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823B1 - 수상 인명구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인명구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823B1
KR101091823B1 KR1020090029452A KR20090029452A KR101091823B1 KR 101091823 B1 KR101091823 B1 KR 101091823B1 KR 1020090029452 A KR1020090029452 A KR 1020090029452A KR 20090029452 A KR20090029452 A KR 20090029452A KR 101091823 B1 KR101091823 B1 KR 10109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let
water
tub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073A (ko
Inventor
이정권
박근환
이기훈
이석민
한미정
한지훈
황윤정
이형철
김상율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2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82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2Annular or U-shaped life-buoys intended to be thrown to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4Arrangements of inflating valves or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편리하고 멀리까지도 쉽게 던질 수 있으며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자가 물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어 패닉상태에 있는 조난자에 의한 구조자의 인명피해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상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실린더부재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반응물질이 제1실린더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실린더부재; 케이스의 유입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케이스의 유입구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개방되어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 및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가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기체에 의해 부유 가능한 튜브;를 구비한다.
조난자, 튜브, 밸브, 레스큐 캔(rescue can), 부력, 중력, 수압

Description

수상 인명구조장치{Portable rescue device in water}
본 발명은 수상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데 사용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영장이나 해변에서는 수영하는 사람이 물에 빠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물에 빠진 사람, 즉 수상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환형 튜브(tube)(200)나 레스큐 캔(rescue can)(300)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환형 튜브(200)나 레스큐 캔(300)은 모두 물 밖에서 던지기 매우 어렵고 던지더라도 멀리 던져질 수 없기 때문에, 구조자가 환형 튜브나 레스큐 캔을 휴대하고 입수하여 수상 조난자 근처에 다가가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조난자는 정신적으로 패닉 상태에 빠져 있으므로 조난자가 허우적대다가 구조자도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아무리 급박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수상 구조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가진 구조요원에 의하지 않고 일반인이 환형 튜브나 레스큐 캔을 이용하여 구조작업을 수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환형튜브나 레스큐 캔은 크기가 매우 커고 무거워서 휴대하기가 어렵고 가격도 비싸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아 휴대하기 편리하고 멀리까지도 쉽게 던질 수 있으며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자가 물에 들어가지 않고서도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어 패닉상태에 있는 조난자에 의한 구조자의 인명피해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수상 인명구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실린더부재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반응물질이 제1실린더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실린더부재; 케이스의 유입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케이스의 유입구에 결합되며, 유입구가 개방되어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 및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가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기체에 의해 부유 가능한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자가 물에 들어가서 조난자를 구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패닉상태에 빠진 조난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구조자, 특히 비숙련 구조자의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휴대하기 편리하며, 또한 멀리까지도 던질 수 있어서 먼거리에서 물에 빠진 사람을 빠른 시간내에 구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인명구조장치를 던지기만 하면 되므로,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여성 등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인이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인명구조장치의 단면도로서 물에 입수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인명구조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스 내부에 물이 충전된 후에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실린더부재 및 제2실린더부재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1)는 케이스(10)와, 제1실린더부재(20)와, 제2실린더부재(30)와, 밸브와, 튜브(50)와, 피팅부재(60)와, 캡부재(7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구형이 일부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반응물질이 배치된다. 반응물질은 물과 화학반응하여 기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및 구연산이 혼합된 분말이다. 중탄산나트륨 및 구연산의 혼합 분말이 물과 반응하면,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며 이러한 화학반응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가 형성된다. 유입구(11) 및 배출구(12)는 각각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유입구(11)는 물이 유입되는 통로이며, 배출구(12)는 케이스(10)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배출되는 통로이다. 유입구(11) 및 배출구(12)는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제1실린더부재(20)는 케이스(10)의 내부, 특히 유입구(11) 및 배출구(12) 사이에 배치된다. 제1실린더부재(20)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실린더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그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실린더부재(20)는 복수의 와이어를 얽어서 구성되며, 관통공은 와이어 사이에 형성된다.
제2실린더부재(30)도 제1실린더부재(2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와이어가 얽혀서 구성되어 그물 형상을 이룬다. 제2실린더부재(30)의 내부에는 제1실린더부재(20)가 삽입되며, 제2실린더부재(30)는 제1실린더부재(20)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실린더부재(20) 및 제2실린더부재(30) 사이의 공간에는 혼합 분말이 메워진다.
밸브는 케이스의 유입구(11)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구(11)에 설치된다. 밸브는 인명구조장치(100)를 물에 던졌을 때에 수압에 의해 1차적으로 작동하여 케이스(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일정 부피 이상의 물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어 충전되면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작동한다. 특히, 밸브는 유입구(11)를 통해서 외부의 물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뿐 케이스(10) 내부의 물이나 케이스(10) 내부에서 발생되는 기체가 유입구(1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밸브는 밸브체(40)를 포함한다.
