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542A -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542A
KR20200014542A KR1020180089823A KR20180089823A KR20200014542A KR 20200014542 A KR20200014542 A KR 20200014542A KR 1020180089823 A KR1020180089823 A KR 1020180089823A KR 20180089823 A KR20180089823 A KR 20180089823A KR 20200014542 A KR20200014542 A KR 2020001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lifebuoy
distress
transmitter
res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400B1 (ko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102018008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63B272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비치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어 선박의 전복 인근 지점에서 부상(浮上)하며,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조난자들이 기대어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부력을 갖춘 구명부환체,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를 결속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결속을 풀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구명부환체를 자동 분리 유도하는 결속수단, 및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결합 구성되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는 상기 구명부환체를 조류의 영향에도 관계없이 선박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의 특정 거리 반경 내에서 부상(浮上)될 수 있게 상기 구명부환체와 연결된 로프가 감겨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 거리를 제한하게 되는 권취기를 포함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Survival Apparatus for Distress Rescue Ship}
본 발명은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마스트에 비치되어 선박 전복시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될 수 있는 구명부환체 와 함께, 상기 구명부환체에 힌지로 연결되어 바다 수면으로부터 구명부환체의 부상시 항시적으로 하늘을 가리키는 조난발신기의 구비에 따른, 조난자의 조난 위치 파악의 용이함과 조난자의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해양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들은 선박의 전복 사고에 대비하여 조난자를 구출하기 위한 용도의 구명부환체(예컨대, 구명보트, 구명부표 등)를 선박의 마스트에 대부분 비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명부환체들은 선박의 마스트에 단순히 적재된 방식으로 보관되다 보니, 실제 선박의 전복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구명부환체에 의존하는 조난자 대부분은 빠른 조류의 영향으로 전복된 선박의 사고 지점으로부터 멀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조난자의 탐색 및 구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더욱이, 조난자를 찾아 구출하더라도 긴급한 구출을 요하는 골든 타임을 놓쳐 조난자가 익사하여 변사체로 구출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선박에는 어선위치발신장치의 장착이 단계적으로 의무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어선위치발신장치로는 긴급구조신호(SOS)를 발신할 수 있는‘선박패스(Vessel-Pass)’라는 긴급구조신호 용품이 대부분의 선박에 비치되고 있다.
어선위치발신장치는 도 1과 같이 선박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거치대(10)와 상기 거치대(10)에 거치되어 보관되는 발신기(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신기(20)는 발신안테나(21)를 통해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발신기(20)는 상기 거치대(10)에 일측이 연결된 구속띠(11) 및 상기 구속띠(11)의 타측에 힌지된 체결걸이(11a)에 의해 상기 거치대(10)에서 구속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신기(20)는 선박에 고정식으로 결합된 거치대(10)에서 구속띠(11)의 밴딩과 더불어 체결걸이(11a)의 후크 방식 체결에 의해 구속되어 보관되는데, 만일 선박의 항해 도중 급작스러운 전복 발생시, 거치대(10)로부터 발신기(20)의 분리를 위해서는 거치대(10)에 후크 체결된 체결걸이(11a)가 후크 체결 해제되어야 하고, 구속띠(11)의 밴딩이 해제되어야 하는 일련의 해제 동작이 수행될 시간 여유조차 없이, 발신기(20)가 거치대(10)에 구속된 상태로 전복되는 선박과 함께 바닷속으로 수장되고, 이로 인한 발신기(20)의 발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선박 전복 사고시, 발신기(20)의 발신만이라도 제때 작동되었더라면, 조난자들은 무사히 구조될 수 있었지만, 전복되는 선박과 함께 발신기(20)가 바닷속으로 수장되는 까닭에 발신기(20)의 발신이 작동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조난자들이 희생되어야 하는 안타까운 일들이 실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비보는 뉴스 소식을 통해서도 자주 접하고 있는 현실이다.
