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547B1 -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547B1
KR100791547B1 KR1020070059246A KR20070059246A KR100791547B1 KR 100791547 B1 KR100791547 B1 KR 100791547B1 KR 1020070059246 A KR1020070059246 A KR 1020070059246A KR 20070059246 A KR20070059246 A KR 20070059246A KR 100791547 B1 KR100791547 B1 KR 10079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hip
signal
hous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호남
Original Assignee
(주) 군장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장조선 filed Critical (주) 군장조선
Priority to KR102007005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63B34/21Canoes, kayak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4/22Inflatable; having inflat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양측 벽면, 내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설치되어 선박의 침몰시 자동으로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이 가스로 충진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선과 센서부 및 에어백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선체에 에어백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에 선박의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운항중인 선박이 외부의 충격 또는 기후의 영향에 따라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박, 침몰, 부력, 에어백, 센서

Description

선박의 침몰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hip Submerg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선체 4 : 에어백
6 : 센서부 8 : 전선
10 : 센서 12, 30' : 하우징
14 : 원형볼 16 : 고정수단
18, 18' : 이탈방지수단 20 : 추
22 : 전력공급부 24 : 원형구
26 : 접속수단 28 : 액체
본 발명은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구비시키고, 상기 에어백에 선박의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연결설치하여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하며 선박에 부력을 제공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은 철판, 비철금속, 목재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건조되고, 건조형태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유람선, 고속정, 어선 및 뱃놀이에 적합한 보트 등 다양하다. 그러나 전술한 선박들은 운항 중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이나 기상악화 등의 영향에 의하여 침몰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선박 침몰로부터 선박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선박의 건조시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바,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62867호는 선체의 양측벽 내측면에 부력재를 부착하되, 상기 부력재가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공기 또는 헬륨 등의 기체가 충진된 튜브나 스티로폼 등의 부력을 갖는 발포물의 형태로 구성하여 이를 선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선박의 부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켜 선체를 보호하고, 선체의 바닥 일부가 파손 또는 전복되는 등의 해난사고시 침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0422289호에는 선박의 상하몸체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선체 내부에 경량이며 저밀도인 수분 비흡수 재질의 부력재를 충진하여 구성된 선박의 침몰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침몰방지장치들은 선박의 건조시 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부력재를 첨가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선박에 적용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건조비용을 증가시키고, 외부충격으로 인해 침몰되는 선박에 별도의 다른 부력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선박 침몰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공개 특2000-0066906호에는 선박몸체의 좌우측 상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도어형상의 상자몸체를 설치하고 이 도어 내측에 설치된 상자 몸체내에 도어 개폐장치와 에어백을 설치하여 압축 에어탱크와 호스 및 파이프를 연결한 후 조작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조난시 조작 버튼을 누르면 압축된 에어에 의해 도어가 개방됨과 동시에 토출된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부력을 발생시켜 선체가 물속에 침몰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는 선박이 침몰함에 따라 선박의 탑승자가 조작 버튼을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급작스런 선박 전복 등에 의한 선박 침몰시 상황대처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에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압축 에어탱크 및 이와 연결되는 부속품 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소요되고, 장치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던 중 선박의 선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연결설치한 후 각각의 에어백 일측에 선박의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선박의 침몰시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부의 신호로 인해 에어백이 팽창하도록 할 경우 선박의 침몰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선박의 선체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을 구비시키고, 상기 에어백에 선박의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연결설치하여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함으로써 선박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선체의 양측 벽면, 내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설치되어 선박의 침몰시 자동으로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이 