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618B1 - 자동구명부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구명부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618B1
KR101272618B1 KR1020100043275A KR20100043275A KR101272618B1 KR 101272618 B1 KR101272618 B1 KR 101272618B1 KR 1020100043275 A KR1020100043275 A KR 1020100043275A KR 20100043275 A KR20100043275 A KR 20100043275A KR 101272618 B1 KR101272618 B1 KR 101272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lifebuoy
life buoy
fluorescen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837A (ko
Inventor
조광현
Original Assignee
조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현 filed Critical 조광현
Priority to KR102010004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6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8Adaptations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to life-saving purposes
    • B63C9/30Floatable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6Cast or life lines; Attachments thereto; Containers therefor; Rescue net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어 긴급상황발생 시 구명용도로 사용되는 자동구명부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가장자리에 다수로 결합 설치되어 지며, 외측에 구성된 수중감지센서의 감지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명부표박스; 상기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명부표; 상기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감지센서의 작동시 상기 구명부표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로 구성되되, 상기 구명부표는, 표면이 형광물질로 코팅처리되어 지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제1공간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튜브; 상기 튜브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손잡이; 방수처리되어 상기 튜브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위치송출기; 상기 튜브의 상측 가장자리에 다수로 부착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와 배선으로 직렬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여 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로 이루어진 발광작동표시부; 일측이 상기 튜브의 하측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고정설치된 형광로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작동표시부는 튜브의 모서리부에 작동스위치를 각각 구성하여 개별작동하는 발광작동표시부를 4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램프와 작동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튜브의 표면에 포설되는 배선은 별도의 외피로 포장처리되며, 상기 형광로프는 튜브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짧게 형성되는 제1형광로프와, 구명부표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길게 형성되는 제2형광로프와, 상기 제1, 2형광로프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을 이루는 걸이부로 이루어져 필요 시 선박과 구명부표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의 하측 중앙으로는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3공간부를 형성한 고리부가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고리부에 형광로프가 고정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를 이용하면, 선박의 침몰로 인한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명부표와 상기 구명부표에 설치된 손잡이와 형광로프로 인해 조난자가 구명부표 위로 안전하게 접근하여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송출기를 누르는 것만으로 구조신호를 송출하여 구명부표의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형광물질로 코팅된 구명부표와 램프에 의해 야간수색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형광로프에 의해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바로 찾아내어 시간경과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형광로프에 구성된 걸이부를 이용하여 구명부표와 선박을 분리함으로써 구명부표를 구명보트의 용도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구명부표장치{Automatic life saving and buoy device}
본 발명은 자동구명부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침몰로 인한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명부표와 상기 구명부표에 설치된 손잡이와 형광로프로 인해 조난자가 구명부표 위로 안전하게 접근하여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송출기를 누르는 것만으로 구조신호를 송출하여 구명부표의 정확한 위치를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형광물질로 코팅된 구명부표와 램프에 의해 야간구조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형광로프에 의해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바로 찾아내어 시간경과에 따른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고, 형광로프에 구성된 걸이부를 이용하여 구명부표와 선박을 분리함으로써 구명부표를 구명보트의 용도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자동구명부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에서 조업 중이거나, 공무 등을 행하는 관급 선박, 또는 해군 및 기타 필요에 의해 해상에서 행위를 하는 제반 선박들에는 충돌사고나 침몰사고 등과 같은 유사 사고에 대비하여 긴급상황 발생시 사용할 수 있는 구명보트 또는 구명튜브가 설치되어 있어 있으며, 사고지역을 알리기 위한 별도의 부표가 따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는 조난자가 구명보트를 탑승하거나, 구명튜브를 착용한 후, 핸드폰과 같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구조요청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핸드폰은 해상에서 통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침수 등에 의해 파손되기 때문에 사용에 제약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구조요청이 원활하게 된다 하더라도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구조요청을 통한 구조활동의 전개 및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간까지 너무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침몰당하는 선박의 선원들이 위험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박 침몰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선원 또는 승객들이 수중에서 탈출 방법을 찾을 