더군다나, ‘선박패스(Vessel-Pass)’라는 긴급구조신호 용품인 발신기(20)는 선박에 비치되어 있더라도, 그 관리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선박 전복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선 발신 신호의 오작동이나 작동 불량으로 조난자의 구조 환경은 여전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선박패스(Vessel-Pass)’라는 발신기(20)는 선박의 침몰과 함께 수심 2 내지 4m의 바닷속으로 수장되면서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터지면서 수면위로 떠올라 최소 48시간 동안 위성을 통해 조난 신호를 예컨대 해경청 상황실로 발신하는 긴급구조신호 용품이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들은 해양에서의 조난자의 구조를 위한 구명 장치와 관련된 기술임을 참고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1 : 출원번호 제10-2014-0091451호 특허문헌 002 : 출원번호 제10-2014-0130691호 특허문헌 003 : 출원번호 제10-2014-0172758호 특허문헌 004 : 출원번호 제10-2015-0027957호 특허문헌 005 : 출원번호 제10-2016-0096260호 특허문헌 006 : 출원번호 제10-2016-0096746호 특허문헌 007 : 출원번호 제10-2016-0123286호 특허문헌 008 : 출원번호 제10-2016-0129821호 특허문헌 009 : 출원번호 제10-2016-0170672호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양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들이 복원력을 잃고 전복될 경우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구명부환체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구명부환체의 발신 오작동이나 작동 불량을 방지하여 조난자를 골든 타임 내에 신속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한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비치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어 선박의 전복 인근 지점에서 부상(浮上)하며,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조난자들이 기대어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부력을 갖춘 판상형 구명부환체,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를 결속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결속을 풀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구명부환체를 자동 분리 유도하는 결속수단, 및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결합 구성되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는 상기 구명부환체를 조류의 영향에도 관계없이 선박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의 특정 거리 반경 내에서 부상(浮上)될 수 있게 상기 구명부환체와 연결된 로프가 감겨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 거리를 제한하게 되는 권취기를 포함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구명부환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서 상기 구명부환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어느 특정 내주연에 힌지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바다 수면으로부터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시에,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안테나가 항시 하늘을 가리킬 수 있게, 상기 관통공의 내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되며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난발신기를 더 포함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상기 결속수단은 마스트에 설치된 기울기센서를 통해 작동되되, 상기 마스트의 어느 특정 부위들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를 결속하는 다수의 벨트, 상기 마스트의 어느 특정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개별 벨트들의 잠김편들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별 벨트들을 상기 구명부환체에 결속되게 하거나 그 결속을 해제 유도하는 전자석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석잠금부에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개별 벨트들을 잠금하고 있던 상기 전자석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한편, 구명부환체에 힌지 연결된 조난발신기는 발신수단의 부품들로 구성되되, 상기 발신수단의 부품들은, 수지 계열 재질의 외관의 내부 일측 부위로 배치되어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기, 상기 신호발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 일측 부위에서부터 외관 외부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신호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교신하는 발신안테나, 수지 계열 재질의 외관의 내부 타측 부위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발신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인접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 타측 부위에서 상기 외관의 외부 타측 방향으로 노출된 전선잭의 바닷물 접촉에 의한 전기 쇼트(short) 시 자동으로 선이 끊어지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신호발신기의 전기선 회로를 안정적으로 보호 유도하는 퓨즈를 포함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발신수단의 부품들로서 상기 배터리의 무게 비중이 신호발신기, 발신안테나, 퓨즈, 및 전선잭의 총합 무게 비중보다 더 크고, 상기 신호발신기 및 상기 발신안테나는 상기 조난발신기에서 상기 배터리의 배치와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구명부환체의 바다 수면으로부터의 부상(浮上)시, 상기 발신안테나가 항시 하늘을 향해 가리키고 있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한편,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조난자들이 기대어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부력을 갖춘 판상형의 구명부환체, 및 상기 구명부환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힌지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 과정에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자중에 의한 회전 