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413B1 -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413B1
KR101535413B1 KR1020130142811A KR20130142811A KR101535413B1 KR 101535413 B1 KR101535413 B1 KR 101535413B1 KR 1020130142811 A KR1020130142811 A KR 1020130142811A KR 20130142811 A KR20130142811 A KR 20130142811A KR 101535413 B1 KR101535413 B1 KR 10153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unit
pressure tank
pressure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334A (ko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김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준 filed Critical 김기준
Priority to KR102013014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수몸체와; 상기 회수몸체의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되어 압력타격부를 갖는 제1압력탱크가 구비된 제1격실과; 상기 제1격실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전자타격부를 갖는 제2압력탱크가 구비된 제2격실과; 상기 제1격실과 제2격실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압력탱크 또는 제2압력탱크의 기체가 공급되어 부풀려지는 부력발생부가 구비된 제3격실; 및 상기 전자타격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실된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가 수중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타격부에 의하여 압력탱크의 차단구가 오픈되어 압축 저장되었던 고압 기체에 의하여 부력발생부가 부풀려지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수면위로 부상시켜 안전하게 회수하여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부력발생부로 기체의 공급을 제1격실과 제2격실에서 공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격실과 제2격실 중 한곳의 격실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한곳의 격실에서 부력발생부로 기체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Floating recovery equipment of underwater device}
본 발명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중에서 분실된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와 같은 수중장비가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압력이나 전자로 작동되는 타격부에 의하여 압력탱크의 차단구가 오픈됨과 동시에 압축 저장되었던 고압 기체가 부력발생부를 부풀려 충분한 부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환경 보존과 바다를 개발하기 위해 수천에서 수억에 달하는 해양측량 장비들을 사용하고 있다. 해양환경조사를 위한 가장기본적인 고가의 장비는 수온·염분·수심 측정기 (CTD : Conductivity Temperature Depth Profiler), 다중빔(Multi-Beam) 사이드 스캔소나(Side Scan Sonar), 수중촬영장비 비디오 카메라, 유속계, 파고계, 무잠수정시스템 rov, 그외 고가의 수중측량 장비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해양측량장비는 와이어줄이나 로프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선박위에서 실수로 해양측량 장비를 바다속에 빠져 유실하는 경우와 수중촬영장비는 주로 수중촬영 후 배위로 올려주거나 배위에서 관리 잘못으로 바다속에 빠지거나 조류가 심한 지역에서 잡고 있던 상태에서 이를 놓쳐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실후에 고가의 장비를 찾기위해 잠수부를 불러 찾는 경우가 있으나, 깊은 수심에는 잠수부가 들어갈 수 없고, 시야가 불량인 곳에는 찾을 수 없어 결국 경제적인 손실을 많이 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처럼 고가의 해양측량장비 이면서도 별다른 안전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를 수중에서 분실 했을 경우 부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된 부력으로 부상되어 안전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한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수몸체와, 상기 회수몸체의 내부에 격벽(P)으로 구획되어 압력타격부를 갖는 제1압력탱크가 구비된 제1격실과; 상기 제1격실의 격벽(P)으로 구획되어 전자타격부를 갖는 제2압력탱크가 구비된 제2격실과; 상기 제1격실과 제2격실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제1압력탱크 또는 제2압력탱크의 기체가 공급되어 부풀려지는 부력발생부가 구비된 제3격실; 및 상기 전자타격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몸체는 제1격실, 제2격실 및 제3격실의 상부에 형성된 실링홈과; 상기 실링홈에 삽입된 실링과; 상기 실링이 압착되게 회수몸체의 상부에 덮혀진 회수커버와; 상기 회수몸체와 회수커버가 나사(S)로 결합되고, 상기 제3격실의 측벽에 부력발생인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부력발생인출구는 인출홈과;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며 힌지로 결합된 인출도어; 및 상기 인출도어와 제3격실(R3)의 지지돌기 사이에 연결된 지지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압력탱크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1차단구가 결합되고, 상기 압력타격부는 압력타격몸체의 일측 내부에 제1안전스프링이 끼워진 제1타격핀이 삽입되고, 상기 압력타격몸체의 타측에 연장관의 일측이 결합되되, 상기 연장관의 타측이 제1격실(R1)의 외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압력탱크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2차단구가 결합되고, 상기 전자타격부는 전자타격몸체의 일측 내부에 제2안전스프링이 끼워진 제2타격핀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타격헤드가 결합되고, 상기 전자타격몸체의 타측에 하우징의 내부로 코일과 스프링 및 로드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로드에 푸싱링크의 일측이 맞대어지며, 상기 푸싱링크의 타측이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제2타격핀에 맞대어지고, 상기 코일에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제어부에 의하여 인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운팅부와; 상기 카운팅부의 출력측에 접속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카운팅부의 입력측에 접속된 셋팅부; 및 상기 카운팅부의 입력측에 접속된 초기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격실(R2)은 내부에 누수감지부가 구비되며, 외부에 상기 누수감지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누수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발생부는 밀봉된 팽창부재가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게 접혀지고, 상기 팽창부재의 일측은 제1압력탱크와 제2압력탱크에 연결된 각각의 이송튜브(T)에 역류방지밸브(V)로 연결되며, 상기 팽창부재의 타측은 점멸램프와 과압방지밸브(PV)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열가소성우레탄, 압축PVC원단 및 압축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축전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축전지와; 상기 회수몸체에 구비된 태양광모듈; 및 상기 