수 없거나, 공기의 부족이로 인해 익사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구명보트는 선박의 침몰이 이루어진 후에는 구명보트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구명튜브를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선원이 계속 물속에 잠겨져 있어야 함으로 인해 저체온증과 같은 2차적인 피해로 사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상기 구명보트와 구명튜브는 파도에 휩쓸려 자유로이 움직이기 때문에 침몰한 선박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조난자의 위치와 선박의 위치가 모두 불확실해지게 되어 구조작업이 더욱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구명부표 장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구명부표와 침몰 된 선박에 연결된 형광로프가 수면 위의 구명부표까지 탈출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침몰한 선박의 사고 직후 구조 및 인양시 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길을 제공해 주는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때의 구명부표는 조난자들의 구명정 역할과 침몰선박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부표의 역할을 동시에 해주게 될 것이며, 위치송출기 및 램프의 발광으로 인해 야간에도 원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 발생시 조난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명할 수 있으며, 또한 침몰 된 선박 내의 조난자들의 안전을 위해 조기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는선박의 가장자리에 다수로 결합 설치되어 지며, 외측에 구성된 수중감지센서의 감지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명부표박스; 상기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설치되는 구명부표; 상기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감지센서의 작동시 상기 구명부표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로 구성되되, 상기 구명부표는, 표면이 형광물질로 코팅처리되어 지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제1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제1공간부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가 형성된 튜브; 상기 튜브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를 구성하여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손잡이; 방수처리되어 상기 튜브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위치송출기; 상기 튜브의 상측 가장자리에 다수로 부착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와 배선으로 직렬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여 램프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로 이루어진 발광작동표시부; 일측이 상기 튜브의 하측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구명부표박스 내부에 고정설치된 형광로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작동표시부는 튜브의 모서리부에 작동스위치를 각각 구성하여 개별작동하는 발광작동표시부를 4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램프와 작동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튜브의 표면에 포설되는 배선은 별도의 외피로 포장처리되며, 상기 형광로프는 튜브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짧게 형성되는 제1형광로프와, 구명부표박스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길게 형성되는 제2형광로프와, 상기 제1, 2형광로프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을 이루는 걸이부로 이루어져 필요 시 선박과 구명부표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의 하측 중앙으로는 제1공간부와 연결되는 제3공간부를 형성한 고리부가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고리부에 형광로프가 고정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는 선박의 침몰로 인한 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구명부표가 펼쳐지면서 해수 표면으로 부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박과 구명보트가 형광로프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침몰한 선박 내의 선원들이 형광로프를 손쉽게 발견하여 구명부표로 빨리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구명부표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난자가 구명부표 위로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중감지센서에 감지에 따라 구명부표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는, 상기 구명부표에 설치된 위치송출기의 스위치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구조신호를 송출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난신고 없이도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표면이 형광물질로 코팅된 구명부표 및 상기 구명부표에 다수로 부착되어 빛을 발광하는 램프에 의해 야간에도 구명부표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난자의 구명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명부표와 선박을 연결하는 형광로프에 의해 선박의 위치를 바로 찾아낼 수 있어 시간경과에 따른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형광로프에 구성된 걸이부의 체결을 해제하여 구명부표와 선박을 분리함으로써 구명부표를 구명보트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도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상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는 선박(1)에 설치되어 긴급상황발생 시 구명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에 설치되는 구명부표박스(10)와, 상기 구명부표박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명부표(20)와 공기주입기(30)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구명부표박스(10)는 선박(1)의 가장자리에 다수로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으로는 수중감지센서(1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부표박스(10)는 수중감지센서(11)의 감지작용시 실린더와 같은 통상의 제어수단(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며, 구명부표(20)와 공기주입기(30)의 설치를 위해 내부가 비어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중감시센서(11)는 큰 충격이 발생하거나,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물에 잠겨 있을 시에 작동하는 것으로, 오작동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30초 동안 지속적으로 물에 잠겨 있을 시 감지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명부표(20)는 상기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가 전혀 들어 있지 않은 상태로 접혀져 있으며, 튜브(30)와, 손잡이(40)와, 위치송출기(50)와, 발광작동표시부(60)와, 형광로프(70)로 구성된다.