운동을 통해 발신안테나의 항시적 하늘 가리킴을 유도하는 조난발신기를 포함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상기 조난발신기는 신호발신기, 발신안테나, 배터리, 및 퓨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또 다른 일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항해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선박의 선체 기울기를 감지하여 마스트에 비치된 구명부환체 및 조난발신기를 전복되는 선박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전복되는 선박의 선체에서 탈출한 조난자들로 하여금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된 구명부환체를 향한 용이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 탑승한 채로 항해하는 도중에 불현듯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시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는 구명부환체 및 조난발신기의 구비로 구명부환체에 기대어 의존하는 조난자에 대한 위치 탐색의 용이함과 더불어 조난자의 신속한 구조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에서 구명부환체가 바다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구명부환체에 힌지된 조난발신기는 바다 수면으로 잠기지 않고 항시 하늘을 향해 가리키고 있는 관계로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에 장애 발생이 없고, 이로 인해 지속적인 신호를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난발신기의 전기선이 분리되고 두 전선에 대한 기재의 출력이 바닷물과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쇼트에 의해 조난발신기의 내부 회로의 보호 및 배터리 파손을 방지하여 조난발신기의 발신 장애 및 고장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전복 사고 발생시 구명부환체는 조류의 영향과 무관하게 전복 사고 지점의 인근에서만 부상될 수 있는 관계로 구명부환체가 전복된 선박으로부터 조류를 따라 멀리 표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난자는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하여 쉽게 구명부환체를 발견하고 이에 의존하여 구조 요청을 기다릴 수 있어 조난자 심신의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구비되는 긴급구조신호(SOS)를 발신할 수 있는‘선박패스(Vessel-Pass)’라는 어선위치발신장치를 입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조난구출 선박의 항해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해양 조난구출 선박의 마스트에 구명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개념적인 도면,
도 4는 도 2 및 3에 도시된 구명부환체의 제1 실시 외관에 조난발신기의 설치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구명부환체의 제2 실시 외관에 조난발신기의 설치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구명부환체의 제3 실시 외관에 조난발신기의 설치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조난발신기의 내부 구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은 구명부환체가 바다수면에 부상된 상태를 입체적이면서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바다수면에 부상된 구명부환체에서의 관통공 주연의 제1 실시 형태 및 관통공 내에서의 조난발신기의 회전 동작을 통한 하늘을 가리키는 발신안테나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바다수면에 부상된 구명부환체에서의 관통공 주연의 제2 실시 형태 및 관통공 내에서의 조난발신기의 회전 동작을 통한 하늘을 가리키는 발신안테나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바다수면에 부상된 구명부환체에서의 관통공 주연의 제3 실시 형태 및 관통공 내에서의 조난발신기의 회전 동작을 통한 하늘을 가리키는 발신안테나의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조난구출 선박의 전복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수 있되, 도면에 제한되지 않는 기술적 사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개념적으로 도시된 관계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국한되어 해석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뿐더러,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을 통한 기술적 사상에 이르는 권리 범위까지 포함하는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일측, 타측, 상단, 하단 등의 용어 표현 기재는 본 발명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방안으로 표기된 것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혼용될 수 있는 관계로, 이들 용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국한되어도 아니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B)의 마스트(M)에 비치되어 보관되는 구명부환체(100), 상기 마스트(M)의 어느 특정 위치에 마련되어 선박(B)의 전복 진행 시 잠금을 해제하여 구명부환체(100)를 선박(B)으로부터 분리 유도하는 결속수단(200), 상기 마스트(M)의 어느 특정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구명부환체(100)와 로프(L)에 의해 연결된 권취기(3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로프(L)에 의해 상기 권취기(300)와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선박(B)의 항해 과정에서 선박(B)의 전복이 발생 되더라도,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선박(B)의 전복 발생 지점에서부터 로프(L)의 길이만큼만 떨어져 있을 뿐, 조류에 떠밀려 표류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선박(B)의 전복 발생 지점 인근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특히 상기 마스트(M)에 비치될 경우 마스트(M)에 마련된 결속수단(200)을 통하여 선박(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선박(B)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마스트(M)에 마련된 권취기(300)에서 풀리는 로프(L)에 연결되어 선박(B)의 전복 지점을 벗어나지 않되, 전복 지점 인근에서 부상(浮上)된 채로 머무를 수 있는 관계로 조난자의 용이한 위치 파악과 더불어 조난자를 신속하게 구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제1 실시 외관의 경우, 도 4와 같은 판상 형상이면서 바다로부터 부상(浮上) 가능한 재질인 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관 내부의 경우 스티로폼 재질로 채워질 