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00A -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00A
KR20160132300A KR1020150064973A KR20150064973A KR20160132300A KR 20160132300 A KR20160132300 A KR 20160132300A KR 1020150064973 A KR1020150064973 A KR 1020150064973A KR 20150064973 A KR20150064973 A KR 20150064973A KR 20160132300 A KR20160132300 A KR 2016013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ivor
buoy
carbon dioxide
ship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봄
Original Assignee
김한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봄 filed Critical 김한봄
Priority to KR102015006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300A/ko
Publication of KR2016013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6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전복사고 발생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을 측정하며, 이러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고 생존자의 위치와 상황 정보를 구조센터, 119등 사고 해결 요망자에게로 전송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바닷물 혹은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유입홀(111)과, 선박사고 시 인근 구조대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구조대가 생존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LED 점멸등(140)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 음파발생, 무선통신, LED 점멸제어와 이를 위한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부(137)를 포함하는 센서부(130)가 삽입되는 센서부(130)삽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단부와 수평기준으로 대칭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사이펀 효과로 인한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구비된 하부몸체(120)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서, 선박 전복 사고 발생 시 선체에 물이 유입되어 부표(100)가 물에 뜨게 되면, 부표(100) 내의 이산화탄소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선상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가 증감 혹은 정지 여부에 따라 생존자의 호흡을 파악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THE SHIPWRECK BUOY WITH CARBON DIOXIDE SENSOR AND THE METHOD FOR FINDING SHIPWRECK SURVIVORS USING THIS BUOY}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측정기가 부착된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전복사고 발생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을 측정하며, 이러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고 생존자의 위치와 상황 정보를 구조센터, 119등 사고 해결 요망자에게로 전송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변화가 심한 기상조건 아래에서도 운항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 운항시 갑작스럽게 태풍이나 해일을 맞는 예도 많은데, 이러할 경우 선박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운항의 실수 등으로 인해 침몰할 수도 있고, 암초나 빙산 등에 충돌하여 좌초되거나 침몰이 되는 예가 많으며, 이 경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 침몰을 하였을 경우에는 선박의 침몰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다.
근래에 이르러 위치확인 위성이나 관측장비를 활용하여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쉬워지긴 하였으나 해저에는 금속성 쓰레기와 침몰된 타 선박의 잔해, 전쟁으로 인한 무기와 선박, 잠수함, 항공기 등의 잔해가 널리 깔려있기 때문에 이 또한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
이와 같이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163호(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내부에 저수부를 마련하여 외부와 통하게 통공을 형성하고 저수부에는 걸림구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공을 형성하고 가이드공과 수직방향으로 통하는 승강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승강봉을 마련하되 하부에는 연결줄로 걸림구와 연결하고 승강봉의 상측은 작동부에 마련하여 CPU에 의해 작동하는 양방향서브모터의 회전구에 고정하며, 저수부 타측에는 부이의 승강시 감지하는 수위감지구를 마련하여 CPU와 연결하고, 하부에는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공을 형성한 안착구를 마련하는 부표를 형성하고, 상기 부표의 안착구를 수용하는 안착홈을 내주연에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와 개폐하는 걸턱을 형성하고 부표의 로프를 배출공을 통해 내부권치구에 감아 놓은 고정구로 구성된다.
또한, 선박의 사고뿐만아니라 인명구조에 있어서도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인근구조센터에 연락하고 현재 사고 지점과 상황을 설명해야한다. 선박사고 역시 빠른 신고와 상황 파악이 필요한데, 그중 세월호 사고와 같이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생존자의 위치파악이 필수적이다. 상기의 상황에서 전복된 선박내의 생존자들은 선박의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탈출하기 어렵고, 외부의 구조자 입장에서도 구조활동을 위한 탐색 범위가 광범위하여, 생존자의 구조작업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선박에 물이 차오르면서 이동과 통신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생존자들은 고립된 환경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수록 선내의 생존자들에게 남은 산소량이 줄어들어, 생존자의 생존 가능성이 떨어진다. 이처럼 생명과 연관된 사고에서 생존자의 위치 정보를 찾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인 실정이다.