밸브체(40)는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물에 뜨지 않고 가라앉는다. 밸브체(40)의 무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밸브체(40)가 개방위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선정된다. 밸브체(40)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구(11)의 내부에 배치되며, 특히 밸브체(40)의 무게 때문에 유입구(11)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밸브체(40)는 유입구의 내부에서 막음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밸브체(40)가 도 4a에 도시된 막음위치에 배치되면, 밸브체(40)가 유입구(11)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유입구(11)를 막게 된다. 밸브체(40)가 도 4b에 도시된 개방위치에 배치되면, 밸브체(40)가 유입구(11)의 내측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외부의 물이 유입구(11)를 통해서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4a는 인명구조장치가 물에 던져지기 전 및 물에 던져진 후에 물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밸브체(40)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인명구조장치(100)가 물에 던져지기 전에는 밸브체(40)가 도 4a에 도시된 막음위치에 배치되나, 인명구조장치(100)가 물에 던져지면, 케이스(10) 전체 또는 케이스의 아래쪽 부분이 가라앉아 수면 아래에 배치된다. 왜냐하면, 밸브체(40)가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밸브체(40)가 배치된 부분, 즉 유입 구(11)는 적어도 수면 아래에 배치되며, 케이스(10)의 소재도 적절하게 선정하면 케이스 전체를 수면 아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케이스(10) 전체 또는 케이스(10)의 아래쪽 부분이 수면 아래에 배치되면, 밸브체(40)에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압이 작용한다. 이 때에, 밸브체(40)에 작용하는 중력이 수면과 밸브체(40) 사이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수압보다 작으면, 밸브체는 수압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내부에 물이 계속해서 충전되면, 케이스(10) 내부에 충전되는 물의 수위가 계속해서 높아지게 되므로, 밸브체(40)에 작용하는 수압, 즉 수면과 케이스(10) 내부에 충전된 물의 수위 사이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수압이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와 같은 수압의 감소는 밸브체(4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결국 수면과 케이스(10) 내부에 충전된 물의 수위 사이의 높이 차이에 해당하는 수압 및 밸브체(40)의 부력이 밸브체(40)에 작용하는 중력과 평형을 이루는 시점에서는 도 4b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밸브체(40)가 유입구(11)의 내측면과 다시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 물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특히, 케이스 내부의 수위가 도 4b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배출구까지 높아지지 않도록 적절한 시점에서, 밸브체(40)가 다시 막음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튜브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반응물질의 반응이 시작될 때, 기체의 생성으로 말미암아 케이스 내부 압력의 상승이 상승하게 되어 충분한 양의 물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채로 밸브체가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반응물질은 밸브체와 떨어지게 배치하여 충분한 양의 물을 확보한 후에 반응이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명구조장치(100)가 던져지는 과정에서 인명구조장치가 도 4a에 도시된 상태와는 달리 뒤집히는 경우에는 밸브체(40)가 유입구로부터 이탈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구의 상단부에 그물망(미도시)을 설치하여 밸브체(40)가 유입구(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입구(11)의 단부는 밸브체(40)의 직경보다 더 작으므로, 밸브체(40)가 유입구(11)의 단부쪽으로 빠지는 것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튜브(5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케이스의 배출구(12)와 연결되는 유입구(51)를 가진다. 여기서, 튜브의 유입구(51)에는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의 파이프부재(52)가 끼워지며, 파이프부재(52)는 케이스의 배출구(12)와 후술하는 피팅부재(60)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발생된 기체는 케이스의 배출구(12) 및 튜브의 유입구(51)를 통해서 튜브(50)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튜브(50)가 부풀게 된다. 튜브(50)는 부푼 상태에서는 물에 뜬다. 튜브(50)는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종래의 환형 튜브 또는 레스큐 캔의 형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피팅부재(60)는 케이스의 배출구(12) 및 튜브의 유입구(51)를 상호 연결한다. 피팅부재(60)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케이스의 배출구(12) 및 파이프부재(52)가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공(601)을 가진다. 그리고, 피팅부재(60) 의 내부에는 막음부재(61) 및 환형부재(62)가 설치된다.
막음부재(61)는 케이스(10) 내부에서 발생된 기체가 파이프부재(52) 내부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이프부재(5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스의 배출구(12)로부터 배출되는 기체는 막음부재(61)에 의해 막혀 도 4에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유동경로를 거친 후에 파이프부재(52)를 통해 튜브의 유입구(51)로 유입된다.