수 있되, 구명부환체(100)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간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야광띠(101,102),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특정 부위에 결합되어 로프(L)와 연결 매듭을 이루게 한 매듭구(104), 및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중앙 부위로 형성된 사각 형상의 관통공(100a) 어느 특정 부위에서 힌지로 연결된 조난발신기(110)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로프(L)는 상기 구명부환체(100) 및 권취기(300)를 연결하는 용도이지만, 선박(B)과 연결된 별도의 로프(L')와도 연결될 수 있는바, 상기 로프(L)가 별도의 상기 로프(L')와 연결됨에 있어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체결구(C)(C')들의 연결을 통하여 상호 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B)이 전복될 경우 상기 체결구(C)(C')들의 신속한 분리에 따라, 상기 구명부환체(100) 및 조난발신기(110)는 결속수단(200)의 작동을 통해 선박(B)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됨과 동시 상기 조난발신기(110)로부터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가 발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구(C)(C')들은 신속한 분리 용도로 적합한 샤클(shackle) 사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샤클(shackle)은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 방향으로 개방된 C 형 타입의 결속부재와 상기 결속부재의 일 방향 개방 부위를 탄성을 통해 개폐하는 축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축핀의 탄성을 위해서 축핀에는 압축코일스프링이 탄설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제2 실시 외관의 경우, 도 5와 같은 판상 형상이면서 바다로부터 부상(浮上) 가능한 재질인 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관 내부의 경우 스티로폼 재질로 채워질 수 있되, 구명부환체(100)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간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야광띠(101,102),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특정 부위에 결합되어 로프(L)와 연결 매듭을 이루게 한 한 쌍의 매듭구(103,104), 및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중앙 부위로 형성된 원형 형상의 관통공(100a) 어느 특정 부위에서 힌지로 연결된 조난발신기(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명부환체(100)는 제3 실시 외관의 경우, 도 6과 같은 판상 형상이면서 바다로부터 부상(浮上) 가능한 재질인 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관 내부의 경우 스티로폼 재질로 채워질 수 있되, 구명부환체(100)의 외관을 감싸는 형태로 상호 간 이격되어 고정된 한 쌍의 야광띠(101,102),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특정 부위에 결합되어 로프(L)와 연결 매듭을 이루게 한 한 쌍의 매듭구(103,104), 및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중앙 부위로 형성된 팔각 형상의 관통공(100a) 어느 특정 부위에서 힌지로 연결된 조난발신기(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관통공(100a)은 그 형태가 다각 형상일 수 있되, 조난발신기(110)의 회전 동작에 방해되지 않으며 조난 신호 발신에 방해되지 않는 형상이라면 무엇이던 가능하다.
한편, 상기 조난발신기(110)도 상기 구명부환체(100)와 유사하게 바다로부터 부상(浮上) 가능한 재질로서 외관의 경우 수지 계열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외관 내부의 경우 스티로폼 재질로 채워질 수 있되, 스티로폼은 외관 내부의 공간에 배치 구성된 발신수단의 부품들로서 도 7과 같이 발신안테나(111), 점멸등(FL), 신호발신기(112), 배터리(113), 퓨즈(114), 전선잭(115,116)이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나머지 공간에 충진되는 관계로 상기 발신수단의 부품들을 고정시키는 역할까지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외관 내부에 배치된 발신안테나(111), 점멸등(FL), 신호발신기(112), 배터리(113), 퓨즈(114), 및 전선잭(115,116)은 도면 7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13)은 전력을 상기 점멸등(FL) 및 상기 신호발신기(112)에 공급하는 용도이며, 상기 퓨즈(114)는 전기적 쇼트 발생시 상기 배터리(113) 및 회로를 보호하는 용도이고, 상기 신호발신기(112)는 신호를 발신안테나(111)로 보내는 용도이며, 상기 발신안테나(111)는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에 보내어 상호간 교신하는 용도이고, 특히 상기 점멸등(FL)은 야간 조난시 조난자나 구조자가 구명부환체(100)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깜빡거리는 방식으로 점멸된다.
물론, 상기 발신안테나(111)는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내부에 배치된 신호발신기(112)와 연결되어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외부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발신기(112)는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중앙 부위에 연결된 힌지축(106)(106')의 가상 중심선(ICL)을 기준으로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내부 일측 부위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113)는 상기 가상 중심선(ICL)을 기준으로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내부 타측 부위에 배치되어 있되 발신수단의 부품들 중 무게 비중이 제일 크며, 상기 퓨즈(114)는 상기 배터리(113)의 인접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선잭(115,116)은 상기 퓨즈(114)에서부터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외부 타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난발신기(110)는 배터리(113)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발신기(112)에서 발신안테나(111)를 통해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과 교신하며 조난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113)의 무게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발신안테나(111)는 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과의 원활한 교신을 위해 항시 하늘을 가리킬 수 있다.
