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233A -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 Google Patents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233A
KR20090085233A KR1020080011026A KR20080011026A KR20090085233A KR 20090085233 A KR20090085233 A KR 20090085233A KR 1020080011026 A KR1020080011026 A KR 1020080011026A KR 20080011026 A KR20080011026 A KR 20080011026A KR 20090085233 A KR20090085233 A KR 20090085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oil
pipe
tank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102008001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233A/ko
Publication of KR2009008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06Emptying the contents of sunken, stranded, or disabled vessels, e.g. by engaging the vessel; Underwater collecting of buoyant contents, such as liquid, particulate or gaseous contents, escaping from sunken vessels, e.g. using funnels, or tents for recovery of escapin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16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 B63C7/22Apparatus engaging vessels or objects using electromagnet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4Apparatus for passing chains or the like under vessel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몰 혹은 좌초된 유조선의 격실에서 기름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고, 기름이 회수된 선체를 부상시켜 수리항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유조선과, 그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은 기름을 수용하기 위하여 격벽으로 분리된 격실을 구비한 유조선에 있어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파이프는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하측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는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상측까지 삽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하측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와,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상측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구비한 유조선을 제공함으로써, 유조선 내부에 적재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기름회수, 선체인양, 유조선, 기름, 타르, 액체 화학물질 수송선박

Description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An oiler and for oil recovery and vessel salvag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몰 혹은 좌초된 유조선의 격실에서 기름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고, 기름이 회수된 선체를 부상시켜 수리항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유조선과, 그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대한 것이다.
대형화된 유조선은 격벽으로 분리된 다수의 격실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격실에 기름이 적재된다. 그리고 격실과 격실 간은 수평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어서 기름이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조선은 대량의 기름을 격실에 탑재하여 항해한다. 이러한 이유로 유조선이 좌초나 침몰 등의 해난 사고를 당한 경우 막대한 기름이 유출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유조선 등에 해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격실에서 기름이 유출되어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실 내부의 기름을 신속하게 회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유조선은 기름회수를 위한 효율적인 구조로 되어 있지 아니하여 유조선이 해저에 침몰당한 경우 해저에 착저된 상태 에서 유조선의 격실에 있는 기름을 회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기름이 방출되어 수면에 오염원으로 부상한 경우에야 수면에서 방제 선박을 이용하여 회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기름의 회수는 해수면의 파도상태나, 날씨 또는 방제 영역에 의존을 하고 또한, 기름을 완벽하게 회수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만 회수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유조선에 적재된 기름은 종류에 따라 비등점이 다르다. 그러므로 해수의 온도에 따라 침몰된 유조선에 적재된 기름은 타르의 고체상태, 겔상태, 또는 연한 액체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유조선 내에 잔류하는 기름은 계절별로 흘러나오는 양이 상이하여 기름의 방제 작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기름이 격실 내부에서 타르 상태로 있을 경우 회수 호스를 연결하여도 호스로 상기 타르를 흡입할 수 없으므로 타르 상태의 기름을 회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해저에 침몰당한 유조선은 대형 선박이므로 크레인이 작업할 수 있는 무게의 한도, 인양 와이어(또는 체인)의 인장 강도 등으로 인하여 유조선을 인양하기 위하여 수면상으로 부상시키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조선 내부에 적재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격실의 구조를 가진 유조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실 구조를 가진 유조선에서 격실 내부에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름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격실 구조를 가진 유조선에서 격실 내부에 타르 상태로 존재하는 기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름회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조선 내부의 기름을 회수한 후 효과적으로 침몰당한 유조선을 수면까지 부상시킬 수 있는 유조선 인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심에서 좌초되어 유조선의 바닥부분이 파공되었을 경우 파공된 상태로 유조선을 수리항까지 예인을 할 수 있는 유조선 인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은 기름을 수용하기 위하여 격벽으로 분리된 격실을 구비한 유조선에 있어서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1파이프는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하측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는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상측까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유조선은 제1캡과 제2캡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캡은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격실의 외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캡은 상기 제2파이프의 상기 격실의 외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유조선에 있어서, 상기 제1캡 및 상기 제2캡은 상기 격실의 일측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은 물주입단계와 기름회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주입단계는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하측에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를 통하여 물을 상기 격실에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기름회수단계는 격실의 외부에서 결실의 상측에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격실에 저장된 기름을 회수한다.
또한, 상기의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단계는 상기 제1파이프를 통하여 온수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은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하측에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의 외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상측에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하측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와,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상측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구비한 유조선을 제공함으로써, 유조선 내부에 적재된 기름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2파이프로 온수를 제공함으로써, 타르 상태의 기름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조선 내부에 기름을 회수하고 공기를 채움으로써, 침몰당한 유조선을 수면까지 효과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초되어 유조선의 바닥부분이 파공 되었어도 파공된 상태로 유조선을 수리항까지 예인을 할 수 있다.
