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499B1 -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 Google Patents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499B1
KR101888499B1 KR1020160140833A KR20160140833A KR101888499B1 KR 101888499 B1 KR101888499 B1 KR 101888499B1 KR 1020160140833 A KR1020160140833 A KR 1020160140833A KR 20160140833 A KR20160140833 A KR 20160140833A KR 101888499 B1 KR101888499 B1 KR 101888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jection
plate
tube
gas
re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057A (ko
Inventor
박옥빈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6Floatable closed containers with accommodation for one or more persons inside
    • B63C9/065Floatable closed containers with accommodation for one or more persons inside for one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2Means for making slide fasteners gas or watert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4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zip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bstract

이하 개시된 내용은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편하게 착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상 조난시에는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는, 제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이음벨트를 포함하는 착용밸트와, 제1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가스 주입에 의해 제1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에어볼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와, 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되, 후방튜브는 제1 플레이트의 좌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튜브로 구성되고, 팽창시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PORTABLE DEVICE FOR LIFE-SAVING ON THE WATER}
이하 개시된 내용은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편하게 착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수상 조난시에는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에 관한 것이다.
수상 구명장비는 바다나 강 등에서 수상 재난 사고 발생하여 사용자가 익사하지 않고 물 위에서 안전하게 떠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사용되는 수상 구명장비에는 구명조끼나 구명튜브 등이 있다.
이러한 구명장비는 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물 위에 안전하게 떠 있도록 함으로써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체온이 급격히 떨어져 저체온증으로 사망할 염려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 조끼나 튜브 등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로 착용하게 되므로 활동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7846호에 개시된 수상구명장치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구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구명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상구명장치(11)는 내부에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펼쳐지는 메인튜브(13)와, 메인튜브(13)에 이격 구비되는 한 쌍의 멜빵(15)과, 멜빵(15)의 양측부에 구비되는 압축가스저장캔(17)과, 메인튜브(13)의 측부에 위치하여 가스 주입시 메인튜브(13)와 함께 펼쳐지는 보조튜브(미도시)와, 메인튜브(13)의 상부에 누워있는 사람을 덮는 방수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튜브(13)는 주입된 가스에 의해 펼쳐져 물위에 뜬 상태로 부력을 제공하며, 멜빵(14)은 사용자가 수상구명장치(11)를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다. 또한 압축가스저장캔(17)은 이산화탄소가스를 수용하여 메인튜브(13)에 가스를 제공하며, 보조튜브는 메인튜브(13)의 일단부 양측에서 메인튜브(13)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튜브(13)의 롤링(rolling)현상을 차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구명장치(11)는 수상 재난 상황 발생시 메트리스 형태의 메인튜브(13)가 물위에서 마치 침대처럼 펼쳐져 사람의 몸을 떠받질 수 있고, 방수커버로 사람의 몸을 덮어 보온을 유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상구명장치(11)는 배낭 형상으로 되어 부피가 크므로 평상시 활동에 제약이 따르며 메인튜브(13)가 침대형상으로 팽창하게 되므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매트리스 형태의 메인튜브(13)가 전복될 수 있고 자칫 사람이 물속에 갇히게 되어 익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KR 10-2005-0107846 A
평상시에는 편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선내에서 활동하다가 유사시에는 빠르게 작동하여 물에 뜰 수 있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수상에 추락시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표류하더라도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의 열악한 환경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수상 재난을 당한 사용자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수상 구명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는, 제1 플레이트, 제 2 플레이트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이음벨트를 포함하는 착용밸트와, 제1 플레이트에 설치되되 가스 주입에 의해 제1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에어볼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와, 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되, 후방튜브는 제1 플레이트의 좌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튜브로 구성되되, 팽창시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스주입부는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후방튜브를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자동 가스주입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수동 가스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음벨트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상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이음벨트와,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이음벨트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보조 트리거와 연결된 제1 레버라인은 한 쌍의 제1 이음벨트 내부를 통하여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 이음밸트에는 버틀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후방튜브 팽창시 제1 및 제2 튜브의 가장자리에는, 제1 및 제2 튜브가 서로 밀착되어 에어볼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방수지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방튜브가 팽창하였을 때 수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후방튜브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물주머니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후방튜브의 내측에는 튜브에 수동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구비되고,후방튜브의 외측에는 가스의 과주입을 방지하는 가스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튜브의 내측 표면에는 알루미늄 비닐이 코팅되며, 후방튜브의 외측 표면에는 축광비닐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평상시에는 편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선내에서 활동하다가 유사시에는 빠르게 작동하여 물에 빠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둘째, 수상에 추락시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표류하더라도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의 열악한 환경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셋째, 수상에서의 튜브 팽창시 전복되지 않고 안전하게 전개될 수 있다.