즉, 예컨대, 선박(B)의 전복이 도 12와 같이 발생할 경우, 구명부환체(100)는 도 3에 도시된 결속수단(200)의 잠금 해제로 인하여 전복되는 선박(B)의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로프(L)의 길이에 한정된 채로 선박(B)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 위치에서 부상(浮上)하게 되고,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중앙에서 힌지로 연결된 상기의 조난발신기(110)의 배터리(113) 위치 부위는 상기 배터리(113)의 무게 하중에 따른 자중에 의해 바다 수면 아래로 잠기는 한편, 조난발신기(110)의 신호발신기(112) 위치 부위는 바다 수면 상으로 부상(浮上)되는 관계로, 상기 신호발신기(112)에 연결되어 조난발신기(110)의 외부로 노출된 발신안테나(111)는 항시 하늘을 가리킬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발신안테나(111)의 발신 환경 개선에 의한 구조 요청을 위한 신호를 장애 없이 원활하게 지속적으로 발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난발신기(110)는 상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 중앙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100a)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관통공(100a)의 어느 내주연에 힌지된 힌지축(106)(106')과 연결되어 관통공(100a) 내에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되, 이는 배터리(113)의 무게 비중에 따른 중력이 작용하는 관계로,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배터리(113) 쪽 부위는 바다 수면에 잠기는 수면 아래 방향으로 위치되려 하고,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발신안테나(111) 쪽 부위는 수면 위의 하늘 방향으로 위치되려 하기 때문에, 조난발신기(11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조난발신기(110)는 도 8과 같이 바다수면으로부터 부유되는 구명부환체(100)의 부상시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관통공(100a)의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고, 조난발신기(110)의 회전 완료시 발신안테나(111)는 항시 하늘을 가리킬 수 있음에 따라,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SOS)가 장애 없이 발신되어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과 원활히 교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난발신기(110)는 상기 힌지축(106)(106')을 축으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배터리(113) 쪽 부위는 바다 수면의 아래 방향으로 위치되는 한편, 신호발신기(112) 쪽 부위는 바다 수면의 위 방향으로 위치됨으로써, 상기 신호발신기(112)와 연결된 발신안테나(111)는 항시적으로 하늘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세워져 발신 장애 없이 지속적이면서도 원활한 발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조난발신기(110)의 배터리(113) 쪽 부위가 바다 수면의 아래 방향으로 놓이게 되면, 전선잭(115,116)은 바닷물과 접촉되는 관계로 전기 쇼트(short)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터리(113)의 하부에 위치된 퓨즈(114)가 도 7과 같이 끊어지면서 배터리(113) 및 신호발신기(112)의 전기선 회로가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안테나(111)는 발신 장애 없이 원활하게 발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조난발신기(110)의 하부 위치에 무거운 하중을 갖는 배터리(113) 배치가 이루어져, 선박(B) 전복시에도, 조난발신기(110)의 전선잭(115,116)에 대한 기재의 출력이 바닷물과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전기적 쇼트(short)에 의해 조난발신기(110)의 내부 회로에 대한 부담 및 배터리(113)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쇼트 발생시 퓨즈(114)가 끊어지면서 조난발신기(110)의 내부 회로 및 배터리(113)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퓨즈(114)가 끊어지면 자동으로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가 발신되며, 경우에 따라 태양광전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선박(B)으로부터 구명부환체(100)를 분리 유도하는 결속수단(200)은 도 3과 같이 마스트(M)에 설치된 기울기센서(S)를 통해 작동되는바 구명부환체(100)를 결속하는 벨트(210)와 상기 벨트(210)에 구성된 잠김편(211)들을 잠금 혹은 해제하는 전자석잠금부(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석잠금부(220)는 특히 전기의 통전 시 자성체로 바뀌어 벨트(21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식의 용도로서 잠금본체(221)와 상기 잠금본체(221)에서 출입되는 잠금핀(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핀(222)은 마스트(M)에 고정된 잠금대(R)를 통해 상기 다수의 벨트(210) 끝단에 구성된 상기 잠긴편(211)들을 걸거나 그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선박(B)의 항해 과정에서는 전자석잠금부(220)의 잠금본체(221)로부터 진출된 잠금핀(222)이 구명부환체(100)를 결속한 상태의 다수 벨트(210)에 구성된 잠김편(211)들을 걸고 있는 관계로, 구명부환체(100)는 선박(B)의 선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반면, 선박(B)의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B)의 전복 과정에서는 기울기센서(S)가 선박(B)의 선체 기울기를 감지하여 전자석잠금부(220)에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전자석잠금부(220)의 잠금본체(221)로부터 진출된 잠금핀(222)이 자성체로 바뀌어 다수 벨트(210)의 잠김편(211)들에서 잠금본체(221)로 진입됨으로써, 벨트(2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다수 벨트(210)에 결속되었던 구명부환체(100) 및 상기 구명부환체(100)에 힌지된 조난발신기(110)는 전복되는 선박(B)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됨과 동시 전복 사고 지점의 인근 바다 수면에서 부상(浮上)되며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기울기센서(S)는 선박(B)의 선체 기울기 정도를 감지하는 과정에서 선체의 전복으로 귀결될 것(임계치 초과)이라고 판단할 경우에만 결속수단(200)의 전자석잠금부(220)에 전기를 인가하는 한편, 선체의 전복으로 귀결되지 않을 것(임계치 이내)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결속수단(200)의 전자석잠금부(220)에 전기를 인가하지 않는다.