또한, 볼 발명은 유조선뿐만 아니라 유출시 해상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질산염 등과 같은 액체로 된 특수화학물질 수송선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조선의 일 실시예의 격실 의 구조이며, 도 2는 도 1의 유조선의 작동 예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조선이 좌초 또는 침몰한 경우 격실에 수용된 기름을 용이하게 회수하기 위하여 종래의 격실의 구조를 변경하였다. 나머지 유조선의 구조에 대하여는 종래의 유조선의 구조와 동일하다. 유조선에는 다수의 격실(30)이 있으며, 각각의 격실(30)은 격벽(31)으로 분리되어 있다. 기름회수 및 선체 인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조선은 격실(30)에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를 더 구비한다. 제1파이프(10)는 유조선의 격실(30)의 외부에서 격실(30)의 하측까지 삽입된다. 제2파이프(20)는 유조선의 격실(30)의 외부에서 격실(30)의 상측까지 삽입된다.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유조선 외부에서 격실(30) 내부로 또는 격실(30) 내부에서 유조선 외부로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격실(30)의 외부에 위치한 제1파이프(10)의 일단에는 제1캡(11)이 체결되며, 제2파이프(20)의 일단에는 제2캡(21)이 체결된다. 제1캡(11) 및 제2캡(21)이 체결된 경우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는 폐쇄되므로 유체는 제1파이프(10) 또는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이동할 수 없다. 격실(30)의 일측에 제1캡(11)은 제1캡연결줄(13)로 연결되며 제2캡(21)은 제2캡연결줄(23)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캡(11) 및 제2캡(21)이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에서 분리된 경우 제1캡연결줄(13) 및 제2캡연결줄(23)에 의하여 격실(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어서, 제1캡(11) 및 제2캡(21)을 분실할 염려가 없다. 평상시에는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는 제1캡(11) 및 제2캡(21)으로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유조선이 바닷물(3)에 가라앉아 해저바닥(1)에 좌초한 경우 전문 잠수부 등이 제1캡(11) 및 제2캡(21)을 제1파이프(10) 및 제2 파이프(20)에서 분리한 후 제1파이프호스(15) 및 제2파이프호스(25)를 연결하여 기름(1)을 회수하거나 유조선을 인양한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회수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물주입단계의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주입을 위한 공기주입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주입단계의 개념도이다.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 방법은 파이프호스연결단계(S5)와, 물주입단계(S10)와, 기름회수단계(S20)와, 공기주입단계(S30)를 포함한다.
유조선이 바닷물(3)에 가라앉으면 격실(30)은 해저바닥(1)에 착저한다. 파이프호스연결단계(S5)는 제1파이프(10)에 제1파이프호스(15)를 연결하고, 제2파이프(20)에 제2파이프호스(25)를 연결한다. 물론 이전에 전문 잠수부 등이 제1파이프(10) 및 제2파이프(20)에 결합된 제1캡(11) 및 제2캡(21)을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까지 격실(30) 내부는 기름(41)으로 채워져 있다.
물주입단계(S10)는 제1파이프(10)를 통하여 해상에서 격실(30)에 해수(43)를 화살표 5와 같이 주입한다. 해수(43)는 비중이 기름(41)보다 높다. 그러면 해수(43)는 격실(30)의 하부에 위치하고 기름(41)은 격실(30)의 상부에 위치한다.
기름회수단계(S20)는 격실(30)에 해수(43)를 주입함과 동시에 격실(30) 내부의 기름(41)을 회수한다. 해상에서 에어펌프 등을 이용하여 기름(41)을 회수하면 기름(41)은 화살표 6의 방향으로 유동하여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회수된다. 기 름(41)을 회수할 때 유증기로 인한 폭발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기름(41)의 회수는 에어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 등을 통하여 격실(30) 내부의 기름(41)을 회수하면 격실(30) 내부의 기름(41)의 부피는 줄어들지라도 제1파이프(10)를 통하여 해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므로 격실(3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에어펌프 등을 통하여 격실(30) 내부의 기름(41)을 원활히 회수할 수 있다. 기름(41)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2파이프(20)에 연결된 제2파이프호스(25)는 흡입력에도 압착되지 않는 구조 전용호스인 자바라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해수를 주입하기 위한 제1파이프호스(15)는 일반적인 소화호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격실(30) 내부에 해수(43)를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기름(41)을 회수하면, 해수(43)가 제2파이프(20)의 위치까지 채워진다. 그러면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기름(41) 대신 해수(43)가 회수된다. 그러므로 해상에서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해수(43)가 회수되는 것을 보고 기름(41)이 전부 회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기름(41)이 회수된 경우 유조선의 인양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바닷물(3)의 온도가 낮을 경우 기름(41)은 타르 상태로 존재한다. 이 경우 물주입단계(S10)에서 저온의 해수(43)를 주입하면 타르는 고체상태이므로 제2파이프호스(25)로 회수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바닷물(3)의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물주입단계(S10)에서 히터를 사용하여 해수를 끓인 후 고온의 해수를 공급한다. 고온의 해수가 격실(30)에 유입된 경우 타르는 액체상태의 기름으로 변화하므로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기름을 회수할 수 있다.
