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285B1 -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285B1
KR102197285B1 KR1020190050923A KR20190050923A KR102197285B1 KR 102197285 B1 KR102197285 B1 KR 102197285B1 KR 1020190050923 A KR1020190050923 A KR 1020190050923A KR 20190050923 A KR20190050923 A KR 20190050923A KR 102197285 B1 KR102197285 B1 KR 10219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feraft
accommodation space
hull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803A (ko
Inventor
김성훈
조혜영
김계림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22Devices for holding or launching life-buoys, inflatable life-rafts, or other flo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05F1/00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by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 시스템은, 수면 상부에서 선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수용 공간에 마련되되 위급 상황 시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구명뗏목(Life Raft); 및 상기 위급 상황을 감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전복 시 상기 측면으로 가압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시 센서에 의해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긴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도어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고, 상기 구명뗏목은 상기 도어부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Life Raft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구명뗏목 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위급 상황 시에 선원 등이 구명뗏목을 활용하여 위험상황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도록 하고, 이러한 구명뗏목은 원통 형태의 외형이 펼쳐져 이용될 수 있어, 선원들이 직접 탑승하여 수면위로 진수하여 대피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구명정과 구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명뗏목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외부 환경 및 충격 등에 의한 손상 등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선박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 구명뗏목을 선원 등이 직접 탈출모드로 조작하여야 하나 탈출이 시급한 상황에서 직접 조작하기가 어렵거나, 조작하지 못하고 선박으로부터 탈출한 인원이 구명뗏목을 사용하지 못하고 위험 상황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몰 상황 등과 같은 위급 상황을 센서가 감지하여 도어부가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구명뗏목이 선박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명 시스템은, 수면 상부에서 선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수용 공간에 마련되되 위급 상황 시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구명뗏목(Life Raft); 및 상기 위급 상황을 감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전복 시 상기 측면으로 가압되는 수압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시 센서에 의해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긴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상기 도어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고, 상기 구명뗏목은 상기 도어부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구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평시에는 상기 구명뗏목을 두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위급 상황 시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펼쳐져 상기 구명뗏목을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탈출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일단은 상기 수용 공간의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 시 상기 수용 공간을 가로 질러 상기 구명뗏목의 재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그물 및 천막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구명뗏목을 둘러싸도록 신장되고,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 시에는 신장 상태가 수축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부 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내부 데크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며, 단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도어부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급 시는, 선박의 전복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구명뗏목이 선박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면서, 수압에 의해 침몰 상황을 센서가 감지하여 도어부가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어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구명뗏목이 보관되는 수용 공간의 출구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는 커버부를 통해 구명뗏목이 선박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급 시에 선박 내에 구명뗏목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부에 커버부가 연동하여 커버부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아 신속하게 구명뗏목이 탈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전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어부가 수용 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커버부에 의해 구명뗏목이 탈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어부가 수용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커버부에 의해 구명뗏목이 감싸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이 전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어부가 수용 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커버부에 의해 구명뗏목이 탈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도어부가 수용 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커버부에 의해 구명뗏목이 감싸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해상에 부유 가능한 다양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특정한 선종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체(111)의 내부는 복수의 데크(111A)(도 8 참조)로 구획/구분될 수 있으며, 수용 공간(111B)(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 공간(111B)은, 선박(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다양한 공간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수용 공간(111B)이 구명뗏목(120)이 마련되는 공간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데크(111A)는, 선박(100)의 내부를 복수의 층으로 구획하는 구성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구명뗏목(120)이 마련되는 수용 공간(111B)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예시하도록 한다.
