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691A - 오버스캔 지원 - Google Patents

오버스캔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691A
KR20140130691A KR1020147024267A KR20147024267A KR20140130691A KR 20140130691 A KR20140130691 A KR 20140130691A KR 1020147024267 A KR1020147024267 A KR 1020147024267A KR 20147024267 A KR20147024267 A KR 20147024267A KR 20140130691 A KR20140130691 A KR 2014013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mputer code
buffer
mo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187B1 (ko
Inventor
제레미 샌드멜
조슈아 에이치. 샤퍼
토비 씨. 패터슨
패트릭 코프만
제프리 스탈
존 에스. 하퍼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3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1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06T3/4076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using the original low-resolution images to iteratively correct the high-resolution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09G2340/0485Centering horizontally or vert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2Multi-standard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미디어가 기술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오버스캔 동작들을 개선하기 위해,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의 크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범위 및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게다가,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의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프레임 버퍼로 이동됨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일 모드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는 프레임 버퍼 내로 위치되기 전에 스케일링될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프레임 버퍼 내로 위치됨에 따라 흑색 경계가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는 추가 프로세싱 없이 프레임 버퍼 내로 복사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스캔 지원{OVERSCAN SUPPOR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이 자신이 디스플레이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의 유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기 텔레비전들은 비디오 이미지가 텔레비전의 음극선관(CRT) 내에서 프레이밍되는(framed) 방법에 있어서 매우 가변적이었다. 이 때문에, 제품들은 3개의 영역들을 한정하였다: (1) 모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상에서 가시적인 것으로 가정되고, 이와 같이 텍스트가 단절되지 않는 것이 확실하였던 영역인 타이틀 안정(title safe) 영역; (2) "완벽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가시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인 동작 안전(action safe) 영역; 및 (3) 전체 이미지 영역인 오버스캔(overscan). 따라서, 용어 "오버스캔"은 시청자에 의해 신뢰 가능하게 보여지지 않을 수 있는 비디오 이미지의 4개의 에지들 주변의 영역을 지칭한다.
초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이 제조 문제들을 보상하기 위해 오버스캔을 수행하였지만, 액정 디스플레이(LCD)들과 같은 현대의 픽셀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이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많은 것들이 이를 행한다. 이러한 것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자신들이 실행되고 있는 시스템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캐닝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는 사실은 차선의 디스플레이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한다고 애플리케이션이 가정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제 범위(extent)보다 더 작은 크기로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스케일링(scaling)함으로써 이를 사전 보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흑색 경계를 갖고서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가 오버스캔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불필요한 흑색 경계를 갖는 출력을 생성한다. 다른 한편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한다고 애플리케이션이 가정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범위에 일치하는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하지 않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그의 전체 범위를 사용할 것이다. 그러나, 이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의 일부가 클리핑될(clipped) 것이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의 출력 유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구역을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범위 및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들을 제공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특성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범위, 및 디바이스가 그의 입력을 오버스캔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실행 애플리케이션은 이어서 애플리케이션의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오버스캐닝을 보상하지 않고, 지원 환경이 이들 할 일을 처리할 것으로 예상한다. 제2 예시적인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예상된 오버스캐닝을 사전 보상한다. 제3 예시적인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및 잘라내지 않아야 하는 콘텐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오버스캐닝에 의해 잘라낼 수 있는 콘텐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의 "디스플레이 안전" 구역에서 제2 유형의 콘텐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일단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의 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규정하였다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 특성들은 디스플레이 모드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의 크기를 한정하기 위해 이들 특성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 프레임 버퍼보다 더 적은(즉, 더 작은) 크기로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설정하라고 지시될 수 있다. 이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버퍼에만 기록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출력을 사전 보상할 수 있다. 다른 모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2개의 크기 값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 제1 크기 값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범위를 나타내고, 작은 값은 "디스플레이 안전"인 디스플레이 버퍼 내의 구역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램 코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비일시적 저장소에 위치되거나, 프로그램 제어 디바이스(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기술된 방법들을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예컨대,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이동 디바이스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1>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셋(inset) 구역 및 오버스캔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 구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동작 타임라인(timeline)을 도시하는 도면.
