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64B1 - 부양 장치 - Google Patents

부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64B1
KR102202064B1 KR1020190074422A KR20190074422A KR102202064B1 KR 102202064 B1 KR102202064 B1 KR 102202064B1 KR 1020190074422 A KR1020190074422 A KR 1020190074422A KR 20190074422 A KR20190074422 A KR 20190074422A KR 102202064 B1 KR102202064 B1 KR 102202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tation device
submersible
gas
detonation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412A (ko
Inventor
강종구
권래언
정철민
김동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7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6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4Automatic depth adjustment; Safety equipment for increasing buoyancy, e.g. detachable ballast, float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4Arrangements for ignition
    • F42D1/045Arrangements for electric ignition
    • F42D1/05Electric circuits for bl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01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 B63G2008/002Underwater vessel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e.g. unmanned underwater vessel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docking stations unman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개시된 부양 장치는, 작동 시에 양성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부양체를 포함하는 부양부와, 심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의하여 수중부양체가 작동되게 하는 기폭부와,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심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폭부에 기폭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양 장치{FLO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잠수체에 양성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양 장치와 이러한 부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탑승하여 운용하는 잠수함의 경우 긴급상황 발생시 부력조절장치인 발라스트 탱크에 고압의 가스를 주입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발라스트 탱크 내의 해수를 배출하여 수면으로 부상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긴급 부양 방법을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무인잠수정 등과 같은 무인잠수체에 적용하기에는 제약사항이 따른다. 예를 들어, 무인잠수정은 유인잠수함에 비해 크기가 작아 탑재되는 발라스트 탱크의 용량이 제한되고, 이처럼 발라스트 탱크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운영 최대 심도보다 더 깊은 심도로 가라앉는 비상상황 발생시 무인잠수정을 수면으로 신속하게 부상시킬 수 있는 양성 부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무인잠수정은 자율운항시 사람이 개입할 수 없기 때문에 시스템 오작동시 인위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것 또한 발라스트 탱크를 이용한 긴급 부양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요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2888호, 공개일자 2018년 06월 11일.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인잠수정 등의 잠수체에 비상상황 발생시 인위적인 제어가 반영되지 않더라도 잠수체를 신속하게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양성 부력을 제공하는 부양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관점에 따른 부양 장치는, 작동 시에 양성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부양체를 포함하는 부양부와, 심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의하여 상기 수중부양체가 작동되게 하는 기폭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심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폭부에 상기 기폭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중부양체는 잠수체의 선체 외벽에 선체 내측 방향으로 마련된 수납 공간에 탈거 가능하게 압축 상태로 장착되는 기체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머니는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 상태로 작동 시에 상기 선체 외벽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 상기 잠수체의 선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기폭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공간과 분리된 상기 잠수체의 선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된 수밀 커넥터를 통해 상기 기폭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폭부는, 상기 폭발에 따라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여 발생된 가스를 상기 기체주머니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기체주머니는 복수이고, 상기 기폭부는 상기 기체주머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삭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잠수정 등의 잠수체에 비상상황 발생시 인위적인 제어가 반영되지 않더라도 부양 장치가 잠수체를 신속하게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양성 부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잠수체의 본체와 분리되게 마련된 수납 공간에 수중부양체를 탈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잠수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수체로부터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수중부양체가 복수의 기체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양성 부력의 공급원이 다중화되어, 부양 장치의 운용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장착된 무인잠수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무인잠수정에 장착된 상태에서 A-A’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에 포함되는 전장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에 포함되는 수중부양체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무인잠수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장착된 무인잠수정의 비상상황 발생시 부양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일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는 무인잠수정 등을 포함하는 잠수체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작동 시에 잠수체에 양성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무인잠수정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장착되는 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부양 장치의 