넷째, 주간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수상 재난을 당한 사용자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구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구명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에 설치된 후방튜브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5는 도 4의 보조 트리거의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도 4의 후방튜브가 전개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가 에어볼 형태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도 7a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가 반 구 형태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시도.
도 11은 제3 실시예의 구성 중 제2 플레이트 및 제2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전방튜브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방튜브가 전개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플레이트에 설치된 튜브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100)는 착용벨트(120)와, 착용벨트(120)에 설치되는 후방튜브(140)와,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160)를 포함한다.
착용벨트(120)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하는 X자 형태의 벨트로서, 상체의 등 쪽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122)와, 가슴 쪽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124)와, 제1 플레이트(122)와 제2 플레이트(124)를 이어주는 이음벨트(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음벨트(126)의 결합을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진 마름모 형태의 판형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음벨트(126)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122, 124)의 상측을 연결하여 착용벨트를 사용자의 양 어깨에 걸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이음벨트(126-1)와, 제1 및 제2 플레이트(122, 124)의 측면을 연결하여 허리 부분을 감싸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이음벨트(126-2)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제1 이음벨트(126-1, 126-2)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일단은 제1 플레이트(122)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제2 플레이트(124)의 상단에 느슨하게 끼움결합된다.
한 쌍의 제2 이음벨트(126-2)에는 튜브가 에어볼 형태로 전개되었을 때 착용밸트(120)를 원활하게 풀 수 있도록 버클(126a)이 구비될 수 있다.
후방튜브(140)는 제1 플레이트(122)에 설치되며, 가스 주입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전체적으로 에어볼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를 위해, 후방튜브(140)는 일정 크기로 구획되는 복수의 단위섹터(140a, 도 6참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에어볼 형태의 전개를 위해 에어볼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단위섹터(140a)의 면적은 안쪽에 해당하는 단위섹터(140a)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후방튜브(140)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볍고 유연하며 내구성이 강한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s)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튜브(140)의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상에서 장시간 있더라도 부식될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한편, 후방튜브(140)는 제1 플레이트(122)의 좌우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튜브(142, 144)로 이루어지며 외부 접촉에 의한 튜브(14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제1 커버(122a)에 의해 커버된다. 여기서, 제1 커버(122a)의 양측에는 두 개의 절취선(122b)이 형성되는데, 제1 및 제2 튜브(142, 144)는 팽창시 이 절취선(122b) 부분을 투과하여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으로 각각 팽창된다.
제1 가스주입부(160)는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주입하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 튜브(142, 144)에 가스가 주입되도록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에 구비되며, 각각의 제1 가스주입부(160)는 자동 가스주입부(162)와 수동 가스주입부(166)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부피가 작으며 고압으로 충전될 수 있는 CO2가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자동 가스주입부(162)는 조난사고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후방튜브(140)에 자동으로 가스가 주입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인플레이터(163)와, 제1 가스인플레이터(163)를 격발시켜 가스를 방출하도록 하는 메인 트리거(164)와, 물과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메인 트리거(164)를 작동시켜 제1 가스인플레이터(163)가 격발되도록 하는 자동 격발부(165)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 격발부(165)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되는 보빈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그 끝단이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122)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자동 격발부(165)의 구성에 대하여는 종래기술에 의하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동 가스주입부(166)는 자동 가스주입부(162)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의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주입하는 기능을 한다.