태양광모듈에 접속된 충방전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수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실된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가 수중의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타격부에 의하여 압력탱크의 차단구가 오픈되어 압축 저장되었던 고압 기체가 부력발생부를 부풀려 충분한 부력이 발생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바닥으로 낙하되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가 낙하를 멈추면서 수면위로 부상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안전하게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의 회수커버를 오픈 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의 평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가 수중탐색 음탐기인 사이드 스캔 소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및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부상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가 수중촬영장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및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부상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로 인하여 수중 바닥으로 낙하되는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가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로 부상되도록 하여 회수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는 회수몸체(10), 제1격실(R1), 제2격실(R2), 제3격실(R3) 및 전원공급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수몸체(10)는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의 충격에 강한 알루미늄이나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밀성이 더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회수몸체(10)는 다수개의 격벽(P)에 의하여 내부의 공간이 3개 즉, 제1격실(R1), 제2격실(R2) 및 제3격실(R3)로 구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회수몸체(10)의 모서리에는 받침부재가 결합되어 용이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격실(R1)은 수중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증대되는 압력에 의하여 제1압력탱크(20)의 내부에 고압력으로 충전(진)된 기체가 부력발생부(40)로 공급되어 부풀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격실(R1)은 내부가 격벽(P)으로 구획되어 압력타격부(21)를 갖는 제1압력탱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압력탱크(20)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1차단구가 결합되어 평상시 고압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력타격부(21)는 수중에서 작용되는 압력에 의하여 작동되어 제1차단구를 오픈시켜 고압기체가 부력발생부(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력타격몸체(211)의 일측 내부에는 제1안전스프링(212)이 끼워진 제1타격핀(213)이 삽입되어 평상시 제1타격핀(213)이 제1안전스프링(2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력타격몸체(21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압력타격몸체(211)의 타측에는 연장관이 결합되며, 상기 연장관의 타측이 제1격실(R1)의 외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수중 바닥으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수압이 연장관를 통해 제1타격핀(213)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수압에 따라 제1타격핀(213)에 작용하는 압력이 커져 제1안전스프링(212)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제1타격핀(213)이 압력타격몸체(2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1차단구가 눌려지면서 오픈되어 제1압력탱크(20)의 고압 기체가 외부로 분출되게 된다. 즉, 일정 수심에 도달했을 경우 제1압력탱크(20)에서 고압 기체가 분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압기체는 CO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격실(R2)는 수중에서 필요시간(음파측정이나 수중촬영을 수행하는 시간)이외에 시간이 경과되면 제2압력탱크(30)의 내부에 고압으로 충전(진)된 기체가 부력발생부(40)로 공급되어 부풀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격실(R2)은 내부가 격벽(P)으로 구획되어 전자타격부(31)를 갖는 제2압력탱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압력탱크(20)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2차단구(301)가 결합되어 평상시 고압기체가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수몸체(10)는 수밀유지를 위해 제1격실(R1), 제2격실(R2) 및 제3격실(R3)의 상부에 실링홈(101)을 형성하여 실링(11)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실링(11)이 회수몸체(10)의 상부에 덮여서 나사(S)로 결합된 회수커버(12)에 의하여 압착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수몸체(10)의 제3격실(R3) 측벽에는 부력발생인출구(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력발생인출구(13)는 인출홈(131)에 인출도어(133)가 삽입되어 힌지(132)로 오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인출도어(133)와 제3격실(R3)의 지지돌기(134) 사이에 연결된 지지스프링(135)에 의하여 평상시 닫혀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자타격부(31)는 전자타격몸체(311)의 일측 내부에 제2안전스프링(312)이 끼워진 제2타격핀(313)을 갖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된 타격헤드(315)가 결합되어 평상시 제2타격핀(313)이 제2안전스프링(312)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자타격몸체(311)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전자타격몸체(311)의 타측에는 하우징(321)의 내부로 코일(322)과 스프링(323) 및 로드(324)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부(32)가 결합되고, 상기 코일(322)에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이 제어부(51)에 의하여 인가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평상시 상기 로드(324)는 푸싱링크(33)의 일측이 맞대어지며, 상기 푸싱링크(33)의 타측이 가이드홈(314)에 삽입되어 제2타격핀(313)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코일(322)로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로드(324)가 인출되어 푸싱링크(33)의 일측을 가압시키면 타측이 가이드홈(314)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타격핀(313)을 밀어 제2안전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전자타격몸체(3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2차단구(301)가 눌려지면서 오픈되어 제2압력탱크(30)에서 고압 기체가 외부로 분출된다.
