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54B1 -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 Google Patents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654B1
KR102255654B1 KR1020200103041A KR20200103041A KR102255654B1 KR 102255654 B1 KR102255654 B1 KR 102255654B1 KR 1020200103041 A KR1020200103041 A KR 1020200103041A KR 20200103041 A KR20200103041 A KR 20200103041A KR 102255654 B1 KR102255654 B1 KR 10225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hip
tube
underwater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윤
Original Assignee
김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윤 filed Critical 김동윤
Priority to KR102020010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F21W2111/04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for light-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바닥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되게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로프박스; 상기 로프박스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고 일정 장력을 가지는 플로팅로프; 상기 플로팅로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주입공간이 마련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부력을 제공하는 제1가스를 상기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게 작동하여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에 부유시키는 가스주입모듈;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Location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sunken vessel}
본 발명은 수중 바닥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마다 바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선박들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수중에 침몰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순식 간에 발생하는 예측 불가능한 기상 악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기상 악화 현상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지면서 바다에서 선박이 수중에 침몰하는 사고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편 바다에서 선박이 수중에 침몰한 상황에서는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선박의 주위와 내부를 신속하게 수색해야 한다.
그러나 침몰된 선박의 대부분은 그 침몰 위치가 정확하게 식별되지 않아 신속한 구조 및 탐색 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선박 인양 작업도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여기서 선박의 침몰 0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으로는 선박의 침몰시 선박으로 분리되어 수면 위로 부상하는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로부터 조난신호를 포착하여 침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과, 탐색선에 구비된 소나부이를 이용하여 침몰 선박의 선체를 물리적으로 탐색하여 침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조난신호 자동발신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은 최초 사고 위치만을 정확하게 파악 가능하므로 해류 및 조류의 영향으로 침몰 선박이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침몰 선박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므로 막대한 수색 비용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소나부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최초 사고 위치 해면에서 침몰 선박의 선체를 탐색하는 것이므로 침몰 선박의 선체가 지형조건으로 소실될 경우 식별이 불가능하여 막대한 수색비용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선박의 침몰시 선박으로부터 연결로프와 연결된 상태로 자동으로 분리되고 가스에 의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는 위치식별부표를 구비한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들이 안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들은 위치식별부표가 수면 위로 부상하더라도 기상이 좋지 않거나 파고가 클 때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박과 위치식별부표를 연결하는 연결로프는 자체적으로 탄성이나 불력이 없는 단순한 직물 구조임에 따라 선박이 회전하거나 전복되는 경우 선박의 선체와 꼬이거나 선박의 선체와 간섭되거나 꼬이게 되면서 위치식별부표를 수면 위까지 부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치식별부표가 기체에 의한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상하는 구조임에 따라 부상 도중에서 선박의 선체에 살짝만 눌려지거나 어초나 해조류에 걸리게 되는 경우 수면 위로 부상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함에 따라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의 구조 개선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7935호, 2011.11.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7200호, 2020.01.22.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948호, 2011.12.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08호, 2011.12.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9797호, 2003.01.06.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1108호, 2011.10.27.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3814호, 2017.11.27.