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236B1 -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 Google Patents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236B1
KR101682236B1 KR1020140152598A KR20140152598A KR101682236B1 KR 101682236 B1 KR101682236 B1 KR 101682236B1 KR 1020140152598 A KR1020140152598 A KR 1020140152598A KR 20140152598 A KR20140152598 A KR 20140152598A KR 101682236 B1 KR101682236 B1 KR 10168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arbon dioxide
ship
senso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500A (ko
Inventor
김한봄
Original Assignee
김한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봄 filed Critical 김한봄
Priority to KR102014015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2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26Communication means, e.g. means for signalling the presence of d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1Boats, rafts, buoy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13/00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13/02Navigational aids and us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using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측정기가 부착된 부표로 선박의 전복사고 발생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을 측정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고 생존자의 위치와 상황 정보를 구조센터, 119 등 사고 해결 요망자에게로 전송하도록 구성하여, 선박 전복사고 발생시, 더 많은 에어포켓 즉, 생존자의 위치와 생존자의 건강정보를 파악하여 빠른 시간 내에 더 많은 사람을 구출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부표를 선박의 객실 내 벽면에 비치하여 선박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부표가 떨어져 받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센서와 사고 시 선박 내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와 상기한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를 거쳐 센서부로 들어오는 물의 출입구를 차단 가능한 버튼으로 구성된 하단부와 수산화바륨 용액을 이용하여 용액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탄산바륨이 형성되면 탄산바륨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기와 리튬이온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리튬금속을 사용하여 충전 및 방전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센서부가 장착된 본체와 본체 상부에 위치 및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Beacon 무선 통신장치로 구성되어있어, 선박 전복 사고 발생 시, 선체에 물이 유입되어 본 부표가 물에 뜨게 되면, 부표 내의 이산화탄소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에어 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가 증감 혹은 정지 여부에 따라 생존자의 호흡을 파악하여 위치와, 호흡량을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으로 파악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Position confirmation buoy of survivors at the rollover accident of ship}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측정기가 부착된 부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박의 전복사고 발생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증감량을 측정하며, 특히 이러한 정보를 종합하여 사고 생존자의 위치와 상황 정보를 구조센터, 119 등 사고 해결 요망자에게로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인근 구조센터에 연락하고 현재 사고 지점과 상황을 설명해야한다. 선박사고 역시 빠른 신고와 상황 파악이 필요한데, 그중 세월호 사고와 같이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는 생존자의 위치파악은 필수적이다. 상기의 상황에서 전복된 선박 내의 생존자들은 선박의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탈출하기 어렵고, 외부의 구조자 입장에서도 구조활동을 위한 탐색 범위가 광범위하여, 생존자의 구조작업이 힘들어진다. 동시에 선박에 물이 차오르면서 이동과 통신이 더욱 어려워지면서 생존자들은 고립된 환경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 될수록 선내의 생존자들에게 남은 산소량이 줄어들어, 생존자의 생존 가능성이 떨어진다. 이처럼 생명과 연관된 사고에서 생존자의 위치 정보를 찾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특허문헌 1) KR 10-2009-0100941 A
(특허문헌 2) KR 10-132884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산화탄소 측정기로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량의 증감변화를 감지하는 것으로, 생존자와 에어포켓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산화탄소의 증감량 변화를 통해 생존자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위치와 건강 정보를 구조센터로 전달하여 빠른 시간 내에 생존 가능성이 높은 생존자를 선택하여 정확한 위치 정보를 통해 최대한의 생존자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객실 내 벽면에 비치하여 선박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부표가 떨어져 받는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센서와 사고 시 선박 내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와 상기한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를 거쳐 센서부로 들어오는 물의 출입구를 차단 가능한 버튼으로 구성된 하단부와 수산화바륨 용액을 이용하여 용액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탄산바륨이 형성되면 탄산바륨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기와 리튬이온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리튬금속을 사용하여 충전 및 방전되는 배터리로 이루어진 센서부가 장착된 본체와 본체 상부에 위치 및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Beacon 무선 통신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부표의 무게중심은 하단부에 설정하여 수면과 수직으로 부유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전복 사고 발생 시, 선체에 물이 유입되어 본 부표가 물에 뜨게 되면, 부표 내의 이산화탄소 감지센서가 작동하여 에어 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여 이산화탄소가 증감 혹은 정지 여부에 따라 생존자의 호흡을 파악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호흡량을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변화량으로 파악하여, 생존자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Beacon 무선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수중에서 무리 없이 통신이 가능하며, 수명이 긴 리튬 이온 전지를 활용하여, 본 부표의 사용 가능 시간을 최대화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인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의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의 단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는 하부에 관성의 법칙을 이용한 순간 충동 속도에 따른 충격감지 센서(40)와 사이펀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와 내부의 유압차를 이용한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10)와 생존자가 힘을 가하여 물의 출입구를 막을 수 있는 버튼부(50)으로 구성된 하단부와 수산화바륨 용액을 이용하여 용액이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탄산바륨이 형성되면 탄산바륨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21)과 리튬이온 공급원으로 사용되는 리튬금속을 사용하여 충전 및 방전되는 배터리(22)로 구성된 센서부(20)로 구성되었다.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위치 및 상황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Beacon 무선 통신장치(30)이 장착되어있어, 본체의 센서부(20)에서 수집된 이산화탄소 량의 증감량을 이산화탄소 증감 여부와 증감량 변화로 나누어 증감 여부로는 생존자의 호흡 여부 즉, 생존여부와 위치를 증감량 변화를 통해 생존자의 건강 정보를 파악한다. 상기에 수집된 정보를 구조센터와 같은 본부로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의 순서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박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 가정한다. 부표는 일정 구획을 각각 담당한다. 이때 선박은 무게 중심의 변화로 구조가 변하여 벽면에 비치된 본 부표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이때 충격감지 센서(40)가 충격을 감지하여 부표의 회로가 연결되어 센서부(20)의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21)이 작동을 시작한다. 그러나 선체에는 물이 유입되어 본 부표의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10)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 만약 생존자가 없어 하단부의 버튼부(50)의 위치에 물이 차 오를 때까지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본체와 상단의 센서(21) 및 무선 통신장치(30)가 물에 잠겨 정보를 송신하지 못하게 된다. 즉,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부표의 담당구획은 생존자가 없는 것으로 1차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산화탄소 센서(21)가 작동이 되는 상황에서 이산화탄소의 증감 여부에 따라 생존자의 생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증감량을 측정하여 생존자의 호흡량을 예측해 건강 상태를 예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집, 예측된 정보를 Beacon 무선 통신장치(30)를 통해 구조센터, 119 등 사고 해결 요망자에게 수중과 수중, 수중과 육지간 정보 송신을 하게 된다.
10.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
20.센서부
21.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22.배터리
30.무선 통신장치
40.충격감지 센서
50.버튼부

