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384B1 -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384B1
KR101744384B1 KR1020150021804A KR20150021804A KR101744384B1 KR 101744384 B1 KR101744384 B1 KR 101744384B1 KR 1020150021804 A KR1020150021804 A KR 1020150021804A KR 20150021804 A KR20150021804 A KR 20150021804A KR 101744384 B1 KR101744384 B1 KR 10174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bolt
cabin
explosion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394A (ko
Inventor
이광국
정용은
장현일
이윤혁
이동훈
김동한
이두영
Original Assignee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38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1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non-rigid longitudinal members, e.g. rope or chain ladders, ladders of the lazy-tong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05Breakbolts loosening due to the action of an explosive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07Ship'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53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 B63B2019/0061Locking means for ports, doors, windows, covers, or the like, e.g. providing for watertight closure when locked comprising pivotally supported threaded locking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43/003Arrangements of emergency exits, e.g. for escape from engine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이나 파도 등에 의한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나 선체 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한 부력의 상실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객실 내에 갇힌 승객들이 객실창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객실과, 상기 객실의 객실벽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객실창틀과, 상기 객실창틀에 끼움 결합되어 수밀 고정되는 강화유리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몸체 및 상기 볼트몸체와 연결되는 볼트머리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몸체의 일정부분을 폭발시켜서 분리하기 위한 폭발수단이 구비된 폭발볼트이고, 상기 객실창틀에 근접하여 상기 객실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폭발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볼트를 폭발시키는 폭발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발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가 폭발하여 분리되면서 상기 객실의 객실벽으로부터 상기 객실창틀이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비상탈출장치{APPARATUS FOR ESCAPING IN EMERGENCY OF SHIP}
본 발명은 외력이나 파도 등에 의한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나 선체 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한 부력의 상실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승객들이 침몰되는 선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은 때때로 거친 파도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악조건에서도 화물선은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운송할 수 있어야 하며, 여객선은 승객의 안락과 안전을 보증해야 한다.
이러한 선박이 무거운 짐과 승객을 싣고서도 가라앉지 않고, 바다 위를 떠서 다닐 수 있는 것은 선박이 잠긴 부분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만큼의 부력에 의해 지탱되기 때문이다. 즉, 선박이 떠 있는 것은 선박의 무게와 부력이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선박의 안정성이라 함은 화물의 이동이나 파도에 의해 상술한 평형상태가 깨져서 배가 기울어졌을 때, 전복되지 않고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즉, 평형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을 복원력이라 하는데 복원력의 크기는 배가 기울어졌을 때 배에 작용하는 중력과 부력의 작용점 이동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의 크기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선박의 침몰은 상술한 복원력이 음이 되어 전복하게 되는 것을 말하며, 외력의 작용에 의해서 또는 파도가 심하거나 물살의 변화가 심해 직진안정성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순식간에 배가 기울어 전복하여 침몰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또 다른 선박의 침몰 원인으로는 부력의 상실을 들 수 있는데, 주로 좌초나 선체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해 부력이 없어져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주변해역에 침몰한 선박은 총 653척이고, 침몰된 선박의 실종자는 546명, 사망자는 251명에 달한다. 침몰선박의 사망, 실종과 같은 인명피해는 해마다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2014년 4월 경 일명 '세월호 사건'의 경우 사망자 및 실종자 포함 304명에 달할 정도로 역대 최대의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선박의 침몰시 승객들은 선장이나 선원 및 안전요원 등의 지시에 따라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해야 하지만, 급박한 상황 속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객실에 갇혀 행동반경이 구속되어 수몰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즉,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경찰이나 구조요원들이 침몰되는 선박에 승객의 구조를 위해 도착한 상태라도 객실(10)에 갇혀 있는 승객들을 구하지 못하고 손 놓고 지켜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선박용 객실창(20)의 경우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객실(10)의 객실벽(11)에 고정볼트(21)로 단단히 결합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고, 유리창(22) 역시 엄청난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한 깨지지 않는 특수강화유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박이 침몰되는 과정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기울기 시작하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10) 내 승객들은 객실창(20)으로부터 멀어지고, 객실바닥면을 타고 올라 객실창(20)에 도달하더라도 견고한 객실창(20)을 부수거나 파괴할 힘이나 수단이 없어 선박과 함께 수몰되어 희생될 수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이나 파도 등에 의한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나 선체 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한 부력의 상실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객실 내에 갇힌 승객들이 객실창을 통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박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는, 선박의 객실과, 상기 객실의 객실벽에 고정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객실창틀과, 상기 객실창틀에 끼움 결합되어 수밀 고정되는 강화유리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몸체 및 상기 볼트몸체와 연결되는 볼트머리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몸체의 일정부분을 폭발시켜서 분리하기 위한 폭발수단이 구비된 폭발볼트이고, 상기 객실창틀에 근접하여 상기 객실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폭발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볼트를 폭발시키는 폭발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발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가 폭발하여 분리되면서 상기 객실의 객실벽으로부터 상기 객실창틀이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볼트머리에서 상기 볼트몸체의 내부까지 요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폭발수단은, 상기 요홈부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화약과, 상기 화약을 점화시키는 기폭관과, 상기 폭발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폭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폭발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리드선을 통해 상기 기폭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약이 점화되면서 폭발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객실창틀에 결합되는 창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객실창틀의 하방으로 상기 객실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줄사다리가 수용된 줄사다리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줄사다리함은, 내부가 중공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줄사다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롤(Roll) 형태로 감긴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줄사다리함은, 상기 객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객실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는, 외력이나 파도 등에 의한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나 선체 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한 부력의 상실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객실 내에 갇힌 승객들이 객실벽에 고정 결합되는 객실창틀을 폭발볼트로 제작된 고정볼트의 폭발을 통해 객실벽으로 객실창틀을 분리 이탈시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으므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창틀커버를 통해 고정볼트가 외부의 승객들로부터 보호되므로 오작동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고정볼트의 폭발시 외부의 승객들에게 폭발충격을 커버링할 수 있다.
