구난을 할 수 있는 효과와 탈진상태의 구난요구자가 안전한 생명줄을 잡고 부상튜브에 승선하는 긴급구난과 부상튜브에 고정된 구명줄의 조절에 의한 부상튜브의 이동으로 구난요구자에게 이송과 구명줄에 의한 지상으로의 긴급이송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 긴급상태의 탈진 구난요구자를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으며
에어공급수단과 에어공급튜브 및 부상튜브에 구명줄로 구성되는 간편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한 특징을 발휘하며 특히 물놀이 등에서의 긴급한 익사사고를 예방 및 구조할 수 있어 국민생명을 보호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0)

  1. 에어충진튜브로 구성되는 통상의 인명구조에 있어서,
    공급에어의 주입으로 펼쳐지는 기다란 에어관으로 구성되는 안내수단(10)과
    상기 안내수단과 일체로 단부에 확장된 크기의 승선 및 몸을 지탱시켜 주는 구난수단(20)과,
    상기 구난수단(20)에는 지상으로 연결된 기다란 이송수단(30)과,
    상기 안내수단(10)과 구난수단(20)에 에어를 공급시켜 에어를 충진하는 에어공급수단(40),(50)으로 이루어지는 수난 인명구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0)은 공급에어의 주입으로 펼쳐지는 기다란 관형의 에어공급튜브(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0)과 일체의 단부에 확장된 크기로 구난요구자의 안전한 승선을 위한 부상튜브(21)와, 부상튜브(21)의 외주연으로 복수의 생명줄(22)을 구성하는 구난수단(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수단(20)에는 지상으로 연결된 기다란 구명줄(31)을 1 이상 구성시켜 구난요구자의 위치로 이동과 구난요구자를 지상에서 당겨 신속히 이송을 할 수 있는 이송수단(3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난수단(30)의 에어공급튜브(11)와 체결되는 출구(42)를 구성한 송풍기(41)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도록 한 에어공급수단(40)으로 구성되는 수난 인명구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튜브(11)의 단부측에 케이스(51)로 형성된 압축에어통을 구성시켜 외부로 노출된 개폐부(52)의 작동에 따른 개폐로 압축에어를 에어공급튜브 (11)로 방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에어수단(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수단(40)(50)은 출구(42) 외주면에는 에어공급튜브(11)와 교합되는 체결수단(44)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튜브(11)와 부상튜브(21)는 부상튜브(21)에서부터 권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튜브(11)는 열융착과 접착에 의하여 1 이상의 복수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 인명구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튜브(11), 부상튜브(21)에 에어누출방지밸브를 구성하여서 되는 수난 인명구조기.
KR2020060000454U 2006-01-06 2006-01-06 수난 인명구조기 KR200411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54U KR200411573Y1 (ko) 2006-01-06 2006-01-06 수난 인명구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54U KR200411573Y1 (ko) 2006-01-06 2006-01-06 수난 인명구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573Y1 true KR200411573Y1 (ko) 2006-03-15

Family

ID=4176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54U KR200411573Y1 (ko) 2006-01-06 2006-01-06 수난 인명구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5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49A1 (ko) * 2016-08-31 2018-03-08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KR101874455B1 (ko) * 2016-10-27 2018-07-04 대한민국 구명장치
IT201900014088A1 (it) * 2019-08-06 2021-02-06 Giaro S N C Di Roberto E Gianluca Giaro Dispositivo galleggiante per il salvataggio di individui in acqua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849A1 (ko) * 2016-08-31 2018-03-08 (주)우성아이비 해난 구조 시스템
CN108137144A (zh) * 2016-08-31 2018-06-08 宇成I.B.股份有限公司 海难救助系统
CN108137144B (zh) * 2016-08-31 2019-08-02 宇成I.B.股份有限公司 海难救助系统
KR101874455B1 (ko) * 2016-10-27 2018-07-04 대한민국 구명장치
IT201900014088A1 (it) * 2019-08-06 2021-02-06 Giaro S N C Di Roberto E Gianluca Giaro Dispositivo galleggiante per il salvataggio di individui in acqu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501B2 (en) Inflatable aquatic rescue collar
CA2114283C (en) Inflatable rescue ramp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DK159610B (da) Oppumpelig redningsflaade
JP3566726B2 (ja) 人命救助具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US20150197323A1 (en) Wearable and buoyant life saving apparatuses
US7918701B2 (en) Buoyancy and rescue device
KR200411573Y1 (ko) 수난 인명구조기
KR100938925B1 (ko) 조난 구조용 구명대
US7347757B1 (en) Rescue apparatus and method
KR20170107689A (ko) 다수 인명 구조장치
KR20030083895A (ko) 수난 인명구조기
US11097817B2 (en) Marker, recovery and flotation device
US20040217563A1 (en) Rescue sled
US11787518B2 (en) Backboard inflatable rescue device
KR20180014892A (ko) 안전 수영복
KR20230113115A (ko)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KR20230113114A (ko) 구명튜브 겸용 인양장비
CZ37500U1 (cs) Záchranný prostředek
GB2487738A (en) An inflatable life saving grabb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