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63B1 -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163B1
KR101140163B1 KR1020100047467A KR20100047467A KR101140163B1 KR 101140163 B1 KR101140163 B1 KR 101140163B1 KR 1020100047467 A KR1020100047467 A KR 1020100047467A KR 20100047467 A KR20100047467 A KR 20100047467A KR 101140163 B1 KR101140163 B1 KR 10114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hip
hole
reservoir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935A (ko
Inventor
정구관
Original Assignee
정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구관 filed Critical 정구관
Priority to KR102010004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6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바다나 강, 호수 등에 항해하는 선박이 파손되거나 강한 파도와 바람에 의해 배가 뒤집어져 선박의 내부로 물이 차서 침몰시 선박과 연결한 부표를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도록 하여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인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선박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에 탈착하는 부표를 마련하되 상기 부표의 내부 하측에는 침몰시 부표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수위감지구를 작동시켜 감지된 신호를 양방향회전모터를 작동시켜 고정구와 걸려진 걸림구를 작동시켜 로프로 연결한 부표를 탈착가능케 하여 수면위로 상승시키고 부표의 내부 상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쏠라판과 LED, GPS를 연결하여 태양광으로 인해 장시간 점멸 또는 위치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인명의 신속한 구조와 침몰 선박을 즉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Location confirmation system for Sinking vessel}
본 발명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바다나 강, 호수 등에 항해하는 선박이 파손되거나 강한 파도와 바람에 의해 배가 뒤집어져 선박의 내부로 물이 차서 침몰시 선박과 연결한 부표를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상승하도록 하여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인양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변화가 심한 기상조건 아래에서도 운항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고 운항시 갑작스럽게 태풍이나 해일을 만나는 예도 많은데, 이러할 경우 선박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운항의 실수 등으로 인해 침몰할 수도 있고, 암초나 빙산 등에 충돌하여 좌초되거나 침몰이 되는 예가 많으며, 이 경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 침몰을 하였을 경우에는 선박의 침몰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다.
근래에 이르러 위치확인 위성이나 관측장비를 활용하여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쉬워지긴 하였으나 해저에는 금속성 쓰레기와 침몰된 타 선박의 잔해, 전쟁으로 인한 무기와 선박, 잠수함, 항공기 등의 잔해가 널리 깔려있기 때문에 이 또한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깊은 물속에 침몰한 선박을 인양하지 못하고 깊은 물속에 방치해둠에 따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과, 침몰된 선박에서 유출되는 기름 등이 강과 바다, 호수 등의 물을 오염시키는 피해가 매우 큰 것이 현재의 실정인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해저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한 후 침몰한 선박을 인양하기에는 물의 깊이가 깊지 않은 경우에는 잠수부가 선박이 침몰된 위치 부근에 잠수하여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물속의 깊이가 아주 깊거나 파도 또는 급류에 의해 침몰된 선박이 해저 바닥면에서 이동하거나 해저면이 물살에 의해 이동하여 장시간이 지나면 해저면의 흙이 침몰된 선박을 덮어 매몰시킬 경우 침몰된 선박을 찾기에 많은 시간이 투자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바다나 강, 호수 등에 항해하는 선박이 파손 또는 강한 파도와 바람에 의해 침몰된 경우 신속하게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여 인양작업을 가능케 하기 위해,
선박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에 탈착하는 부표를 마련하되 상기 부표의 내부 하측에는 침몰시 부표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수위감지구를 작동시켜 감지된 신호를 양방향회전모터를 작동시켜 고정구와 걸려진 걸림구를 작동시켜 로프로 연결한 부표를 탈착가능케 하여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부표의 내부 상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쏠라판과 LED, GPS를 연결하여 태양광으로 인해 장시간 점멸 또는 위치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수부(30)를 마련하여 외부와 통하게 통공(31)을 형성하고 저수부(30)에는 걸림구(35)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공(33)을 형성하고 