수동 가스주입부(166)는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2 가스인플레이터(167)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2 가스인플레이터(167)를 격발시켜 가스를 방출하도록 하는 보조 트리거(168)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 트리거(164)에는 제1 레버라인(169)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1 레버라인(169)은 제1 이음벨트(126) 내부에 인입되어 제2 플레이트(124)와 연결된다. 수동 가스주입부(166)의 작동원리는 이하 후방튜브(140)의 전개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X자 형태의 착용밸트(120)로 상체에 편하게 착용 휴대할 수 있으며, 조난 사고 등에 의해 사용자가 물에 빠지게 되면 후방튜브(140)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에어볼 형태로 전개됨으로써 사용자가 익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체온증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보조 트리거의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후방튜브가 전개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방튜브(140)가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124)를 당길 경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된 한 쌍의 제1 이음벨트(126-1)의 타단이 탈거되고 제1 레버라인(169)은 제2 플레이트(124)와 함께 하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다음, 제1 레버라인(169)의 당김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에 설치된 수동 가스주입부(166)의 구성인 보조 트리거(168)의 작동레버가 당겨지게 되면 제1 플레이트(164) 양측의 제2 가스인플레이터(167)가 격발되어 CO2가스를 방출하고 방출된 CO2가스는 제1 및 제2 튜브(142, 144) 내에 주입된다.
CO2가스가 후방튜브(140) 내부로 주입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122)에 설치된 제1 및 제2 튜브(142, 144)는 각각 좌우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때, 팽창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튜브(142, 144)는 각각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 지도록 전개되며 제1 및 제2 튜브(142, 144)의 사이에는 간극(d)이 형성된다. 여기서, 간극(d)은 튜브(140)가 에어볼 형태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튜브(14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다.
수상 재난 사고 발생시 사용자가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100)를 작동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튜브(142, 144)가 팽창되어 에어볼 형태로 펼쳐지게 되고 사용자는 그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튜브(142, 144)의 가장자리, 즉 에어볼 형태로 펼쳐졌을 때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 튜브(142, 144)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제1 방수지퍼(14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수지퍼(146)를 채울 경우 튜브(140)의 내측이 외부와 격리되므로 단열 효과가 상승되고 비나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후방튜브(140)의 구성 중 수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주머니(148)가 구비될 수 있다. 물주머니(148)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비닐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주머니(148)는 속이 빈 상태로 튜브(140)에 부착되어 있다가 후방튜브(140)가 전개되었을 때 수면과 접하게 된다. 수면과 접한 물주머니(140)는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그 하중이 증가하고 그 결과 에어볼 형태로 팽창된 튜브의 무게 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에어볼 형태의 튜브(140)가 파도나 바람 등에 의해 무한정 표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후방튜브(140)의 내측에는 튜브(140)에 CO2 가스가 충분히 유입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49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튜브(140)의 외측에는 후방튜브(140)에 CO2 가스가 과다하게 주입된 경우 CO2 가스를 배출하여 튜브의 팽창 정도를 조절하도록 가스 배출구(149b)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주입구(149a)와 가스 배출구(149b)는 종래 일반적인 기술인 프레스타(Presta) 방식이나 던롭(Dunlop)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8를 참조하면, 후방튜브(140)의 내측 표면에는 알루미늄 비닐(140b)이 코팅되고 외측 표면에는 축광비닐(140c)이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축광비닐은 빛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소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후방튜브(140) 내측에 알루미늄 비닐(140b)이 코팅되어 튜브(140)의 단열효과가 증가되므로 사용자가 장시간 수상에서 표류하더라도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후방튜브(140)의 외측에 축광비닐(140c)이 코팅되어 주간에는 태양광에 반사되고 야간에는 야광현상에 의해 빛을 발함으로써 조난당한 사용자의 위치를 사방에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반 구 형태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는 착용벨트(120)와, 제1 플레이트(122)에 설치되되, 가스 주입에 의해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반 구 형태를 이루는 반 구형 튜브(150)와, 제1 플레이트(122)에 구비되며 반 구형 튜브(150)가 팽창할 수 있도록 튜브(150)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주입부(160) 및 튜브(150) 팽창시 형성된 개방구(150a)를 커버하는 방수커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는 후방튜브(150)의 팽창 후 구조만 다르고 나머지 구성인 착용벨트(120)와 제1 가스주입부(16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반 구형 튜브(150)가 팽창하면 원형의 개방구(150a)가 형성되고, 개방구(150a)와 접하는 튜브(150)의 원형 테두리에는 제2 방수지퍼(154)가 구비된다. 방수커버(152)는 제2 방수지퍼(154)에 의해 채워져 개방구(150a)를 커버할 수 있다.
