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903A -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903A
KR20160149903A KR1020150087722A KR20150087722A KR20160149903A KR 20160149903 A KR20160149903 A KR 20160149903A KR 1020150087722 A KR1020150087722 A KR 1020150087722A KR 20150087722 A KR20150087722 A KR 20150087722A KR 20160149903 A KR20160149903 A KR 20160149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door
discharge port
space
d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564B1 (ko
Inventor
이동준
신경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6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외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방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부력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는 다이빙 유도선; 및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 사이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APPARATUS FOR RELEASING DIVING GUIDE LINE OF SUNKEN VESSEL}
본 발명은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로 항상 침몰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선박의 침몰 원인은 선박 간의 충돌, 빙산이나 암초와의 충돌, 악천후로 인한 해상 환경 악화 및 엔진 고장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선박이 침몰되면 선박에 갇힌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하여 사후 구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구조 작업이 장시간 지체되면, 조난자는 체온 하락 또는 산소 부족 등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구조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구조 작업 시에는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잠수부가 침몰 선박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수면에서 침몰 선박까지 연장되는 다이빙 유도선이 설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9446호(2013.09.06, 침몰중 선박 긴급 구조 장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침몰 선박에서 다이빙 유도선을 자동으로 방출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외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방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부력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는 다이빙 유도선; 및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 사이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은 힌지축을 통해 상기 선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방출구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힌지축을 분리하는 출입문해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해체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힌지축을 상승시켜, 상기 힌지축을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분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힌지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박의 침몰 시 선체의 외부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수용부에서 다이빙 유도선을 자동으로 방출함으로써,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잠수부가 침몰 선박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특히, 다이빙 유도선은 선체의 외부 출입구 근처까지 연장됨으로써, 침몰 선박에 접근한 잠수부가 선체의 외부 출입구를 용이하게 발견하여 선체 내부로 신속하게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를 방출구가 폐쇄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이빙 유도선을 수용 공간에서 방출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출입문해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를 방출구가 폐쇄된 나타낸 도면, 도 2는 수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는 출입문(100), 수용부(200), 부력체(300), 다이빙 유도선(400) 및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100)은 선체(10)의 외부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는 선박뿐만 아니라 부유식 또는 고정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출입구는 선체(1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출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출입문(100)은 선체(10)에 힌지축(20)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선체(10)의 외부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선체(10)의 외측에 결합 내지 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선체(10)의 외부 출입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200)에는 수용 공간(210) 및 방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210)은 수용부(200)의 내부 공간으로서, 부력체(300) 및 다이빙 유도선(400)을 수용할 수 있다.
방출구(230)는 선체(10)의 외부 공간에 노출되는 수용부(200)의 일 측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수용 공간(210)과 선체(10)의 외부 공간을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력체(300)는 수용 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다.
부력체(300)는 해수면에 뜰 수 있는 물체로서, 부력체(300)에는 다이빙 유도선(400)이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부력체(300)는 방출구(230)가 개방되면 부력에 의해 해수면까지 부상함으로써 잠수부를 선체(10)까지 안내하는 다이빙 유도선(400)을 해수면까지 연장되도록 할 수 있고, 침몰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buoy)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다이빙 유도선(400)은 수용부(200)와 부력체(300)를 연결할 수 있다.
다이빙 유도선(400)은 침몰 선박의 선체(10)에서 해수면까지 연장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200)에 설치되는 윈치(winch)에 감긴 상태로 수용 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이빙 유도선(400)의 외주면은 야광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그 결과, 잠수부가 강한 해류로 인해 다이빙 유도선(400)에서 벗어나더라도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개폐부(500)는 평상 시에는 방출구(230)를 폐쇄할 수 있고, 선박이 침몰하여 수용 공간(210)과 선체(10)의 외부 공간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방출구(230)를 개방할 수 있다. 개폐부(500)가 방출구(230)를 개방하는 기준이 되는 수용 공간(210)과 선체(10)의 외부 공간의 압력 차이는 잠수부가 구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이빙 유도선(400)이 설치될 필요가 있는 선박의 최소 침몰 깊이를 상정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개폐부(500)는 파열판(rupture disk)을 포함할 수 있다. 파열판은 평상 시에는 방출구(230)를 폐쇄할 수 있고, 선박이 침몰하여 수용 공간(210)과 선체(10)의 외부 공간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파열됨으로써 방출구(230)를 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출구(230)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설치 공간 및 비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다이빙 유도선을 수용 공간에서 방출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선박이 침몰하게 되면 개폐부(500)에 의해 방출구(230)가 개방됨으로써 수용 공간(210)에 수용된 부력체(300)가 해수면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 결과, 구조 작업을 수행하는 잠수부는 부력체(300)와 선체(10)를 연결하는 다이빙 유도선(400)을 잡고 선체(10), 구체적으로는 선체(10)의 외부 출입구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출입문해체부(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는 출입문해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문해체부(600)는 개방된 방출구(230)를 통해 수용 공간(210)으로 해수가 유입되면, 해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출입문(100)으로부터 힌지축(20)을 분리할 수 있다. 그 결과, 선체(10)와 출입문(100) 사이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느슨해질 수 있다. 따라서, 잠수부는 적은 인원으로도 출입문(100)을 선체(10)에서 분리할 수 있고, 출입문(100)의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도 감소될 수 있다.
출입문해체부(600)는 터빈(610) 및 동력전달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빈(610)은 수용 공간(210)에 배치되도록 수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터빈(610)은 방출구(230)를 통해 수용 공간(210)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동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630)는 터빈(6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힌지축(20)을 상승시켜 힌지축(20)을 출입문(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630)는 피니언 기어(631) 및 랙 기어(633)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631)는 터빈(6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터빈(610)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랙 기어(633)는 힌지축(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피니언 기어(631)에 치합할 수 있다. 그 결과, 해수가 방출구(230)를 통해 수용 공간(210)으로 유입되면, 터빈(610)의 회전축 및 피니언 기어(631)가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 기어(631)에 치합하는 랙 기어(633)가 형성된 힌지축(20)이 상승함으로써 출입문(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200)에는 상승하는 힌지축(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용부(200)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이드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는 압전소자(700) 및 발광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소자(700)는 수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압전소자(700)는 수용 공간(210)에 해수가 채워지면 수압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광체(800)는 선체(10)의 외부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선체(1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체(800)는 선체(10)의 외부 출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체(800)는 압전소자(70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될 수 있다. 그 결과, 잠수부는 어두운 해저에서도 출입문(100) 내지 선체(10)의 외부 출입구의 위치와 형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출입문(100)을 분리하는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선체 20: 힌지축
100: 출입문 200: 수용부
210: 수용 공간 230: 방출구
250: 가이드홀 300: 부력체
400: 다이빙 유도선 500: 개폐부
600: 출입문해체부 610: 터빈
630: 동력전달부 631: 피니언 기어
633: 랙 기어 700: 압전소자
800: 발광체