가스로 충진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선과 센서부 및 에어백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는 수동조작으로 선박의 탑승자가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전선에 연결설치된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선체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수중에서 물체를 떠오르게 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이산화탄소 또는 공기가 카트리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시켜 내부의 이산화탄소가 일정한 형상의 에어백 내부에 충진되어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은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은 팩 모양으로 구비되어 선체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지만, 선박의 침몰시 팽창하며 부력을 갖게 되는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에어백이라면 어떠한 에어백이라도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침몰은 선박이 물속으로 완전히 가라앉은 것을 의미 한다기 보다는 선반의 전복, 파손 등에 의해 물속으로 가라앉는 상태, 즉 선박의 복원력 한계를 넘어서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는 선박의 침몰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에어백으로 전달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선박의 침몰을 감지하는 동시에 감지된 신호를 에어백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은 상기 에어백과 센서부에 연결설치되어 센서부에서 감지된 신호가 에어백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전선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특정적으로 바닷물에 부식되지 않도록 고분자 수지 등으로 피복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전선은 필요에 따라 선박의 탑승자가 수동조작으로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나타 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센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센서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는 선체(2)의 양측 벽면, 내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4); 상기 에어백(4)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에어백(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8); 상기 전선(8)에 연결설치되어 선박의 침몰시 자동으로 에어백(4)에 작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4)이 가스로 충진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센서부(6); 및 상기 전선(8)과 센서부(6) 및 에어백(4)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력공급부(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박의 침몰방지장치는 필요에 따라 수동조작으로 선박의 탑승자가 에어백(4)에 작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전선(8)에 연결설치된 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4)은 선체(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선체(2)의 양측 벽면, 내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수중에서 물체를 떠오르게 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에어백(4)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이산화탄소 및/또는 공기가 카트리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 고, 상기 카트리지를 개방시켜 내부의 이산화탄소 및/또는 공기가 일정한 형상의 에어백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선박이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4)은 평상시에는 부피가 작은, 바람직하게는 매우 얇은 팩 모양으로 구비되어 선체(2)의 부피를 차지하지 않지만, 선박의 침몰시 팽창하며 선박에 부력을 제공하는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에어백(4)이라면 어떠한 에어백(4)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4)의 개수는 선박의 무게 및 에어백(4)의 부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는바, 적어도 에어백(4)이 구비되는 선박이 침몰되지 않을 정도의 부력을 갖는 개수로 에어백(4)을 선박의 선체(2) 일측, 바람직하게는 선체(2)의 내/외 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6)는 선박의 선체(2) 일측에 구비되어 선박의 침몰을 감지하는 동시에 그 침몰 신호를 에어백(4)으로 전달함으로써 에어백(4)을 작동시켜 팽창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센서부(6)라면 어떠한 것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 자체로서 부력을 갖는 원형볼(14); 상기 원통형 하우징(12)의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원형볼(14)의 접촉에 따라 에어백(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 또는 양 말단에는 원형볼(14)이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물, 바람직하게는 바닷물이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격자 모양의 이탈방지수단(18, 1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말단에만 이탈방지수단(18)이 형성될 경우, 상기 이탈방지수단(18)이 형성된 말단에 대향되는 타측에 센서(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자 운동을 하는 추(20); 상기 추(2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추(20)가 진자운동을 하도록 하는 고정수단(16); 상기 추(20)가 진자운동을 하는 경로의 일측에 추(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소정 각도로 추(20)가 기울어질 경우 추(20)와 접촉하여 에어백(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20)가 진자운동을 하는 경로의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10)와 추(20)의 거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센서(10)와 추(20)의 거리가 선박이 기울어져서 복원력 한계를 넘어설 때, 바람직하게는 선박이 전복 또는 침몰될 때 추(20)가 위치하는 기울기에 대응되는 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원형의 중공을 갖는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의 중공에 충진되는 액체(28); 상기 하우징(30')에 충진된 액체(28)에 