가이드공(33)과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승강공(32)을 형성하여 내부에 승강봉(23)을 마련하되 하부에는 연결줄(34)로 걸림구(35)와 연결하고 승강봉(23)의 상측은 작동부(20)에 마련하여 CPU(15)에 의해 작동하는 양방향서브모터(21)의 회전구(22)에 고정하며, 저수부(30) 타측에는 부이(41)의 승강시 감지하는 수위감지구(40)를 마련하여 CPU(15)와 연결하고, 하부에는 로프(55)를 연결하는 연결공(37)을 형성한 안착구(38)를 마련하는 부표(11)를 형성하고, 상기 부표(11)의 안착구(38)를 수용하는 안착홈(51)을 내주연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35)와 개폐하는 걸턱(52)을 형성하고 부표(11)의 로프(55)를 배출공(53)을 통해 내부 권치구(54)에 감아 놓은 고정구(50)를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또는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LED와 GPS, 양방향회전모터, 수위감지구를 연결한 부표를 선박의 상부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구에 탈착가능케 하여 침몰시 부표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수위감지구에서 감지한 신호를 양방향회전모터를 작동시켜 고정구와 걸려진 걸림구를 작동시켜 로프로 연결한 부표를 탈착가능케 하여 수면위로 상승시켜 침몰된 선박과 연결된 부표에서 LED의 장시간 점멸과 GPS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태양광을 이용한 쏠라판으로 전원공급을 가능케 하여 CPU에서 LED, GPS를 작동시켜 장시간동안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인명의 신속한 구조와 침몰 선박을 즉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위감지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위치확인장치(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저수부(30)를 마련하여 외부와 통하게 통공(31)을 형성하고 저수부(30)에는 걸림구(35)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공(33)을 형성하고 가이드공(33)과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승강공(32)을 형성하여 내부에 승강봉(23)을 마련하되 하부에는 연결줄(34)로 걸림구(35)와 연결하고 승강봉(23)의 상측은 작동부(20)에 마련하여 CPU(15)에 의해 작동하는 양방향서브모터(21)의 회전구(22)에 고정하며, 저수부(30) 타측에는 부이(41)의 승강시 감지하는 수위감지구(40)를 마련하여 CPU(15)와 연결하고, 하부에는 로프(55)를 연결하는 연결공(37)을 형성한 안착구(38)를 마련하는 부표(11)를 형성하고, 상기 부표(11)의 안착구(38)를 수용하는 안착홈(51)을 내주연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35)와 개폐하는 걸턱(52)을 형성하고 부표(11)의 로프(55)를 배출공(53)을 통해 내부 권치구(54)에 감아 놓은 고정구(50)를 마련한 것이다.
상기 부표(11)의 상부에는 표시부(12)를 마련하여 상측에 쏠라판(13)과 내주연에 다수개 마련한 LED(14)를 마련하여 CPU(15)와 연결하여 쏠라판(13)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전원을 CPU(15)로 공급하여 LED(14)의 발광을 CPU(15)에서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CPU(15)에는 배터리(16)와 GPS(17)를 마련하고 작동부(20)의 양방향서브모터(21)와 수위감지구(40)를 연결하여 상기 CPU(15)에서 GPS(17), 양방향서브모터(21)와 수위감지구(40)를 제어하도록 하며, 이때 CPU(15)의 구동은 배터리(16) 또는 표시부(12)의 쏠라판(13)에서 태양광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30)의 일측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로 자석(42)을 승강하는 수위감지구(40)를 마련하여 상기 부이(41)의 승강시 내부에 마련한 자석(42)의 자력에 의해 스위치(43)를 연결한 신호에 의해 CPU(15)에서 양방향서브모터(21)를 작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또한, 부표(11)의 표시부(12)와 작동부(20)는 저수부(30)의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격판(18)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수부(30)와 작동부(20)의 사이에는 패킹(36)을 마련하여 저수부(30)의 물이 작동부(20)와 표시부(12)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다에서 향해중인 선박(1)의 침몰시 침몰하면서 선박(1)의 상부에 마련한 부표(11)의 통공(31)을 통해 부표(1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수위감지구(40)의 부이(41)가 저수부(30)로 유입되는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이(41)의 내주연에 마련한 자석(42)에 의한 자력으로 수위감지구(40)의 스위치(43)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수위감지구(40)에서 부이(41)가 상승하면서 스위치(43)를 연결한 신호는 배터리(16) 또는 태양광에서 전원공급되는 CPU(15)를 통해 양방향서브모터(21)에서 이미 일정각도로 설정한 회전구(22)를 회전작동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구(22)가 회전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구(22)와 연결한 승강봉(23)이 승강공(32)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서 승강봉(23)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줄(34)이 고정구(50)의 걸턱(52)에 걸려진 걸림구(35)를 가이드공(33)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면서 고정구(50)의 걸턱(52)에 걸려진 걸림구(35)가 걸턱(52)과 분리되는 것이다.