구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장착된 무인잠수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가 무인잠수정에 장착된 상태에서 A-A’라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에 포함되는 전장품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에 포함되는 수중부양체의 작동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무인잠수정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100)는 무인잠수정(10)의 일측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양 장치(100)는 무인잠수정(10)의 선수부의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무인잠수정(10)의 선수부 선체 외벽에 선체 내측 방향으로 마련된 수납 공간(151) 내에 부양 장치(100)의 일부분이 수납 및 장착되고, 부양 장치(100)의 나머지 부분이 선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부양 장치(100)는 센서부(110), 제어부(120), 기폭부(130) 및 부양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도값을 제어부(120)에 제공한다. 센서부(110)는 무인잠수정(10)에 부양부(1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51)과 분리된 무인잠수정(10)의 선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잠수심도를 측정하고, 잠수심도의 변위값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심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기폭부(130)에 기폭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인잠수정(10)에 부양부(1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51)과 분리된 무인잠수정(10)의 선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무인잠수정(10)의 심도가 부양 작동 심도이거나 부양 작동 심도보다 더 깊은 심도일 경우에 기폭부(130)에 기폭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과 같은 컴퓨팅 연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폭부(130)는 제어부(120)의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의하여 수중부양체가 작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양부(140)가 복수의 기체주머니(141, 142)를 포함하는 경우 기폭부(130) 또한 기체주머니(141, 14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기폭부(131)가 제 1 기체주머니(141)를 작동시킬 수 있고, 제 2 기폭부(132)가 제 2 기체주머니(14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폭부(130)는 무인잠수정(10)에 부양부(14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151)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폭부(130)는 수납 공간(151)에 설치된 수밀 커넥터(154)를 통해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밀 커넥터(154) 또한 기체주머니(141, 142) 및 기폭부(131, 1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이러한 기폭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인가되는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따라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여 발생된 가스를 기체주머니(141, 142)에 주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발생제는 아지드화나트륨(NaN3)과 산화철(Fe2O3)을 포함할 수 있다. 폭발에 의한 화염에 의해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고, 아지드화나트륨이 나트륨과 질소로 분해되어 질소(N2)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산화철은 나트륨과 격렬하게 반영하고, 이와 같은 반응이 촉진될수록 아지드화나트륨의 분해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질소 가스가 급속하게 만들어져 기체주머니(141, 142)에 주입될 수 있다.
부양부(140)는 작동 시에 양성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부양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양부(140)는 기체주머니(141, 142)를 수중부양체로서 포함할 수 있고, 부양 장치(100)가 복수의 기폭부(131, 132)를 포함하는 경우 기체주머니(141, 142) 또한 기폭부(131, 1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일 수 있다. 기체주머니(141, 142)는 무인잠수정(10)의 선체 외벽에 선체 내측 방향으로 마련된 수납 공간(151)에 탈거 가능하게 압축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 상태로 작동 시에 선체 외벽에 마련된 도어(152)를 통해 무인잠수정(10)의 선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52)는 무인잠수정(10)의 선체 외벽에 힌지(153) 결합될 수 있고, 힌지(153)를 중심으로 하는 힌지운동에 의하여 수납 공간(151)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부양부(140)는 발라스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무인잠수정(10)에 양성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발라스트가 마련되어 있는 잠수함 등의 잠수체에 마련되어서 발라스트가 제공하는 양성 부력에 더해서 양성 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기체주머니(141, 142) 및 기폭부(131, 132)를 2개씩 구현한 부양 장치(100)의 실시예를 나타내었으나 기체주머니(141, 142) 및 기폭부(131, 13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기체주머니(141, 142) 및 기폭부(131, 132)를 복수화하면 부양 장치(100)의 일부 구성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나머지 구성에 의하여 무인잠수정(10)을 부양시킬 수 있는 확률이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양 장치(100)가 장착된 무인잠수정(10)의 비상상황 발생시 부양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무인잠수정(10)의 비상상황 발생시 부양 장치(100)가 구동되어 무인잠수정(10)을 부양하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양부(140)의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는 무인잠수정(10)의 선체 외벽에 선체 내측 방향으로 마련된 수납 공간(151)에 탈거 가능하게 압축 상태로 장착되고, 제 1 기폭부(131)는 수납 공간(151) 내의 제 1 기체주머니(141)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 2 기폭부(132)는 수납 공간(151) 내의 제 2 기체주머니(142)에 기체를 주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는 제어부(120)에 의하여 인가되는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따라 화학반응이 발생될 수 있는 가스발생제를 포함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는 가스발생제로서 아지드화나트륨(NaN3)과 산화철(Fe2O3)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 및 제어부(120)는 수납 공간(151)과 분리된 무인잠수정(10)의 선체 내측에 배치되고, 제어부(120)와 제 1 기폭부(131)가 수납 공간(151)에 설치된 수밀 커넥터(15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120)와 제 2 기폭부(132) 또한 수납 공간(151)에 설치된 수밀 커넥터(154)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부양 장치(100)가 장착된 무인잠수정(10)은 수면(701) 아래에서 무인잠수정(10)의 운영 최대 심도(702)보다 얕은 수심에서 정상 상태(703)로 운영될 수 있고, 이러한 무인잠수정(10)의 운영 중에 센서부(110)는 무인잠수정(10)의 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심도값을 제어부(120)에 제공한다(S610).