또한, 줄사다리함의 줄사다리가 선박의 침몰시 객실 내부로 펼쳐짐으로써 승객들이 줄사다리를 이용하여 객실창틀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하고, 폭발스위치부를 작동시켜 폭발볼트로 제작된 고정볼트의 폭발 후 객실벽으로부터 분리된 객실창틀 통해 더욱 쉽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의 침몰시 객실창을 통해 객실 내부에 갇힌 승객들의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객실벽에 고정 결합된 객실창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 중 객실벽에 고정 결합된 객실창틀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측단면도이고,
도 8 및 9는 도 5의 실시예를 통해 비상탈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 및 11은 도 8 및 9의 비상탈출과정에서 고정볼트의 폭발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 내지 17은 도 12의 실시예를 통해 비상탈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는, 도 5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100), 객실창틀(200), 강화유리창(210), 고정볼트(300) 및 폭발스위치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창틀커버(500) 및 줄사다리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300)는 볼트몸체(310), 볼트머리(320), 요홈부(330) 및 폭발수단(340)을 포함하고, 상기 폭발수단(340)은 화약(341), 기폭관(342) 및 리드선(3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줄사다리함(600)은 줄사다리(610), 프레임(620), 도어(630) 및 기울기 감지센서(6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100)은 선박의 내부에 승객들이 수용되는 방으로서, 주로 여객선에 많은 수의 객실(100)이 구비되고, 승객의 안락과 안전을 보증해야 한다. 이러한 객실(100)의 객실벽(110)에 바다가 보이는 방향으로 객실창틀(200)이 고정볼트(300)로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객실창틀(200)에 강화유리창(210)이 끼움 결합되어 수밀 고정된다.
상술한 객실(100), 객실창틀(200), 강화유리창(210) 및 고정볼트(3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선박의 객실(100) 내부의 모습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박의 침몰과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 이러한 선박의 객실(100) 내부로부터 승객들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상술한 객실벽(110)의 객실창틀(200)을 분리 이탈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30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몸체(310) 및 상기 볼트몸체(310)와 연결되는 볼트머리(320)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몸체(310)의 일정부분을 폭발시켜서 분리하기 위한 폭발수단(340)이 구비된 폭발볼트이다. 폭발볼트는, 명칭 그대로 폭발하여 분리되는 볼트로서, 상기 객실(100)의 객실벽(110)에 객실창틀(200)을 폭발볼트로 제작된 고정볼트(300)로 결합 고정하고, 필요시 상기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을 작동시켜 폭발시킴으로써 객실벽(110)으로부터 객실창틀(200)을 분리 이탈시키고자 한다. 이렇게 객실벽(110)으로부터 객실창틀(200)이 분리 이탈되면, 객실벽(110)에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이를 통해 객실(100) 내부에 고립된 승객들이 비상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발스위치부(400)가 구비된다. 즉, 폭발스위치부(400)는 상기 객실창틀(200)에 근접하여 상기 객실벽(11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볼트(300)를 폭발시킨다. 따라서, 도 8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발스위치부(4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300)가 폭발하여 분리되면서 상기 객실(100)의 객실벽(110)으로부터 상기 객실창틀(200)이 이탈되는 것이다. 폭발스위치부(400)는 누름작동 버튼식 또는 회전레버식 등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폭발수단(340)이 전기 작동식인 경우 회로기판이나 배터리 및 마이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00)는 상기 볼트머리(320)에서 상기 볼트몸체(310)의 내부까지 요홈부(330)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은 상기 요홈부(330)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화약(341)과, 상기 화약(341)을 점화시키는 기폭관(342)과, 상기 폭발스위치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폭관(342)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3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트(300)는 상기 폭발스위치부(4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리드선(343)을 통해 상기 기폭관(342)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약(341)이 점화되면서 폭발하여 분리된다.