공기주입단계(S30)는 격실에서 기름(41)을 전부 회수한 후 유조선을 인양하기 위한 단계로서,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격실(30)에 공기(45)를 주입한다. 이를 위하여 제2파이프호스(25)를 저압콤프레샤(50)에 연결시킨다. 유조선에는 여러 개의 격실이 있으므로 각각의 격실(격실A, 격실B, 격실C,...)을 저압콤프레샤(50)에 연결시킨다. 저압콤프레샤(50)에는 각각의 격실에 연결된 제2파이프호스(2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압게이지(52) 및 각각의 제2파이프호스(25)로 압축공기의 유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밸브(53)가 설치되어 있다.
저압콤프레샤(50)를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45) 제2파이프(20)을 통하여 화살표 7과 같이 격실(30) 내부에 주입하면 비중에 의하여 해수(43)는 격실(30)의 하부에 위치하고 공기(45)는 격실(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때 공기(45)의 주입은 격실(30)에 조금씩 점진적으로 주입하여야 한다. 각각의 격실(30)에 공기를 주입하므로 급하게 공기가 주입될 경우 유조선이 균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압축 공기(45)의 주입으로 인하여 격실(3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높으므로 격실 내부의 해수(43)는 제1파이프(10)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제1파이프(10)에 연결된 제1파이프호스(15)는 제1파이프(10)로부터 분리시켜도 무방하다. 압축 공기(45)가 격실(30)에 계속 공급될 경우 격실(30) 내부에 저장된 해수(43)는 화살표 8을 통하여 계속 유출되며, 이 경우 공기(45)의 압력은 계속 증가한다. 그리고 제1파이프(10)의 타단의 위치까지 해수(43)의 수면이 낮아지면 해수(43)는 더 이상 유출되지 않고 공기(45)가 유출된다. 이때 저압콤프레샤(5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은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해상에서 격실(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체크 하면 격실(30) 내부에 유출된 해수(43)의 양을 알 수 있다. 저압콤프레샤(5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일정한 경우 격실(30) 내부는 공기로 가득 차므로 유조선은 부양력을 가진다. 상기 부양력으로 인하여 작은 인양력으로도 유조선을 인양할 수 있다. 유조선이 해저바닥에서 인양된 경우에도 예인시까지 공기게이지를 보면서 공기를 지속적으로 주입하면서 유조선을 예인할 수 있다. 침몰된 선체의 격실에 부상을 위하여 공기주입시 필요한 공기압력은 선체 용골(keel)을 기준으로 계산을 하므로 수심 10미터당 1바(bar)의 낮은 공기주입압력이면 충족된다. 예를들어 수심 20미터에 선체가 침몰되었을 때 공기주입압력은 2바(bar)이다. 또한 2바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해도 격실 내부의 압력은 제1파이프 끝단과 제2파이프 끝단의 놀이 차이 압력만 격실 내에 적용되므로 격실 내벽의 손상은 없다. 수심에 따른 격실 외부의 수압이 상쇄해주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유조선뿐만 아니라 유출시 해상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액체로 된 질산염 등과 같은 특수화학물질 수송선박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공기 대신 불활성 기체인 헬륨을 사용하여 폭발 등과 같은 화학적반응을 제거하여 침몰된 선체 내에서 오염물질을 회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인양의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선체인양의 방법은 유조선의 격실의 일부가 암초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파공된 경우에 유조선을 인양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유조선의 격실(30) 일부만 바닷물(3)에 잠긴다. 도 7에 따른 선체인양방법은 제1파이프 일단 폐쇄단계(S40)와, 압축공기 주입단계(S50)를 포함한다.
제1파이프 일단 폐쇄단계(S40)는 제1파이프(10)의 일단을 제1캡(11)으로 폐쇄한다.
