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64U -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64U
KR20160001264U KR2020140007313U KR20140007313U KR20160001264U KR 20160001264 U KR20160001264 U KR 20160001264U KR 2020140007313 U KR2020140007313 U KR 2020140007313U KR 20140007313 U KR20140007313 U KR 20140007313U KR 20160001264 U KR20160001264 U KR 201600012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ship
sinking
wat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길환
김정민
이정형
김진욱
이아람
류신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264U/ko
Publication of KR20160001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8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 B63B22/12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having means to release or urge to the surface a buoy on submergence thereof, e.g. to mark location of a sunken object the surfacing of the buoy being assisted by a gas released or generated on submergence of the buo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이 침몰했을 때 수압을 감지하고 압축가스를 공급하여 부이를 팽창시키고, 팽창된 부이를 자동으로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여 부이에 연결된 연결선을 통해 침몰된 선박의 침몰깊이와 침몰자세를 잠수부나 ROV와 같은 무인잠수정을 수중에 직접 투입하지 않고도 선박의 침몰위치와 침몰자세 및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부이가 물에 잠기면 상기 부이를 수면으로 사출하는 사출장치와, 부이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연결선과, 사출장치, 부이, 연결선이 저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표시장치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표시장치 각각은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Ship sinking position and attitude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선박이 침몰했을 때 수압을 감지하여 부이를 자동으로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고, 부이에 연결된 연결선을 통해 침몰선박의 깊이와 자세를 물 속에 직접 들어가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 침몰되는 순간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침몰선박의 위치를 관계기관에서 인지할 수 있으나, 선박이 침몰되면 해류에 떠밀려 위치이동이 발생되므로 실제 수색작업이 이루어질 때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어 인지된 침몰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반경의 범위를 수색한 다음 침몰선박이 없을 경우 수색과 인양작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또한 수색작업에서 침몰선박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하여도 수심의 정도에 따라 수압 때문에 잠수부와 잠수정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침몰선박의 인양을 포기하게 된다.
침몰선박은 장시간 방치되는 상태에서 기름 등과 같은 선체 내 잔존 유해물질이 유출되어 2차 해양 오염사고를 발생시키는 한편 대형선박의 항로에 인접하여 침몰된 경우 암초로 작용하여 또 다른 해양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침몰선박의 위치를 확인하는 장치의 대표적인 기술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9797호(2002. 12. 18)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의 경우, 선박이 해저로 침몰하였을 때 갑판 상의 케이싱 안에 보관되어 있으며 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고압 가스통의 가스가 자동으로 분출되고 고압 가스통과 고정되어 있는 밀봉해제장치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풍선이 부풀면서 해수면 위로 부상하도록 한 것이나, 이 경우 침몰된 선박에서 부상된 풍선을 육안으로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조난에 따른 구조활동이 늦어질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풍선이 터지거나 파도에 휩쓸려 고압 가스통과 풍선의 연결부위가 빠지게 되면 침몰선박의 위치확인과 인양작업을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2412호(2001. 7. 31) GPS를 이용한 선박 비상송신용 부구 장치는 선박 침몰 시 부구에 장착된 오프 상태의 단자 접점 스위치를 부력으로 자동 온 시켜 GPS 송신기 및 CPU를 작동하게 함으로써 작동된 GPS 송신기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송신기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중앙 관제 센터에서 선박의 침몰에 따른 좌초 지점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 것으로서, 침몰선박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침몰선박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잠수부와 잠수정을 동원하여 침몰선박에 인양을 위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수심이 깊거나 해양 사정이 좋지 않을 경우 침몰선박의 인양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9182호(발명의 명칭: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공고일자: 2005년 8월 22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 침몰 시에 수압을 감지하여 하우징 내 구비되는 부이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고,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된 부이가 자동으로 수면 위로 부유하면 선박의 침몰위치와 깊이, 침몰자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는 부이가 물에 잠기면 상기 부이를 수면으로 사출하는 사출장치와, 부이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연결선과, 사출장치, 부이, 연결선이 저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표시장치는 선박의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에 적어도 복수 개 설치된다.