이때, 구명부환체(100)는 상기 선박(B)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되어도 조류 영향에 의해 전복 사고 지점에서 멀리 표류되지 않고 전복 사고 지점의 인근 바다 수면에서 부상(浮上)될 수 있는데, 이는 구명부환체(100)가 선박(B)의 마스트(M)에 결합 구성된 권취기(300)에 감긴 로프(L)와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로프(L)의 길이 정도로만 떨어진 채로 부상(浮上)되기 때문이다.
조난자들은 전복된 선박(B)에서 탈출하였어도 그 인근에 부상(浮上)된 구명부환체(100)에 의존할 수 있고, 전복 사고 지점 인근에 구명부환체(100)가 부상(浮上)되어 있으며, 구명부환체(100)의 외관에 구성된 야광띠(101,102)의 발광 때문에, 조난자는 조난을 당하여도 구명부환체(100)와 함께 선박(B)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조난자의 탐색이 용이하며, 이로 인한 조난자의 구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권취기(300)에 구성된 거리측정센서(미도시)는 로프(L)의 특정한 풀림 거리값에 반응하여 로프(L)의 풀림 정도를 감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권취기(300)에 전기가 인가되어 로프(L)를 자동으로 감아 구명부환체(100)의 부상(浮上) 지점을 전복 사고 지점으로 더 가깝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구명부환체(100)에 의존하는 조난자의 탐색에 신속함을 제공할 수 있다.
조난발신기(110)는 도면 8과 같이 바다수면으로부터 구명부환체(100)의 부상시 도면 9 내지 11과 같이 구명부환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00a)의 내부에서 자유로운 회전 동작이 가능한바, 이때 조난발신기(110)의 자유로운 회전 동작 및 발신안테나(111)의 발신장애 없는 환경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특히 도면 10 내지 11과 같이 관통공(100a)의 내주연이 구명부환체(100)의 외관을 향해 경사지거나 곡선을 그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스트(M)에는 태양광전지(400)가 도 3과 같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전지(400)는 권취기(300) 및 조난발신기(110)의 전력 공급을 보충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는, 선박의 항해 도중 예기치 못한 선박의 전복 발생시 선복의 전복 여부 판단에 의거 선박 전복으로 귀결될 경우, 선박의 마스트에 비치된 구명부환체 및 조난발신기가 선박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됨과 동시 조난 요청을 위한 조난 신호의 신속한 발신이 이루어지는 점에 그 주된 특징을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에 있어 선박이 전복될 경우, 선박의 선체 기울기를 감지하여 선박의 선체로부터 구명부환체 및 조난발신기가 자동 분리됨과 동시, 전복된 선박의 사고 지점 인근 수면에서 부상(浮上)되며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 발신에 따라, 조난자의 조난 위치가 조기에 신속히 파악 가능하며, 이로 인해 조난자의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기존의 조난발신기처럼, 선박 전복시 물속으로 잠기어 조난 신호를 발신하지 못하는 문제는 없다.
