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922B1 -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922B1
KR102343922B1 KR1020210063637A KR20210063637A KR102343922B1 KR 102343922 B1 KR102343922 B1 KR 102343922B1 KR 1020210063637 A KR1020210063637 A KR 1020210063637A KR 20210063637 A KR20210063637 A KR 20210063637A KR 102343922 B1 KR102343922 B1 KR 102343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eawater
ship
cas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윤 filed Critical 김동윤
Priority to KR102021006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2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the surfacing of the buoy being assisted by a gas released or generated on submergence of the buo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바닥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며 타측 하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1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측에 수용되고 개폐 가능하게 이분되며 일측에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2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되고 채워진 기체의 일부가 하부로 분출되면서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되게 상승시키는 분출튜브;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분출튜브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시 상기 제2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켜 수중에서 부상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고정되고 내부에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로프의 타단이 상긱 수중부유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로프로 상기 선박과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연결하는 로프박스;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sunken vessel}
본 발명은 수중 바닥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바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선박들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수중에 침몰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순식 간에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한 기상 악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기상 악화 현상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지면서 바다에서 선박이 수중에 침몰하는 사고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바다에서 선박이 수중에 침몰한 상황에서는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선박의 주위와 내부를 신속하게 수색해야 한다.
그러나 침몰된 선박의 대부분은 그 침몰 위치가 정확하게 식별되지 않아 신속한 구조 및 탐색 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선박 인양 작업도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여기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선박의 침몰시 선박으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는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로부터 조난신호를 포착하여 침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과, 탐색선에 구비된 소나부이를 이용하여 침몰 선박의 선체를 물리적으로 탐색하여 침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최초 사고 위치만을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므로 해류 및 조류의 영향으로 침몰 선박이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침몰 선박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므로 막대한 수색 비용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소나부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최초 사고 위치 해면에서 침몰 선박의 선체를 탐색하는 것이므로 침몰 선박의 선체가 지형조건으로 소실될 경우 식별이 불가능하여 막대한 수색비용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선박의 침몰시 선박으로부터 연결로프와 연결된 상태로 자동으로 분리되고 가스에 의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는 위치식별부표를 구비한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들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들은 위치식별부표가 수면 위로 부상하더라도 기상이 좋지 않거나 파고가 클 때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박과 위치식별부표를 연결하는 연결로프는 자체적으로 탄성이나 불력이 없는 단순한 직물 구조임에 따라 선박이 회전하거나 전복되는 경우 선박의 선체와 꼬이거나 선박의 선체와 간섭되거나 꼬이게 되면서 위치식별부표를 수면 위까지 부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치식별부표가 기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는 구조임에 따라 부상 도중에서 선박의 선체에 살짝만 눌려지거나 어초나 해조류에 걸리게 되는 경우 수면 위로 부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함에 따라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의 구조 개선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7935호, 2011.11.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7200호, 2020.01.22.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948호, 2011.12.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08호, 2011.12.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797호, 2003.01.06.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08호, 2011.10.27.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3814호, 2017.11.27.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함에 따라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박의 침몰 형태와 상태에 상관 없고 해조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해상 기상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침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는 선박 침몰시 해수와의 접촉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수중부유튜브가 수면과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부유하면서 음파를 발신하고 가시광을 발광함에 따라 선박의 침몰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며 타측 하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1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측에 수용되고 개폐 가능하게 이분되며 일측에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2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되고 채워진 기체의 일부가 하부로 분출되면서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되게 상승시키는 분출튜브;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분출튜브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시 