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선박의 침몰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함에 따라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박의 침몰 형태와 상태에 상관 없고 해조류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해상 기상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는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되게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로프박스; 상기 로프박스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고 일정 장력을 가지는 플로팅로프; 상기 플로팅로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주입공간이 마련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부력을 제공하는 제1가스를 상기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게 작동하여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에 부유시키는 가스주입모듈;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모듈은 상기 제1가스가 저장되고 주입관을 통해 상기 수중부유튜브와 연결되는 제1가스탱크; 상기 주입관 상에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관을 폐쇄하는 제1압력밸브; 및 상기 제1압력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상기 제1가스가 상기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도록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주입관을 개방하는 제1고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부력을 제공하는 제2가스를 하방으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수중 부유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가스분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분사모듈은 상기 제2가스가 저장되는 제2가스탱크; 상기 제2가스탱크에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상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을 폐쇄하는 제2압력밸브; 및 상기 제2압력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상기 제2가스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되도록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개방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발광부;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탱크와 상기 제2가스탱크는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가스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리관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제1가스에 의한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선박이 지중에 침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선박이 지중에 침몰된 상황에서는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을 서로 분리시켜 상기 수중부유튜브로부터 상기 가스주입모듈과 상기 가스분사모듈이 분리되게 하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선박의 선체에 플로팅로프에 의해 수중부유튜브가 연결되고 수중부유튜브에 음파발신모듈과 발광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선박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가 수중으로 부유하고 음파발신모듈에 의해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고 발광모듈을 통해 가시광을 발광함으로써 선박의 침몰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수분과의 접촉에 따라 수중부유튜브에 부력을 제공하는 가스를 자동으로 주입하는 가스주입모듈이 구비되어 선박의 침몰시 유체주입모듈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으로 부유시킴으로써 원활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수분과의 접촉에 따라 수중뷰유튜브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부력을 제공하는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모듈이 구비되어 선박의 침몰시 유체주임모듈의 작동에 따라 수중부유튜브가 수중에서 상승할 때 더욱 강하고 빠르게 상승하도록 추진력을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침몰 형태와 상태나 선박의 주변 해상 환경에 관계없이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으로 부유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가스의 압력 변화에 따라 수중부유튜브에서 가스주입모듈과 가스분사모듈을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구비되어 가스주입모듈과 가스분사모듈이 작동하여 수중부유튜브가 수중으로 부유한 후 가스주입모듈과 가스분사모듈이 수중부유튜브에서 자동으로 분리됨으로써 수중부유튜브가 더욱 원활하고 자유롭게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서 가스주입모듈과 가스분사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서 가스주입모듈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서 가스주입모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서 분리수단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가 선박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가 선박에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바다에서 수중에 침몰한 침몰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여 신속한 구조와 탐색을 보장할 수 있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는 침몰 선박의 침몰 형태와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조류와 해상 기상 상황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침몰 선박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구조 및 탐색을 보장하여 인적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선박의 선체에 고정되는 로프박스와, 로프박스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로팅로프와, 플로팅로프에 연결되는 수중부상튜브와, 수중부유튜브에 구비되어 선박이 침몰할 때 부력을 가지는 가스를 수중부유튜브에 주입하여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에서 부유시키는 가스주입모듈과, 수중부유튜트에 구비되어 가스를 하방으로 분사하여 수중부유튜브가 수중으로 부유하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가스분사모듈과, 수중부유튜브에 구비되어 음파신호를 발생하는 음파발신모듈과, 수중부유튜브에 구비되어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100)는 선박(S)에 구비되어 선박(S)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수중에서 부유되게 작동하여 선박(S)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박스(10)와 플로팅로프(20)와 수중부유튜브(30)와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과 분리수단(60)과 음파발신모듈(70) 및 발광모듈(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로프박스(10)는 선박(S)의 선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로프박스(10)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플로팅로프(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로프박스(10)의 일측에는 수용공간과 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에 수용한 플로팅로프(2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로프박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선체 상부에 별도로 마련된 외부케이싱(90)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싱(90)의 내부에는 로프박스(10)와 함께 수중부유튜브(30)와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과 분리수단(60)과 음파발신모듈(70) 및 발광모듈(80)이 모두 수용될 수 있다.
