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609Y1 - 구명벨트 - Google Patents

구명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609Y1
KR200292609Y1 KR2020020023067U KR20020023067U KR200292609Y1 KR 200292609 Y1 KR200292609 Y1 KR 200292609Y1 KR 2020020023067 U KR2020020023067 U KR 2020020023067U KR 20020023067 U KR20020023067 U KR 20020023067U KR 200292609 Y1 KR200292609 Y1 KR 2002926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ife
operation switch
gas generato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3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정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호 filed Critical 정경호
Priority to KR2020020023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6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6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609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팔의 선택된 부분이나 또는 허리 및 기타 신체의 선택된 곳에 벨트형태로 간단하게 착용하고 물놀이를 하던 중에 위험(익사)에 처하게 되면 작동 스위치를 잡아당겨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서 상기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구명벨트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양 단부를 이용하여 인체의 목적하는 곳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의 선택된 곳에 에어백이 설치되고 그 에어백의 일 측에는 가스발생기가 설치되며 상기 가스발생기는 작동스위치에 의해 작동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이는 물놀이나 수중스포츠 등을 즐기는 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에 기체인 가스를 순간적으로 충입 시킴으로서 상기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명벨트{Life belt}
본 고안은 물 속에서 익사의 위험에 처했을 때 그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구명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팔의 선택된 부분이나 또는 허리 및 기타 신체의 선택된 곳에 벨트형태로 간단하게 착용하고 물놀이를 하던 중에 위험(익사)에 처하게 되면 작동 스위치를 잡아당겨 에어백을 팽창시킴으로서 상기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한 구명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명기구는 조끼형태의 것으로서, 이는 주로 물놀이시 발생되는 안전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구명(救命)수단으로서, 내/외피가 튜브체로 되어 내부 공간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방식과, 내/외피 일측에 지퍼를 구비하는 포켓부를 형성하여 상기 포켓부를 통해 부력부재인 폴리에틸렌 부력부재가 내설되는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이들은 공히 등판과 양측 가슴판으로 대별되는 구성이다.
그런데 공기주입식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공기를 빼내게 되면 부피가 최소화되어 접는 등의 방식으로 보관이나 취급이 간편한 잇점이 있는 반면에, 부 주위로 인해 공기가 새거나 공기주입구가 약하여 파손이 될 경우가 있고 공기의 주입 및 배출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내/외피 사이에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부력부재 내장형은 공기주입식이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면에, 부력부재의 두께가 3∼4cm 정도로 두껍기 때문에 구명조끼의 부피가 확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명조끼의 부피가 확대되기 때문에 구명조끼를 착용시 행동이 부자연스러운 문제와, 휴대나 보관상의 불합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재는 일정한 두께를 지니고 있음에 따라 부력을 인체에 맞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자에 따라 효율적인 이용이 저하되었고, 착용상태에서 앉거나 구부릴 경우 등판부가 접히는 현상이 발생하여 행동의 부자연스러움과 장기간 사용시 접힘 부분의 변형이나 훼손에 의해 수명을 단축시키는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봉이 되는 비닐 또는 고무튜브형태의 부력체 커버 내부에 수축 및 팽창되며 자체가 부력을 지닌 발포성 부력부재를 삽입시켜서, 부력부재가 팽창됨에 따라 부력체 커버도 함께 팽창되면서 외부공기가 부력체 커버내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부력체에 자동으로 부력이 부여되게 되고, 구명조끼에 부력이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부력부재를 수축시키면서 부력체 커버내의 공기를 빼내어 부력체의 부피를 축소시켜서 구명조끼의 착용이나 보관 및 취급을 간편하게 한 실용신안등록 제20-271240호가 도 1 및 도 2a, 도 2b에 나타나 있으며, 그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외피(15,14)로 이루어지고 등판(12)과 가슴판(13)으로 대별되는 구명조끼(10)의 등판(12) 내부와 양측가슴판(13) 내부에 지퍼(12a,13a)를 설치하여 각각의 내외피(15,14) 사이에 포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포켓부에는부력체(20,20a)가 삽탈 자유롭게 설치되는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공간부(17)를 형성하는 튜브형태의 부력체커버(21,21a)와, 상기 부력체커버의 내부 공간부에 삽입되는 발포성 부력부재(23,23a)와, 상기 부력체커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부력체커버의 내부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 및 차단시키는 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구명조끼는 착용 및 보관이나 취급에는 간편함이 있다 할 수 있으나 착용 후 물 속에서 수영 등을 하기에는 행동의 부자연함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특허출원 제2002-1570호가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고 이의 구성은, 물에 빠지는 위급 상황시 자동으로 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구명용구에 있어서, 양 측단에 수개의 체결구(31)가 부착된 