Claims (5)

  1. 선체의 외부 출입구를 개폐하는 출입문;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방출구가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부력체;
    상기 수용부와 상기 부력체를 연결하는 다이빙 유도선; 및
    상기 방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선체의 외부 공간 사이의 압력 차이가 기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방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은 힌지축을 통해 상기 선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방출구가 개방되어 상기 수용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면,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상기 힌지축을 분리하는 출입문해체부를 더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해체부는,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터빈; 및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힌지축을 상승시켜, 상기 힌지축을 상기 출입문으로부터 분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터빈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힌지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하는 랙 기어를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출입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에 의하여 발광되는 발광체를 더 포함하는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KR1020150087722A 2015-06-19 2015-06-19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KR10171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22A KR101711564B1 (ko) 2015-06-19 2015-06-19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22A KR101711564B1 (ko) 2015-06-19 2015-06-19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903A true KR20160149903A (ko) 2016-12-28
KR101711564B1 KR101711564B1 (ko) 2017-03-02

Family

ID=5772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722A KR101711564B1 (ko) 2015-06-19 2015-06-19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2612A (zh) * 2018-03-07 2018-09-04 大连海事大学 倒扣船开孔密封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306A (ko) * 2003-08-14 2004-04-01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130099446A (ko) 2012-02-29 2013-09-06 서영도 침몰중 선박 긴급 구조 장치
KR101410052B1 (ko) * 2013-12-23 2014-06-25 박혁 진동 압전모듈을 이용한 반영구적인 발광부표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306A (ko) * 2003-08-14 2004-04-01 김명각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20130099446A (ko) 2012-02-29 2013-09-06 서영도 침몰중 선박 긴급 구조 장치
KR101410052B1 (ko) * 2013-12-23 2014-06-25 박혁 진동 압전모듈을 이용한 반영구적인 발광부표
KR20140083953A (ko) * 2014-06-03 2014-07-04 윤종식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2612A (zh) * 2018-03-07 2018-09-04 大连海事大学 倒扣船开孔密封舱
CN108482612B (zh) * 2018-03-07 2019-12-24 大连海事大学 倒扣船开孔密封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564B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524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плавучести
US8096257B2 (en) Emergency encapsulated lift system
CN205327359U (zh) 一种防下沉船舶
CN103459249A (zh) 用于从倾覆舰船中疏散人员的系统
CN106163914B (zh) 具有可浸没在水中的船尾舱口盖的船
JP2005239142A (ja) 船舶のシーチェスト海水流入孔堰板
KR101711564B1 (ko) 침몰 선박의 다이빙 유도선 방출 장치
KR100875469B1 (ko) 잠수함
KR20110074803A (ko) 선박의 구명부이 장치
CN107771147A (zh) 具有可移动的船尾舱门和可浸没的船尾平台的船
KR20160001264U (ko) 선박 침몰위치 및 자세 표시장치
JP3179519U (ja) 小型船舶用緊急脱出装置
RU2469903C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US1814642A (en) Rescue submarine
CN201154764Y (zh) 子母船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RU27074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всплывающей камеры с подводным техническим средством
JP2013133030A (ja) 船舶及び船舶の復原性確保方法
KR101858435B1 (ko) 위장 잠수정
KR20130046038A (ko) 잠수식 부표
CN102837811A (zh) 气胀式救生设备快速抛投装置
US1838566A (en) Submarine device
KR20200028248A (ko) 긴급 잠수가 가능한 선박
RU2779886C1 (ru) Контейнер спасательного плота (варианты)
KR101917890B1 (ko) 자유낙하 방식의 구명정 대빗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