상기 제어부(51)는 수중속에서 바닥으로 낙하됨과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카운팅하는 카운팅부(511)의 출력측에 디스플레이부(512)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카운팅부(511)의 입력측에 셋팅부(513)이 접속되어 임의로 셋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운팅부(511)의 입력측에는 초기화부(514)가 접속되어 수중장비를 회수한 후 안전하게 육상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초기화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카운팅부(511)는 기계식과 전자식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격실(R2)은 내부에 누수감지부(35)가 구비되어 수중에서 누수되는 것을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 상기 누수감지부(35)의 상태를 표시하는 누수표시부(351)가 구비되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3격실(R3)은 제1격실(R1)과 제2격실(R2)의 격벽(P)으로 구획되어 제1압력탱크(20) 또는 제2압력탱크(30)의 고압 기체가 공급되어 부풀려지는 부력발생부(4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부력발생부(40)는 밀봉된 팽창부재(41)가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게 접혀 보관되고, 상기 팽창부재(41)의 일측은 제1압력탱크(20)와 제2압력탱크(30)에 연결된 각각의 이송튜브(T)에 역류방지밸브(V)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41)의 타측은 점멸램프(42)와 과압방지밸브(PV)가 결합되어 수면으로 부상된 상태에서 안개낀 주간이나 야간에 위치를 용이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고압방지밸브(PV)를 이용하여 팽창부재(41)의 내부에서 팽창된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압방지밸브(PV)는 수압이 높은 깊은 수심에서 부상하는 가운데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함으로써, 팽창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팽창부재(41)는 고압기체의 압력이나 외부충격에 강한 열가소성우레탄, 압축PVC원단 및 압축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력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전자타격부(31)를 비롯하여 제어부(51), 카운팅부(511), 디스플레이부(512), 셋팅부(513) 및 초기화부(514)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운데 부력발생부(40)의 점멸램프(42)가 점멸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점멸램프(42)는 자체에 배터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배터리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축전지(52)로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공급부(50)가 단순한 축전지(52)로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태양광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축전지(52)에 회수몸체(10)의 상부로 결합된 회수커버(12)에 구비된 태양광모듈(53)이 충방전 제어부(54)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안정된 전원이 장기간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는 도5a 내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탐색 음탐기인 사이드 스캔 소나 및 수중촬영장비에 장착된 상태에서 분실로 인하여 수중 바닥으로 낙하되면 먼저, 수압이 연장관을 통해 압력타격몸체(211)의 내부로 작용하게 되고, 수압이 점진적으로 높아져 제1안전스프링(212)을 압축시키면서 제1타격핀(213)이 압력타격몸체(211)의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 압력타격몸체(211)의 외부로 노출된 제1타격핀(213)이 제1차단구(201)를 눌러 오픈됨으로써, 제1압력탱크(20)에서 고압 기체가 이송튜브(T)를 통해 부력발생부(40)의 팽창부재(41)로 공급되어 부풀려지면서 부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3격실(R3)에 접혀 있던 팽창부재(41)는 팽창되면서 인출도어(133)를 오픈시키고 회수몸체(10)의 외부에서 더 부풀려지게 되고, 부풀려지는 과정에서 역류방지밸브(V)에 의하여 팽창부재(41)의 내부에 있는 기체가 제1압력탱크(2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팽창부재(41)가 부풀려지는 과정에서 과압방지밸브(PV)에 의하여 외부에서 작용되는 수압으로 팽창부재(41)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수중 바닥으로의 낙하가 멈춘 상태에서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로 떠 오르게 된다. 이때, 전원공급부(50)나 자체 배터리에 의하여 점멸램프(42)가 점멸됨으로써, 안개 낀 주간이나 야간에 위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다음, 수면으로 부상된 수중장비를 인양한 후 과압방지밸브(PV)를 오픈시켜 팽창부재(41)의 내부에 있는 기체를 모두 배출하면 된다.