혼입되어 그 자체로서 액체(28)내에서 부유하는 동시에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원형의 외경을 기준으로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부(26)가 형성된 원형구(24); 상기 하우징(30') 내부의 중공 상단 및 하단에 원형구(24)의 접속부(26)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원형구(24)의 접속부(26)와 접촉하며 에어백(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1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28)는 원형구(24)가 하우징(30') 내부에서 부유하며 원형구(24)와 하우징(30')이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액체(28)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형구(24)는 액체(28)내에서 부유하며 하우징(30')의 움직임과는 별도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선박에 설치된 센서부(6)의 하우징(30')이 움직이는 경우, 원형구(24)의 접속부(26)가 센서(10)에 접촉하여 에어백(4)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접속부(26)는 원형구(24)의 외경을 기준으로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센서(10)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8)은 상기 에어백(4)과 센서부(6)에 연결설치되어 센서부(6)에서 감지된 신호가 에어백(4)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력공급부(22)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당업계 의 통상적인 전선(8)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특정적으로 바닷물에 부식되지 않도록 도체의 외부에 고분자 수지가 피복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전선(8)은 필요에 따라, 선박의 탑승자가 수동조작으로 에어백(4)에 작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부(22)는 상기 전선(8), 센서부(6) 및/또는 에어백(4) 등에 연결설치되어 센서부(6) 및/또는 에어백(4)이 작동하기 위한 전류를 인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력공급부(22)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6) 및 에어백(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8)을 따라 다수개 병렬로 설치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상기 다수의 센서부(6) 중 하나의 센서부(6)에서 감지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모든 에어백(4)이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의 운항중 기후악화 또는 외부충격에 의하여 선박이 침몰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선박이 침몰될 경우, 센서부(6)가 선박 침몰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전선(8)을 통해 에어백(4)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6)는 선박에 물이 차오르는 것을 인지하여 선박 침몰을 감지하거나, 선박이 기울어지는 정도를 인지하여 선박 침몰,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복원력 한계를 넘어서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박에 물이 차오르게 되면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12) 내부에 구비된 부력을 갖는 원형볼(14)이 원통형 하우징(12)의 내벽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기 원통형 하우징(12)의 상단 일측에 구비된 센서(10)와 접촉함으로써 선박 침몰을 감지하고, 선박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기울어진 선박의 기울기만큼 추(20)에 센서(10)가 접촉하여 선박 침몰을 감지하거나 원형구(24)의 접속부(26)가 센서(10)에 접촉하여 선박 침몰을 감지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센서부(6)에서 감지된 선박의 침몰 신호가 에어백(4)으로 전달되면, 상기 에어백(4) 내부에 가스,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 및/또는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함으로써 침몰하는 선박에 부력을 제공한다.
한편, 전술한 선박의 침몰방지장치에 있어서, 선박의 탑승자가 에어백(4)에 전선(8)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에어백(4)이 팽창하여 선박의 침몰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선박의 선체에 에어백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백에 선박의 침몰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연결설치함으로써 운항중인 선박이 외부의 충격 또는 태풍이나 해일 등의 기후의 영향에 따라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선체의 양측 벽면, 내측면, 선수, 선미 또는 이들 모두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백; 상기 에어백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상기 전선에 연결설치되어 선박의 침몰시 자동으로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에어백이 가스로 충진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중공의 원통형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 자체로서 부력을 갖는 원형볼, 상기 원통형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원형볼의 접촉에 따라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 및 상기 전선과 센서부 및 에어백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수동조작으로 선박의 탑승자가 에어백에 작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전선에 연결설치된 스위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진자 운동을 하는 추; 상기 추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추가 진자운동을 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추가 진자운동을 하는 경로의 일측에 추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소정 각도로 추가 기울어질 경우, 추와 접촉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가 원형의 중공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충진되는 액체; 상기 하우징의 액체에 혼입되어 그 자체로서 액체내에서 부유하는 동시에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원형의 외경을 기준으로 외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부가 형성된 원형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중공 상단 및 하단에 원형구의 접속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원형구의 접속부와 접촉하며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KR1020070059246A 2007-06-18 2007-06-18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KR10079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46A KR100791547B1 (ko) 2007-06-18 2007-06-18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246A KR100791547B1 (ko) 2007-06-18 2007-06-18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1547B1 true KR100791547B1 (ko) 2008-01-04