<도 3>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지정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 상에서 수행된 동작들을 블록도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4>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5>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결정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6>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환경을 블록도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도 7>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블록도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미디어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3개의 방식들 중 하나로 오버스캔 디스플레이 문제를 다룰 수 있다: (1) 오버스캔을 무시함; (2)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될 것을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버퍼 내의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사전 보상함; 및 (3) 애플리케이션이 "클리핑될 것"을 원치 않는 정보의 위치를 신뢰 가능하게 보여질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내의 구역으로 제한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범위를 사용함. 디스플레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의 크기, 및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의 콘텐츠를 프레임 버퍼에 이동시킬 때 수행되는 태스크들은 목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범위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이 어떻게 오버스캔 문제를 다루고자 하는지(즉, 디스플레이될 정보의 유형)에 또한 기초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단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특성들(예컨대, 그 범위)이 결정되면, 실행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이 오버스캔 문제를 다루기를 원한다고 표시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상이한 값들로 설정하라고 지시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다수의 특정 상세 사항들이 본 발명의 개념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기재된다. 이러한 설명의 일부로서, 본 개시 내용의 도면들의 일부는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을 블록도 형태로 나타낸다. 게다가, 본 개시 내용에 사용된 표현은 원칙적으로 가독성 및 교육 목적들을 위해 선택되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기술하거나 제한하도록 선택되지는 않아서, 그러한 본 발명의 요지를 결정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에 대한 의존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대한 또는 "실시예"에 대한 본 개시 내용에서의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된 특정한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언급들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임의의 개발 프로젝트에서처럼) 임의의 실제 구현예의 개발에서, 개발자의 특정 목표들(예컨대, 시스템 관련 및 사업 관련 제약들의 준수)을 달성하기 위해 많은 결정들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들 목적들이 구현예별로 달라질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한 개발 노력들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이득을 갖는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들의 설계에서 당업자를 위해 착수하는 루틴일 것임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하기에서, 실행 애플리케이션들이 위에서 확인된 3개의 방식들 중 하나로 오버스캔 문제에 접근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1) 오버스캔을 무시함; (2) 사전 보상함; 또는 (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범위를 사용함. 편리함을 위해, 이들 접근법들에 모드들이 할당될 것이다: 접근법 1을 위한 모드 1; 접근법 2를 위한 모드 2; 및 접근법 3을 위한 모드 3. 게다가, 720p 표준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범위는 본 개시 내용 전반에 걸쳐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720p 표준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역(100)은 범위가 1,280 픽셀 x 720 픽셀이며; 인셋 구역(105)은 수평 방향으로 'X' 픽셀들 및 수직 방향으로 'Y'픽셀들을 가질 수 있고, 그러한 구역은 오버스캔 영역(110)을 한정한다. 'X' 및 'Y'에 할당되는 특정 값들이 특정 유형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즉, 디스플레이의 오버스캔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개수들의 모드들 및/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범위들이 쉽게 수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을 위한 동작 타임라인(200)이 실행 애플리케이션(205),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 사이에서의 통신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절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205)이 실행되는 동작 환경의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 및/또는 선택 하드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처음에,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에 질의하여(2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특성들을 얻는다(225).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특성들을 디스플레이 제어부(210)에 확정적으로 "푸시(push)"할 수 있다. 얼마 후에, 애플리케이션(205)은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디스플레이 제어부(210)에 통지한다(230). 이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205)이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만들어야 하는 크기를 애플리케이션에 알릴 수 있다(235).
표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205)이 디스플레이 모드 1에서 동작한다고 나타낼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1280 × 720으로 만들도록 애플리케이션(205)에 알릴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5)이 디스플레이 모드 2에서 동작한다고 나타낼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1216 × 684로 만들도록 애플리케이션(205)에 알릴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205)이 디스플레이 모드 3에서 동작한다고 나타낼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1280 × 720로 만들도록 애플리케이션(205)에 알릴 수 있다. 표 1에서 확인되는 감소된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1216 × 684) - 인셋 구역(105)에 대응함 - 는 단지 예시적이며, 정확한 치수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 및/또는 설계자가 오버스캔 보상을 위해 구현하고 싶어하는 임의의 규칙(예컨대, 수평 및 수직 방향들 둘 모두를 따른 플랫(flat) 5%)에 의존한다.