특히, 반응물질,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및 구연산의 혼합 분말이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는 경우에는 물이 파이프부재(52)쪽으로 분출되며, 분출된 물이 튜브(50)의 내부로 유입되면 튜브(50)의 부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분출된 물이 막음부재(61)에 막혀 이 튜브(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형부재(62)는 막음부재(61)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환형부재(62)는 피팅부재(6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환형부재(62)와 막음부재(61) 사이의 공간은 발생된 기체가 유동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환형부재(62)와 막음부재(61) 사이에는 기체통과부재(63)가 설치된다. 기체통과부재(63)는 다공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기체는 기체통과부재(63)를 통과하여 튜브의 유입구(51)로 유입된다. 기체통과부재(63)도 막음부재(61)와 마찬가지로 반응물질이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물이 분출하는 경우에 물이 환형부재(62) 및 막음부재(61) 사이의 공간을 통해 분출되어 튜브(5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적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기체통과부재(63)는 물의 분 출을 약화시키는 저항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캡부재(70)는 케이스(10)에 결합되며, 캡부재(70)가 케이스(10)와 결합되면 전체적으로 구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캡부재(70) 및 케이스(10) 사이에는 튜브(50)가 접힌 상태로 배치된다. 캡부재(70) 및 케이스(10) 사이의 공간은 튜브(50)가 최종적으로 부푼 상태에서 튜브(50)의 부피보다 훨씬 작다. 튜브(50)가 일정 수준 이상, 즉 캡부재(70) 및 케이스(10)에 밀착된 상태 이상으로 부풀면, 튜브(50) 내의 기체 압력이 캡부재(70)에 작용하게 되어 결국 캡부재(70)가 케이스(10)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부재(70)에 신축 가능한 고무줄(71)이 한 쌍 결합되며 케이스(10)에는 한 쌍의 고무줄(71)이 각각 걸리는 걸림턱(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튜브(50)가 부풀면 고무줄(71)이 자동으로 걸림턱(13)으로부터 이탈하거나 고물줄(71)이 끊어지게 되므로, 튜브(50) 및 케이스(10)가 상호 분리되며, 이에 따라 튜브(50)가 최종 형상까지 부풀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상 인명구조장치(100)에 있어서, 인명구조장치(100)가 물에 빠진 사람에게 던져지기 전에는 튜브(50)가 부풀지 않고 접힌 상태로 케이스(10) 및 캡부재(70)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환형튜브나 레스큐 캡에 비해 크기가 작고 휴대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인명구조장치(100)가 전체적으로 구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를 잡아서 던지기만 하면 종래의 환형튜브나 레스큐 캡에 비해 멀리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조난을 당한 사람도 빠른 시간내에 쉽게 구조할 수 있 다.
그리고, 바스켓에 수상 인명구조장치(100)가 수용된 바스켓을 휴대하고 있다가, 수상 조난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여러 번에 걸쳐서 수상 인명구조장치 하나씩 던지면, 조난자 부근에 떨어질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특히, 구조자가 직접 물에 들어갈 필요 없이 인명구조장치를 던지기만 하면 되므로, 패닉상태에 빠져 있는 조난자에 의해 구조자도 인명피해를 입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명구조장치를 던지기만 하면 되므로,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여성 등 일반인이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인명구조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인명구조장치를 조난자 주변에 다수 던질 수 있게 되므로 구조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 비해 크기가 작아 멀리까지 던질 수 있으며, 별도의 전문 지식 없이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튜브(50a)는 중심부(501) 및 중심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지부(502)를 포함한다. 각 가지부(502)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각 가지부(502)에는 한 쌍의 보조가지부(503)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튜브(50a)가 부풀게 되면, 패닉상태에 빠진 조난자가 허우적대다가 튜브의 중심부(501), 가지부(502) 및 보조가지부(503) 중 적어 도 한 부분을 쉽게 잡을 수 있게 되어 구조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일례에 따른 구명환 및 레스큐 캔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인명구조장치의 단면도로서 물에 입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인명구조장치의 단면도로서 케이스 내부에 물이 충전된 후에 더 이상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Ⅳ-Ⅳ선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1실린더부재 및 제2실린더부재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 인명구조장치에 있어서 튜브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11...유입구
12...배출구 13...걸림턱
20...제1실린더부재 30...제2실린더부재
40...밸브체 50,50a...튜브
51...유입구 52...파이프부재
60...피팅부재 61...막음부재
62...환형부재 63...기체통과부재
70...캡부재 71...고무줄
100...수상 인명구조장치 501...중심부
502...가지부 503...보조가지부

Claims (10)

  1. 유입구 및 배출구가 내부와 연결되게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된 제1실린더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부재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공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물과 반응하여 기체를 생성하는 반응물질이 상기 제1실린더부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2실린더부재;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가 개방 및 폐쇄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에 결합되며, 상기 유입구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외부와 연결되도록 수압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되는 기체가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기체에 의해 부유 가능한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부재 및 제2실린더부재는 각각 그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물질은 중탄산나트륨 및 구연산이 혼합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유입구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유입구를 막는 막음위치 및 상기 유입구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유입구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결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와 물의 접촉시 수압에 의해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일정 부피 이상의 물의 충전시 중력, 부력 및 수압에 의해 상기 막음위치로 이동하며, 물보다 비중이 큰 소재로 이루어지는 구형의 밸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기체가 상기 튜브의 유입구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튜브의 유입구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막음부재; 및
    상기 막음부재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및 튜브의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구를 가지는 피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막음부재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 환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막음부재와 환형부재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생성된 기체가 통과하도록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기체통과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튜브가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튜브에 상기 기체가 일정 수준 이상 충전되면 상기 튜브 내의 기체 압력이 작용하여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하는 캡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캡부재는 결합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인명구조장치.