단, 외부케이싱(90)의 상부에는 선박(S)의 침몰시 자동으로 개방되어 수중부유튜브(30)와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과 분리수단(60)과 음파발신모듈(70) 및 발광모듈(80)이 상부로 부상하여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로팅로프(20)는 로프박스(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플로팅로프(20)는 둥글게 말린 상태로 로프박스(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로프(20)는 일단이 로프박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플로팅로프(20)는 타단을 외부에서 견인하면 로프박스(10)의 인출구를 통해 자연스럽게 인출된 후 직선으로 펼쳐진 형태로 수중에 부유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탄성과 부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플로팅로프(20)는 자체 탄성과 부력을 가짐에 따라 선박(S)이 일측으로 회전되거나 전복되더라도 스스로 꼬이지 않고 선박(S)과도 간섭되지 않아 수중에서 직선으로 길게 펼쳐진 형태로 부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중부유튜브(30)는 플로팅로프(20)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주입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중부유튜브(30)는 수중에서 가스주입공간에 부력을 제공하는 제1가스가 주입되면 제1가스의 부력에 의해 플로팅로프(20)의 타단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중부유튜브(30)의 일측에는 가스주입공간과 연통하는 주입관(3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중부유튜브(30)의 내측에는 주입관(31)을 통해 가스주입공간으로 가스가 주입되고 가스주입공간으로 주입된 가스가 주입관(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방향밸브(3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수중부유튜브(30)의 하부에는 플로팅로프(20)의 타단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단, 연결부(33)는 플로팅로프(20)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수중부유튜브(30)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3)는 수중부유튜브(30)가 수중에서 부유하여 회전하더라도 플로팅로프(20)가 꼬이지 않도록 아일렛(331)과 회전연결구(332)를 매개로 플로팅로프(20)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주입모듈(40)은 수중부유튜브(30)에 구비되어 수중부유튜브(30)가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부유하도록 수중부유튜브(30)의 가스주입공간(31)에 제1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즉, 가스주입모듈(40)은 선박(S)이 수중에 침몰한 상태에서 제1가스를 수중부유튜브(30)의 가스주입공간에 자동으로 주입하여 수중부유튜브(30)를 수중에서 부유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주입모듈(40)은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스탱크(41)와 제1압력밸브(42) 및 제1고형체(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탱크(41)는 주입관(31) 수중부유튜브(30)의 하부에 구비되고 내부가 가스주입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탱크(41)은 주입관(31)의 단부에 연결되고 이산화탄소(CO2) 등과 같이 부력을 제공하는 제1가스가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압력밸브(42)는 주입관(31) 상에 연결되어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입관(31)을 폐쇄하여 제1가스탱크(41)에 저장된 제1가스가 수중부유튜브(30)의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압력밸브(42)는 주입관(31) 상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1통과유로(422)가 관통 형성되는 제1바디(421)와, 제1바디(421)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423)와, 제1바디(421)의 타측 내부에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423)의 가압력에 의해 제1통과유로(422)를 폐쇄하는 제1디스크(424)와, 제1디스크(424)를 제1탄성부재(423)의 가압력과 반대방향으로 강압하고 제1탄성부재(423)의 가압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가압력을 발휘하는 제1리턴부재(4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형체(43)는 제1압력밸브(42)의 제1바디(421) 일측 내부에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423)를 가압하여 제1디스크(424)에 대한 제1탄성부재(423)의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고형체(43)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그 형태가 온전히 유지되고 수분과의 접촉시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그 형태가 변화되도록 녹말이나 전분 등을 물과 함께 반죽하여 일정형태로 성형하고 건조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압력밸브(42)의 제1바디(421) 일측에는 제1고형체(43)가 해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제1고형체(43)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통수공(42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고형체(43)는 선박(S)이 수중에 침몰한 상태에서 제1통수공(426)을 통해 제1압력밸브(42)의 제1바디(421)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하면서 해수에 용해되어 제1탄성부재(423)를 더 이상 가압하지 못하면서 제1디스크(424)에 대한 제1탄성부재(423)의 가압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면 제1리턴부재(425)의 가압력이 제1디스크(424)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제1압력밸브(42)가 자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스탱크(41)에 저장된 제1가스가 주입관(31)을 통과하여 수중부유튜브(30)의 가스주입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중부유튜브(30)는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된 제1가스에 의해 부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이 침몰한 상황에서 플로팅로프(20)와 함께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다.