상술한 폭발스위치부(400)의 경우 객실(100)의 객실벽(110)에 실내를 향해 노출되어 있을 경우, 어린아이나 호기심 많은 승객들의 장난으로 쉽게 눌러져 상기 고정볼트(300)의 폭발수단(340)이 작동될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폭발스위치부(400)의 주위에 경고문구를 새기거나 커버를 씌우는 등 실수로 작동되지 않도록 조처를 취해야 한다. 예컨대, 각 건물 내에 비치된 버튼식 화재경보기를 감싸는 커버류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거나,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있다가 비상시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객실벽(110)에 객실창틀(200)이 고정볼트(300)로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폭발수단(340)의 작동으로 고정볼트(300)가 노출된 채 폭발한다면 승객들에게 폭발물이 비산되어 위험할 수 있고, 또한 리드선(343) 등이 외부로 노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창틀커버(500)는 상기 고정볼트(300)의 볼트머리(320)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객실창틀(200)에 결합된다.
한편, 선박의 침몰시 선박이 도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격하게 기울어진 경우, 성인 남성과 같이 힘이 좋은 승객은 객실바닥면을 타고 객실창틀(200)을 객실벽(110)으로부터 분리한 후 객실(100)을 벗어날 수 있지만,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여성 승객들의 경우 기울어진 객실바닥면을 타고 객실(100)을 벗어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물론, 선박의 경우 사고나 운항 미숙으로 침몰하는 경우에는 해양관제소나 해양경찰들에게 신속하게 위급신호를 보내고, 주위의 어선이나 해양경찰선들이 구조활동을 위해 급히 도달하여 객실창틀(200)만 분리된다면, 밧줄이나 구급장비를 통해 객실(100) 내부의 승객들을 구조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침몰되는 선박의 객실(100) 내부에 승객들이 고립된 상태에서 상술한 구조를 기다리기에는 시간이 늦어질 수 있으므로, 최소한 고립된 객실(100)로부터 신속하게 이탈하여 바다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인명피해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12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실창틀(200)의 하방으로 상기 객실벽(110)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줄사다리(610)가 수용된 줄사다리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 중 최소한 1인이 객실창틀(200)을 객실벽(1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줄사다리함(600)의 내부에 수용된 줄사다리(610)를 꺼내 펼쳐 다른 승객들의 탈출을 도울 수 있다. 이때, 상기 줄사다리함(600)은 내부가 중공인 프레임(620)과, 상기 프레임(6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줄사다리(610)는 상기 프레임(620)의 내부에 롤(Roll) 형태로 감긴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도어(630)의 개방시 상기 프레임(62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펼쳐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줄사다리함(600)은 상기 객실(100)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640)에서 감지한 상기 객실(10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도어(6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640)는 경사각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경사각센서로서, 예컨대 차동 트랜스방식, 포텐쇼 방식 및 토크 밸런스방식의 센서 등이 있으며,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관하다. 다만, 소형, 경량이며 응답성이 뛰어나고 고정밀도, 고분해능을 얻을 수 있는 토크 밸런스방식의 경사각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줄사다리함(600)의 내부에는 기울기 감지센서(640)가 설치될 경우, 제어부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도어(63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작동부 역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제어부에는 기 설정된 기준값으로 60도 및 기 설정된 시간을 10분으로 둔 경우 선박이 침몰하여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640)로부터 감지된 기울기가 65도이고, 10분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630)가 자동으로 개폐되어 줄사다리(610)가 펼쳐지는 것이다. 상술한 기 설정된 시간을 두는 이유는, 선박의 경우 거친 파도 상에서는 수시로 각도가 변하며, 특히 밸런싱하는 과정에서 순간적으로 기울기가 급격하게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울기가 최소한 수분이상 지속되어야 선박의 침몰임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비상탈출장치는, 외력이나 파도 등에 의한 선박의 전복 또는 좌초나 선체 손상 및 폭발 등에 의한 부력의 상실에 따른 선박의 침몰시 객실(100) 내에 갇힌 승객들이 객실벽(110)에 고정 결합되는 객실창틀(200)을 폭발볼트로 제작된 고정볼트(300)의 폭발을 통해 객실벽(110)으로 객실창틀(200)을 분리 이탈시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으므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창틀커버(500)를 통해 고정볼트(300)가 외부의 승객들로부터 보호되므로 오작동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고정볼트(300)의 폭발시 외부의 승객들에게 폭발충격을 커버링할 수 있다.