Claims (8)

  1.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에 있어서
    본체에 이산화탄소 측정센서(21)와,
    본체에 배터리(22)와,
    하단에 충격감지 센서(40)와,
    하단에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10)와,
    하단에 버튼부(50)와,
    상기 본체 상단에 무선 통신장치(30)가 장착되며,
    부표의 무게중심이 하단에 설정되며, 하단의 버튼(50)은 버튼 눌림으로 하단부와 센서부(20), 무선통신 장치(30)가 격리되어 물이 본체에 유입되지 않는 부표.
  2. 제 1항에 있어, 부표의 무게중심이 하단에 설정되어있어 부표가 수면에 수직으로 부유하게 하여, 부표 내 출입 물 용량 조절 장치(10)이외의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부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 충격감지 센서(40)는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21)와 무선 통신장치(30)의 작동을 시작하게 하는 정류 스위치 역할인 부표.
  5. 제 1항에 있어, 이산화탄소 측정센서(21)는 에어포켓 내의 이산화탄소 량을 측정하는 부표.
  6. 제 1항에 있어, 무선 통신장치(30)는 수중과 수중, 수중과 육지 간의 정보의 송신하는 부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 이산화탄소 측정센서(21)는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증감여부와 증감량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부표.
KR1020140152598A 2014-11-05 2014-11-05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KR10168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98A KR101682236B1 (ko) 2014-11-05 2014-11-05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598A KR101682236B1 (ko) 2014-11-05 2014-11-05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00A KR20160053500A (ko) 2016-05-13
KR101682236B1 true KR101682236B1 (ko) 2016-12-07

Family

ID=5602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598A KR101682236B1 (ko) 2014-11-05 2014-11-05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8617A (zh) * 2018-10-19 2019-03-01 东台市万舟船用设备有限公司 一种防风浪浮标
CN113406212B (zh) * 2021-06-09 2024-04-19 武汉理工大学 气穴定位测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778A (ja) * 2000-12-12 2002-06-26 Nippo Tsushin Service Kk ガス検出装置及び要救助生存者の検知方法
KR101328842B1 (ko) * 2012-08-31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계측용 로봇 부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0365A (ja) * 1994-07-28 1996-02-13 Fujitsu Ltd 救難用無線浮標
KR20090100941A (ko) *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엘아이에스 지능형 등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1778A (ja) * 2000-12-12 2002-06-26 Nippo Tsushin Service Kk ガス検出装置及び要救助生存者の検知方法
KR101328842B1 (ko) * 2012-08-31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계측용 로봇 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500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120B (zh) 用于检测水中人员的淹溺危险的方法和系统
JP7195926B2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785744B1 (ko) 선외 낙수자 상황을 위한 선박 위의 패시브 안전 시스템 및 장비
CN102956089B (zh) 一种搜救终端和基于该搜救终端的水上搜救方法
PT107141A (pt) Veículo aquático autopropulsionado
WO2006020130A2 (en) Water safety device
EP3423867B1 (en) A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2065516B1 (ko)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US10922947B2 (en) Rescue signal transmission system
KR101682236B1 (ko) 선박 전복 사고 시 생존자 위치 확인 부표
CN202929801U (zh) 一种搜救终端
KR20190081426A (ko)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조난자 구조신호 관제시스템
KR20160049552A (ko) 신재생에너지 부표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CN205795067U (zh) 水中报警手环装置
ES1068634U (es) Dispositivo de emergencia perfeccionado, aplicable en embarcaciones de pequeña eslora, para aviso y localizacion de personas.
KR20160104280A (ko) 선박용 인명 구조 사다리
CN204124337U (zh) 多功能救生筏
CN212766690U (zh) 一种抛投式救生设备
KR20160132300A (ko) 이산화탄소 증감량에 따른 선박사고 생존자 확인 부표 및 이를 이용한 생존자 위치 확인 방법
CN104340343A (zh) 多功能救生筏及控制方法
KR100301863B1 (ko) 구명기구
KR20240043006A (ko) 음향신호 발생기능을 구비한 해상 조난자 식별 시스템
CN110435907A (zh) 一种寻迹器
RU82186U1 (ru)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й датчик аварийного уровня морской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