Figure pct00001
애플리케이션(205)이 디바이스(215)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버퍼들을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로 전송하기 시작하고(24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가 오버스캔한다고 결정된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 버퍼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에 전달함에 따라(250) 표 1에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45).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모드들 각각에 대해 표 1에 나타낸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모드 1(도 3a)에서, 애플리케이션(20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에 의해 오버스캔 동작들을 다루기 위해 어떤 것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를 취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를 인셋 구역(105)에 대응하도록 스케일링한다. 스케일링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가 흑색 경계를 갖고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프레임 버퍼 내로 위치되어 중심에 두어진다. (프레임 버퍼 내로 콘텐트를 두는 것은 그 콘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상당한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 버퍼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의 데이터의 전달은 하드웨어에 의해 취급된다). 모드 2(도 3b)에서, 애플리케이션(20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의 오버스캔 동작을 사전 보상하였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를 프레임 버퍼의 중심 내로 간단히 복사하며 다시 흑색 경계를 제공할 수 있다. 모드 3(도 3c)에서, 애플리케이션(205)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체 범위를 사용하며, 오직 이때에만, 클리핑되지 않아야 하는 콘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5)의 오버스캔 동작들 동안에 클리핑되지 않을 버퍼 구역에 있다는 것을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보장하였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다시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를 프레임 버퍼 내로 간단히 복사한다 - 이때, 어떠한 흑색 경계도 제공될 필요가 없다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동작(4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특성들을 획득함으로써 시작한다(블록 405). 그러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자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 제어부(210)에 대해 로컬이거나 멀리 떨어진(예컨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되는) 데이터 저장소(예컨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바람직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통지받을 때(블록 410),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를 얼마나 크게 만들지가 애플리케이션에게 알려진다(블록 415).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바람직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디폴트 모드(예컨대, 모드 1)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를 전송하기 시작함에 따라(블록 420), 그 콘텐트는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기초하여 조작되어 프레임 버퍼로 전송된다(블록 425).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드들 및 동작 특성들이 표 1에 보여진 바와 같은 블록(425)에 따른 동작들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 1이 선택되었다면(블록 500의 "예" 갈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인셋 구역(105)(도 1 참조) 내에 맞춤되도록 스케일링될 수 있으며 흑색 경계를 갖고서 프레임 버퍼 내의 중심에 두어질 수 있다(블록 505). 디스플레이 모드가 모드 1이 아니면(블록 500의 "아니오" 갈래), 디스플레이 모드 2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되었다면(블록 510의 "예" 갈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는 프레임 버퍼의 중심으로 직접 복사될 수 있으며 흑색 경계가 제공될 수 있다(블록 515). 모드 1도 모드 2도 선택되지 않았다면(블록 510의 "아니오" 갈래),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는 프레임 버퍼로 직접 복사될 수 있다(블록 520). 도 2는 표 1 및 도 3에 대하여 위에서 논의되었던 것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하지만, 모드들 및 특정 동작들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설계자에 달려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동작 환경(600)은 사용자 공간(605), 프레임워크 공간(610), 그래픽스 공간(615), 커널 공간(620), 및 하드웨어 공간(625)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공간(605)에서의 애플리케이션(63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와 통신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는 API를 통해 그래픽스 공간(615)에서의 구성요소들과 통신한다. 그래픽스 공간(615), 커널 공간(620), 및 하드웨어 공간(625) 사이에서의 표준 상호작용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는 프레임 버퍼(64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45)와 효과적으로/기능적으로 통신한다. 데이터 저장소(650) 및 컴퓨터 네트워크(655) 및 원위 데이터 저장소(660)와의 통신이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 도 3, 및 도 4에 따른 동작들이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는 예를 들어 프레임워크 공간 레벨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픽스 공간(615)으로의 API를 통한 호출들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는 애플리케이션(630)으로부터 프레임 버퍼(640)로 (그리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25)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의 전달을 중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은 상이한 레벨들 전체를 통해 또는 그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 공간(610), 그래픽스 공간(615), 및 커널 공간(620).