그러면,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 의해 측정된 심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무인잠수정(10)이 운영 최대 심도(702)보다 얕은 수심에서 정상 상태(703)로 운영 중인가를 확인한다(S620).
이러한 무인잠수정(10)의 운영 중에 무인잠수정(10)이 운영 최대 심도(702)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태(704)에 놓일 수 있고, 무인잠수정(10)이 운영 최대 심도(702)보다 더 깊은 곳에 위치하는 상태(705)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20)는 무인잠수정(10)의 심도가 운영 최대 심도(702), 즉 부양 작동 심도이거나 부양 작동 심도보다 더 깊은 심도일 경우에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에 기폭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는 제어부(120)의 기폭신호에 따라 폭발이 유발되고, 유발된 폭발에 의하여 부양부(140)의 수중부양체가 작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의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따라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의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여 발생된 가스가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에 주입된다. 예를 들어, 제 1 기폭부(131) 및 제 2 기폭부(132)가 가스발생제로서 아지드화나트륨(NaN3)과 산화철(Fe2O3)을 포함한 경우, 폭발에 의한 화염에 의해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고, 아지드화나트륨이 나트륨과 질소로 분해되어 질소(N2)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산화철은 나트륨과 격렬하게 반영하고, 이와 같은 반응이 촉진될수록 아지드화나트륨의 분해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질소 가스가 급속하게 만들어져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에 주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에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 상태로 작동 시에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의 확장력에 의하여 선체 외벽에 마련된 도어(152)가 힌지(153) 운동을 하여 수납 공간(151)을 개방하고, 수납 공간(151)의 개방에 따라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가 무인잠수정(10)의 선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706)에 놓인다. 그러면,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가 무인잠수정(10)에 양성 부력을 제공한다(S630).
그러면, 무인잠수정(10)은 제 1 기체주머니(141) 및 제 2 기체주머니(142)에 의해 제공되는 양성 부력에 의하여 수면(701)을 향하여 부상하고, 운영 최대 심도(702)의 경계에 위치하는 상태(707)를 거쳐서 종국에는 수면(701)까지 부양된 상태(708)에 놓인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인잠수정(10)의 선수부에 부양 장치(100)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부양부(140)의 작동 시에 양성 부력에 의해 무인잠수정(10)의 선수부가 수면을 향하고 무인잠수정(10)의 선미부가 해저를 향하여 무인잠수정(10)이 수직 상태로 수면으로 부상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잠수정 등의 잠수체에 비상상황 발생시 인위적인 제어가 반영되지 않더라도 부양 장치가 잠수체를 신속하게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양성 부력을 제공한다.
아울러, 잠수체의 본체와 분리되게 마련된 수납 공간에 수중부양체를 탈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잠수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수체로부터 손쉽게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수중부양체가 복수의 기체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양성 부력의 공급원이 다중화되어, 부양 장치의 운용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부양 장치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기폭부
140: 부양부 141, 142: 기체주머니
151: 수납 공간 152: 도어
154: 수밀 커넥터

Claims (6)

  1. 무인잠수정을 수면으로 부상시킬 수 있는 부양 장치로서,
    작동 시에 양성 부력을 발생시키는 수중부양체를 포함하는 부양부와,
    심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기폭신호에 따라 유발된 폭발에 의하여 상기 수중부양체가 작동되게 하는 기폭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심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기폭부에 상기 기폭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양 장치는, 상기 무인잠수정의 선수부에 장착되어, 상기 부양부의 작동 시에 상기 양성 부력에 의해 상기 선수부가 수면을 향하고 상기 무인잠수정의 선미부가 해저를 향하여 상기 무인잠수정이 수직 상태로 상기 수면으로 부상되게 하는
    부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양체는 잠수체의 선체 외벽에 선체 내측 방향으로 마련된 수납 공간에 탈거 가능하게 압축 상태로 장착되는 기체주머니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머니는 기체가 주입되어 팽창 상태로 작동 시에 상기 선체 외벽에 마련된 도어를 통해 상기 잠수체의 선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부는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 공간과 분리된 상기 잠수체의 선체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된 수밀 커넥터를 통해 상기 기폭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폭부는, 상기 폭발에 따라 가스발생제가 화학반응하여 발생된 가스를 상기 기체주머니에 주입하는
    부양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머니는 복수이고, 상기 기폭부는 상기 기체주머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인
    부양 장치.