수상 재난을 당한 사용자는 제2 방수지퍼(154)를 조절함으로써 개방구(150a)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3 실시예의 구성 중 제2 플레이트 및 제2 커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의 전방튜브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방튜브가 전개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100)는 상체의 등 쪽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122), 가슴 쪽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170) 및 제1 및 제2 플레이트(122, 170)를 이어주는 이음벨트(126)를 포함하는 착용벨트(120)와, 제1 플레이트(122)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1 커버(122a)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122)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에어볼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140)와, 제2 플레이트(170)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2 커버(172)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제2 플레이트(170)의 하측으로 팽창하는 전방튜브(180)와, 제1 플레이트(170)에 구비되며, 후방튜브(140)가 팽창할 수 있도록 후방튜브(140)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160)와, 제2 플레이트(170)에 구비되며, 전방튜브(180)가 팽창할 수 있도록 전방튜브(180)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2 가스주입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방튜브(140), 제1 가스주입부(160)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2 플레이트(170), 전방튜브(180) 및 제2 가스주입부(19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볼 형태의 후방튜브(140)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실시예서와 같이 반 구형 형태의 후방튜브(150)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플레이트(17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전방튜브(180)가 설치되도록 사각형 내지 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제2 플레이트(170)의 상하부 양측에는 제1 이음벨트(126-1)와 제2 이음벨트(126-2)가 연결되며 상면에는 접혀진 상태의 전방튜브(180)와 전방튜브(180)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2 가스주입부(190)가 설치된다.
제2 커버(172)는 제2 플레이트(170)에 설치된 전방튜브(18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전방튜브(180)가 하측으로 팽창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커버(172)는 제1 플레이트(170)를 덮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덮개부(172a)와 덮개부(172a) 하단면에 위치하는 투과부(17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172a)는 그 측면 하단이 본드결합방식에 의해 제2 플레이트(170)의 측면에 고정되며, 전방튜브(180)가 하방으로 원할하게 팽창, 전개될 수 있도록 딱딱한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투과부(172b)는 전방튜브(180)가 팽창할 때 투과되는 부분으로 천이나 비닐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절취선(172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 가스주입부(190)는 전방튜브(180)에 가스를 주입하는 부분으로 제1 가스주입부(160)와 마찬가지로 자동 가스주입부(192)와 수동 가스주입부(196)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동 가스주입부(192)와 수동 가스주입부(196)는 전방튜브(180)가 하측으로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전방튜브(160)의 위쪽 부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자동 가스주입부(192)는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전방튜브(180)가 후방튜브(140)와 동시에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제1 가스인플레이터(193)와, 제1 가스인플레이터(193)를 격발시키는 메인 트리거(194)와, 물의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메인 트리거(194)를 작동시키는 자동 격발부(19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동 격발부(196)는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그 끝단이 물과 접촉되도록 제1 플레이트(170)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수동 가스주입부(19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전방튜브(180)가 팽창하도록 하며, 제2 가스인플레이터(197)와, 수동으로 제2 가스인플레이터(197)를 격발시키는 보조 트리거(19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 트리거(198)에는 제2 레버라인(199)의 일단이 연결되며 제2 레버라인(199)은 한 쌍의 제1 이음벨트(126-1, 126-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단부에는 제2 레버라인이 당겨질 때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턱(126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3을 참조하여 수동 가스주입부(196)에 의한 전방튜브(180)의 팽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제2 플레이트(170)를 하측으로 당길 경우 제2 플레이트(170)에 결합된 한 쌍의 제1 이음벨트(120-1)의 타단이 탈거되고 제1 가스주입부(160)의 보조트리거(168)에 연결된 제1 레버라인(169)은 당겨지게 되며 동시에 제2 가스주입부(190)의 보조트리거(198)에 연결된 제2 레버라인(199)도 함께 당겨지게 된다.
