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516B1 -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16B1
KR102065516B1 KR1020180124500A KR20180124500A KR102065516B1 KR 102065516 B1 KR102065516 B1 KR 102065516B1 KR 1020180124500 A KR1020180124500 A KR 1020180124500A KR 20180124500 A KR20180124500 A KR 20180124500A KR 102065516 B1 KR102065516 B1 KR 10206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quirer
drowning
unit
underwater camera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익
조용민
권명지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15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bsence of activity per 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과, 촬영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와, 움직임 산출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와,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은 수영공간에 입수한 입수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입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underwater camera}
본 발명은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은 수영공간에 입수한 입수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수영장, 바다 등에서 사람들의 익사 사고, 유아에 대한 실종, 유괴 등의 응급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상기 응급 상황을 감시하고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영장, 바다 등에는 안전 요원이 일정 지역마다 배치되어 상기 수영장, 바다의 상황을 감시한다. 그러나 상기 안전 요원이 상기 수영장, 바다 등을 전체적으로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상기 안전 요원이 자리를 비울 경우, 상기 수영장, 바다에 대한 상황을 전혀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안전 요원이 상기 응급 상황을 감지할 경우에도 상기 응급 상황이 발생한 지역과 상기 안전 요원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상기 응급 상황을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24295호에는 수영장 익사방지 감지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수영장 익사방지 감지 시스템은 수영장 내에 다수의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신기와, 발신기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수신기를 이용하여 익사자를 판별한다.
그러나, 상기 수영장 익사방지 감지 시스템은 단순히 레이저빔의 수신여부를 통해 입수자의 익사 여부를 판별하므로 판별의 정확성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영공간에 입수한 입수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입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은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과, 상기 촬영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와, 상기 움직임 산출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와,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입수자의 수중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영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면 하측에 세팅된다.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신체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가 손 또는 팔로 기설정된 한계 횟수 이상으로 수면을 내리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한다.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입수자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미감지되되, 상하방향 움직임만 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할 수도 있다.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하체 움직임이 감지되되, 상기 입수자의 상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위험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경고알림부는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위험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머리, 상체 및 하체의 일부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부유하되,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가 의식을 잃은 위험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경고알림부는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상기 위험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은 상기 촬영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공간 내에서 상기 촬영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 하측에 설치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설치된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에서 수영 또는 잠수하는 안전요원이 착용하는 착용부재와, 상기 착용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부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촬영유닛이 설치되는 보트와, 상기 보트에 설치되어 상기 보트가 상기 수영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보트 구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은 수영공간에 입수한 입수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입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의 이동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10)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110)과, 상기 촬영유닛(110)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120)와, 상기 움직임 산출부(120)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130)와, 상기 익사 판별부(130)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11)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140)를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수영공간(10)은 입수자가 수영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진 수영장의 수영공간(10)이 적용되나, 상기 수영공간(1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바다, 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촬영유닛(110)은 수영공간(10) 즉 수영장의 수영공간(10) 내벽면에 설치된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에 설치되어 입수자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카메라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1)은 내부에 촬영카메라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본체(112)와, 상기 개방구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2)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를 통해 촬영카메라가 입수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 커버부재(113)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113)는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커버부재(113) 및 본체(112) 사이에는 본체(112)의 내부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촬영카메라는 본체(112)의 개방구를 통해 본체(112) 상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본체(112)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영공간(10) 내의 입수자들에 대한 컬러영상 및 깊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및 깊이 센서가 포함된 촬영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카메라는 촬영된 영상 즉, 입수자들에 대한 컬러영상 및 깊이 영상을 움직임 산출부(120)로 전송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유닛(110)은 상기 입수자의 수중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영공간(10)에 수용된 물의 수면 하측에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움직임 산출부(120)는 촬영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영상에서 입수자들을 판별하고, 입수자들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이때, 움직임 산출부(120)는 입수자의 신체의 각 부분을 판별하고, 입수자의 신체의 각 부분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입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는 입수자의 신체 전체 및 신체 각 부분의 움직이는 방향 및 움직임 크기, 수영공간(10)에 채워진 물의 수면에 대한 입수자의 자세 변화 등이 포함된다. 움직임 산출부(120)는 산출된 입수자들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익사 판별부(130)에 제공한다.
익사 판별부(130)는 움직임 산출부(120)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때, 익사로 진행되는 입수자의 경우, 물속에서 허우적거리는데, 일반적으로 좌우방향 움직임보다 상하방향 움직임이 많아진다. 이때, 익사로 진행되는 입수자는 손이나 팔로 수면을 내려치는 동작을 되풀이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익사 과정의 입수자는 수면에 대해 직립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된다.
따라서, 익사 판별부(130)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신체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한다. 여기서, 판별시간은 1분 내지 3분이 바람직하다.