즉, 수중부유튜브(30)는 선박(S)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박(S)으로부터 플로팅로프(20)의 전체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분사모듈(50)은 수중부유튜브(30)에 구비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제2가스를 하방으로 고압 분사하여 선박(S)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30)가 수중에서 상부로 고속 및 고압으로 부유하도록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가스분사모듈(50)은 선박(S)의 침몰 형태나 선박(S)의 주변 수중 환경에 의해 수중부유튜브(30)가 제1가스에 의한 부력에 의해 제대로 부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부유 가능하도록 수중부유튜브(3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분사모듈(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스탱크(51)와 분사노즐(52)과 제2압력밸브(53) 및 제2고형체(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탱크(51)는 제1가스탱크(41)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고 부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1가스와 동일한 제2가스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52)은 제2가스탱크(5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가스탱크(51)에 저장된 제2가스를 고속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2압력밸브(53)는 분사노즐(52) 상에 연결되어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되지 않은 상황에서 분사노즐(52)을 폐쇄하여 제2가스탱크(51)에 저장된 제2가스가 분사노즐(52)을 통해 분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즉, 제2압력밸브(53)는 분사노즐(52) 상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통과유로(532)가 관통 형성되는 제2바디(531)와, 제2바디(531)의 일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533)와, 제2바디(531)의 타측 내부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533)의 가압력에 의해 제2통과유로(532)를 폐쇄하는 제2디스크(534)와, 제2디스크(534)를 제2탄성부재(533)의 가압력과 반대방향으로 강압하고 제2탄성부재(533)의 가압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가압력을 발휘하는 제2리턴부재(5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형체(54)는 제2압력밸브(53)의 제2바디(531) 일측 내부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533)를 가압하여 제2디스크(534)에 대한 제2탄성부재(533)의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고형체(54)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그 형태가 온전히 유지되고 수분과의 접촉시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그 형태가 변화되도록 녹말이나 전분 등을 물과 함께 반죽하여 일정형태로 성형하고 건조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압력밸브(53)의 제2바디(531) 일측에는 제2고형체(54)가 해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제2고형체(54)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통수공(5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고형체(54)는 선박(S)이 수중에 침몰한 상태에서 제2통수공(536)을 통해 제2압력밸브(53)의 제2바디(531)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와 접촉되면서 해수에 용해되어 제2탄성부재(533)를 더 이상 가압하지 못하여 제2디스크(534)에 대한 제2탄성부재(533)의 가압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면 제2리턴부재(535)의 가압력이 제2디스크(534)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제2압력밸브(53)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제2가스탱크(51)에 저장된 제2가스가 분사노즐(52)을 통과하여 수중부유튜브(30)의 하방으로 고압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수중부유튜브(30)는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된 제1가스에 의한 부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분사노즐(52)을 통해 고압 분사되는 제2가스에 의한 추진력이 더 작용함에 따라 선박(S)의 침몰 형태나 선박(S)의 주변 수중 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플로팅로프(20)와 함께 원활하게 수중에서 부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수단(60)은 주입관(31)과 제1가스탱크(41)의 사이에 구비되어 수중부유튜브(30)가 수중에서 원활하게 부유할 수 있도록 주입관(31)의 내부 압력에 따라 주입관(31)으로부터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을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수단(6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관(61)과 연결핀(62)과 압력작용편(63) 및 탄성부재(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관(61)은 제1가스탱크(41)와 주입관(31)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분리관(61)은 일단이 제1가스탱크(41)에 고정되고 타단이 주입관(31)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단, 분리관(61)의 타단은 주입관(31)의 단부에 소정길이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핀(62)은 분리관(61)의 타단과 주입관(31)의 단부를 그 직경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관통하여 분리관(61)과 주입관(31)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압력작용편(63)은 분리관(61)의 타단 내부에서 일측이 연결핀(62)의 단부에 연결되어 분리관(61)과 주입관(31)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1가스의 압력에 의해 연결핀(62)을 분리관(61)의 중심에서 외각방향으로 가압하여 분리관(61)과 주입관(31)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4)는 주입관(31)의 단부 외측에 설치되고 연결핀(62)을 