  6. 삭제
KR1020190074422A 2019-06-21 2019-06-21 부양 장치 KR10220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22A KR102202064B1 (ko) 2019-06-21 2019-06-21 부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422A KR102202064B1 (ko) 2019-06-21 2019-06-21 부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412A KR20200145412A (ko) 2020-12-30
KR102202064B1 true KR102202064B1 (ko) 2021-01-12

Family

ID=7408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422A KR102202064B1 (ko) 2019-06-21 2019-06-21 부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8084B (zh) * 2021-05-31 2022-04-12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 一种爆破片式应急浮起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364594B1 (ko) 2021-06-04 2022-02-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비상부양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잠수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09Y1 (ko) * 2002-08-01 2002-10-25 정경호 구명벨트
KR100936468B1 (ko) *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해저지형의 변동 및 해수에 의한 퇴적과 침식에 의한 변화를 확인하고 수위대비 수중의 환경변화를 관측하는 해저정보 확인시스템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KR101653469B1 (ko) * 2014-12-29 2016-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잠수함 긴급부상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999B1 (ko) 2016-12-01 2018-12-20 주식회사 한화 가스발생기와 메탈블레더를 이용한 비상용 메탈블레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609Y1 (ko) * 2002-08-01 2002-10-25 정경호 구명벨트
KR100936468B1 (ko) * 2009-07-24 2010-01-20 (주)새한지오텍 해저지형의 변동 및 해수에 의한 퇴적과 침식에 의한 변화를 확인하고 수위대비 수중의 환경변화를 관측하는 해저정보 확인시스템
KR101251631B1 (ko) * 2012-06-21 2013-04-08 이정훈 침몰시 상승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백을 구비한 잠수함 구조시스템
KR101653469B1 (ko) * 2014-12-29 2016-09-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잠수함 긴급부상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412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064B1 (ko) 부양 장치
CN102639394B (zh) 一种可控制的浮力系统
KR20110117611A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CN105416513B (zh) 一种应急回收水下拖体的安全装置
KR20120114753A (ko) 선박의 침몰 지연장치
KR101277002B1 (ko) 무인수상로봇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KR102106610B1 (ko) 비상 탈출용 구명정
KR101222530B1 (ko) 음성부력을 가진 수중 운동체의 부양장치 제어방법
KR101711612B1 (ko)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US3938459A (en) Minesweeper
KR101189594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US8371204B2 (en) Bubble weapon system and methods for inhibiting movement and disrupting operations of vessels
RU2690327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подводная лодка - носитель глубоко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JP6714311B2 (ja) 水難救助信号発信装置
KR101444851B1 (ko) 비상 부력 장치
KR102301815B1 (ko) 무인잠수정 및 전원 제어 방법
JP2019104363A (ja) 機雷処理用水中船、及びこれを備える機雷処理システム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102162612B1 (ko) 선박용 자가 복원 및 침몰 방지를 위한 통풍구 자동 개폐 시스템
JP2018171960A (ja) 水中機器及び水中機器の故障対策方法
RU2652289C2 (ru) Самоходный телеуправляемый снаряд - уничтожитель
KR20150069190A (ko) 기뢰 탐지 및 기뢰 제거용 공기부양정
KR102693664B1 (ko) 분리 가능한 중량물을 이용한 수중운동체의 부력 및 자세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