선박(100)은, 승무원 등의 안전을 위해 구명 시스템(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구명 시스템은 구명뗏목(120), 도어부(130), 작동부(140), 커버부(150),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구명뗏목(120)(Life Raft)은, 수용 공간(111B)에 마련되되 위급 상황 시(선박의 전복 상황 등) 선체(111)로부터 탈출되어 승무원을 위급 상황으로부터 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특히 확대되지 않은 도면), 구명뗏목(120)은 침몰상황과 같은 위급 상황 전까지인 평시에는 원통의 형태로 유지된 상태로 선체(111)의 내부(예를 들어 선체(111)의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보관될 수 있다. 그리고 위급 상황에 따른 선박(100)의 침수 상황 시 등에는, 구명뗏목(120)의 원통 형태가 펼쳐지면서 구명뗏목(120)에 압축공기가 들어가 구명뗏목(120)의 자체 양성 부력으로 구명뗏목(120)이 해수면 위로 부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의 확대된 부분을 참조 시, 도어부(130)의 개방과 함께 선체(111) 내의 수용 공간(111B)에 보관되어 있던 구명뗏목(120)이 선체(111)의 외부로 탈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명뗏목(120)은, 도어부(130)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선체(111)로부터 탈출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구명뗏목(120)이 마련된 위치를 향해 선박(100)이 전복되는 경우, 구명뗏목(120)은 해수의 수압에 의해 선박(100)의 수용 공간(111B) 내부로 밀려 들어가거나 수용 공간(111B)으로부터 탈출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구명뗏목(120)이 마련된 위치를 향해 선박(100)이 전복되는 경우라도, 수용 공간(111B) 내부로 구명뗏목(120)이 밀려 들어가는 것이 커버부(150)에 의해 방지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부(130)는, 수면 상부에서 선체(111)의 측면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11B)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도어부(130)는, 수용 공간(111B)을 수밀하기 위해 도어부(130)의 둘레면을 따라 씰링부재(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가 마련될 수 있고, 구명뗏목(120)의 안전한 탈출을 위해 구명뗏목(120)에 대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평시에는, 도어부(130)가 선박(100)의 외면을 형성하여 선체(111)의 일부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작동부(140)에 의해 수용 공간(111B)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작동부(140)와의 연결 이외에도 데크(111A)에 연결된 링크 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 도 3, 도 4, 도 6, 도 6 참조, 4-bar Linkage 등으로 선체 내부에 마련)에 의해 데크(111A)와 도어부(130)의 연결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구성 및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130)는, 작동부(140)에 의한 개폐 조작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회전을 이룰 수 있는데, 일례로 폐쇄된 상태의 도어부(130)를 기준으로 90도 내외(70도 내지 120도 범위일 수 있음, 도 3 내지 도 5 참조)로 회전되거나, 이와 달리 180도 내외(160도 이상일 수 있음)로 회전될 수 있음은 물론, 회전 동작 이외에도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을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작동부(140)는, 도어부(130)를 작동하는 구성으로서, 수용 공간(111B)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부 데크(111A)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어부(130)의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도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고, 지지체(141) 및 액츄에이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141)는, 액츄에이터(142)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일례로 바 또는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 데크(111A)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체(141)의 연장된 길이는 특정하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지지체(141)에 연결된 액츄에이터(142)의 위치는 지지체(141)의 단부 또는 중심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142)는, 도어부(130)를 밀거나 당기는 구성으로서, 브라켓 등에 의해 지지체(141)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지지체(141)로부터 도어부(130)에 연결되게 일단부는 지지체(14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도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142)의 타단부인 단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도어부(130)의 개폐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액츄에이터(142) 단부의 돌출길이가 늘어나면 도어부(130)를 수용 공간(111B)으로부터 밀어내고, 액츄에이터(142) 단부의 돌출길이가 줄어들면 도어부(130)를 수용 공간(111B) 방향으로부터 당김으로써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42)의 단부는, 도어부(130)와 힌지 등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도어부(130)의 회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링크 구조에 의해 개폐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작동부(140)는, 도어부(130)를 회전시키지 않고 슬라이딩시켜 개폐 조작을 이룰 수도 있는데, 일례로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와 같은 기어 구조 또는 레일 구조 등을 통해 상하 슬라이딩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커버부(150)는,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평시에는 구명뗏목(120)을 두른 형태로 마련되고,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위급 상황 시에는 도어부(130)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펼쳐져서 구명뗏목(120)을 수용 공간(111B)으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50)는, 수용 공간(111B)과 도어부(130)에 연결되는 그물 및 천막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 