특허문헌(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0163호(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등록일자 2012년 04월 19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측정기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량의 증감변화를 감지하고, 생존자와 부표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산화탄소의 증감량 변화를 통해 생존자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위치와 건강 정보를 구조센터로 전달하여 빠른 시간 내에 생존 가능성이 높은 생존자를 선택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통해 최대한의 생존자를 확보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선박사고시 생존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부표(100)에 있어서, 상부면에 바닷물 혹은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유입홀(111)과, 선박사고 시 인근 구조대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구조대가 생존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LED 점멸등(140)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 음파발생, 무선통신, LED 점멸제어와 이를 위한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부(137)를 포함하는 센서부(130)가 삽입되는 센서부(130)삽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단부와 수평기준으로 대칭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사이펀 효과로 인한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구비된 하부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0)는 상부유입홀(111)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유입차단막(112a)과, 상기 유입차단막(112a)의 양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차단막회천축(112c)과, 상기 차단막회전축(112c) 양단에 형성되어 유입차단막(112a)을 회전시키는 조절레버(112b)가 형성되어 바닷물이 상부유입홀로 인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20)는 하부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일측의 배관길이가 타측의 배관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자형태의 배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형태의 배관은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배관의 길이는 하부몸체(12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이펀 작용에 따라 물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상시적으로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표시부(131)와, 상기 배터리 표시부(131)의 화면을 ON/OFF 작동 및 LED점멸, 음파발생을 작동시키는 버튼관리부(132)와, 상기 버튼관리부(132)를 통해 LED 점멸등(140)을 작동시키는 LED점멸모듈(133)과, 인근 구조대에 재난구조요청을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34)과, 선박 내의 이산화탄소의 분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와, 생존자의 위치를 구조대에 알리는 음파발생모듈(136) 및 상기 센서부(130)를 작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음파발생모듈(136)은 하나 이상의 부표(100)에 구비된 음파발생모듈(136)의 음파를 통해 구조자가 생존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각각의 음파로 인해 생존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음파지도를 형성하여 구조자가 신속하게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모듈(134)은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증감량을 측정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비콘 프레임 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전송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은, (a)선박의 선실이나 복도에 부표를 대기시키는 단계, (b)단계는 선박사고 시 선박내에 바닷물이 유입되고 부표(100)가 수면위로 부유하는 단계, (c)단계는 상기 부표(100)는 부표(100)인근에 생존자가 위치하여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부표(100)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선박내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단계,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면 생존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f)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존자의 존재가 식별되었을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 및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건강상태정보를 무선통신모듈(134)을 통해 구조대로 정보전송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을 이용하면, 선박 전복 사고 발생 시 선체에 물이 유입되어 부표(100)가 물에 뜨게 되면, 부표(100) 내의 이산화탄소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선상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가 증감 혹은 정지 여부에 따라 생존자의 호흡을 파악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흡량을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으로 파악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하고, Beacon 무선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수중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표(100) 내의 센서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를 통해 생존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존자 확인 부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생존자 확인 부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표 내부 바닷물이 유입되는 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센서부(13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은 도 1의 상부유입홀(111)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생존자 확인 부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생존자 확인 부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표(100) 내부 바닷물이 유입되는 관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센서부(13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5은 도 1의 상부유입홀(111)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부면에 바닷물 혹은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유입홀(111)과, 선박사고 시 인근 구조대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구조대가 생존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LED 점멸등(140)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 음파발생, 무선통신, LED 점멸제어와 이를 위한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부(137)를 포함하는 센서부(130)가 삽입되는 센서부(130)삽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단부와 수평기준으로 대칭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사이펀 효과로 인한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구비된 하부몸체(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몸체(110)는 상부유입홀(111)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유입차단막(112a)과, 상기 유입차단막(112a)의 양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차단막회천축(112c)과, 상기 차단막회전축(112c) 양단에 형성되어 유입차단막(112a)을 회전시키는 조절레버(112b)가 형성되어 바닷물이 상부유입홀로 인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유입홀(111)에 형성된 유입차단막(11ab), 차단막회전축(112c) 및 조절레버(112b)는 상부유입홀로 유입되는 바닷물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여닫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20)는 하부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일측의 배관길이가 타측의 배관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자형태의 배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자형태의 배관은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배관의 길이는 하부몸체(12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이펀 작용에 따라 물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30)는 상시적으로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표시부(131)와, 상기 배터리 표시부(131)의 화면을 ON/OFF 작동 및 LED점멸, 음파발생을 작동시키는 버튼관리부(132)와, 상기 버튼관리부(132)를 통해 LED 점멸등(140)을 작동시키는 LED점멸모듈(133)과, 인근 구조대에 재난구조요청을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34)과, 선박 내의 이산화탄소의 분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와, 생존자의 위치를 구조대에 알리는 음파발생기 및 상기 센서부(130)를 작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모듈(134)은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증감량을 측정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비콘 프레임 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는 수산화바륨 용액을 이용하고 용액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산바륨이 형성되면 상기 탄산바륨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형태로 선박내의 이산화탄소량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부(137)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로서, 리튬이온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리튬금속을 이용하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비상시 배터리가 방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음파발생모듈(136)은 하나 이상의 부표(100)에 구비된 음파발생모듈(136)의 음파를 통해 구조자가 생존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각각의 음파로 인해 생존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음파지도를 형성하여 구조자가 신속하게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다.