KR1020090029452A 2009-04-06 2009-04-06 수상 인명구조장치 KR101091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52A KR101091823B1 (ko) 2009-04-06 2009-04-06 수상 인명구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52A KR101091823B1 (ko) 2009-04-06 2009-04-06 수상 인명구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73A KR20100111073A (ko) 2010-10-14
KR101091823B1 true KR101091823B1 (ko) 2011-12-12

Family

ID=4313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452A KR101091823B1 (ko) 2009-04-06 2009-04-06 수상 인명구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8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03B1 (ko) 2013-10-28 2015-01-05 김정빈 문어발형 구명장치
KR101531990B1 (ko) * 2014-04-01 2015-06-30 (주)우성아이비 수상 인명구조용 공기주입식 구조 시스템
KR101616395B1 (ko) * 2014-07-30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체공급장치
KR101914490B1 (ko) * 2017-11-14 2018-11-06 대한민국 구조용 튜브
KR102049721B1 (ko) 2019-09-05 2019-12-03 대한민국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KR20200006467A (ko) * 2018-07-10 2020-01-20 장동환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20200017148A (ko) *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76267A (zh) * 2014-10-28 2015-01-14 周从武 水下自动浮球
KR101914230B1 (ko) * 2016-03-14 2018-11-01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기체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팽창형 구명 장치
IT201700010263A1 (it) * 2017-01-31 2018-07-31 Claudio Rivaroli Dispositivo salvagente estensi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09Y1 (ko) 2002-08-01 2002-10-25 정경호 구명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09Y1 (ko) 2002-08-01 2002-10-25 정경호 구명벨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503B1 (ko) 2013-10-28 2015-01-05 김정빈 문어발형 구명장치
KR101531990B1 (ko) * 2014-04-01 2015-06-30 (주)우성아이비 수상 인명구조용 공기주입식 구조 시스템
KR101616395B1 (ko) * 2014-07-30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기체공급장치
KR101914490B1 (ko) * 2017-11-14 2018-11-06 대한민국 구조용 튜브
KR20200006467A (ko) * 2018-07-10 2020-01-20 장동환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102153627B1 (ko) * 2018-07-10 2020-09-08 장동환 투척용 팽창 구명볼
KR20200017148A (ko) * 2018-08-08 2020-02-1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KR102153628B1 (ko) * 2018-08-08 2020-09-08 장동환 탄성 팽창 부력체
KR102049721B1 (ko) 2019-09-05 2019-12-03 대한민국 다수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튜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73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823B1 (ko) 수상 인명구조장치
US9199706B2 (en) Water rescue device
CN202728516U (zh) 自动、手动两用气胀救生筏
CN107128464A (zh) 一种落水自救装置及手环
CN107215440B (zh) 一种防溺水救生器
US6767267B2 (en) Apparatus to be worn as a necklace around the neck of a small child, which, when submerged in water, will inflate an float the child&#39;s head above water
KR20090055280A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489311B1 (ko) 인명구조용 팽창튜브
CN201049729Y (zh) 抛掷式救生圈
JP2014008912A (ja) 水難救助装置
CN102452466A (zh) 一种自动充气救生衣
KR101914230B1 (ko) 기체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팽창형 구명 장치
CN208498759U (zh) 开放式气胀救生筏
KR100839604B1 (ko) 구명튜브의 공기충진장치
US11623717B2 (en) Emergency flotation device with chemical reaction chamber
KR102153627B1 (ko) 투척용 팽창 구명볼
CN213292660U (zh) 一种海洋救生浮网
KR200458268Y1 (ko) 안전 구명튜브
JP5015348B1 (ja) 水難救助装置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KR101928504B1 (ko) 휴대용 투척식 인명구조장치
CN220199556U (zh) 一种便携式应急救援筏
CN201769997U (zh) 一种快捷充气式救生装置
CN212980502U (zh) 一种双向快速充气的救生衣
CN207311790U (zh) 便携式水上救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