다음, 제1 및 제2 가스주입부(160, 190)의 제1, 제2 레버라인(169, 199)이 동시에 당겨짐에 따라 제1 및 제2 가스주입부(160, 190)의 제2 가스인플레이터(167,197) 가 격발되어 CO2 가스를 방출하고 방출된 CO2 가스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튜브(180, 140)가 동시에 팽창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튜브(180)와 후방튜브(140)가 동시에 팽창하게 되어 균형을 잡아주므로 후방튜브(140)만 있을때 후방튜브(140)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 즉 전복의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편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선내에서 활동하다가 유사시에는 빠르게 작동하여 물에 빠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수상에서의 후방튜브(140) 팽창시 전복되지 않고 안전하게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수상에 추락시 물과의 접촉면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표류하더라도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고 수상의 열악한 환경으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20: 착용벨트
122: 제1 플레이트 124, 170: 제2 플레이트
126: 이음 벨트 140: 후방튜브
142: 제1 튜브 144: 제2 튜브
146: 제1 방수지퍼 150: 반 구형 튜브
152: 방수커버 154: 제2 방수지퍼
160: 제1 가스주입부 180: 전방튜브
190: 제2 가스주입부

Claims (18)

  1. 상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로서,
    상기 상체의 등 쪽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 가슴 쪽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이음벨트를 포함하는 착용벨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1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에어볼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튜브에 상기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방튜브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좌우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튜브로 구성되고, 팽창시 제1 튜브와 제2 튜브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스주입부는,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상기 후방튜브를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자동 가스주입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수동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스주입부는, 제1 가스인플레이터와, 상기 제1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메인 트리거와, 물의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메인 트리거를 작동시키는 자동 격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 격발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보빈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끝단이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동 가스주입부는, 제2 가스인플레이터와, 수동으로 상기 제2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보조 트리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벨트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상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이음벨트와,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이음벨트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보조 트리거와 연결된 제1 레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제1 이음벨트 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이음밸트에는 상기 튜브가 에어볼 형태로 전개되었을 때 상기 착용밸트를 원활하게 풀 수 있도록 버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가 팽창되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튜브가 서로 밀착되어 에어볼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튜브의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를 서로 채워 결합시키는 제1 방수지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s)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가 팽창하였을 때 수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튜브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물주머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의 내측에는 상기 후방튜브에 수동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튜브의 외측에는 상기 가스의 과주입을 방지하는 가스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의 내측 표면에는 알루미늄 비닐이 코팅되며,
    상기 후방튜브의 외측 표면에는 축광비닐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1. 상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로서,
    상기 상체의 등 쪽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 가슴 쪽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이음벨트를 포함하는 착용벨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1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반 구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튜브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제1 가스주입부; 및
    상기 후방튜브 팽창시 형성된 개방구를 커버하는 방수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주입부는,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상기 후방튜브를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자동 가스주입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수동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스주입부는, 제1 가스인플레이터와, 상기 제1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메인 트리거와, 물의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메인 트리거를 작동시키는 자동 격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 격발부는 원통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보빈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끝단이 물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수동 가스주입부는, 제2 가스인플레이터와, 수동으로 상기 제2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보조 트리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팽창된 상기 후방튜브의 원형 테두리에는 제2 방수지퍼가 구비되고,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제2 방수지퍼에 의해 채워져 상기 개방구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3. 상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로서,