상기 제2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켜 수중에서 부상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고정되고 내부에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로프의 타단이 상긱 수중부유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로프로 상기 선박과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연결하는 로프박스;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로 구성되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는 선박 침몰시 해수와의 접촉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여 수중부유튜브가 수면과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부유하면서 음파를 발신하고 가시광을 발광함에 따라 선박의 침몰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구성하는 분출튜브와 수중부유튜브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구성하는 분출튜브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구성하는 수중부유튜브가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가 선박에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바다에서 수중에 침몰한 침몰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할 수 있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는 침몰 선박의 침몰 형태와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와 해상 기상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침몰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100)는 선박(S)에 구비되어 선박(S)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수중에서 부유되게 작동하여 선박(S)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 제2케이스(20), 분출튜브(30), 수중부유튜브(40), 로프박스(50), 음파발신모듈(60) 및 발광모듈(7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케이스(10)는 선박(S)에 일체로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10)는 타측 하부에 제2수용공간(12)을 외부와 연통시켜 선박(S)의 침몰시 해수가 제2수용공간(12)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해수유입공(1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케이스(20)는 제1케이스(10)의 제2수용공간(12) 상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케이스(20)는 일측이 개방된 본체(21)와, 본체(21)의 일측에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2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20)는 본체(21)와 덮개(22)의 연결부가 걸이식 구조로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케이스(20)는 제1케이스(10)의 제2수용공간(12) 상측에서 외부로 이탈될 경우 덮개(22)가 본체(21)에서 개방되면서 본체(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케이스(20)는 본체(21) 또는 덮개(22)에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선박(S)의 침몰시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해수유입공(2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출튜브(30)는 제1케이스(10)의 제2수용공간(12)의 하측에 수용되고 제1케이스(10)의 제1해수유입공(13)으로 유입된 해수와의 접촉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방으로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분출튜브(30)는 부피 팽창과 상방 분출력을 통해 제2케이스(20)가 제1케이스(10)의 제2수용공간(12)에서 이탈되도록 상승 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출튜브(30)는 제1저장탱크(31), 제1가압밸브(32), 제1고형체(33) 및 압력밸브(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탱크(31)는 분출튜브(30)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액화질소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밸브(32)는 분출튜브(3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1주입관(32a)을 통해 제1저장탱크(31)와 연결되며 제1탄성부재(32b)의 가압력에 의해 제1주입관(32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형체(33)는 녹말로 이루어지고 제1가압밸브(32)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해수유입공(13)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제1탄성부재(32b)의 가압력을 해제시켜 제1주입관(32a)을 개방하여 액화질소가 질소가스로 기화되어 분출튜브(3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압력밸브(34)는 분출튜브(30)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질소가스로 인해 분출튜브(30)가 팽창하면서 분출튜브(30)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때 질소가스를 하방으로 배출하여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분출튜브(30)는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제1고형체(33)가 용해되어 제1가압밸브(32)가 개방되면서 제1저장탱크(31)의 액화질소가 질소가스로 기화하여 내부에 채워지면서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분출튜브(30)는 부피의 팽창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게 되면서 압력밸브(34)가 자동 개방되어 질소가스가 압력밸브(34)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면서 분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1케이스(10)의 상측에 수용된 제2케이스(20)는 분출튜브(30)의 상방 분출력에 의해 분출튜브(30)와 함께 제1케이스(10)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중부유튜브(40)는 제2케이스(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케이스(20)가 분출튜브(30)에 의해 제1케이스(10)에서 이탈되면서 제2해수유입공(23)으로 유입된 해수와의 접촉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고 부력을 발휘하여 수중에서 자유롭게 부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중부유튜브(40)는 제2저장탱크(41), 제2가압밸브(42), 제2고형체(43) 및 압력계(44)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탱크(41)는 수중부유튜브(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액화질소가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밸브(42)는 수중부유튜브(4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2주입관(42a)을 통해 제2저장탱크(41)와 연결되며 제2탄성부재(42b)의 가압력에 의해 제2주입관(42a)을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형체(43)는 녹말로 이루어지고 제2가압밸브(42)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해수유입공(13)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제2탄성부재(42b)의 가압력을 해제시켜 제2주입관(42a)을 개방하여 액화질소가 질소가스로 기화되어 수중부유튜브(4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중부유튜브(40)는 해수와의 접촉에 의해 제2고형체(43)가 용해되어 제2가압밸브(42)가 개방되면서 제2저장탱크(41)의 액화질소가 질소가스로 기화하여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그러면 수중부유튜브(40)는 내부에 채워진 질소가스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고 부력을 발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수중에서 부상할 수 있다.