벨트형태의 착용대(30)와, 자동밸브(33)가 장착된 가스통(32)과 회로판(34)이 밀폐되게 내장되어 착용대에 부착되는 콘트롤박스(35)와, 상기 가스통에 결합된 토출관(36)과 연결되어 콘트롤박스의 양측에 놓이며 수개의 밴드(37)로 착용대에 결속되는 튜브(38)와, 상기 튜브의 끝단부가 고정되어 착용대에 체결되는 클립(39)과, 신체의 상측부에 착용되고 물의 잠김을 감지하는 센서(S)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또, 상기 콘트롤박스내의 회로판(34)에 전원을 공급하는 건전지와, 센서(S)의 감지신호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와, 그 타이머(16)에 의해 자동 밸브를 작동시키는 릴레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착용대의 양측단에 벨크로파스너가 부착되고외부에 보호커버를 씌워 콘트롤박스와 튜브를 보호하는 한편 구성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시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구명용구는 벨트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부위를 어느 한 곳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곳에 필요에 따라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콘트롤박스, 가스통, 회로판등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과 동시에 무게가 무거워 이를 착용하고 수중에 들어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행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용 후 물 속에서의 행동(수영 또는 물놀이 등)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음으로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또 위험에 처하게 되면 작동스위치를 잡아당겨 에어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킴으로서 상기 위험으로부터 용이하게 벗어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 취급 및 보관이 용이한 구명벨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명조끼 전개도,
도 2a는 상기 도 1의 구명조끼 착용상태 측 단면도,
도 2b는 상기 도 1의 구명조끼 A-A선 및 B-B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벨트형 구명튜브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콘트롤박스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명벨트 제1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구명벨트 가스발생기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벨트 제2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구명벨트 가스발생기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구명벨트의 착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 벨트 41 : 링
42 : 고정부재 43 : 신축벤드
44 : 에어백 45 : 밀봉지
46 : 부직포 47 : 작동스위치
48 : 베터리 49 : 압전 소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명벨트 구성은, 양 단부를 이용하여 인체의 목적하는 곳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의 선택된 곳에 에어백이 설치되고 그 에어백의 일측에는 가스발생기가 설치되며 상기 가스발생기는 작동스위치에 의해 작동되게 설치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의 일 측단에는 링이 설치되고, 상기벨트의 타측에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의 선택된 곳에는 신축벤드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스발생기는 점화와 함께 순간 폭발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합물이 밀봉된 상태로 마련되고 그 화합물에는 작동스위치의 작동과 함께 베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화되는 압전 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발생기는 제1화학반응물질이 밀봉지에 의해 밀봉되고 그 밀봉지는 제2화학반응물질이 수용된 밀봉지에 수용되어 포장되며, 상기 제1화학반응물질이 밀봉된 밀봉지의 일 측에는 작동스위치의 작동과 함께 밀봉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화학반응물질이 인출되면서 제2화학반응물질과 반응되어 기체가 발생되게 하였고, 상기 작동스위치는 가스발생기와 연결되는 연결 끈의 일 측단이 설치되고 그 연결 끈의 타 측단은 고리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는 자유로운 이동을 제어하도록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구명벨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명벨트 제1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구명벨트 가스발생기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먼저 벨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40)의 일 측단에는 링(41)이 설치되고, 상기 벨트(40)의 타 측에는 벨크로파스너인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40)의 선택된 곳 즉 중앙부에는 신축벤드(43)가 형성되어 벨트의 길이가 신축되게 하였다.
상기 벨트(40)의 일 측단에 설치된 링(41)은 벨트(40)를 목적하는 곳에 착용할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벨트의 착용방법은 상기 벨트의 타 측단을 링(41)에 삽입하여 당긴 후 상기 벨트(40)의 타 측에 설치된 고정부재(42)인 벨크로파스너를 이용하여 고정하면 상기 벨트는 목적하는 곳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단 상기 신축벤드(43)는 벨트를 착용시 당기는 만큼 늘어나면서 견고한 고정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벨트(40)의 일면 즉 신축벤드(43)와 링(41)이 설치된 사이에는 에어백(44)이 고정 설치되고 그 에어백(44)의 일 측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성수용액인 제1화학반응물질을 밀봉지(45)에 밀봉한 다음 그 밀봉지(45)는 탄산수소나트륨인 제2화학반응물질과 함께 부지포(46) 등을 이용하여 포장한다.
이때 상기 산성수용액인 제1화학반응물질을 밀봉한 밀봉지(45)의 일 측에는 작동스위치(47)의 구성인 연결 끈(47a)의 일 측단과 연결 설치하여 그 연결 끈(47a)을 잡아당기게 되면 밀봉지(45)의 일측 일부가 절개되면서 상기 산성수용액인 제1화학반응물질이 인출되어 탄산수소나트륨인 제2화학반응물질과 접촉됨과 동시에 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탄소(기체)가 발생되고 그 이산화탄소는 에어백(44)을 팽창시키게 되다.