사용자 공간(605), 프레임워크 공간(610), 그래픽스 공간(615) 및 커널 공간(620)이 전형적으로 메모리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 실시되며, 여기서 상이한 공간들이 상이한 추상적 동작 레벨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애플리케이션(630)은 디스플레이 버퍼로서 지정된 (사용자 공간(605) 내의) 메모리를 포함한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45)가 표준 컴퓨터 디스플레이 유닛(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45)는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뿐만 아니라 이동 전화기 또는 개인용 음악/비디오 플레이어와 같은 핸드헬드 유닛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700)의 간소화된 기능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 알아본 바와 같이, 디바이스(700)는 데스크탑, 노트북 또는 태블릿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낼 수 있다. 디바이스(700)는 또한 이동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개인용 음악/비디오 유닛들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700)는 프로세서(705), 디스플레이(710), 사용자 인터페이스(715), 그래픽스 하드웨어(720), 디바이스 센서(725)(예컨대, 근접 센서/주변 광 센서, 가속도계 및/또는 자이로스코프)들, 마이크로폰(730), 하나 이상의 오디오 코덱(735)들, 하나 이상의 스피커(740)들, 통신 회로(745), 디지털 이미지 캡처 유닛(750), 하나 이상의 비디오 코덱(755)들, 메모리(760), 하나 이상의 저장 디바이스(765)들, 및 통신 버스(7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5)는 디바이스(700)에 의해 수행된 (예컨대, 도 4에 따른 동작들과 같은) 많은 기능들의 동작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70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710)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71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바이스(700)와 상호작용하게 할 수 있으며, 버튼, 키패드, 다이얼, 클릭 휠,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5)는 또한, 예를 들어 이동 디바이스들에서 발견된 것들과 같은 시스템-온-칩(system-on-chip)일 수 있으며, 전용 그래픽스 프로세싱 유닛(GPU)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5)는 감소된 명령어-세트 컴퓨터(reduced instruction-set computer, RISC) 또는 복합 명령어-세트-컴퓨터(complex instruction-set computer, CISC) 아키텍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아키텍처에 기초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스 하드웨어(720)는 그래픽스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특수 목적의 연산 하드웨어일 수 있고/있거나 보조 프로세서(705)는 그래픽스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스 하드웨어(72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그래픽스 프로세싱 유닛(GPU)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및 카메라 회로(7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디오 코덱(755)들 및/또는 프로세서(705) 및/또는 그래픽스 하드웨어(720), 및/또는 회로(750) 내에 통합된 전용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는 정지 및 비디오 이미지들을 캡처할 수 있다. 그렇게 캡처된 이미지들은 메모리(760) 및/또는 저장 장치(765)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760)는 디바이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705) 및 그래픽스 하드웨어(720)에 의해 사용된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유형들의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60)는 메모리 캐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765)는 미디어(예컨대, 오디오, 이미지 및 비디오 파일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소프트웨어, 선호도 정보, 디바이스 프로파일 정보,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765)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고정형, 플로피, 및 이동형) 및 테이프, CD-ROM 및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학 미디어, 및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60) 및 저장 장치(765)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 조직화되고 임의의 원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코드를 유형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05)에 의해 실행될 때,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05)가 통신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을 수행하였다고 가정하였다. 그렇지 않다면,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는 간단히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프레임 버퍼(640)에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사실상, 이는 모드 3(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가 프레임 버퍼에 직접 복사됨)에 따라 동작들을 구현한다.
상기 설명은 실행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트가,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드 제어부(635)에 의해 프로세싱됨에 따라 이동(예컨대, 전송 및 수신)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제로, 많은 컴퓨터 시스템들은 물리적으로 조작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포인터들을 간단히 조작할 수 있다. 그러한 동작들은 본 개시 내용의 맥락 내에서 이동, 전송 등의 동작들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술된 실시예들이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많은 다른 실시예들이 상기 설명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는 따라서 그러한 특허청구범위가 자격을 갖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주와 함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들을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및 "여기서(in which)"는 각자의 용어들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어 등가물들로서 사용된다.

Claims (18)

  1.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 특성들을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범위(extent)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식별자 값들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외의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자 값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를 검색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 특성들을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를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 특성들을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값을 가질 때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들을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으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와 동일한,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조작(operate on)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프레임 버퍼에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프레임 버퍼에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스케일링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상기 프레임 버퍼에서 중심에 있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규정된 색상(specified color)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스케일링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상기 프레임 버퍼에서 중심에 있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규정된 색상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overscan)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2.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한다고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 값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 값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3 모드일 때 제1 및 제2 값들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와 동일하며, 상기 제2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스케일링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스케일링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프레임 버퍼에서 중심에 있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규정된 색상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스케일링된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프레임 버퍼에서 중심에 있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규정된 색상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에 의해 점유되지 않은 위치들에서 상기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5. 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상기 제3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버퍼 콘텐츠가 프레임 버퍼에 기록되게 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일시적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16.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버퍼 특성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7.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오버스캔한다고 결정하는 단계;
    실행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는 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 값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모드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버퍼 크기 값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3 모드일 때 제1 및 제2 값들을 상기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와 동일하며, 상기 제2 값은 상기 디스플레이 범위보다 작은, 콘텐트 디스플레이 방법.