분리관(61)의 외각에서 중심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단, 제1가스의 압력이 압력작용편(63)에 작용할 때는 주입관(31)과 분리관(61)이 연결핀(62)에 의해 연결되도록 탄성부재(64)의 가압력은 제1가스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선박(S)이 수중에 침몰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분리관(61)과 주입관(31)의 내부에 제1가스가 존재함에 따라 압력작용편(63)에 제1가스의 압력이 그대로 작용하면서 분리관(61)과 주입관(31)이 연결핀(62)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다가 선박(S)이 수중에 침몰한 상황에서는 가스주입모듈(40)이 작동하여 분리관(61)과 주입관(31)의 내부에 제1가스가 존재하지 않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4)의 가압력이 작용하면서 연결핀(62)의 단부가 주입관(31)에서 이탈하여 분리관(61)과 주입관(31)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S)이 침몰하고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이 작동한 후 분리수단(60)이 작동함에 따라 가스주입모듈(40)과 가스분사모듈(50)이 수중부유튜브(30)에서 자동 분리됨으로써 수중부유튜브(30)를 수중에서 더욱 확실하게 부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음파발신모듈(70)은 수중부유튜브(30)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선박(S)의 위치 식별을 위한 음파를 발신할 수 있다.
즉, 음파발신모듈(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30)가 수중에서 부유하면서 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음파를 발신할 수 있다.
그러면 구조선박은 해수면 바로 위에서 음파발신모듈(70)에서 발신하는 음파를 음파탐지기를 통해 탐지함으로써 선박(S)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광모듈(80)은 수중부유튜브(30)에 설치되어 수중에서 선박(S)의 위치 식별을 위한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다.
즉, 발광모듈(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S)의 침몰시 수중부유튜브(30)가 수중에서 부유하면서 해수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모듈(80)은 수중에서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발광부(81)와,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발광부(8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80)이 적색발광부(81)와 청색발광부(82)에 의해 수중에서 적색광과 청색광을 동시에 발광함에 따라 수중에서 부유하는 수중부유튜브(30)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박(S)의 위치를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수중부유튜브(30)에는 음파발신모듈(70)과 발광모듈(80)로 각각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는 전기에너지를 음파발신모듈(70)과 발광모듈(80)에 각각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수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로프박스
20: 플로팅로프
30: 수중부유튜브
31: 주입관
32: 일방향밸브
33: 연결부
331: 아일렛
332: 회전연결구
40: 가스주입모듈
41: 제1가스탱크
42: 제1압력밸브
421: 제1바디
422: 제1통과유로
423: 제1탄성부재
424: 제1디스크
425: 제1리턴부재
426: 제1통수공
43: 제1고형체
50: 가스분사모듈
51: 제2가스탱크
52: 분사노즐
53: 제2압력밸브
531: 제2바디
532: 제2통과유로
533: 제2탄성부재
534: 제2디스크
535: 제2리턴부재
536: 제2통수공
54: 제2고형체
60: 분리수단
61: 분리관
62: 연결핀
63: 압력작용편
64: 탄성부재
70: 음파발신모듈
80: 발광모듈
81: 적색발광부
82: 청색발광부
90: 외부케이싱
100: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Claims (7)

  1.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이 수중으로 침몰할 때 상기 선박과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되게 작동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는 로프박스;
    상기 로프박스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고 일정 장력을 가지는 플로팅로프;
    상기 플로팅로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가스주입공간이 마련되는 수중부유튜브;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부력을 제공하는 제1가스를 상기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게 작동하여 상기 수중부유튜브를 수중에 부유시키는 가스주입모듈; 및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음파를 발신하는 음파발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스주입모듈은
    상기 제1가스가 저장되고 주입관을 통해 상기 수중부유튜브와 연결되는 제1가스탱크;
    상기 주입관 상에 설치되고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주입관을 폐쇄하는 제1압력밸브; 및
    상기 제1압력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상기 제1가스가 상기 가스주입공간에 주입되도록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주입관을 개방하는 제1고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부력을 제공하는 제2가스를 하방으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수중부유튜브의 수중 부유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가스분사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분사모듈은
    상기 제2가스가 저장되는 제2가스탱크;
    상기 제2가스탱크에 연결되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 상에 설치되고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을 폐쇄하는 제2압력밸브; 및
    상기 제2압력밸브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선박이 수중에 침몰할 때 상기 제2가스가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분사되도록 해수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탄성부재의 가압력을 저하시켜 상기 분사노즐을 개방하는 제2고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부유튜브에 설치되고 수중에서 가시광을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적색광을 발광하는 적색발광부; 및