또한, 본 고안의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명벨트 제2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구명벨트 가스발생기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이의 벨트구조는 상기 제1실시 예의 벨트와 동일한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40)의 일 측단에는 링(41)이 설치되고, 상기 벨트(40)의 타 측에는벨크로파스너인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40)의 선택된 곳 즉 중앙부에는 신축벤드(43)가 형성되어 벨트(40)의 길이가 신축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벨트(40)의 일면 즉 신축벤드(43)와 링(41)이 설치된 사이에는 에어백(44)이 고정되고 그 에어백의 일 측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와 함께 순간 폭발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합물인 산화철이 섞여있는 아지드화나트륨이 밀봉된 상태로 마련되고 그 화합물에는 작동스위치(47)인 연결 끈(47a)의 당김과 함께 베터리(48)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화되는 압전 소자(49)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화학반응식은 2NaN3(s)→2Na(s)+3N2(g)이다.
상기 압전 소자(49)의 발화와 함께 순간 폭발하며 발생시키는 가스는 질소가스로서 이는 에어백(44)에 충입되어 그 에어백(44)을 팽창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 작용을 하는 본 고안의 구명벨트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놀이를 하기 전에 양팔의 겨드랑에 도달하도록 착용하고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물놀이를 하던 도중 갑작스런 위험사항이 발생하면 연결 끈(47a)의 단부에 설치된 고리(47b)를 당기게 되면 가스발생기에서 반응이 일어나 에어백(44)에 가스가 충입됨으로 사람이 가라앉지 않게 되어 익사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착용부위는 상기에서 설명한 양팔의 겨드랑에 도달하도록 착용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허리나 가슴 등에 착용하고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구명벨트는 물놀이나 수중스포츠 등을 즐기는 중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에 기체인 가스를 순간적으로 충입 시킴으로서 상기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양 단부를 이용하여 인체의 목적하는 곳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40)의 선택된 곳에 에어백(44)이 설치되고 그 에어백의 일측에는 가스발생기가 설치되며 상기 가스발생기는 작동스위치(47)에 의해 작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벨트의 일 측단에는 링(41)이 설치되고, 상기 벨트의 타 측에는 고정부재(42))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의 선택된 곳에는 신축벤드(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벨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는 점화와 함께 순간 폭발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합물이 밀봉된 상태로 마련되고 그 화합물에는 작동스위치(47)의 작동과 함께 베터리(48)의 전원을 공급받아 발화되는 압전 소자(49)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벨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는 제1화학반응물질이 밀봉지(45)에 의해 밀봉되고 그 밀봉지는 제2화학반응물질이 수용된 부직포(46)에 수용되어 포장되며, 상기 제1화학반응물질이 밀봉된 밀봉지의 일측에는 작동스위치의 작동과 함께 밀봉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1화학반응물질이 인출되면서 제2화학반응물질과 반응되면서 기체가 발생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벨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는 가스발생기와 연결되는 연결 끈(47a)의 일측단이 설치되고 그 연결 끈의 타 측단은 고리(47b)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는 자유로운 이동을 제어하도록 고정구(47c)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벨트.
KR2020020023067U 2002-08-01 2002-08-01 구명벨트 KR2002926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067U KR200292609Y1 (ko) 2002-08-01 2002-08-01 구명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3067U KR200292609Y1 (ko) 2002-08-01 2002-08-01 구명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609Y1 true KR200292609Y1 (ko) 2002-10-25

Family

ID=7312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067U KR200292609Y1 (ko) 2002-08-01 2002-08-01 구명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6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3B1 (ko) * 2007-03-19 2008-08-13 김종학 벨트형 구명매트
KR101091823B1 (ko)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KR101326921B1 (ko) 2012-11-30 2013-11-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구명기능을 구비한 의류용 구명끈
KR20200145412A (ko) * 2019-06-21 2020-12-30 국방과학연구소 부양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213B1 (ko) * 2007-03-19 2008-08-13 김종학 벨트형 구명매트
KR101091823B1 (ko) 2009-04-06 2011-12-12 한국과학기술원 수상 인명구조장치
KR101326921B1 (ko) 2012-11-30 2013-11-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구명기능을 구비한 의류용 구명끈
KR20200145412A (ko) * 2019-06-21 2020-12-30 국방과학연구소 부양 장치
KR102202064B1 (ko) * 2019-06-21 2021-01-12 국방과학연구소 부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882A (en) Hybrid personal flotation device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WO2002098728A1 (en) Self-inflating floatation device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JP2005517575A (ja) 浮上装置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US20190061889A1 (en) Inconspicuous Flotation Apparatus
KR20140002679U (ko) 휴대용 자동 팽창식 구명환 어셈블리
KR200292609Y1 (ko) 구명벨트
JPH09301272A (ja) 水難用救命具
CN105539778B (zh) 一种便捷式水中急救设备
WO2005109982A2 (en) Breathing recycling lifebuoy apparatus
EP1409337A1 (en) Flotation device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KR101304584B1 (ko) 휴대용 부표
JP2002127986A (ja) 首着膨脹式救命胴衣
WO2005095203A1 (en) Safe swim suit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101227043B1 (ko) 구명조끼
JP2005225478A (ja) 膨張式安全装置
WO2012093292A1 (en) Life saving garment
JP2001310795A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WO2010128690A1 (ko) 개인용 구명 장치
RU20942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на воде
CN201633904U (zh) 紧急救生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