이와 더불어, 전복된 선박의 선체에서 탈출한 조난자들은 선박의 선체에서 분리된 구명부환체 부위를 붙잡은 채 조류에 떠밀리지 않고 조난발신기에 옆에서 조기에 구조될 수 있으며, 선박이 전복되면 구명부환체 부위가 결속수단의 잠금 해제로 인하여 전복되는 선박의 선체로부터 자동 분리될 수 있고 야광띠의 발현으로 구명부환체의 신속한 위치 파악도 가능하며, 전복 사고 지점 인근에 구명부환체 및 조난발신기 및 조난자가 함께 위치하고 있어 조난자의 구조가 현저히 수월해질 수 있다.
구명부환체(100) 조난발신기(110)
결속수단(200) 벨트(210)
전자석잠금부(220) 권취기(300)

Claims (7)

  1.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비치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어 선박의 전복 인근 지점에서 부상(浮上)하며,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조난자들이 기대어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부력을 갖춘 판상형 구명부환체;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를 결속한 상태에서 항해 도중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과정에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결속을 풀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상기 구명부환체를 자동 분리 유도하는 결속수단; 및
    선박의 마스트 어느 특정 위치에 결합 구성되어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자동 분리되는 상기 구명부환체를 조류의 영향에도 관계없이 선박의 전복 사고 지점 인근의 특정 거리 반경 내에서 부상(浮上)될 수 있게 상기 구명부환체와 연결된 로프가 감겨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 거리를 제한하게 되는 권취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서 상기 구명부환체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어느 특정 내주연에 힌지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바다 수면으로부터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시에,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안테나가 항시 하늘을 가리킬 수 있게, 상기 관통공의 내에서 자중에 의해 회전되며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난발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마스트에 설치된 기울기센서를 통해 작동되되, 상기 마스트의 어느 특정 부위들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를 결속하는 다수의 벨트;
    상기 마스트의 어느 특정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개별 벨트들의 잠김편들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별 벨트들을 상기 구명부환체에 결속되게 하거나 그 결속을 해제 유도하는 전자석잠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선박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석잠금부에 전기를 인가함에 따라, 상기 개별 벨트들을 잠금하고 있던 상기 전자석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4. 구명부환체에 힌지 연결된 조난발신기는 발신수단의 부품들로 구성되되, 상기 발신수단의 부품들은,
    수지 계열 재질의 외관의 내부 일측 부위로 배치되어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발신하는 신호발신기;
    상기 신호발신기에 연결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 일측 부위에서부터 외관 외부 일측 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신호발신기로부터 발신된 조난 요청을 위한 신호를 외부구조기관의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며 교신하는 발신안테나;
    수지 계열 재질의 외관의 내부 타측 부위로 배치되어 상기 신호발신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인접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외관의 내부 타측 부위에서 상기 외관의 외부 타측 방향으로 노출된 전선잭의 바닷물 접촉에 의한 전기 쇼트(short) 시 자동으로 선이 끊어지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신호발신기의 전기선 회로를 안정적으로 보호 유도하는 퓨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수단의 부품들로서 상기 배터리의 무게 비중이 신호발신기, 발신안테나, 퓨즈, 및 전선잭의 총합 무게 비중보다 더 크고, 상기 신호발신기 및 상기 발신안테나는 상기 조난발신기에서 상기 배터리의 배치와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구명부환체의 바다 수면으로부터의 부상(浮上)시, 상기 발신안테나가 항시 하늘을 향해 가리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6. 전복되는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조난자들이 기대어 구조를 기다릴 수 있도록 부력을 갖춘 판상형의 구명부환체; 및
    상기 구명부환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힌지된 힌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명부환체의 부상(浮上) 과정에서 상기 구명부환체의 상기 관통공 내에서 자중에 의한 회전 운동을 통해 발신안테나의 항시적 하늘 가리킴을 유도하는 조난발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난발신기는 신호발신기, 발신안테나, 배터리, 및 퓨즈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0180089823A 2018-08-01 2018-08-01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2116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823A KR102116400B1 (ko) 2018-08-01 2018-08-01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823A KR102116400B1 (ko) 2018-08-01 2018-08-01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447A Division KR102116397B1 (ko) 2018-12-17 2018-12-17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42A true KR20200014542A (ko) 2020-02-11
KR102116400B1 KR102116400B1 (ko) 2020-05-28

Family