이때, 사출장치는 선박 침몰 시에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와, 압력감지부재가 감지한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부이에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가스 공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압축가스 공급부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부이와 연결되고, 연결관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밸브는 부이가 물에 잠기면 압력감지부재가 수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연결선은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이는 설치된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여 침몰된 선박의 자세를 알 수 있도록 색깔이나 기호 또는 번호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는 선박 침몰 시에 압력감지부재가 수압을 감지하면 하우징 내 구비된 부이에 압축가스를 공급하여 부이가 팽창하면 자동으로 하우징 밖으로 사출되어 수면 위로 부유하게 되므로, 잠수부나 ROV(Remotely operated vehicle)와 같은 무인잠수정을 직접 수중에 투입하지 않고도 선박의 침몰위치와 깊이, 침몰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이가 하우징 밖으로 사출되어 수면 위로 부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선박에 구비된 표시장치에서 사출된 부이가 수면 위로 부유하여 선박의 침몰깊이와 침몰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가 설치된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상기 표시장치(10)는 선박의 선수부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선박의 선수부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되는 표시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따른 표시장치(10)는 부이(30)가 물에 잠기면 상기 부이(30)를 수면으로 사출하는 사출장치(50)와, 상기 부이(30)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연결선(70)과, 상기 사출장치(50), 부이(30), 연결선(70)이 저장되는 하우징(90)을 포함한다.
이때, 사출장치(50)는 선박의 침몰 시에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50a)와, 상기 압력감지부재(50a)가 수압을 감지하면 하우징(90) 내에 구비된 부이(30)에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가스 공급부(5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가스 공급부(50b)는 부이(30)에 압축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부이(30)와 연결관(1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110)에는 밸브(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선(70)은 부이(30) 내부에 삽입되어 그 일단부가 하우징(90) 내에 구비된 걸고리부(150)에 묶여 있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박 침몰 시에 압력감지부재(50a)가 수압을 감지하면 상기 압력감지부재(50a)가 감지한 신호를 밸브(130)로 전송하고, 상기 압력감지부재(50a)로부터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밸브(130)는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밸브(130)가 개방되면 압축가스 공급부(50b)와 연결관(110)을 통해 연결된 부이(30)에 압축가스가 상기 연결관(110)을 통해 공급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이가 하우징 밖으로 사출되어 수면 위로 부유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도 2에서 전술했던 바와 같이, 압력감지부재(50a)가 수압을 감지하면 밸브(130)를 개방시켜 압축가스 공급부(50a)와 연결관(110)을 통해 상호 연결된 부이(30)에 압축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부이(30)를 팽창시킨다.
상기와 같이 압축가스 공급부(50a)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아 팽창된 부이(30)는 개폐문(170)을 개방하며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부유하게 된다.
따라서, 부이(30)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되면 침몰된 선박의 침몰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부이(30)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상기 부이(30) 내부에 삽입된 연결선(70)이 부이(30) 밖으로 인출되므로, 상기 연결선(70)을 통해 선박이 침몰했을 경우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침몰된 선박의 침몰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연결선(7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수면 위에서 선박까지의 깊이를 표시하는 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선박의 침몰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선박에 구비된 표시장치에서 사출된 부이가 수면 위로 부유하여 선박의 침몰깊이와 침몰자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 침몰 시에 선박의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된 복수 개의 표시장치(10)에서 부이(30)가 사출되어 수면 위로 상기 부이가 부유하게 되면 선박의 침몰위치 및 침몰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침몰된 선박의 침몰자세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내용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되어 수면 위로 떠오른 부이(30)에는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각기 다른 번호가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부이(30)를 식별하기 위해 반드시 번호가 기재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닌, 상기 부이(30)에 각기 다른 색깔을 도색하거나, 기타 다른 수단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이(30)에 기재된 번호와 연결선(70)에 표시된 라인을 통해 선박의 침몰깊이와 침몰자세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잠수부나 ROV와 같은 무인잠수정을 수중에 투입하지 않고도 선박의 침몰깊이와 침몰자세 및 침몰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는 부이(30) 안에 삽입되는 부유부재(190)와, 상기 부유부재(190)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하는 연결선(70)과, 상기 부이(30), 부유부재(190), 연결선(70)이 저장되는 하우징(90)을 구비하는 표시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10)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표시장치(10) 각각은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된다.