먼저, 튜브(30)는 상기 수중감지센서(11)에 감지작용에 따라 자동 작동하는 공기주입기(32)를 통해 공기가 채워지는 것으로, 야간에도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표면이 형광물질로 코팅처리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30)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제1공간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주입기(80)를 통해 제1공간부(31)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32)가 일측에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튜브(3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32)는 공기 주입 후, 튜브(30)에 주입된 공기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통상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주입구(32)에 연결되어 있는 통상의 마개(33)를 통해 완전히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때의 튜브(30)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접어서 보관되기 때문에 크게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다수의 조난자가 안전하게 올라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튜브(30)의 하측 중앙으로는 형광로프(3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제1공간부(31)와 연결되는 제3공간부(91)를 형성한 고리부(90)가 더 포함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상기 고리부(90)가 구성되는 튜브(30)의 하측 중앙부분이 상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튜브(30)를 구성함으로써, 고리부(90)의 부력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40)는 상기 튜브(30)의 측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조난자가 용이하게 올라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30)의 제1공간부(31)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41)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써, 공기주입기(80)를 통한 공기 주입시 튜브(30)와 손잡이(40)에 공기가 동시공급되어 진다.
또한, 위치송출기(50)는 상기 튜브(30)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 바닷물의 침수로 인한 부식이 방지되도록 통상방법으로 방수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송출기(50)에는 구명부표(20)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스위치(미도시)가 구성되어 있어 탑승한 조난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손쉬운 조난신고를 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명부표(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발광작동표시부(60)는 야간에도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튜브(30)의 상측 가장자리에 다수로 부착되는 것으로, 본드 및 열압착 등과 같은 통상의 방법을 통하여 손쉽게 붙일 수 있으며, LED램프 또는 싸이키 등과 같이 고밀도 발광을 하는 통상의 램프(61)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램프(61)는 배선(63)으로 직렬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데, 배터리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스위치(62)를 통해 동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고장 방지를 위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방수처리된다.
아울러, 상기 발광작동표시부(60)는 하나의 작동스위치(62)를 통해 램프(61) 전체를 동작시킬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튜브(30)의 모서리부 마다 작동스위치(62)를 각각 구성 즉, 개별작동하는 작동스위치(62)를 4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작동스위치(61)마다 램프(61)에 직렬연결되는 회로를 각각 구성하여 1개의 회로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회로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램프(61) 및 작동스위치(62)를 직렬로 연결하여 튜브(30)의 표면에 포설되는 배선(63)은 구명작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별도의 외피(64)로 안전하게 포장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형광로프(70)는 일측이 상기 튜브(3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선박(1)과 구명튜브(20)를 연결하는 작용을 하며, 형광물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조난자가 수중에서도 손쉽게 발견하여 구명보트로 올라갈 수 있음과 동시에, 구조자가 형광로프(70)로 인해 침몰된 선박(1)의 위치를 바로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형광로프(70)는 튜브(3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짧게 형성되는 제1형광로프(71)와, 구명부표박스(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길게 형성되는 제2형광로프(72)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제1, 2형광로프(71, 72)의 끝단에 걸이부(73)를 각각 구성하여 서로 결합을 이루도록 해야 하며, 여기서, 상기 걸이부(7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너와 같은 결합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형광로프(70)는 필요 시 조난자가 걸이부(73)를 분리하여 선박(1)과 구명부표(20)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구명부표(20)를 구명보트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형광로프(70)는 해당 선박(1)이 운행하는 해저의 깊이를 감안하여 사전에 길이를 조절하여 장착하는 것으로, 보다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공기주입기(80)는 상기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호스(H)를 통해 상기 구명부표(20)의 공기주입구(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수중감지센서(11)의 감지작동에 따라 구명부표박스(10)가 개방될 때에 자동으로 제어되어 구명부표(2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기(80)는 구명부표(20)의 공기주입구(32)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H)가 길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구명부표(20)가 부력에 따라 해수면으로 상승 될 경우에도 공기의 주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백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과 같이 빠른 속도로 공기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불충분한 공기주입으로 인한 인명의 피해가 없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박(1)이 침몰하여 구명부표박스(10)가 물에 잠기게 되면, 수중감지센서(11)가 물에 잠긴 후 30초가 되는 시점에 감지작용을 일으켜 구명부표박스(10)가 자동으로 개방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공기주입기(80)가 자동 작동되어 호스(H)와 공기주입구(32)를 통해 구명부표(20)의 내부 즉, 튜브(30)의 제1공간부(31)와 손잡이(40)의 제2공간부(41)에 공기가 주입되게 된다.
