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306A -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306A
KR20040027306A KR1020030056656A KR20030056656A KR20040027306A KR 20040027306 A KR20040027306 A KR 20040027306A KR 1020030056656 A KR1020030056656 A KR 1020030056656A KR 20030056656 A KR20030056656 A KR 20030056656A KR 20040027306 A KR20040027306 A KR 2004002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pressure gas
casing
wir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각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명각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각, 김규형 filed Critical 김명각
Priority to KR102003005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7306A/ko
Publication of KR2004002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특허는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풍선을 이용하여 해저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특어는, 선박이 해저로 침몰하였을 때 갑판 상의 케이싱 안에 보관되어 있으며 롤러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고압 개스통의 개스가 자동으로 분출되고 고압 개스통과 고정되어 있는 밀봉해제장치의 끝에 연결되어 있는 풍선이 부풀면서 해수면 위로 부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A verify device sunken ship location}
본 특허는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풍선을 이용하여 해저에 침몰한 선박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선박은 변화가 심한 기상조건 아래에서도 운항을 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고운항시 갑작스럽게 태풍이나 해일을 만나는 예도 많은데, 이러할 경우 선박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운항의 실수 등으로 인해 침몰할 수도 있고, 암초나 빙산 등에 충돌하여 좌초되거나 침몰이 되는 예가 많다. 이 경우 수심이 얕은 곳에서는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 침몰을 하였을 경우에는 선박의 침몰 위치를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러나 근래에 이르러 위치확인 위성이나 관측장비의 일종인 소-나 등을 활용하여 침몰된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쉬워지긴 하였으나 해저에는 금속성 쓰레기와 침몰된 타 선박의 잔해, 전쟁으로 인한 무기와 선박, 잠수함, 항공기 등의 잔해가 널리 깔려있기 때문에 이 또한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본 특허는, 선박의 침몰시 자동으로 풍선이 부풀어서 수면 위로 부상하도록 함으로서 고가의 장비나, 국가적으로 사용상의 한계가 있는 위성 등을 이용하지 않고도 매우 간단하게 침몰 선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특허는, 갑판(5) 상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상측의 개구부 아래에 지지턱(12)이 고정되어 있는 상자 형태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의 지지턱(12)에 얹혀서 케이싱 내부의 내용물을 은폐시키며 1개 이상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와; 상기 케이싱의 안쪽이면서 볼트 및 너트로 갑판에 고정되는 브라키트(32)에 축핀(34)을 통해 고정된 채 와이어(40)가 걸릴 수 있도록 한 롤러(30)와; 상기 롤러에 걸리면서 수십 미터 내지는 수백 미터의 길이를 가진 채상기 케이싱 안에 정돈되어 보관되는 와이어(40)와; 상기 와이어의 한쪽 끝 부분인 와이어 단부(44)와 상기 와이어의 다른 쪽 끝 부분인 와이어 단부(42)가 메탈 밴드(6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러그(52)를 가지는 고압 개스통(50)과; 상기 고압 개스통의 끝에 고정된 채 내장된 압력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고압 개스통의 밀봉부를 파열시켜 관체(72)를 통해 고압 개스를 분출시키는 공지의 밀봉해제장치(70)와; 상기 밀봉해제장치의 관체에 메탈 밴드(80)를 통해 주입구가 고정되며 고압 개스에 의해 팽창하도록 한 고탄성의 풍선(90)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침몰시 해수면 위로 부상한 풍선(90)을 통해 침몰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특허의 롤러 어셈브리를 나타낸 참고도.