한편, 회수몸체(10)의 제2격실(R2)에 구비된 제2압력탱크(30)에 압축 저장된 기체는 미리 설정된 카운팅값에 의하여 카운팅된 후 제어부(51)의 신호에 따라 축전지(52)의 전원이 전자 타격부(31)의 코일(322)로 인가됨과 동시에 코일(322)에서 발생된 자력에 의하여 로드(324)가 하우징(321)의 외부로 인출된다.
다음, 로드(324)에 의하여 푸싱링크(33)의 일측이 가압되고, 이어 푸싱링크(33)의 타측이 가이드홈(314)을 따라 이동하여 제2타격핀(313)을 밀어 제2안전스프링(312)을 압축시키면서 전자타격몸체(311)의 외부로 노출된다.
다음, 제2차단구(301)가 눌려지면서 오픈되어 제2압력탱크(30)에서 고압력의 기체가 이송튜브(T)를 통해 팽창부재(41)의 내부로 공급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부풀려지면서 수면위로 부상됨으로써, 고가의 해상관측장비 및 수중촬영장비를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10: 회수몸체 11: 실링
12: 회수커버 13: 부력발생인출구
20: 제1압력탱크 21: 압력타격부
30: 제2압력탱크 31: 전자타격부
32: 솔레노이드부 33: 푸싱링크
40: 부력발생부 50: 전원공급부
51: 제어부 101: 실링홈
131: 인출홈 132: 힌지
133: 인출도어 134: 지지돌기
135: 지지스프링
211: 압력타격몸체 212: 제1안전스프링
213: 제1타격핀 214: 연장관
301: 제2차단구 311: 전자타격몸체
312: 제2안전스프링 313: 제2타격핀
314: 가이드홈 315: 타격헤드
322: 코일 323: 스프링
324: 로드 P: 격벽
R1: 제1격실 R2: 제2격실
R3: 제3격실 S: 나사

Claims (11)

  1. 회수몸체(10)와;
    상기 회수몸체(10)의 내부에 격벽(P)으로 구획되어 압력타격부(21)를 갖는 제1압력탱크(20)가 구비된 제1격실(R1)과;
    상기 제1격실(R1)의 격벽(P)으로 구획되어 전자타격부(31)를 갖는 제2압력탱크(30)가 구비된 제2격실(R2)과;
    상기 제1격실(R1)과 제2격실(R2)의 격벽(P)으로 구획되어 제1압력탱크(20) 또는 제2압력탱크(30)의 기체가 공급되어 부풀려지는 부력발생부(40)가 구비된 제3격실(R3); 및
    상기 전자타격부(31)에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공급부(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몸체(10)는,
    제1격실(R1), 제2격실(R2) 및 제3격실(R3)의 상부에 형성된 실링홈(101)과;
    상기 실링홈(101)에 삽입된 실링(11)과;
    상기 실링(11)이 압착되게 회수몸체(10)의 상부에 덮혀진 회수커버(12)와;
    상기 회수몸체(10)와 회수커버(12)가 나사(S)로 결합되고, 상기 제3격실(R3)의 측벽에 부력발생인출구(13)가 구비되되,
    상기 부력발생인출구(13)는 인출홈(131)과;
    상기 인출홈(131)에 삽입되며 힌지(132)로 결합된 인출도어(133); 및
    상기 인출도어(133)와 제3격실(R3)의 지지돌기(134) 사이에 연결된 지지스프링(13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력탱크(20)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1차단구가 결합되고, 상기 압력타격부(21)는 압력타격몸체(211)의 일측 내부에 제1안전스프링(212)이 끼워진 제1타격핀(213)이 삽입되고, 상기 압력타격몸체(211)의 타측에 연장관이 결합되되, 상기 연장관(214)이 제1격실(R1)의 외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압력탱크(30)는,
    고압기체가 주입된 입구측에 제2차단구(301)가 결합되고, 상기 전자타격부(31)는 전자타격몸체(311)의 일측 내부에 제2안전스프링(312)이 끼워진 제2타격핀(313)을 갖는 가이드홈(314)이 형성된 타격헤드(315)가 결합되고, 상기 전자타격몸체(311)의 타측에 하우징(321)의 내부로 코일(322)과 스프링(323) 및 로드(324)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부(32)가 결합되고, 상기 로드(324)에 푸싱링크(33)의 일측이 맞대어지며, 상기 푸싱링크(33)의 타측이 가이드홈(314)에 삽입되어 제2타격핀(313)에 맞대어지고, 상기 코일(322)에 전원공급부(50)의 전원이 제어부(51)에 의하여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1)는,
    카운팅부(511)와;
    상기 카운팅부(511)의 출력측에 접속된 디스플레이부(512)와;
    상기 카운팅부(511)의 입력측에 접속된 셋팅부(513); 및
    상기 카운팅부(511)의 입력측에 접속된 초기화부(5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실(R2)은,
    내부에 누수감지부(35)가 구비되며, 외부에 상기 누수감지부(35)의 상태를 표시하는 누수표시부(35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발생부(40)는,