압축공기 주입단계(S50)는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한다. 격실이 암초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파공된 경우 파손부위(47)에 구멍이 발생한다. 제2파이프(20)를 통하여 고압의 압축공기(45)를 공급한 경우 격실(30) 내부에 침수된 해수는 파손부위(47)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격실(30)은 공기(45)로 가득 찬다. 격실(30) 내부가 공기(45)로 채워지므로 유조선은 부양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유조선의 인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좌초된 선박을 수리항까지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기주입압력은 선체 흘수선까지의 수심에 따른 공기압력이다. 그러므로 유조선 흘수가 15미터일 경우 15 psi(피에스아이) 이하의 저압공기를 계속 주입하면 예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조선 격실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회수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물주입단계의 개념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주입을 위한 공기주입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공기주입단계의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인양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개념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해저바닥 3 : 바닷물
10 : 제1파이프 11 : 제1캡
13 : 제1캡 연결줄 15 : 제1파이프 호스
20 : 제2파이프 21 : 제2캡
23 : 제2캡 연결줄 25 : 제2파이프 호스
30 : 격실 31 : 격벽
41 : 기름 43 : 해수
45 : 공기 47 : 파손부위
50 : 저압콤프레샤 52 : 공기압게이지
53 : 개폐밸브

Claims (7)

  1. 기름을 수용하기 위하여 격벽으로 분리된 격실을 구비한 유조선에 있어서,
    상기 유조선은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하측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와,
    유체가 유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격실의 외부에서 상기 격실의 상측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조선은
    상기 제1파이프의 상기 격실의 외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제1캡과,
    상기 제2파이프의 상기 격실의 외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 제2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 및 상기 제2캡은 상기 격실의 일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4.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하측에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를 통하여 물을 상기 격실에 주입하는 물주입단계와,
    격실의 외부에서 결실의 상측에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격실에 저장된 기름을 회수하는 기름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단계는 상기 제1파이프를 통하여 온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를 통하여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7.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하측에까지 삽입된 제1파이프의 외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격실의 외부에서 격실의 상측에까지 삽입된 제2파이프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조선 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KR1020080011026A 2008-02-04 2008-02-04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KR20090085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26A KR20090085233A (ko) 2008-02-04 2008-02-04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26A KR20090085233A (ko) 2008-02-04 2008-02-04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233A true KR20090085233A (ko) 2009-08-07

Family

ID=4120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26A KR20090085233A (ko) 2008-02-04 2008-02-04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2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248A (ko) * 2013-11-01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폐유 회수용 오픈 드레인 케이슨
CN110644456A (zh) * 2019-10-11 2020-01-03 安徽晟源环保新型材料有限公司 露天水面清理设备
KR102202282B1 (ko) * 2019-10-11 2021-01-13 주식회사 지오이 잔존유 회수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248A (ko) * 2013-11-01 2015-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폐유 회수용 오픈 드레인 케이슨
CN110644456A (zh) * 2019-10-11 2020-01-03 安徽晟源环保新型材料有限公司 露天水面清理设备
KR102202282B1 (ko) * 2019-10-11 2021-01-13 주식회사 지오이 잔존유 회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1485B1 (en) Large volume subsea chemical storage and metering system
US8882388B2 (en) Underwater oil and gas collection system
US20050163572A1 (en) Floating semi-submersible oil production and storage arrangement
NO332001B1 (no) Fremgangsmate for sammensetning av en flytende offshore-konstruksjon
US3408971A (en) Submerged oil storage vessel and oil loading facility for offshore wells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MX2013008800A (es) Unidad de contencion y metodo para utilizar la misma.
US9327805B2 (en) Vertical oil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for deep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KR101623082B1 (ko) 해상 구조물의 밸러스트 장치
US20150176764A1 (en) Tank
US20060245845A1 (en) Installation for the recovery of a polluting fluid contained in at least one transverse section of the tanks of a sunken vessel
GB2482470A (en) Underwater oil storage system
ES2239494B1 (es) Sistema de cupula para recuperar o evitar la dispersion de una carga contaminante de un buque hundido.
JPH04242594A (ja) 船舶用給油装置
KR101654195B1 (ko) 해수 취수 파이프
AU2013101613A4 (en) Tank
RU2551827C2 (ru) Базовый элемент вод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плавающий караван из таких элементов и плавающий плот из таких караванов
KR101038422B1 (ko) 수중 침몰체의 오염물질 회수 장치 및 방법
CN110952618A (zh) 一种布置在坐底式海工平台上的取水装置
CN110466695A (zh) 一种落水集装箱定位及上浮装置
CN110816791A (zh) 一种细长型水下浮箱的注排水控制方法
JP2001355226A (ja) 移動浮沈式防油フェンス
MXPA99005806A (en) Method/apparatus for assembling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