    상기 상체의 등 쪽에 위치하는 제1 플레이트, 가슴 쪽에 위치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를 이어주는 이음벨트를 포함하는 착용벨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1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팽창하여 에어볼 형태를 이루는 후방튜브;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접혀진 상태로 설치되되 제2 커버에 의해 커버되고, 가스 주입에 의해 제2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팽창하는 전방튜브;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1 가스주입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튜브가 팽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튜브에 가스를 주입하는 제2 가스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스주입부는,
    각각 사용자가 물에 빠졌을 때 상기 전방튜브와 상기 후방튜브를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자동가스주입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수동가스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가스주입부는, 제1 가스인플레이터와, 상기 제1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메인 트리거와, 물의 접촉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메인 트리거를 작동시키는 자동 격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동 가스주입부는, 제2 가스인플레이터와, 수동으로 상기 제2 가스인플레이터를 격발시키는 보조 트리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튜브와 상기 전방튜브는 제1 가스주입부의 상기 보조 트리거 및 제2 가스주입부의 상기 보조 트리거의 수동 조작에 의해 동시에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벨트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상측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1 이음벨트와, 측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이음벨트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제1 가스주입부의 상기 보조 트리거와 연결된 제1 레버라인은 상기 한 쌍의 제1 이음벨트 내부를 통하여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2 가스주입부의 상기 보조 트리거와 연결된 제2 레버라인은 상기 제1 이음벨트의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전방튜브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전방튜브가 하방으로 팽창되어 투과되는 부분인 투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1020160140833A 2016-10-27 2016-10-27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KR101888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33A KR101888499B1 (ko) 2016-10-27 2016-10-27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833A KR101888499B1 (ko) 2016-10-27 2016-10-27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57A KR20180046057A (ko) 2018-05-08
KR101888499B1 true KR101888499B1 (ko) 2018-08-20

Family

ID=6218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833A KR101888499B1 (ko) 2016-10-27 2016-10-27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461B1 (fr) 2019-11-27 2024-04-12 Baz Andre Gilet de sauvetage pour milieu aquat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496B2 (ja) * 2001-03-12 2007-08-15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個人用救命ボート
KR100938973B1 (ko) * 2007-11-28 2010-01-26 박은숙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325811B1 (ko) * 2012-10-19 2013-11-05 김재홍 팽창식 구명동의의 가스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7627C (en) * 1995-05-09 2007-01-23 Peter Aschauer Lifesaving device for people in avalanches
KR20020085923A (ko) * 2001-05-10 2002-11-18 목란산업(주) 해상 안전용 에어 백 장치
KR20050107846A (ko) 2004-05-10 2005-11-16 주순석 수상구명장치
KR20160108748A (ko) * 2015-03-06 2016-09-20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쓰나미 래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496B2 (ja) * 2001-03-12 2007-08-15 株式会社リニア・サーキット 個人用救命ボート
KR100938973B1 (ko) * 2007-11-28 2010-01-26 박은숙 개인용 구명 장치
KR101325811B1 (ko) * 2012-10-19 2013-11-05 김재홍 팽창식 구명동의의 가스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057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867B1 (en) Emergency self-inflating flotation device
KR101673130B1 (ko) 수상 스포츠 팽창 조끼
US8920205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5393254A (en) Lifesaving apparatus
US8998667B2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having selectively inflatable bladders
KR101182957B1 (ko)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US20210129957A1 (en) Multi-chamber inflatable device
US9371119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having selectively inflatable bladders
KR20160125681A (ko) 자동 구명튜브
US7335078B2 (en) Tactical flotation support system
KR101888499B1 (ko) 휴대용 수상 구명장비
US20120244767A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Sleeve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CN216508961U (zh) 一种多气囊外包浮板的综合救生设备
CA2837229C (en) Marker and recovery device
KR102457489B1 (ko) 구명동의
JP3959496B2 (ja) 個人用救命ボート
CN113968321A (zh) 一种多气囊外包浮板的综合救生设备
US11097817B2 (en) Marker, recovery and flotation device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JP2001310795A (ja) 水難救命用ウェストバッグ
KR20150029477A (ko) 무게추 겸용 기도 확보 기능을 가지는 해녀 구명장치
KR102499772B1 (ko) 신체착용식 부력 구명장치
KR20180014892A (ko) 안전 수영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