    밀봉된 팽창부재(41)가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게 접히고, 상기 팽창부재(41)의 일측은 제1압력탱크(20)와 제2압력탱크(30)에 연결된 각각의 이송튜브(T)에 역류방지밸브(V)로 연결되며, 상기 팽창부재(41)의 타측은 점멸램프(42)와 과압방지밸브(PV)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41)는 열가소성우레탄, 압축PVC원단 및 압축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축전지(5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축전지(52)와;
    상기 회수몸체(10)의 상부로 결합된 회수커버(12)에 구비된 태양광모듈(53); 및
    상기 태양광모듈(53)에 접속된 충방전 제어부(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몸체(10)는 알루미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장비용 부상회수장치.
KR1020130142811A 2013-11-22 2013-11-22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KR10153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11A KR101535413B1 (ko) 2013-11-22 2013-11-22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811A KR101535413B1 (ko) 2013-11-22 2013-11-22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34A KR20150059334A (ko) 2015-06-01
KR101535413B1 true KR101535413B1 (ko) 2015-07-09

Family

ID=53490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811A KR101535413B1 (ko) 2013-11-22 2013-11-22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6584A (zh) * 2016-10-28 2018-05-11 金起俊 水下装置用漂浮回收装置
KR101711612B1 (ko) * 2016-10-28 2017-03-02 김기준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KR101943949B1 (ko) * 2018-07-06 2019-01-30 주식회사 오션앤테크 구명용 부력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400A (ja) * 1999-11-11 2001-05-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中航走体の回収装置
KR20100091041A (ko) * 2009-02-09 2010-08-18 (주)유에스티21 수중장비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1400A (ja) * 1999-11-11 2001-05-2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水中航走体の回収装置
KR20100091041A (ko) * 2009-02-09 2010-08-18 (주)유에스티21 수중장비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334A (ko)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84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bed exploration
KR101711612B1 (ko)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KR101535413B1 (ko) 수중장비 부상 회수장치
CN107179554B (zh) 一种海底地震探测装置及探测方法
US20160340001A1 (en) Submersible buoy, inflation control system and kit
US11566924B2 (en) Modular sen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30098899A1 (en) System for retrieval of objects lost in water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US7032530B1 (en) Submarine air bag launch assembly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US4152392A (en) Chemical canister
KR20120030612A (ko) 수체 흐름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잠수볼
US10029771B2 (en) Floating recovery device for underwater equipment
CN208937147U (zh) 一种船舶弯道航行报警装置
KR20200145412A (ko) 부양 장치
CN106965912B (zh) 水下设备水面示位装置
KR102107168B1 (ko) 선박용 블랙박스 장치
KR100999931B1 (ko) 비상위치지시용무선표지설비의 오작동 방지장치
CN111024050A (zh) 自沉浮式海洋观测平台
CN112407203A (zh) 一种具有防碰撞功能的电子舱
JP2006306280A (ja) 可撓性ブイ
CN115485587A (zh) 混合地震数据采集设备及相应方法
KR101739258B1 (ko) 압력탱크 타격장치
KR20110128012A (ko)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