도2는 본 특허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3은 본 특허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4는 본 특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20: 커버
30: 롤러 40: 와이어
50: 고압개스통 70: 밀봉해제장치
90: 풍선
이한 본 특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선박의 갑판(5) 위에 상면이 개방된 케이싱(10)을 고정시키되 케이싱의 안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턱(12)에는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상기 케이싱의 안쪽이면서 갑판 상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롤러(30)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키트(32)를 견고히 고정시키고 상기 브라키트(32)에 도면과 같이 장구형태의 롤러(30)를 핀(34)으로 조립시켜 회동이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롤러(30)를 브라키트에 조립시키기 전에 도면과 같이 롤러(30)를 한 번 감아서 걸리도록 와이어(40)를 거는데, 한쪽의 와이어 단부(44)는 고압개스통(50)의 러그(52)에 걸어서 메탈밴드(60)로 견고히 고정시키고 그 나머지 수 십미터 내지는 수 천미터의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40)는 일사불란하게 감아서 케이싱안에 보관되도록 하고 와이어 단부(44)의 반대쪽 와이어 단부(42) 역시 고압개스통(50)의 러그에 걸어서 메탈밴드(60)로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기 고압개스통(50)의 안에는 초고압의 개스가 충진되어 있고 입구쪽에는 밀봉해제장치(70)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밀봉해제장치는 내장된 수압감지센서의 센싱 작용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이 고압개스통의 밀봉을 파기하는 장치로 인가되어 고압개스가 분출토록 하는 방식이 있고, 상기 고압개스통의 밀봉을 파기하는 장치 대신에 뇌관을 폭파시켜서 고압개스를 분출시키는 방식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밀봉해제장치는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밀봉해제장치(70)의 앞쪽에는 고압개스통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압개스가 분출되는 관체(72)를 구비하고 상기 관체(72)에는 고탄성 풍선(90)의 주둥이를 끼운 다음 메탈밴드(80)로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풍선(90)은 유사시 잘 팽창이 되도록 잘 접어서 케이싱 안에 보관시킴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특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선박의 운항시 침몰이 불가피하게 될 경우 선체는 해저로 침몰하게 되며, 일정한 수압이 밀봉해제장치(70)의 수압감지센서에 가해지면 밀봉해제장치가 작동이 되는데, 상기 수압감지센서는 선박마다의 항로에 따른 최고의 수심을 기준하여 1/3 정도 하강하게 되는 위치를 맞추어 작동하게 할 수도 있고 10미터 이하로 침몰하였을 때 작동이 되도록 할 수 있는 등 선주와 선장의 의견을 조합하여 가장 바람직하게 조절할수 있다.
상기 밀봉해제장치가 작동함과 동시에 고압개스통(50)의 고압 개스는 관체(72)를 통해 분출되고 이는 풍선(90)을 순식간에 팽팽하게 부풀려서 수면 위로 부상되도록 하는데, 이때 밀봉해제장치와 고압개스통도 풍선과 함께 부상하게 되며 고압개스통의 러그에 고정되어 있는 두 가닥의 와이어(42, 44)도 동시에 상승함에 따라 와이어(40)는 플려 나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박은 계속 하강하여 해저면에 충돌하게 되고 풍선은 수면 위로 떠올라서 부구와 같이 표류하게 되는데, 풍선은 와이어에 의해 고정이 되어 있고 와이어의 중앙 부분은 롤러(30)의 중앙 부분에 걸려 있기 때문에 풍선은 제 위치를 이탈하지 못하고 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의 길이에 비하여 수심이 얕을 경우에는 와이어가 덜 풀려 나가서 풍선의 표류 거리는 다소 길어질 것이며 그 반대의 경우는 풍선이 해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선박의 항로별로 가장 깊은 수심을 계산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정하였기 때문에 풍선이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예는 없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풍선이 수면 위로 부상된 상태에서는 선박이나 항공기 등을 이용하여 풍선의 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결국 침몰 선박의 위치 또한 매우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풍선이 발견되고 침몰 선박의 인양이 요구될 경우 고압개스통의 러그에 고정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 단부(42)를 고압개스통의 러그로부터 분리시키고 그 와이어 단부(42)에 굵은 메탈 로프를 고정시킨 다음 반대쪽의 와이어 단부(44)를 와인더로 와인딩하면 결국 굵은 메탈 로프는 롤로(30)와 브라키트(32) 사이를 관통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나타나게 되며, 수면 위로 나타난 굵은 메탈 로프를 계속하여 와인딩하면 침몰 선박은 해수면의 바로 아래까지는 부력에 의해 용이하게 떠 오를 수 있어서 인양작업 또한 순조롭게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이 참고로 설명한 인양작업은 단순히 참고일 뿐 침몰 선박의 인양에 가장 바람직한 장비를 사용하여 인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는 선박의 갑판 상에 하나 이상 다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선박일 경우 고압개스통을 선체의 적당한 곳에 고정시키고 밀봉해제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풍선을 팽창시키면 와이어는 풀려나가지 않기 때문에 완전한 침몰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침몰을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특허는 선박의 침몰시 고압개스의 충진으로 인해 팽창된 풍선이 수면 위로 떠오르도록 하여 침몰 선박의 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어 인명의 신속한 구조는 물론 침몰 선박을 즉시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갑판(5) 상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상측의 개구부 아래에 지지턱(12)이 고정되어 있는 상자 형태의 케이싱(10)과;