이는 음파발생량이 많은 위치를 파악하여 생존자가 많이 모여있는 위치를 알 수 있게되며 이로 인해 구조자가 더욱 신속하게 구조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는 선박 내의 각 방이나 복도벽의 작은 거치공간을 두어 비치한다.
이후, 선박 사고가 발생할 경우 선박 내에 바닷물에 유입되고 본 발명의 부표(100)는 초기 설치상태에서 바닷물의 부력으로 인해 수직으로 부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표(100)가 물에 완전히 침수되어 숨쉴 공간이 없어지게 되는 경우 물의 흐름에 따라 부유하지 못하고 일정 공간에 갇혀 부표(100)가 완전히 잠기게 되면 상부유입홀(111)을 통해 물이 부표(100) 내로 유입되고 일정 시간이후 가라앉게 된다.
또한, 상기 부표(100)가 물에 침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표(100) 주위에 생존자가 있다면 부표(100) 상단에 형성된 유입차단막을 조절레버를 통해 차단시킨다.
상기 유입차단막이 차단된 부표(100)는 물의 부력에 의해 수직으로 부유하게 되며 생존자가 수중상태에서 부유할 수 있는 구조용 부표(100)역활을 하게 되며, 구조대에 의해 구조되는 시간까지 안전하게 부유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계영배의 원리(사이펀 효과)가 적용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원리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를 이용하여 생존자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a)선박의 선실이나 복도에 부표를 대기시키는 단계(S10),
(b)단계는 선박사고 시 선박내에 바닷물이 유입되고 부표(100)가 수면위로 부유하는 단계(S20),
(c)단계는 상기 부표(100)는 부표(100)인근에 생존자가 위치하여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부표(100)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선박내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단계(S40),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면 생존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
(f)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존자의 존재가 식별되었을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 및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건강상태정보를 무선통신모듈(134)을 통해 구조대로 정보전송을 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부표는 소형 소화기 처럼 배의 선실이나 복도와 같은 비상용 물품을 구비하는 위치에 비치되어 있다가 선실 내부로 다량의 바닷물이 들어오면 부력에 의해 부표가 떠오르도록 설계되며, 이로 인해 정위치를 이탈하여 바닷물에 휩쓸리는 순간부터 자동으로 작동되는 형태로 평상시에는 대기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부표(100) 인근에 생존자가 없어 유입차단막을 차단하지 않는 경우 부표(100) 상단의 상부유입홀(111)을 통해 바닷물이 유입되어 센서부(130) 및 무선통신장치가 물에 잠겨 통신을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은 호흡량을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으로 파악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하고, Beacon 무선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수중에서도 원활한 통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상부몸체(110) 111 : 상부유입홀
120 : 하부몸체(120) 130 : 센서부
131 : 배터리 표시부 132 : 버튼 관리부
133 : LED점멸모듈 134 : 무선통신모듈
135 :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136 : 음파발생모듈 137 : 배터리부
140 : LED점멸등 150 : 안테나부

Claims (8)

  1. 선박사고시 생존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부표(100)에 있어서,
    상부면에 바닷물 혹은 공기가 유입되는 상부유입홀(111)과, 선박사고 시 인근 구조대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부 및 상기 구조대가 생존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LED 점멸등(140)이 형성되며,
    측면에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 음파발생, 무선통신, LED 점멸제어와 이를 위한 리튬이온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부(137)를 포함하는 센서부(130)가 삽입되는 센서부(130)삽입구가 형성된 상부몸체(110)와;
    상기 상단부와 수평기준으로 대칭되어 결합되며 하부면에 사이펀 효과로 인한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구비된 하부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0)는 상부유입홀(111)과 동일한 넓이를 가지는 유입차단막과;
    상기 유입차단막의 양측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유입차단막이 수평축으로 회전하는 차단막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회전축 양측에는 유입차단막을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120)는 하부면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하부유입홀(121)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일측의 배관길이가 타측의 배관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자형태의 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형태의 배관은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유입홀(121)과 연결되는 배관의 길이는 하부몸체(12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이펀 작용에 따라 물의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시적으로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표시부(131)와, 