이렇게 부표(11)의 걸림구(35)가 가이드공(33)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박(1)의 상부에 고정한 고정구(50)의 걸턱(52)에서 분리하면 상기 부표(11)는 침몰한 선박(1)에서 분리되면서 수면 위에 떠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표(11)의 연결공(37)과 고정구(50)의 내부 권치구(54)에 감긴 로프(55)는 권치구(54)에서 풀어지면서 부표(11)와 침몰한 선박(1)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표(11)의 내부 상측에 마련한 쏠라판(13)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장시간 바다에 떠 있더라도 전원을 CPU(15)로 공급하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배터리(16)를 마련하여 햇빛이 없는 날씨에도 전원을 공급가능케 하여 LED(14)와 GPS(17)를 작동가능케 하여 장시간 점멸 또는 위치추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침몰된 선박(1)의 위치를 파악하는 이점과 그로 인한 인명의 신속한 구조와 침몰 선박(1)을 즉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 선박 10 : 위치확인장치
11 : 부표 12 : 표시부
13 : 쏠라판 14 : LED
15 : CPU 16 : 배터리
17 : GPS 18 : 격판
20 : 작동부 21 : 양방향서브모터
22 : 회전구 23 : 승강봉
30 : 저수부 31 : 통공
32 : 승강공 33 : 가이드공
34 : 연결줄 35 : 걸림구
36 : 패킹 37 : 연결공
38 : 안착구 40 : 수위감지구
41 : 부이 42 : 자석
43 : 스위치 50 : 고정구
51 : 안착홈 52 : 걸턱
53 : 배출공 54 : 권치구
55 : 로프

Claims (1)

  1. 내부에 저수부(30)를 마련하여 외부와 통하게 통공(31)을 형성하고 저수부(30)에는 걸림구(35)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공(33)을 형성하고 가이드공(33)과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승강공(32)을 형성하여 내부에 승강봉(23)을 마련하되 하부에는 연결줄(34)로 걸림구(35)와 연결하고 승강봉(23)의 상측은 작동부(20)에 마련하여 CPU(15)에 의해 작동하는 양방향서브모터(21)의 회전구(22)에 고정하며, 저수부(30) 타측에는 부이(41)의 승강시 감지하는 수위감지구(40)를 마련하여 CPU(15)와 연결하고, 하부에는 로프(55)를 연결하는 연결공(37)을 형성한 안착구(38)를 마련하는 부표(11)를 형성하고, 상기 부표(11)의 안착구(38)를 수용하는 안착홈(51)을 내주연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35)와 개폐하는 걸턱(52)을 형성하고 부표(11)의 로프(55)를 배출공(53)을 통해 내부 권치구(54)에 감아 놓은 고정구(50)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1020100047467A 2010-05-20 2010-05-20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10114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67A KR101140163B1 (ko) 2010-05-20 2010-05-20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467A KR101140163B1 (ko) 2010-05-20 2010-05-20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35A KR20110127935A (ko) 2011-11-28
KR101140163B1 true KR101140163B1 (ko) 2012-05-02

Family

ID=4539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467A KR101140163B1 (ko) 2010-05-20 2010-05-20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431B1 (ko) * 2016-04-07 2016-1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측 수심 조절이 가능한 해류 관측용 표류 부이
KR20160132300A (ko) 2015-05-09 2016-11-17 김한봄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KR102028521B1 (ko) 2019-07-09 2019-10-04 (주)한국해양기술안전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102219469B1 (ko) 2020-10-21 2021-02-24 주식회사 에스티나인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982B1 (ko) * 2014-07-22 2015-02-0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해저 계류장비 회수모듈
KR102073846B1 (ko) 2018-07-12 2020-02-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55654B1 (ko) 2020-08-18 2021-05-25 김동윤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343922B1 (ko) 2021-05-17 2021-12-27 김동윤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5108A (en) 1925-01-09 1927-01-18 Stephen V Clyde Sunken-ship signal buoy
KR900014208A (ko) * 1989-03-24 1990-10-23 이상기 선박 침수 구조봉
US5066256A (en) 1989-02-17 1991-11-19 Ward Sr Robert B Buoy and releasing system for ships in distr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5108A (en) 1925-01-09 1927-01-18 Stephen V Clyde Sunken-ship signal buoy
US5066256A (en) 1989-02-17 1991-11-19 Ward Sr Robert B Buoy and releasing system for ships in distress
KR900014208A (ko) * 1989-03-24 1990-10-23 이상기 선박 침수 구조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2300A (ko) 2015-05-09 2016-11-17 김한봄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KR101675431B1 (ko) * 2016-04-07 2016-1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측 수심 조절이 가능한 해류 관측용 표류 부이
KR102028521B1 (ko) 2019-07-09 2019-10-04 (주)한국해양기술안전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KR102219469B1 (ko) 2020-10-21 2021-02-24 주식회사 에스티나인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935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163B1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CN108216492B (zh) 一种实现海洋数据区域监测的高精度潜标阵系统
KR101258643B1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ES2896337T3 (es) Paquete de batería para la subsuperficie marina
CN210761225U (zh) 海底观测系统打捞装置
KR102255654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RU2601086C2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CN105083471A (zh) 一种船舶定位锚系统
AU2020100787A4 (en) Recovery Device for Seabed Base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without Release Function and Recovery Method Thereof
CN101503110B (zh) 一种海上船舶系泊装置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CN210175084U (zh) 一种基于恒张力控制的悬垂锚缆精确定位浮标装置
CN110494354B (zh) 自动脱离式危险标识浮标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CN111521160A (zh) 坐底式湍流微结构观测系统
RU2201375C1 (ru) Ледокол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дноопорной швартовки и обслуживания судов
RU125548U1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CN108018844B (zh) 一种沉浮式港口安全门
CN2692026Y (zh) 沉船事故地点标示浮球
KR200379254Y1 (ko) 어망의 도난 방지 및 회수의 편리성을 위한 부구
CN211696372U (zh) 一种水文观测平台
RU144771U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рской сейсмоакустической разведки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CN110466716A (zh) 一种水听器座底式结构及其回收方法
CN220905298U (zh) 一种具有绳仓的海底设备定时上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