또한, 익사 판별부(130)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가 손 또는 팔로 기설정된 한계 횟수 이상으로 수면을 내리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판별시간은 1분 내지 3분이고, 한계 횟수는 10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익사 판별부(130)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수영공간(10)의 수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입수자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미감지되되, 상하방향 움직임만 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도 판별시간은 1분 내지 3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입수자가 익사 과정이 보다 진행되어 위험상태의 경우, 힘이 떨어져서 상체 즉, 팔의 움직임은 정지하고, 하체 즉, 다리만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익사 판별부(130)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하체 움직임이 감지되되, 상기 입수자의 상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위험상태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입수자가 익사 과정이 보다 진행되어 의식을 잃은 위험상태의 경우, 몸을 늘어뜨린 상태에서 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익사 판별부(130)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머리, 상체 및 하체의 일부가 상기 수영공간(10)의 수면에 부유하되,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가 의식을 잃은 위험상태로 판별한다.
경고알림부(140)는 익사 판별부(130)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11)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경고알림부(14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1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이 마련되어 있다. 관리자의 단말기(11)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되며, 경고알림부(140)로부터 경고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패턴을 갖는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입수자의 상황을 경고한다.
또한, 경고알림부(140)는 익사 판별부(130)에서 입수자가 위험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11)로 긴급신호를 전송한다. 관라지의 단말기(11)는 경고알림부(140)로부터 긴급신호를 수신하면, 경고신호를 수신시 발생시킨 진동 또는 경고음와 상이한 패턴을 갖는 진동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관리자에게 위험상태 발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수영공간(10)에 입수한 입수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입수자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판별하여 관리자에게 경고하므로 익사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200)은 상기 촬영유닛(1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공간(10) 내에서 상기 촬영유닛(110)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동유닛(210)은 상기 수영공간(10)의 수면 하측에 설치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이동레일(211)과, 상기 이동레일(211)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촬영유닛(110)이 설치된 이동블럭(212)과, 상기 이동블럭(212)을 상기 이동레일(211)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 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동레일(211)은 수영장의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이동레일(211)은 수영장의 수영공간(10) 내측면에 고정되며, 수면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블럭(212)은 이동레일(2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에 촬영유닛(110)이 설치된다. 블럭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이 이동레일(211)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이동블럭(2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블럭(212)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블럭 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블럭(212)을 이동레일(21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블럭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기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이동블럭(212)을 왕복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210)은 수영공간(10) 내에서 상기 촬영유닛(110)을 이동시키므로 촬영유닛(110)이 수영공간(10) 내에 입수한 입수자들을 균일하게 촬영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정확헤게 입수자들 중 익시 진행 상태의 입수자를 선별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동유닛(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에서 수영 또는 잠수하는 안전요원(15)이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부재(221) 및 거치대(2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착용부재(221)는 상기 수영공간(10)에서 수영 또는 잠수하는 안전요원(15)이 착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할 수 있는 조끼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부재(22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요원(15)이 손목이나 발목 등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거치대(222)는 착용부재(221)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면에 촬영유닛(110)이 고정된다. 상기 거치대(222)는 촬영유닛(1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을 갖되,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유닛(23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유닛(230)은 상기 수영공간(10)의 수면에 부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촬영유닛(110)이 설치되는 보트(231)와, 상기 보트(231)에 설치되어 상기 보트(231)가 상기 수영공간(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231)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보트 구동부(232)를 구비한다.
상기 보트(231)는 강이나 바다와 같은 수영공간(10)에 부유하며, 상부에 안전요원(15)이 탑승할 수 있는 탑승공간이 마련된 배 형태로 형성된다. 촬영유닛(110)은 수영공간(10)에 수영하는 입수자의 수중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보트(231)의 하부 즉, 수면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보트(23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트 구동부(232)는 보트(231)의 후방에 설치되며, 수영공간(10)의 수중에 잠기는 하단부에 프로펠러(234)가 마련된 구동부재(233)와, 상기 구동부재(233)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펠러(234)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보트 구동부(23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트(231)에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추진수단이므로 무엇이든 가능하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110: 촬영유닛
111: 하우징
112: 본체
113: 커버부재
120: 움직임 산출부
130: 익사 판별부
140: 경고알림부

Claims (11)

  1.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촬영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
    상기 움직임 산출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 및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의 신체 전체 또는 신체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입수자의 수중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수영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면 하측에 세팅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촬영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
    상기 움직임 산출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 및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상하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감지되되,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입수자가 손 또는 팔로 기설정된 한계 횟수 이상으로 수면을 내리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5. 입수자가 수영하는 수영공간에 세팅되어 상기 입수자를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촬영유닛을 통해 획득된 영상을 토대로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을 산출하는 움직임 산출부;
