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15A -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 Google Patents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15A
KR20230113115A KR1020220081699A KR20220081699A KR20230113115A KR 20230113115 A KR20230113115 A KR 20230113115A KR 1020220081699 A KR1020220081699 A KR 1020220081699A KR 20220081699 A KR20220081699 A KR 20220081699A KR 20230113115 A KR20230113115 A KR 2023011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uoyancy mat
mat
inject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이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원 filed Critical 이정원
Publication of KR2023011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평상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형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뛰어나고, 익수자 발생시 구조 방향을 향해 선박 또는 해안가에서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길게 펼쳐짐에 따라 익수자 방향으로 정확하게 구명튜브가 전달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선박에 지지되는 사다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의식이 있는 익수자나 의식이 없는 익수자 또는 다수의 익수자 모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는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1 부력매트와, 상기 제 1 부력매트의 단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2 부력매트와, 상기 제 1 부력매트와 제 2 부력매트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제 1 부력매트가, 그 타측에는 상기 제 2 부력매트가 각각 연결되되 중앙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력매트 측으로 주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2 부력매트 측으로 일방향 주입되게 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LIFESAVING TUBE FOR DROWNING MAN}
개시된 내용은 수면 위에 에어튜브를 길게 펼쳐서 익수자가 수상에서 붙잡을 수 있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영미숙 등으로 수상에서 익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익수자를 신속하게 구조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익수자를 구조하는 방식은 구조원이 익수자에게 다가가 익수자를 직접 구조선박이나 뭍으로 데리고 나오거나, 익수자 근처로 튜브 등을 던져서 익수자가 튜브 등을 붙잡은 이후에 구조를 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방식은 생명의 위급함 속에 익수자가 구조원을 붙잡아 구조원의 구조작업을 어렵게 만들 수 있고, 구조원도 익사할 위험이 있다. 후자의 방식은 익수자가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튜브 등을 직접 붙잡을 수 있는 상태이어야 한다.
구조원의 안전을 보장하면서 익수자를 구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5669호(2014.05.15 공고)에는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명릴과 구명릴에 그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김되고 인출되는 한편 구명릴에서 인출 시 그 내부로 에어 공급 수단에 의한 에어가 충진되는 구명튜브를 포함하는 구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구명튜브를 감는 구명릴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지고 구명튜브가 길게 형성되어 수면 위에 펼쳐지는 경우에 한 쪽으로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익수자나 구조원이 구명튜브를 붙잡은 후에 구명튜브를 다시 구명릴에 감아 익수자나 구조원을 인양할 때 내부에 공기로 가득착 구명튜브를 신속하게 감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성이 향상되고, 수면 위에 펼쳐진 경우에도 구명튜브가 휘어지지 않아 익수자의 위치로 향할 수 있는 구명튜브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익수자나 구조원의 인양 시에 구명튜브를 신속하게 감을 수 있는 구명튜브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5669호(2014.05.15.)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04280호(2016.09.05)
평상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형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익수자 발생시 구조 방향을 향해 선박 또는 해안가에서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길게 펼쳐질 수 있으며, 사다리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1 부력매트와, 상기 제 1 부력매트의 단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2 부력매트와, 상기 제 1 부력매트와 제 2 부력매트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제 1 부력매트가, 그 타측에는 상기 제 2 부력매트가 각각 연결되되 중앙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력매트 측으로 주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2 부력매트 측으로 일방향 주입되게 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제 1 부력매트의 일단측 상부면에는 사다리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사다리부재의 일단측에는 선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 1 부력매트, 제 2 부력매트 및 사다리부재가 선박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로프가 더 구비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형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뛰어나고, 익수자 발생시 구조 방향을 향해 선박 또는 해안가에서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길게 펼쳐짐에 따라 익수자 방향으로 정확하게 구명튜브가 전달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선박에 지지되는 사다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의식이 있는 익수자나 의식이 없는 익수자 또는 다수의 익수자 모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의 다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부력매트(10)와 제 2 부력매트(20)가 구비된다. 