그러면, 공기가 주입된 튜브(30)와 손잡이(40)가 부풀어 오르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구명부표(20)로 주입되는 공기는 빠르게 주입될 뿐만 아니라, 공기주입기(80)에 길게 구성되어 공기주입구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H)에 의해 침수가 많이 일어난 상태에서도 해수면으로 떠오른 구명부표(20)로 공기의 주입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구명부표(20)의 내부에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조난자가 구명부표(20)에 구성된 손잡이(40)를 이용하여 손쉽게 올라갈 수 있으며, 선박(1)과 구명부표(20)를 연결하는 형광로프(70)에 의해 미처 대피하지 못한 선원이 형광로프(70)를 통해 구명부표(20)로 올라갈 수 있는 길이 제공되어 진다. 그리고, 공기의 주입이 완료된 후는, 조난자가 구명부표(20)에 탑승하여 공기주입구(32)에서 호스(H)를 분리한 다음, 마개(33)로 공기주입구(32)를 막음으로써, 구명부표(20)의 설치를 완벽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명부표(20)로 올라간 조난자는 구명부표(20)의 상부 중앙에 구성된 위치송출기(50)의 스위치를 손으로 누름으로써, 조난신고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송출기(50)에 의해 구조자가 구명부표(20)의 위치를 알아내어 빠른 조치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난신고를 이루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명부표(20)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성된 작동스위치(62)를 누름으로써, 테두리의 사각 면에 각각 직렬로 형성된 램프(61)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명부표(20)의 표면에 코팅된 형광물질에 의해 야간에도 구조자가 구명부표(20)를 손쉽게 발견하여 구명작업을 이룰 수 있으며, 구명부표(20)와 선박(1)을 연결하는 형광로프(70)에 의해 선박(1)의 위치를 바로 발견하에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명부표(20)와 선박(1)을 연결하는 형광로프(70)는 필요시 걸이부(73)를 분리하여 구명부표(20)와 선박(1)을 분리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구명부표(20)를 구명보트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게 된다.
아울러, 선박(1)의 침몰이 비교적 늦게 일어나는 지점에 위치한 구명부표박스(10)는 선원이 강한 충격을 주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사용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구명부표장치를 이용하면, 선박(1)이 침몰된 후에도, 자동으로 펼쳐지는 구명부표(20)와 상기 구명부표(20)에 설치된 손잡이(40)와 형광로프(70)에 의해 조난자가 구명부표(20) 위로 안전하게 올라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난신고 및 조난자의 위치확인이 용이하여 빠른 구명작업을 할 수 있으며, 침몰된 선박(1)의 위치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긴급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H : 호스 1 : 선박
10 : 구명부표박스 11 : 수중감지센서
20 : 구명부표 30 : 튜브
31 : 제1공간부 32 : 공기주입구
40 : 손잡이 41 : 제2공간부
50 : 위치송출기 60 : 발광작동표시부
61 : 램프 62 : 작동스위치
63 : 배선 70 : 형광로프
71 : 제1형광로프 72 : 제2형광로프
73 : 걸이부 90 : 고리부
91 : 제3공간부

Claims (5)

  1. 선박에 설치되어 긴급상황발생 시 구명용도로 사용되는 자동구명부표장치에 있어서,
    선박(1)의 가장자리에 다수로 결합 설치되어 지며, 외측에 구성된 수중감지센서(11)의 감지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명부표박스(10);
    상기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설치되는 구명부표(20);
    상기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설치되며, 수중감지센서(11)의 작동시 상기 구명부표(20)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기(80);로 구성되되,
    상기 구명부표(20)는,
    표면이 형광물질로 코팅처리되어 지되,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제1공간부(31)가 형성되며, 일측으로는 상기 제1공간부(31)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32)가 형성된 튜브(30);
    상기 튜브(3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공간부(31)와 연결되는 제2공간부(41)를 구성하여 공기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손잡이(40);
    상기 튜브(30)의 상측 중앙에 설치되는 위치송출기(50);
    상기 튜브(30)의 상측 가장자리에 다수로 부착되는 램프(61)와, 상기 램프(61)와 배선(63)으로 직렬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여 램프(61)를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62)로 이루어진 발광작동표시부(60);
    일측이 상기 튜브(3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고, 타측이 구명부표박스(10) 내부에 고정설치된 형광로프(7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작동표시부(60)는 튜브(30)의 모서리부에 작동스위치(62)를 각각 구성하여 개별작동하는 발광작동표시부(60)를 4개로 구성하고, 각각의 램프(61)와 작동스위치(62)를 직렬로 연결하여 튜브(30)의 표면에 포설되는 배선(63)은 별도의 외피(64)로 포장처리되며,