ID=6956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823A KR102116400B1 (ko) 2018-08-01 2018-08-01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6465B (zh) * 2021-01-20 2022-06-28 浙江克莱斯工贸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救生浮板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937A (ko) * 2007-03-28 2008-10-02 (주) 만포수중시스템 수중 다방향 카메라 시스템
KR20120134508A (ko) * 2011-06-02 2012-12-12 공연록 조난 구조 신호 장치
KR101272618B1 (ko) * 2010-05-10 2013-06-11 조광현 자동구명부표장치
KR20140091451A (ko) 2013-01-11 2014-07-21 듀라플렉스 홍콩 리미티드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JP2014172758A (ja) 2013-03-12 2014-09-22 Xerox Corp 空気力を利用したシート見当合わせと誘導された空気流による固定
KR20140130691A (ko) 2012-02-08 2014-11-11 애플 인크. 오버스캔 지원
KR20150027957A (ko)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토페스 위치 기반 멀티 채널 디엠비 교통/재난 정보 수신 장치
KR101623484B1 (ko) * 2015-02-02 2016-05-24 대한민국 기울기 센서에 의한 분리형 슬라이드 튜브의 rfid발생 구난 장치
KR20160096260A (ko) 2015-02-04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량 콩 선별 장치
KR20160096746A (ko) 2015-02-05 2016-08-17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구조체가 삽입된 발광다이오드 소자
JP2016170672A (ja)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KR20160123286A (ko) 2013-11-18 2016-10-25 오토모티브 라이팅 레어 램프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차량용 광 가이드를 구비한 조명 및/또는 신호 시스템
KR20160129821A (ko) 2016-10-31 2016-11-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패턴 이미지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7937A (ko) * 2007-03-28 2008-10-02 (주) 만포수중시스템 수중 다방향 카메라 시스템
KR101272618B1 (ko) * 2010-05-10 2013-06-11 조광현 자동구명부표장치
KR20120134508A (ko) * 2011-06-02 2012-12-12 공연록 조난 구조 신호 장치
KR20140130691A (ko) 2012-02-08 2014-11-11 애플 인크. 오버스캔 지원
KR20140091451A (ko) 2013-01-11 2014-07-21 듀라플렉스 홍콩 리미티드 이중 잠금 버클 조립체
JP2014172758A (ja) 2013-03-12 2014-09-22 Xerox Corp 空気力を利用したシート見当合わせと誘導された空気流による固定
KR20150027957A (ko) 2013-09-05 2015-03-13 주식회사 토페스 위치 기반 멀티 채널 디엠비 교통/재난 정보 수신 장치
KR20160123286A (ko) 2013-11-18 2016-10-25 오토모티브 라이팅 레어 램프스 프랑스 에스.에이.에스. 차량용 광 가이드를 구비한 조명 및/또는 신호 시스템
KR101623484B1 (ko) * 2015-02-02 2016-05-24 대한민국 기울기 센서에 의한 분리형 슬라이드 튜브의 rfid발생 구난 장치
KR20160096260A (ko) 2015-02-04 2016-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량 콩 선별 장치
KR20160096746A (ko) 2015-02-05 2016-08-17 울산과학기술원 나노 구조체가 삽입된 발광다이오드 소자
JP2016170672A (ja) 2015-03-13 2016-09-23 株式会社東芝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KR20160129821A (ko) 2016-10-31 2016-11-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패턴 이미지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96465B (zh) * 2021-01-20 2022-06-28 浙江克莱斯工贸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救生浮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400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256A (en) Buoy and releasing system for ships in distress
EP0648176B1 (en) Improvement of life rafts on ships
US6533626B2 (en) On-board device for rescuing a person from the sea enabling a conscious person to rescue himself
US11097811B2 (en) System for securing a submerged buoy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US8951081B2 (en) Life ring buoy and flotation cushion
US6935911B1 (en) Aquatic alarm, security and rescue station
EP3590819B1 (en) Automatically detaching danger marking buoy
GB2039120A (en) A position indicating marker device
US4195380A (en) Life saving apparatus for vessels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KR20110074803A (ko) 선박의 구명부이 장치
US10259546B2 (en) Recovery system
KR20200014542A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120134508A (ko) 조난 구조 신호 장치
US4033002A (en) Life saving equipment for vessels
US20170043850A1 (en) Life Jacket Attachment
US3981036A (en) Life saving buoy for small vessels
US4000533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KR102116397B1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NO139552B (no) Livredningsapparat.
US3905060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US3703736A (en) Anchoring device for buoyant life saving equipment
US4017924A (en) Life saving equipment for vessels
US3893202A (en) Life saving arrangement for a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