앞서 도 2 및 도 3에서는 전술했던 바와 같이, 선박이 침몰하면 수압을 감지하고 부이(30)에 압축가스를 공급하여 팽창된 부이(30)를 수면 위로 부유하게 하였다. 그러나, 도 5에서는 예를 들면, 팽창된 부이(30)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부유부재(190)가 삽입되고, 상기 부이(30)가 물에 잠기면 부력에 의해 상기 부이(30)가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표시장치 30 : 부이
50 : 사출장치 50a : 압력감지부재
50b : 압축가스 공급부 70 : 연결선
90 : 하우징 110 : 연결관
130 : 밸브 150 : 걸고리부
170 : 개폐문

Claims (7)

  1. 부이가 물에 잠기면 상기 부이를 수면으로 사출하는 사출장치;
    상기 부이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연결선; 및
    상기 사출장치, 부이, 연결선이 저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표시장치 각각은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장치는 부이가 물에 잠기면 수압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와, 상기 압력감지부재가 감지한 수압을 이용하여 상기 부이에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가스 공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공급부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부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에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부이가 물에 잠기면 압력감지부재가 수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5. 부이 안에 삽입되는 부유부재;
    상기 부유부재와 연결되어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는 연결선; 및
    상기 부이, 부유부재, 연결선이 저장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표시장치 각각은 선수부, 선미부, 좌현부, 및 우현부 각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6.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선박의 침몰깊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길이를 표시하는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7.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는 설치된 부분의 위치를 파악하여 침몰된 선박의 자세를 알 수 있도록 색깔이나 기호 또는 번호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KR2020140007313U 2014-10-08 2014-10-08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KR201600012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13U KR20160001264U (ko) 2014-10-08 2014-10-08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13U KR20160001264U (ko) 2014-10-08 2014-10-08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64U true KR20160001264U (ko) 2016-04-18

Family

ID=5591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13U KR20160001264U (ko) 2014-10-08 2014-10-08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26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27Y1 (ko) 2017-04-06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어링 장치
KR102120944B1 (ko) * 2019-11-27 2020-06-09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침선 신호 발생 장치
WO2020182604A1 (fr) * 2019-03-12 2020-09-17 Tecknisolar-Seni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geolocalisation d'un container passe par-dessus bo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27Y1 (ko) 2017-04-06 2018-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로어링 장치
WO2020182604A1 (fr) * 2019-03-12 2020-09-17 Tecknisolar-Seni Dispositif de detection et de geolocalisation d'un container passe par-dessus bord
FR3093818A1 (fr) * 2019-03-12 2020-09-18 Tecknisolar-Seni dispositif de détection et de géolocalisation d’un container passé par-dessus bord
CN113711253A (zh) * 2019-03-12 2021-11-26 海洋追踪器公司 用于对已经掉出船外的集装箱进行检测和地理定位的设备
KR102120944B1 (ko) * 2019-11-27 2020-06-09 주식회사아이플러스원 침선 신호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43B1 (ko) 선박용 조난신호 발생장치
US11097811B2 (en) System for securing a submerged buoy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2255654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20160001264U (ko)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KR100791547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KR101803814B1 (ko) 조난 위치 알림 장치
US20230098899A1 (en) System for retrieval of objects lost in water
KR101653469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잠수함 긴급부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7935A (ko) 침몰선박용 위치확인장치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KR20160021552A (ko) 침몰선박 내의 유체 제거장치
CN110494354B (zh) 自动脱离式危险标识浮标
KR101272618B1 (ko) 자동구명부표장치
RU2624283C1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к плавающему судну
CN205221033U (zh) 自动布设应急沉船示位标
CN104527948A (zh) 带帐篷的救生橡皮筏
ES2850025T3 (es) Boya con control remoto
KR20150119587A (ko) 소형선박 자동 복원 시스템
KR20100106119A (ko) 선박용 항해 데이터 저장 시스템
KR101720791B1 (ko) 선박의 자동 부력 제공 및 비상상태 알림장치와 그 제어방법
JP2006306280A (ja) 可撓性ブイ
CN102673751B (zh) 一种带有遇险自动求救报警器的船舶
KR101711564B1 (ko)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KR20090085233A (ko) 기름회수 및 선체인양이 용이한 유조선 및 상기 유조선의기름회수 및 인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