    상기 형광로프(70)는 튜브(30)의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짧게 형성되는 제1형광로프(71)와, 구명부표박스(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길게 형성되는 제2형광로프(72)와, 상기 제1, 2형광로프(71, 72)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을 이루는 걸이부(73)로 이루어져 필요 시 선박(1)과 구명부표(2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튜브(30)의 하측 중앙으로는 제1공간부(31)와 연결되는 제3공간부(91)를 형성한 고리부(90)가 더 포함구성되어 상기 고리부(90)에 형광로프(70)가 고정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구명부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감지센서(11)는 30초 동안 지속적으로 물에 잠겨 있을 시 감지작동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자동구명부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43275A 2010-05-10 2010-05-10 자동구명부표장치 KR10127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75A KR101272618B1 (ko) 2010-05-10 2010-05-10 자동구명부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275A KR101272618B1 (ko) 2010-05-10 2010-05-10 자동구명부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837A KR20110123837A (ko) 2011-11-16
KR101272618B1 true KR101272618B1 (ko) 2013-06-11

Family

ID=4539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275A KR101272618B1 (ko) 2010-05-10 2010-05-10 자동구명부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61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26B1 (ko) * 2014-02-12 2015-12-14 기술융합협동조합 레저보트
KR20200014674A (ko) * 2018-12-17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200014542A (ko) * 2018-08-01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176462B1 (ko) 2020-06-18 2020-11-10 조영래 구명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7860A (zh) * 2019-04-19 2019-06-25 东北林业大学 一种新型海上救生气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554A (ja) * 1992-01-17 1993-08-03 Tasada Kosakusho:Kk 自己位置情報送信浮標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JP2005319858A (ja) * 2004-05-07 2005-11-17 Nippon Tansan Gas Co Ltd 救命浮き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3554A (ja) * 1992-01-17 1993-08-03 Tasada Kosakusho:Kk 自己位置情報送信浮標
KR20050013463A (ko) * 2003-07-28 2005-02-04 송유천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JP2005319858A (ja) * 2004-05-07 2005-11-17 Nippon Tansan Gas Co Ltd 救命浮き輪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426B1 (ko) * 2014-02-12 2015-12-14 기술융합협동조합 레저보트
KR20200014542A (ko) * 2018-08-01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116400B1 (ko) * 2018-08-01 2020-05-28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200014674A (ko) * 2018-12-17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116397B1 (ko) * 2018-12-17 2020-06-05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176462B1 (ko) 2020-06-18 2020-11-10 조영래 구명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837A (ko)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50095B (zh) 一种基于无人机的智能水下救援方法及其系统
CN102971211B (zh) 用于人员落水情况的船上被动式安全系统及设备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CN206476070U (zh) 一种智能水上应急救生装置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EP3590819B1 (en)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KR20170017270A (ko) 해상 구조용 조명 부이
CN108891560A (zh) 一种能水陆两用超远距离快速自动靶向救生装置和使用方法
CN104527948A (zh) 带帐篷的救生橡皮筏
KR20120134508A (ko) 조난 구조 신호 장치
KR20140006165U (ko) 수중 인명구조 장비
KR100655790B1 (ko) 무인 구명정의 구조
KR20160001264U (ko)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CN201154764Y (zh) 子母船
KR0122936Y1 (ko) 선박의 안전사고 예방 및 조난신호용 부구장치
KR101844146B1 (ko) 침몰 선박의 위치 표시 장치
KR20200014542A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160104280A (ko) 선박용 인명 구조 사다리
JP2008201287A (ja) 空中に浮くバルーンと受発信機を備えた位置情報システム
CN112644666A (zh) 船用灯塔形半潜救生舱及设计与制作技术
CN110920841A (zh) 一种新型巡航救助船
CN104574825A (zh) 水域定位报警器
CN110203364A (zh) 海底高压管充气自救系统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