상기 압력계(44)는 수중부유튜브(40)의 외면에 설치되고 수중부유튜브(40)의 내압을 측정하여 전면에 표시함에 따라 수중부유튜브(4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압력계(44)의 전면에 표시되는 정상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압력계(44)의 전면이 제2케이스(20)의 일측에 형성된 제2압력계노출홀(24)과 제1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압력계홀(1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박스(50)는 제1케이스(10)의 제1수용공간(11)에 고정되고 내부에 로프(51)의 일단이 고정되는 로프(51)의 타단이 수중부유튜브(4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로프박스(50)는 선박(S)의 침몰로 인해 수중부유튜브(40)가 수중에서 부상할 때 로프(51)를 통해 선박(S)에 고정된 제1케이스(10)와 수중부유튜브(40)를 길게 연결함으로써 수중부유튜브(40)가 해수면과 근접한 거리에서 선박(S)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음파발신모듈(60)은 수중부유튜브(40)이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음파를 외부로 발신할 수 있다.
즉, 음파발신모듈(60)은 선박(S)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40)가 수중에서 부유하면서 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음파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선박은 해수면 바로 위에서 음파발신모듈(60)에서 발신하는 음파를 음파탐지기를 통해 탐지함으로써 선박(S)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광모듈(70)은 수중부유튜브(40)의 상부면에 음파발신모듈(60)과 함께 설치되어 수중에서 선박(S)의 위치 식별을 위한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다.
즉, 발광모듈(70)은 선박(S)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40)가 수중에서 부유하면서 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모듈(70)은 수중에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발광부(71)와,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발광부(7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70)은 적색발광부(71)와 청색발광부(72)를 통해 수중에서 적색광과 청색광을 동시에 발광함에 따라 수중에서 부유하는 수중부유튜브(4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박(S)의 침몰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수중부유튜브(40)에는 음파발신모듈(60)과 발광모듈(70)로 각각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는 스위치를 통해 음파발신모듈(60)과 발광모듈(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단, 스위치는 해수와의 접촉시 전기적으로 자동 쇼트되면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를 음파발신모듈과 발광모듈(70)에 각각 자동으로 공급되게 작동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제1케이스
11: 제1수용공간
12: 제2수용공간
13: 제1해수유입공
14: 제1압력계노출홀
20: 제2케이스
21: 본체
22: 덮개
23: 제2해수유입공
24: 제2압력계노출홀
30: 분출튜브
31: 제1저장탱크
32: 제1가압밸브
32a: 제1주입관
32b: 제1탄성부재
33: 제1고형체
34: 압력밸브
40: 수중부유튜브
41: 제2저장탱크
42: 제2가압밸브
42a: 제2주입관
42b: 제2탄성부재
43: 제2고형체
44: 압력계
50: 로프박스
51: 로프
60: 음파발신모듈
70: 발광모듈
71: 적색발광부
72: 청색발광부

Claims (5)

  1.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에 상부가 개방된 제1수용공간과 제2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며 타측 하부에 상기 제2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1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1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상측에 수용되고 개폐 가능하게 이분되며 일측에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켜 상기 선박의 침몰시 해수가 유입되는 제2해수유입공이 형성되는 제2케이스;
    상기 제2수용공간의 하측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되고 채워진 기체의 일부가 하부로 분출되면서 상기 제2케이스를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되게 상승시키는 분출튜브;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분출튜브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에서 이탈시 상기 제2해수유입공으로 유입된 해수에 의해 내부가 기체로 채워지고 채워진 기체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면서 부력을 발생시켜 수중에서 부상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고정되고 내부에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로프의 타단이 상긱 수중부유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로프로 상기 선박과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연결하는 로프박스;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튜브에는
    상기 분출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액화기체가 채워지는 제1저장탱크;
    상기 분출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1주입관을 통해 상기 제1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주입관을 폐쇄하는 제1가압밸브;
    상기 제1가압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해수유입공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을 해제시켜 상기 제1주입관을 개방하여 상기 액화기체가 기체로 기화되면서 상기 분출튜브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하는 제2고형체; 및
    상기 분출튜브의 하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기체로 인해 상기 분출튜브가 팽창하면서 상기 분출튜브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높을 때 상기 기체를 하방으로 배출하여 분출력을 발생시키는 압력밸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유튜브에는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내부에 설치되고 액화기체가 내부에 채워지는 제2저장탱크;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제2주입관을 통해 상기 제2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주입관을 폐쇄하는 제2가압밸브; 및