이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는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물에 띄울 수 있도록 팽창되어 익수자를 인양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제 1 부력매트(10)와 제 2 부력매트(2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인 TPU로 코팅된 이중공간지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는 제 1 부력매트(10)의 일단에 제 2 부력매트(20)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제 1 부력매트(10)와 제 2 부력매트(20) 사이에는 추후에 설명될 연결부재(30)가 구비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 사이에 연결부재(3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연결부재(30) 없이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가 서로 분리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 1 부력매트(10)와 제 2 부력매트(20)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조시에는 제 1 부력매트(10)에서 너비가 넓은 측, 즉 다시말해 가장 너비가 넓은 측이 피구조자 방향이고 제 2 부력매트(20)에서 너비가 좁은 측, 즉 다시말해 너비가 가장 좁은 측이 익수자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피구조자가 너비가 가장 넓은 측을 잡아야만 익수자를 향해 너비가 가장 좁은 측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재봉선(11,21)이 형성되는데, 이 재봉선(11,21)은 가스가 주입되는 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재봉선(11,21)이 형성된 위치에는 PVC시트(13,23)를 본딩 접착하여 기밀하게 밀봉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에는 가스주입구(12,22)가 형성된다. 이 가스주입구(12,22)는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가 팽창될 수 있도록 압축가스가 주입되는 것으로,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 사이에는 제 1 부력매트(10) 측으로 주입된 가스가 제 2 부력매트(20) 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체크밸브(312)가 구비됨에 따라 제 2 부력매트(20) 측에는 가스주입구(22)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제 1 부력매트(10)와 제 2 부력매트(20) 사이의 연결부이에는 연결부재(30)가 구비된다. 이 연결부재(30)는 제 1 부력매트(10) 및 제 2 부력매트(20)가 연결되게 하되 그 중앙에 체크밸브(312)가 구비되어 제 1 부력매트(10) 측으로 주입된 가스가 제 2 부력매트(20) 측으로 일방향 주입되게 함과 동시에 제 1 부력매트(10) 내의 가스만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력매트(10) 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 1 연결부(31)와, 제 1 연결부(31)에서 돌출 형성되고 제 1 부력매트(10) 내의 가스가 유출되며 내부에 체크밸브(312)가 구비되는 제 1 나사부(311)와, 제 1 연결부(31)에서 돌출 형성되되 제 1 나사부(311) 양측에 위치되는 제 1 체결돌기(313)와, 제 2 부력매트(20) 측에 연결 고정되는 제 2 연결부(32)와, 상기 제 2 연결부(32)에서 제 1 나사부(311)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제 1 나사부(311) 및 체크밸브(312)에서 유출된 가스가 유입되는 제 2 나사부(321)와, 제 2 연결부(32)에서 제 1 체결돌기(313)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제 2 나사부(321) 양측에 위치되며 그 단부가 제 1 체결돌기(313) 내에 삽입 체결되는 제 2 체결돌기(322)와, 제 1 나사부(311) 및 제 2 나사부(321)와 동시에 나사결합되어 제 1 연결부(31) 및 제 2 연결부(32)가 상호 고정되게 하는 연결나사(33)가 포함된다.
전술한 체크밸브(312)는 제 1 나사부(311) 내에 구비되지만 제 2 나사부(321) 내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체크밸브(3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체크밸브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 1 나사부(311) 및 제 2 나사부(321) 외주연에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나사(33)에 의해 동시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체크밸브(312)는 익수자 구조시 제 1 부력매트(10)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공간이 협소한 선박의 갑판에서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1)를 사용해 익수자를 구조하는 경우 피구조자가 선박에서 제 1 부력매트(10) 측을 잡고 제 2 부력매트(20)의 선단 측을 잡고 있는 익수자를 당기게 되는데 이때 제 1 부력매트(10) 내에 가스가 충전된 상황에서는 제 1 부력매트(10)를 잡아당기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부력매트(10) 측의 가스주입구(12)를 열어 제 1 부력매트(10) 내의 가스를 제거하는데, 이때 체크밸브(312)에 의해 제 2 부력매트(20) 내의 가스는 제거되지 않아 부력이 제거된 제 1 부력매트(10)와 달리 부력이 유지된 제 2 부력매트(20)를 잡고 있는 익수자는 안전한 상태에서 구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부력매트(10)의 일단측 상부면에는 사다리부재(40)가 연결 구비될 수 있다. 이 사다리부재(40)는 익수자가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선박 갑판 등의 구조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다리부재(40)는 그 양단측이 서로 평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데, 일단측은 제 1 부력매트(10) 상부면에 밀착 고정되고, 타단측은 구조원이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사다리부재(40)의 일단측에는 고정로프(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고정로프(50)는 전술한 제 1 부력매트(10), 제 2 부력매트(20) 및 사다리부재(40)가 선박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선박에 설치된 홋줄기둥과 같은 구조물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로프(50)는 질긴 합성수지직물소재로 제조되며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홋줄기둥에 걸어준 다음 그 일측을 타이트하게 잡아당겨 견고하게 고정해준다.