Family

ID=3921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246A KR100791547B1 (ko) 2007-06-18 2007-06-18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5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8B1 (ko)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CN103661840A (zh) * 2012-09-23 2014-03-26 赵文志 一种设置有常备船坞的舰船
CN105216984A (zh) * 2015-10-20 2016-01-06 江显平 一种船用安全气囊装置及其启动方法
KR101607943B1 (ko) 2014-06-23 2016-04-01 삼성중공업(주) 선박
KR101618081B1 (ko) 2014-07-29 2016-05-09 유지씨 주식회사 선박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음이 울리는 선박경고장치
KR101891552B1 (ko) * 2018-02-26 2018-08-29 이현상 수상 구조물용 부력자동보상 기능을 가진 지능형 부력관
WO2019022349A1 (ko) * 2017-07-28 2019-01-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전운항을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에어백 운용 시스템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897U (ko) 1986-12-19 1988-06-27
EP0568501A1 (en) 1992-04-27 1993-11-03 Giuseppe Floris Inflatable hull protecting device for boats
JPH07117791A (ja) * 1993-10-25 1995-05-09 Mitsuji Ishii エアバッグ装置を有する船舶
KR200190084Y1 (ko) 2000-03-03 2000-07-15 이종규 공기부양백을 이용한 선박의 안전장치
JP2003137177A (ja) 2001-11-02 2003-05-14 Ihi Marine United Inc 浮体構造物の区画防護装置
KR20050108161A (ko) * 2004-05-11 2005-11-16 김용원 침몰 방지장치가 구비된 선박
US20060016380A1 (en) 2003-10-24 2006-01-26 Michael Braitberg Electronic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for inflating a flot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8897U (ko) 1986-12-19 1988-06-27
EP0568501A1 (en) 1992-04-27 1993-11-03 Giuseppe Floris Inflatable hull protecting device for boats
JPH07117791A (ja) * 1993-10-25 1995-05-09 Mitsuji Ishii エアバッグ装置を有する船舶
KR200190084Y1 (ko) 2000-03-03 2000-07-15 이종규 공기부양백을 이용한 선박의 안전장치
JP2003137177A (ja) 2001-11-02 2003-05-14 Ihi Marine United Inc 浮体構造物の区画防護装置
US20060016380A1 (en) 2003-10-24 2006-01-26 Michael Braitberg Electronic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for inflating a flotation device
KR20050108161A (ko) * 2004-05-11 2005-11-16 김용원 침몰 방지장치가 구비된 선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8B1 (ko) 2012-04-06 2013-02-20 (주) 군장조선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CN103661840A (zh) * 2012-09-23 2014-03-26 赵文志 一种设置有常备船坞的舰船
KR101607943B1 (ko) 2014-06-23 2016-04-01 삼성중공업(주) 선박
KR101618081B1 (ko) 2014-07-29 2016-05-09 유지씨 주식회사 선박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경고음이 울리는 선박경고장치
CN105216984A (zh) * 2015-10-20 2016-01-06 江显平 一种船用安全气囊装置及其启动方法
WO2019022349A1 (ko) * 2017-07-28 2019-01-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전운항을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에어백 운용 시스템
KR101891552B1 (ko) * 2018-02-26 2018-08-29 이현상 수상 구조물용 부력자동보상 기능을 가진 지능형 부력관
KR20240011018A (ko) 2022-07-18 2024-01-25 김준호 소형 선박용 밸러스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547B1 (ko)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KR101694864B1 (ko) 선박 침몰 예방장치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US5073136A (en) Collapsible sonobuoy floatation device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US3026839A (en) Boats
KR100509182B1 (ko) 침몰선박 최종 위치확인 및 인양장치
US3382514A (en) Positive scuttling buoy
KR100916583B1 (ko) 레져용 선박의 선체복원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101661626B1 (ko) 선박의 자동 부력 공급 장치
KR20160084243A (ko) 잠수식 계류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잠수식 계류시스템
US20050268837A1 (en) Inflating watercraft flotation device
KR20150042337A (ko) 선박용 에어백 시스템
KR102086037B1 (ko) 전복지연장치가 구비된 선박
RU92403U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буй
GB2369803A (en) A vessel having emergency inflatable buoyancy means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101962797B1 (ko) 안전운항을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에어백 운용 시스템
KR102131246B1 (ko)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KR20040027306A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JP2002138444A (ja) 防舷装置
CN110104137A (zh) 充气增浮绳
JP2002282675A (ja) ガス発生装置、自動ガス発生装置、自動出力装置
CN210027835U (zh) 一种船舶防翻沉安全装置以及船舶
KR102365177B1 (ko) 차량용 부력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