    상기 케이싱의 지지턱(12)에 얹혀서 케이싱 내부의 내용물을 은폐시키며 1개이상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20)와;
    상기 케이싱의 안쪽이면서 볼트 및 너트로 갑판에 고정되는 브라키트(32)에 축핀(34)을 통해 고정된 채 와이어(40)가 걸릴 수 있도록 한 롤러(30)와;
    상기 롤러에 걸리면서 수십 미터 내지는 수백 미터의 길이를 가진 채 상기 케이싱 안에 정돈되어 보관되는 와이어(40)와;
    상기 와이어의 한쪽 끝 부분인 와이어 단부(44)와 상기 와이어의 다른 쪽 끝부분인 와이어 단부(42)가 메탈 밴드(6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러그(52)를 가지는 고압 개스통(50)과;
    상기 고압 개스통의 끝에 고정된 채 내장된 압력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고압 개스통의 밀봉부를 파열시켜 관체(72)를 통해 고압 개스를 분출시키는 공지의 밀봉해제장치(70)와;
    상기 밀봉해제장치의 관체에 메탈 밴드(80)를 통해 주입구가 고정되며 고압개스에 의해 팽창하도록 한 고탄성의 풍선(90)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침몰시 해수면 위로 부상한 풍선(90)을 통해 침몰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1020030056656A 2003-08-14 2003-08-14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40027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56A KR20040027306A (ko) 2003-08-14 2003-08-14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56A KR20040027306A (ko) 2003-08-14 2003-08-14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07U Division KR200299797Y1 (ko) 2002-09-26 2002-09-26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06A true KR20040027306A (ko) 2004-04-01

Family

ID=3732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56A KR20040027306A (ko) 2003-08-14 2003-08-14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3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84B1 (ko) * 2009-01-30 2009-07-15 유재복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CN102514695A (zh) * 2011-09-02 2012-06-27 海南新博海通科技有限公司 渔船应急无线求救示位系统
KR20160149903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WO2017088726A1 (zh) * 2015-11-25 2017-06-01 杨庆勇 自动布设应急沉船示位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784B1 (ko) * 2009-01-30 2009-07-15 유재복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CN102514695A (zh) * 2011-09-02 2012-06-27 海南新博海通科技有限公司 渔船应急无线求救示位系统
KR20160149903A (ko) * 2015-06-19 2016-12-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WO2017088726A1 (zh) * 2015-11-25 2017-06-01 杨庆勇 自动布设应急沉船示位标
US10239595B2 (en) 2015-11-25 2019-03-26 Qingyong Yang Automatically arranged emergency shipwreck position-indicating buo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873B2 (en) Assembly for deploying a payload from a submarine
US20060249068A1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NO311418B1 (no) Fortöyningssystem for fartöy
KR20090082764A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CN103303445A (zh) 船体安全气囊
KR102255654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US3654649A (en) System for retrieving anchor chains
NO316283B1 (no) Fleksibel riser eller lastesystem for store havdyp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070079913A (ko) 잠수함
KR20040027306A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120035621A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CN204802046U (zh) 一种抗沉防倾覆气囊装置
WO2008032918A1 (en) Buoyancy occurring device for vessel salvage
KR101444851B1 (ko) 비상 부력 장치
US8414341B2 (en) Protective cover for a mooring buoy and method of deployment
CN212373626U (zh) 一种海洋设备用防丢失装置
KR101632400B1 (ko) 선박용 비상 탈출장치
CN2712794Y (zh) 一种靠自救气袋防沉的船
CN205801459U (zh) 一种水底打捞器
CA2479296A1 (en) Floating craft with inflatable stabilization ring
US6968802B1 (en) Buoyant retrieval of unmanned seawater vehicles
US1838566A (en) Submarine device
JPH0885492A (ja) 水没浮標用の標識ブ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