또한, 줄사다리함(600)의 줄사다리(610)가 선박의 침몰시 객실(100) 내부로 펼쳐짐으로써 승객들이 줄사다리(610)를 이용하여 객실창틀(200)로 접근하기 용이하게 하고, 폭발스위치부(400)를 작동시켜 폭발볼트로 제작된 고정볼트(300)의 폭발 후 객실벽(110)으로부터 분리된 객실창틀(200)을 통해 더욱 쉽게 탈출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객실 110 : 객실벽
200 : 객실창틀 210 : 강화유리창
300 : 고정볼트 310 : 볼트몸체
320 : 볼트머리 330 : 요홈부
340 : 폭발수단 341 : 화약
342 : 기폭관 343 : 리드선
400 : 폭발스위치부
500 : 창틀커버
600 : 줄사다리함 610 : 줄사다리
620 : 프레임 630 : 도어
640 : 기울기 감지센서

Claims (7)

  1. 선박의 객실과, 상기 객실의 객실벽 내측방향으로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객실창틀과, 상기 객실창틀에 끼움 결합되어 수밀 고정되는 강화유리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몸체 및 상기 볼트몸체와 연결되는 볼트머리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몸체의 일정부분을 폭발시켜서 분리하기 위한 폭발수단이 구비된 폭발볼트이고,
    상기 객실창틀에 근접하여 상기 객실벽의 내측방향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폭발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고정볼트를 폭발시키는 폭발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폭발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가 폭발하여 분리되면서 상기 객실의 객실벽으로부터 상기 객실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객실창틀이 이탈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볼트머리에서 상기 볼트몸체의 내부까지 요홈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폭발수단은,
    상기 요홈부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는 화약과, 상기 화약을 점화시키는 기폭관과, 상기 폭발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폭관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리드선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의 볼트머리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객실창틀에 결합되는 창틀커버와, 상기 객실창틀의 하방으로 상기 객실벽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줄사다리가 수용된 줄사다리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줄사다리함은,
    내부가 중공인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줄사다리는,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롤(Roll) 형태로 감긴 상태로 수용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사다리함은,
    상기 객실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객실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KR1020150021804A 2015-02-12 2015-02-12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KR10174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04A KR101744384B1 (ko) 2015-02-12 2015-02-12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04A KR101744384B1 (ko) 2015-02-12 2015-02-12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394A KR20160099394A (ko) 2016-08-22
KR101744384B1 true KR101744384B1 (ko) 2017-06-08

Family

ID=5685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04A KR101744384B1 (ko) 2015-02-12 2015-02-12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7679B2 (en) 2018-05-03 2020-10-20 Seungho KANG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s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03490A (en) * 2020-12-11 2023-08-01 Siemens Mobility GmbH Security system for the comple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9136U (zh) 2010-06-29 2011-02-02 孙林峰 能够快速逃生的车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9136U (zh) 2010-06-29 2011-02-02 孙林峰 能够快速逃生的车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7679B2 (en) 2018-05-03 2020-10-20 Seungho KANG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394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48B1 (ko) 순간 충격에 능동 대응이 가능한 선박의 침몰 방지 장치
US20140014016A1 (en) System for evacuation of personnel from a capsized vessel
AU7664096A (en) Marine personnel rescue system and apparatus
CN104875863A (zh) 一种船舶防倾覆装置
US3107641A (en) Submarine vessel
KR101736541B1 (ko) 선박의 비상탈출 시스템
US20150059636A1 (en) Tsunami Pod
CN205971760U (zh) 舰船防侧翻防沉气囊系统
KR101744384B1 (ko)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CN104890841A (zh) 一种潜艇克服断流层下沉、击穿下沉、沉没快速上浮自救设备
KR20140083952A (ko)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US4281427A (en) Warning and signalling device, especially for maritime purposes
KR20110074803A (ko) 선박의 구명부이 장치
KR101293480B1 (ko) 선박 침몰 방지장치
KR101649802B1 (ko) 선박의 부력증강 및 침몰방지 장치
KR102116400B1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20150051272A (ko) 구조용 선박
JP2014193709A (ja) 津波ポッド及び津波からの保護物を提供する方法
KR20160060954A (ko) 선박용 비상 탈출장치
KR102006901B1 (ko) 해상플랫폼용 개인 긴급 탈출 장치
JP3401562B2 (ja) 双胴式水中観光船
KR102116397B1 (ko) 조난구출 선박용 구명장치
KR101732508B1 (ko) 선박
RU2582589C1 (ru) 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асения людей с аварийного судна
CN216034229U (zh) 车辆落水救援系统及具有其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