    청색광을 발광하는 청색발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탱크와 상기 제2가스탱크는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주입관의 단부에는
    상기 제1가스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는 분리관의 타단이 삽입되며,
    상기 제1가스에 의한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선박이 지중에 침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선박이 지중에 침몰된 상황에서는 상기 주입관과 상기 분리관을 서로 분리시켜 상기 수중부유튜브로부터 상기 가스주입모듈과 상기 가스분사모듈이 분리되게 하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0200103041A 2020-08-18 2020-08-18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25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041A KR102255654B1 (ko) 2020-08-18 2020-08-18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041A KR102255654B1 (ko) 2020-08-18 2020-08-18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654B1 true KR102255654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041A KR102255654B1 (ko) 2020-08-18 2020-08-18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6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793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30127794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40057632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97Y1 (ko) 2002-09-26 2003-01-06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30086493A (ko) * 2003-10-01 2003-11-10 세진공업 주식회사 침몰선박의 위치확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1108A (ko) 2009-07-27 2011-02-08 박광돈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127935A (ko) 2010-05-20 2011-11-28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20110138948A (ko) 2010-06-22 2011-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수색용 비상 위치 부표시스템
KR101803814B1 (ko)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20200007200A (ko) 2018-07-12 2020-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797Y1 (ko) 2002-09-26 2003-01-06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30086493A (ko) * 2003-10-01 2003-11-10 세진공업 주식회사 침몰선박의 위치확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11108A (ko) 2009-07-27 2011-02-08 박광돈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10127935A (ko) 2010-05-20 2011-11-28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20110138948A (ko) 2010-06-22 2011-1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수색용 비상 위치 부표시스템
KR101803814B1 (ko) 2016-10-27 2017-12-01 대한민국 조난 위치 알림 장치
KR20200007200A (ko) 2018-07-12 2020-01-2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793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30127794A (ko) 2022-02-25 2023-09-01 주식회사 오션오브젯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KR20240057632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오션플래닛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654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RU2146633C1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KR101140163B1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US7814856B1 (en) Deep water operations system with submersible vessel
SE8302074D0 (sv) Flytande konstruktion for havsteknikendamal
US6612886B2 (en) In-line cable retriever
US3766874A (en) Moored barge for arctic offshore oil drilling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US9290239B2 (en) Control device for positioning an instrumented cable provided with buoyancy means for retrieving the control device and instrumented cable from submerged positioning
RU2624283C1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к плавающему судну
KR102219469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20160084243A (ko) 잠수식 계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잠수식 계류시스템
CN2692026Y (zh) 沉船事故地点标示浮球
CN212373626U (zh) 一种海洋设备用防丢失装置
US5774421A (en) Underwater measurement device
KR100390858B1 (ko)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JP3444559B2 (ja) 水没浮標用の標識ブイ装置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WO2022271988A1 (en) Ropeless crab trap
KR102646169B1 (ko) 수중 및 수면 부유체를 이용한 침몰선박 위치식별 장치
WO2004014724A1 (en) Locating equipment in water
KR20110010104U (ko) 선박용 자동 부표 장치
KR20130046038A (ko) 잠수식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