공간(111B)의 내부에서 구명뗏목(120)을 둘러싸도록 신장되고, 도어부(130)의 개방작동 시에는 신장 상태가 수축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커버부(150)는, 도어부(130)의 개방작동 시 수용 공간(111B)을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특히 도 3,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111B)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111B) 출구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가상으로 연장된 선박(100)의 외면보다 선체(111)의 외측으로 커버부(150)가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구명뗏목(120)을 밀쳐내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명뗏목(120)이 수용 공간(111B)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욱이 수용 공간(111B)을 개방시킨 도어부(130)가 다시 수용 공간(111B)을 폐쇄하지 않도록 하는 탄성력의 범위 내에서 커버부(150)가 수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구명뗏목(120)을 충분히 두르도록 이루어지면서도,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수용 공간(111B)의 출구 상부로부터 도어부(130)의 단부를 커버부(150)가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50)의 일단은 수용 공간(111B)의 출구(도어부(130)가 수용 공간(111B)을 폐쇄한 상태에서의 도어부(130) 상측인 선체(111) 또는 선박(100) 내부의 구조물 등에 연결되고, 커버부(150)의 타단은 도어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150)가 탄성력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커버부(150)가 탄성력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도어부(130)는 개방각도가 90도 내외에 대비하여 더 크게 이루어져 커버부(15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이격거리가 더 멀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부(130)가,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선체(111)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에 대비하여 수용 공간(111B)의 하부를 향해 완전히 젖혀져 선체(111)의 측면에 밀착되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도어부(130)의 회전된 각도가 180도 내외로 형성되어, 도어부(130)에 연결된 커버부(150)가 선체(111)에 연결된 단부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펼쳐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어부(130)가 슬라이딩 구조로 개방되는 경우, 출입구의 하부로 도어부(130)가 충분히 내려지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커버부(150)가 충분히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구명뗏목(120)을 두르도록 충분한 면적으로 커버부(150)가 형성되더라도, 커버부(150)의 하단부가 커버부(150)의 상단부로부터 더욱 멀어져 충분히 펼쳐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11B)의 내부 방향으로 커버부(150)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구명뗏목(120)이 선박(100)의 수용 공간(111B)에 다시 쓸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커버부(150)는, 위급 시 구명뗏목(120)이 선박(100)으로부터 탈출된 이후 다시 수용 공간(111B)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수용 공간(111B)의 출구를 가로지르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센서(160)는, 위급 상황을 감지하도록, 선체(111)의 전복 시 측면으로 가압되는 수압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0)의 외벽에는 작은 홀/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홀/홈에 센서(160)가 마련되어 선박(100)의 전복으로 인한 수압이 발생하면 센서(160)가 침몰 상황으로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작동부(140)가 센서(160)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링크 구조와 연동되어 도어부(130)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160)에 의해 수압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부(130)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긴 것으로 인식됨으로써, 도어부(130)는 수용 공간(111B)을 개방하고, 이에 연동하여 커버부(150)가 펼쳐짐으로써 수용 공간(111B)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구명뗏목(120)을 밀쳐낼 수 있어, 구명뗏목(120)은 도어부(13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선박(100)으로부터 탈출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으나 구명뗏목(120)은, 데크(111A) 상에서 별도의 받침부(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되면서 수용 공간(111B)에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는, 수용 공간(111B)의 내측으로부터 출구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는 복수의 바(bar)가 서로 연결되는 지지구조물로 이루어지거나 경사진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구명뗏목(120)이 커버부(150)가 생략된 상태에서도 선박(100)의 측면으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자동 낙하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물론 경사면과 더불어 커버부(150)에 의해 구명뗏목(120)이 밀쳐져 수용 공간(111B)으로부터 구명뗏목(120)이 탈출할 수도 있으며, 받침부의 경사각도를 따라 도어부(130)의 개방 각도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수압에 의해 침몰 상황을 센서(160)가 감지하여 도어부(130)가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어 위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구명뗏목(120)이 보관되는 수용 공간(111B)의 출구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되는 커버부(150)를 통해 구명뗏목(120)이 선박(100)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위급 시에 선박(100) 내에 구명뗏목(120)이 갇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선박 111: 선체
111A: 데크 111B: 수용 공간
120: 구명뗏목 130: 도어부