상기 배터리 표시부(131)의 화면을 ON/OFF 작동 및 LED점멸, 음파발생을 작동시키는 버튼관리부(132)와, 상기 버튼관리부(132)를 통해 LED 점멸등(140)을 작동시키는 LED점멸모듈(133)과, 인근 구조대에 재난구조요청을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134)과, 선박 내의 이산화탄소의 분포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와, 생존자의 위치를 구조대에 알리는 음파발생기 및 상기 센서부(130)를 작동하기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부(13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발생모듈(136)은 하나 이상의 부표(100)에 구비된 음파발생모듈(136)의 음파를 통해 구조자가 생존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며, 각각의 음파로 인해 생존자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음파지도를 형성하여 구조자가 신속하게 생존자를 구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 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모듈(134)은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증감량을 측정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비콘 프레임 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8.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은,
    (a)선박의 선실이나 복도에 부표를 대기시키는 단계(S10),
    (b)단계는 선박사고 시 선박내에 바닷물이 유입되고 부표(100)가 수면위로 부유하는 단계(S20);
    (c)단계는 상기 부표(100)는 부표(100)인근에 생존자가 위치하여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30);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부표(100)를 통해 인근 구조대로 긴급구조요청을 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측정센서(135)를 통해 선박내 대기 중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단계(S40);
    (e)단계는 상기 (d)단계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면 생존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50);
    (f)단계는 상기 (e)단계에서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존자의 존재가 식별되었을 경우 생존자의 위치정보 및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건강상태정보를 무선통신모듈(134)을 통해 구조대로 정보전송을 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KR1020150064973A 2015-05-09 2015-05-09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KR20160132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73A KR20160132300A (ko) 2015-05-09 2015-05-09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73A KR20160132300A (ko) 2015-05-09 2015-05-09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00A true KR20160132300A (ko) 2016-11-17

Family

ID=5754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73A KR20160132300A (ko) 2015-05-09 2015-05-09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3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63B1 (ko) 2010-05-20 2012-05-02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163B1 (ko) 2010-05-20 2012-05-02 정구관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211B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WO2018218940A1 (zh) 跟随式救生设备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JP2012519100A (ja) 海での人および船の救助作業を支援するための位置決定システムを備えるダミー
KR101140163B1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102116563B1 (ko) 선박의 승객 조난 탐지 시스템 및 방법
CN102956089B (zh) 一种搜救终端和基于该搜救终端的水上搜救方法
KR102073846B1 (ko) 사고 선박의 위치추적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CN213339067U (zh) Mob落水定位报警装置
KR102219469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확인용 부표 장치
JP2000103391A (ja) 救難ブイ
KR20160132300A (ko)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KR20060117446A (ko) 무인 구명정의 구조
KR20180044689A (ko) 비상 대피 기능을 가진 부이
KR101890493B1 (ko) 조난 선박용 응급조치장치
AU201939782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aritime distress signal
KR101682236B1 (ko)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KR20150051272A (ko) 구조용 선박
KR101262082B1 (ko) 비상 위치 지시용 무선 표시기의 자동방출을 위한 수압이탈장치 및 그 방출방법
KR20200125530A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JP2008201287A (ja) 空中に浮くバルーンと受発信機を備えた位置情報システム
KR102606178B1 (ko) 구명 부환용 추진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