    상기 제2가압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해수유입공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때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을 해제시켜 상기 제2주입관을 개방하여 상기 액화기체가 기체로 기화되면서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내부에 채워지면서 부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제2고형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발광부;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0210063637A 2021-05-17 2021-05-17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343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7A KR102343922B1 (ko) 2021-05-17 2021-05-17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637A KR102343922B1 (ko) 2021-05-17 2021-05-17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22B1 true KR102343922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637A KR102343922B1 (ko) 2021-05-17 2021-05-17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9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793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30127794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40057632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97Y1 (ko) 2002-09-26 2003-01-06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20110011108A (ko) 2009-07-27 2011-02-08 박광돈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127935A (ko) 2010-05-20 2011-11-28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20110138948A (ko) 2010-06-22 2011-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수색용 비상 위치 부표시스템
KR101803814B1 (ko)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102028521B1 (ko) * 2019-07-09 2019-10-04 (주)한국해양기술안전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102057039B1 (ko) * 2018-07-24 2019-12-18 임동순 인양이 용이한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인양 시스템
KR20200007200A (ko) 2018-07-12 2020-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34965A (ko) * 2019-05-24 2020-12-02 정가희 선박용 구조신호 발신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97Y1 (ko) 2002-09-26 2003-01-06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20110011108A (ko) 2009-07-27 2011-02-08 박광돈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127935A (ko) 2010-05-20 2011-11-28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20110138948A (ko) 2010-06-22 2011-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수색용 비상 위치 부표시스템
KR101803814B1 (ko)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20200007200A (ko) 2018-07-12 2020-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57039B1 (ko) * 2018-07-24 2019-12-18 임동순 인양이 용이한 선박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인양 시스템
KR20200134965A (ko) * 2019-05-24 2020-12-02 정가희 선박용 구조신호 발신장치
KR102028521B1 (ko) * 2019-07-09 2019-10-04 (주)한국해양기술안전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793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30127794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102619510B1 (ko) * 2022-02-25 2023-12-29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102646169B1 (ko) 2022-02-25 2024-03-11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40057632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255654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1258643B1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US9853360B2 (en) Inflatable radar signal device
KR100791547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US4541079A (en) Marine streamer cable recovery system
CN103303445A (zh) 船体安全气囊
US20230098899A1 (en) System for retrieval of objects lost in water
KR20110127935A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102219469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20160001264U (ko)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KR20100106119A (ko)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1535413B1 (ko)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US7435148B2 (en) Hydrostatic EPIRB release
US3384867A (en) Underwater transponder assembly including flotation unit
KR101661626B1 (ko)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CN212373626U (zh) 一种海洋设备用防丢失装置
JP3444559B2 (ja) 水没浮標用の標識ブイ装置
KR100390858B1 (ko)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KR101706149B1 (ko) 선박용 부력 부재의 자동 팽창장치
JP2006306280A (ja) 可撓性ブイ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110122929A (ko) 나 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