  18.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버퍼 메모리;
    상기 프레임 버퍼 메모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항의 컴퓨터 코드가 내부에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레임 버퍼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147024267A 2012-02-08 2013-01-31 오버스캔 지원 KR101636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68,464 2012-02-08
US13/368,464 US9013512B2 (en) 2012-02-08 2012-02-08 Overscan support
PCT/US2013/023993 WO2013119446A1 (en) 2012-02-08 2013-01-31 Overscan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691A true KR20140130691A (ko) 2014-11-11
KR101636187B1 KR101636187B1 (ko) 2016-07-04

Family

ID=4768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267A KR101636187B1 (ko) 2012-02-08 2013-01-31 오버스캔 지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13512B2 (ko)
EP (1) EP2798453B1 (ko)
JP (1) JP5898787B2 (ko)
KR (1) KR101636187B1 (ko)
CN (1) CN104272245B (ko)
AU (1) AU2013217637B2 (ko)
WO (1) WO20131194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42A (ko) 2018-08-01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200014674A (ko) 2018-12-17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19406A4 (en) * 2012-02-24 2015-11-04 Hitachi Maxell CONTENT DISPLAY DEVICE
CN106941618B (zh) * 2017-03-17 2020-10-20 微鲸科技有限公司 过扫描自适应显示方法及装置
CN107704221A (zh) * 2017-08-24 2018-02-16 上海与德科技有限公司 屏幕的圆角显示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0178111B (zh) * 2017-11-13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
JP7267429B2 (ja) * 2019-08-01 2023-05-0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4272B2 (ja) * 2019-08-01 2023-05-30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6727A1 (en) * 2006-06-21 2007-12-27 Masanobu Kumakaw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10234910A1 (en) * 2008-12-26 2011-09-29 Fujitsu Limited Resolution changing device, resolution changing method, and resolution chang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4901B (en) * 1997-03-31 2000-06-21 Compaq Computer Corp Device with converged functionality
CN1431577A (zh) * 2002-01-11 2003-07-23 互慧科技股份有限公司 可选择开关机画面的手持式电子装置及其实现方法
JP4153462B2 (ja) * 2004-05-31 2008-09-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示方式切替装置、表示方式切替方法、表示方式切替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771111B2 (ja) * 2004-10-04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96727A1 (en) * 2006-06-21 2007-12-27 Masanobu Kumakaw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110234910A1 (en) * 2008-12-26 2011-09-29 Fujitsu Limited Resolution changing device, resolution changing method, and resolution changing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542A (ko) 2018-08-01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200014674A (ko) 2018-12-17 2020-02-11 이경현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8453A1 (en) 2014-11-05
EP2798453B1 (en) 2019-10-02
KR101636187B1 (ko) 2016-07-04
AU2013217637B2 (en) 2016-01-14
WO2013119446A1 (en) 2013-08-15
JP5898787B2 (ja) 2016-04-06
CN104272245B (zh) 2017-02-08
US9013512B2 (en) 2015-04-21
JP2015515658A (ja) 2015-05-28
US20130201197A1 (en) 2013-08-08
CN104272245A (zh) 2015-01-07
AU2013217637A1 (en)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187B1 (ko) 오버스캔 지원
KR101930565B1 (ko) 몰입형 환경의 맞춤화 기법
US941232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s
JP4605675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52377B1 (ko) 디스플레이 표면을 복수의 가상의 디스플레이 영역들로 분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I546775B (zh) 圖像處理的方法及裝置
US10417018B2 (en) Navigation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US20210349591A1 (en) Object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1432711A (zh) 用于选择性显示部分显示屏的用户界面系统和方法
US20080062202A1 (en) Magnifying visual information using a center-based loupe
KR20160141807A (ko) 적응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관리자
KR101914478B1 (ko) 이미지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미지 제공 방법
US20120147036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120304103A1 (en) Display of Immersive and Desktop Shells
WO2022194003A1 (zh) 截屏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US20230118820A1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1309429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40089812A1 (en) System, terminal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525905B2 (en)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 to portable touch screen
CN105094614A (zh) 图像显示方法及装置
Maeda et al. Some consideration on user adaptive interface for universal multimedia access
CN115525186A (zh) 一种文件夹的控制方法、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US20180268525A1 (en) Image resolution modification
CN110618771B (zh) 内容显示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202200217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