    상기 움직임 산출부에서 제공받은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익사 판별부; 및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될 경우, 관리자의 단말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경고알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입수자가 기설정된 판별시간동안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대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입수자의 좌우방향 움직임이 미감지되되, 상하방향 움직임만 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하체 움직임이 감지되되, 상기 입수자의 상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를 위험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경고알림부는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위험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신호를 전송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7.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사 판별부는 상기 입수자가 익사 진행 상태로 판별된 이후에, 상기 입수자의 머리, 상체 및 하체의 일부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부유하되, 상기 입수자의 신체 움직임이 미감지될 경우, 상기 입수자가 의식을 잃은 위험상태로 판별하고,
    상기 경고알림부는 상기 익사 판별부에서 상기 입수자가 상기 위험상태로 판별될 경우, 상기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신호를 전송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8.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수영공간 내에서 상기 촬영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구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 하측에 설치되며, 소정길이 연장형성된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설치된 이동블럭; 및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블럭 구동부;를 구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에서 수영 또는 잠수하는 안전요원이 착용하는 착용부재; 및
    상기 착용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거치되는 거치대;를 구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영공간의 수면에 부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촬영유닛이 설치되는 보트; 및
    상기 보트에 설치되어 상기 보트가 상기 수영공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트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보트 구동부;를 구비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180124500A 2018-10-18 2018-10-18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KR10206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500A KR102065516B1 (ko) 2018-10-18 2018-10-18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500A KR102065516B1 (ko) 2018-10-18 2018-10-18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516B1 true KR102065516B1 (ko) 2020-01-13

Family

ID=6915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500A KR102065516B1 (ko) 2018-10-18 2018-10-18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5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9078A (zh) * 2020-10-15 2021-02-02 泰州市出彩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局域网通信的状态检测平台
CN112309077A (zh) * 2020-09-23 2021-02-02 苏宁云计算有限公司 一种泳池溺水警报方法及装置
CN112949502A (zh) * 2021-03-05 2021-06-1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游泳池安全员的环视检测方法、系统和电子装置
KR102406948B1 (ko) 2021-03-17 2022-06-08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20102048A (ko) * 2021-01-12 2022-07-19 고두균 인공지능을 이용한 적응적 인지영역 설정 기반의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95597A1 (ko) * 2022-04-08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감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실감형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704269B1 (ko) 2023-08-29 2024-09-06 이주철 인공지능(ai)를 이용한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46A (ko) * 2012-11-12 2014-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구조 방법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KR20170116815A (ko) * 2016-04-12 2017-10-20 옥물결 수영장용 IoT CCTV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방법
KR20180044641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싸인랩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746A (ko) * 2012-11-12 2014-05-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수상 인명 구조 시스템 및 그의 구조 방법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KR20170116815A (ko) * 2016-04-12 2017-10-20 옥물결 수영장용 IoT CCTV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영장 관리 방법
KR20180044641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싸인랩 영상 및 음성 복합 상황 판별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9077A (zh) * 2020-09-23 2021-02-02 苏宁云计算有限公司 一种泳池溺水警报方法及装置
CN112309078A (zh) * 2020-10-15 2021-02-02 泰州市出彩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局域网通信的状态检测平台
KR20220102048A (ko) * 2021-01-12 2022-07-19 고두균 인공지능을 이용한 적응적 인지영역 설정 기반의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5001B1 (ko) 2021-01-12 2023-02-28 고두균 인공지능을 이용한 적응적 인지영역 설정 기반의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49502A (zh) * 2021-03-05 2021-06-1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游泳池安全员的环视检测方法、系统和电子装置
CN112949502B (zh) * 2021-03-05 2024-03-2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游泳池安全员的环视检测方法、系统和电子装置
KR102406948B1 (ko) 2021-03-17 2022-06-08 전주시시설관리공단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WO2023195597A1 (ko) * 2022-04-08 2023-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감형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실감형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704269B1 (ko) 2023-08-29 2024-09-06 이주철 인공지능(ai)를 이용한 수영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516B1 (ko) 수중 카메라를 이용한 안전 감시 시스템
US10737749B2 (e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for aiding a scuba diver
WO2018218940A1 (zh) 跟随式救生设备
US20200380844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Dangerous Situations
AU2006212052B2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9223027B1 (en) Rescue method and system for an overboard passenger
JP7195926B2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1812283B1 (ko) 인명구조용 무선조종보트 및 수상 인명구조 시스템
US10373469B2 (en) Autonomous people rescue system for vessels and shipwrecks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AU2017227975B2 (en) A tracking system and method
KR101782014B1 (ko) 스마트 잠수복을 포함하는 지능형 수중위험감지시스템
CN108557032A (zh) 一种与无人船联合作业的水下打捞设备及其工作方法
CN206797667U (zh) 跟随式救生设备
KR102322567B1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2170351B1 (ko)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1272A (ko) 구조용 선박
KR20170111555A (ko) 서프보드
Monish et al. Drowning alert system using rf communication and gprs/gsm
JP5964381B2 (ja) 落水事故監視方法および落水事故監視システム
JP2023535242A (ja) 水環境での遭難者のための自己救助システム及び方法、水環境において自己救助方法を実行するように構成された個人用ビーコン及びu字型ブイ
CN107146474B (zh) 基于大数据的渔船安全预警方法
JP4310638B2 (ja) カメラ付きフロート装置
CN116850564A (zh) 一种海上编队武装泅渡训练监控系统和方法
RU2671065C2 (ru) Поисково-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