140: 작동부 141: 지지체
142: 액츄에이터 150: 커버부
160: 센서

Claims (10)

  1. 수면 상부에서 선체의 측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마련되되 위급 상황 시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구명뗏목(Life Raft);
    평시에는 상기 구명뗏목을 두른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위급 상황 시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펼쳐져 상기 구명뗏목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구명뗏목을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탈출시키는 커버부;
    상기 위급 상황을 감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전복 시 상기 측면으로 가압되는 수압을 감지하여 상기 도어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잠긴 것을 인식하는 센서; 및
    상시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도어부를 작동시켜 상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뗏목은 상기 도어부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선체로부터 탈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단은 상기 수용 공간의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 시 상기 수용 공간을 가로 질러 상기 구명뗏목의 재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그물 및 천막 형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구명뗏목을 둘러싸도록 신장되고,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 시에는 신장 상태가 수축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부 데크에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의 개폐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내부 데크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로부터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며, 단부의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도어부의 개폐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 시는, 선박의 전복 상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평시에는 상기 구명뗏목을 두른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위급 상황 시 상기 도어부의 개방작동에 연동하여 펼쳐져 상기 구명뗏목을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탈출시키되,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구명뗏목의 상부를 가로지르지 않도록 상기 구명뗏목의 하부를 두르고 상기 구명뗏목의 상부를 노출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 시스템.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구명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90050923A 2019-04-30 2019-04-30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19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23A KR102197285B1 (ko) 2019-04-30 2019-04-30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923A KR102197285B1 (ko) 2019-04-30 2019-04-30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03A KR20200126803A (ko) 2020-11-09
KR102197285B1 true KR102197285B1 (ko) 2020-12-31

Family

ID=7342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923A KR102197285B1 (ko) 2019-04-30 2019-04-30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2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6181A (ja) * 2009-12-01 2011-06-16 Ihi Marine United Inc 膨張式救命いかだ投下装置
KR101725122B1 (ko) * 2016-06-01 2017-04-10 박균복 구명 뗏목의 이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6181A (ja) * 2009-12-01 2011-06-16 Ihi Marine United Inc 膨張式救命いかだ投下装置
KR101725122B1 (ko) * 2016-06-01 2017-04-10 박균복 구명 뗏목의 이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03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3166B2 (ja) 潜水艦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CN104875863A (zh) 一种船舶防倾覆装置
WO2013167805A1 (en) Marine vessel
KR20120019084A (ko) 선박의 침몰 방지 시스템
AU749679B2 (en) System for keeping afloat any type of boat in case of a leak
US7225750B2 (en) Rescue ship for disabled vessels, vessels rescue method, and use of a rescue ship
KR102197285B1 (ko) 구명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US5002430A (en) Oil containment system for emergency use
US5066164A (en) Spill containment device for a ship
RU2469903C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JP6821877B2 (ja) 船舶係留装置
KR101744384B1 (ko)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KR200486375Y1 (ko) 긴급 선외 대피용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047643B1 (ko) 능동 부양형 전복 방지 복원백
US8414341B2 (en) Protective cover for a mooring buoy and method of deployment
KR200299797Y1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WO2020151906A1 (en) Anti-sinking measures for aquatic vessels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KR101150741B1 (ko) 이중선각형 선박의 외벽에 설치되는 도어셀
KR102006901B1 (ko) 해상플랫폼용 개인 긴급 탈출 장치
KR20040027306A (ko) 침몰선박 위치확인장치
KR101977838B1 (ko) 사다리를 가지는 선박용 비상 유도등
KR20140068435A (ko) 선박용 피난 대피처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