이상에서와 같은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가스가 주입되지 않은 형태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만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어 휴대성이 뛰어나고, 익수자 발생시 구조 방향을 향해 선박 또는 해안가에서 가스가 주입된 형태로 길게 펼쳐짐에 따라 익수자 방향으로 정확하게 구명튜브가 전달될 수 있어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선박에 지지되는 사다리부재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의식이 있는 익수자나 의식이 없는 익수자 또는 다수의 익수자 모두에게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10 : 제 1 부력매트
11,21 : 재봉선
12,22 : 가스주입구
13,23 : PVC시트
20 : 제 2 부력매트
30 : 연결부재
31 : 제 1 연결부
311 : 제 1 나사부
312 : 체크밸브
313 : 제 1 체결돌기
32 : 제 2 연결부
321 : 제 2 나사부
322 : 제 2 체결돌기
33 : 연결나사
40 : 사다리부재
50 : 고정로프

Claims (5)

  1.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1 부력매트;
    상기 제 1 부력매트의 단부에 그 일단이 연결되며 가스주입 여부에 따라 팽창되는 제 2 부력매트; 및
    상기 제 1 부력매트와 제 2 부력매트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그 일측에는 상기 제 1 부력매트가, 그 타측에는 상기 제 2 부력매트가 각각 연결되되 중앙에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력매트 측으로 주입되는 가스가 상기 제 2 부력매트 측으로 일방향 주입되게 하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매트와 제 2 부력매트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매트의 일단측 상부면에는 사다리부재가 연결되되, 상기 사다리부재의 양단측은 서로 평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부재의 일단측에는 선박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 1 부력매트, 제 2 부력매트 및 사다리부재가 선박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는 고정로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력매트 및 제 2 부력매트 중 적어도 한 곳에는 가스가 주입되는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봉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KR1020220081699A 2022-01-20 2022-07-04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KR20230113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08317 2022-01-20
KR1020220008317 2022-0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15A true KR20230113115A (ko) 2023-07-28

Family

ID=8742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699A KR20230113115A (ko) 2022-01-20 2022-07-04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11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69B1 (ko) 2013-12-23 2014-05-15 서울특별시 구명장치
KR20160104280A (ko) 2015-02-26 2016-09-05 (주) 마이게이트 선박용 인명 구조 사다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669B1 (ko) 2013-12-23 2014-05-15 서울특별시 구명장치
KR20160104280A (ko) 2015-02-26 2016-09-05 (주) 마이게이트 선박용 인명 구조 사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6501B2 (en) Inflatable aquatic rescue collar
US5301630A (en) Inflatable rescue ramp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EP2993119B1 (en) Inflatable life raft assembly
JP3566726B2 (ja) 人命救助具
US9259368B2 (en) Patient transporter with sponsons
US9233741B2 (en) Life saving dan buoy
US7927162B1 (en) Multi-functional, personal flotation device
US7347757B1 (en) Rescue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13115A (ko) 익수자 구조용 구명튜브
KR200411573Y1 (ko) 수난 인명구조기
JP4801214B1 (ja) 流体導入式中空孔形成チューブ及びこのチューブを用いたチューブシステム
AU2021257882A1 (en) Inflatable life raft assembly
US11097817B2 (en) Marker, recovery and flotation device
US10099756B2 (en) Marker and recovery device
US9944368B1 (en) Inflatable life raft assembly
US3464217A (en) Portable diving appliance
KR20230113114A (ko) 구명튜브 겸용 인양장비
US20210024186A1 (en) Backboard Inflatable Rescue Device
WO2015013768A1 (en) Boat buoyancy aid
US11161577B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safety features
CN212654506U (zh) 防倾覆安全救生椅
KR20030083895A (ko) 수난 인명구조기
JP2018103716A (ja) 救命胴衣
WO2023248023A1 (en) Compact transportable flotation device with support for victim's head and shoulder gir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