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43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43B1
KR101607943B1 KR1020140076661A KR20140076661A KR101607943B1 KR 101607943 B1 KR101607943 B1 KR 101607943B1 KR 1020140076661 A KR1020140076661 A KR 1020140076661A KR 20140076661 A KR20140076661 A KR 20140076661A KR 101607943 B1 KR101607943 B1 KR 101607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nozzle member
protection unit
prote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076A (ko
Inventor
손재만
김병환
박성준
문재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4007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하나 이상 위치되고, 상기 선체의 외부로 액상 또는 젤 상태로 분사된 후 경화되어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 소재를 분사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운항 중 또는 정박하는 상태에서 외부 물체와 충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은 운항 중 또는 정박 시 또 다른 선박과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선박은 해상을 부유하는 물체와 충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충돌을 선박의 파손을 야기한다. 파손의 보수에는 상당한 비용 및 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파손의 정도에 따라 선박은 침몰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체와의 충돌 시 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 가운데 물체와의 충돌로 파손된 부분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하나 이상 위치되고, 상기 선체의 외부로 액상 또는 젤 상태로 분사된 후 경화되어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 소재를 분사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선체의 외면에 분사구가 위치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노즐 부재; 및 상기 보호 유닛을 저장하고,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노즐 부재에 연결되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선체로 접근하는 물체의 여부 또는 상기 선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은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노즐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박은 상기 제어 부재로 상기 노즐 부재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물체와의 충돌 시 선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 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선체 가운데 물체와의 충돌로 파손된 부분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선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보호 유닛이 위치된 선체의 외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선체에서 보호 유닛이 위치된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보호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보호 유닛이 동작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0)은 선체(100) 및 보호 유닛(200)을 포함한다.
선박(10)은 일 목적을 위해 해상을 운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박(10)은 상선, 여객선 일수 있다. 또한, 선박(10)은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드릴쉽(DRILLSHIP), 잭업 리그(JACK-up RIG) 또는 반잠수식 시추선(Semi-submersible)과 같은 석유 시추선 일수 있다.
선체(100)는 선박(10)의 골격을 제공한다. 선체(100)의 내부 또는 상부에는 선박(10)의 운행 목적에 따른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0)에는 원유를 시추, 정제하는 장비 또는 기름을 저장 또는 하역하는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보호 유닛이 위치된 선체의 외면의 확대도이고, 도 3은 선체에서 보호 유닛이 위치된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호 유닛(200)은 노즐 부재(210) 및 센서(250)를 포함한다.
보호 유닛(200)은 선박(10)이 다른 구조물과 직접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다른 구조물과 충돌 시 선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한다. 보호 유닛(200)은 선체(100)에 하나 이상 제공된다. 보호 유닛(200)들이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 보호 유닛(200)들은 선체(1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유닛(200)들 가운데 일부는 상하로 배열될 수 도 있다.
노즐 부재(210)는 분사구(211)가 선체(100)의 외면으로 노출되게 선체(100)에 위치된다. 하나의 보호 유닛(200)에는 하나 이상의 노즐 부재(210)가 포함될 수 있다. 노즐 부재(210)가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노즐 부재(210)는 선체(100)의 둘레를 따라 배열 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부재(210)가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 각각의 노즐 부재(210)는 상하로 배열 되거나, 선체(100)의 측면에 상하 및 둘레 방향에 걸쳐 균일 또는 불균일 하게 배열될 수 도 있다.
노즐 부재(210)는 공급 라인(230)을 통해 탱크(220)와 연결된다. 각각의 보호 유닛(200)에 포함되는 노즐 부재(210)들이 복수 개인 경우, 공급 라인(230)의 일측은 탱크(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노즐 부재(210)들과 동일한 수로 분기된 후 각각의 노즐 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급 라인(230)에는 각각의 노즐 부재(210)의 전방에 밸브(23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밸브(231)는 분기점과 탱크(220) 사이의 구간에 위치될 수 도 있다. 또한, 공급 라인(230)은 노즐 부재(210)와 동일한 수로 제공되어 각각 노즐 부재(210)와 탱크(220)를 연결하고, 각각의 공급 라인(230)에 밸브(231)가 위치될 수 도 있다.
탱크(220)는 노즐 부재(210)를 통해 선체(100)의 외부로 분사되는 보호 소재(도 5의 M)를 저장한다. 보호 소재(M)는 충격량을 흡수 가능한 소재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보호 소재(M)는 스티로폼과 유사한 형상으로,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수축되는 과정에서 충격량을 흡수 가능할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소재(M)는 액상 또는 젤 유사 상태로 탱크(22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소재(M)는 노즐 부재(21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면 고체 상태로 상 변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소재(M)는 외부에서 해수에 포함된 물, 염류, 무기질, 유기질 또는 미생물과 반응하여 고체 상태로 상 변환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보호 소재(M)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급속도로 고체 상태로 상 변환되게 제공될 수 도 있다.
센서(250)는 선체(100)의 외면에 제공된다. 센서(250)는 노즐 부재(210)와 인접한 위치에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센서(250)는 선체(100)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250)는 선체(100) 주위로 접근하는 물체(도 5의 O)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250)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센서(250)는 선체(100)가 외부에서 충격을 받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 도 있다.
도 4는 보호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보호 유닛이 동작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노즐 부재(210)는 센서(250)에서 감지한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될 수 있다. 즉, 센서(250)에서 선체(100)로 접근하는 물체(O)를 감지하거나 물체 물체(O)가 선체(100)와 충돌한 경우, 센서(250)는 신호를 제어 부재(300)로 송신한다. 제어 부재(300)는 신호가 수신되면, 밸브(231)를 개방하는 방식으로 노즐 부재(210)에서 보호 소재(M)가 분사되도록 한다. 선체(100)가 물체와 충돌되기 전에 보호 소재(M)가 분사된 경우, 경화된 보호 소재(M)는 선체(100)와 물체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물체(O)가 선체(100)와 충돌 된 직후 보호 소재(M)가 분사된 경우, 경화된 보호 소재(M)는 물체(O)와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소재(M)는 선체(100) 가운데 물체(O)와의 충돌로 파손된 부분으로 경화되면서 해수가 선체(1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보호 유닛(200)들이 복수 개 제공되는 경우, 보호 유닛(200)에 포함된 센서(250)들 가운데 물체(O)가 접근하는 부분 또는 물체(O)와의 충돌 된 부분에 위치된 센서(250)만이 신호를 제어 부재(300)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 부재(300)는 해당 보호 유닛(200) 또는 해당 보호 유닛(200)과 이에 인접한 보호 유닛(200)에 포함된 노즐 부재(210)를 통해 보호 소재(M)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보호 소재(M)가 분사되도록 직접 조작할 수 도 있다. 즉, 작업자는 선체(100)로 접근하는 물체를 확인한 경우, 입력부(260)를 통해 조작 신호를 입력하여, 노즐 부재(210)에서 보호 소재(M)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선체 200: 보호 유닛
210: 노즐 부재 211: 분사구
220: 탱크 230: 공급 라인
231: 밸브 250: 센서
260: 입력부 300: 제어 부재

Claims (5)

  1. 선체; 및
    상기 선체에 하나 이상 위치되고, 상기 선체의 외부로 액상 또는 젤 상태로 분사된 후 상기 선체 밖에서 경화되어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는 보호 소재를 분사하는 보호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선체의 외면에 분사구가 위치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노즐 부재; 및
    상기 보호 소재를 저장하고,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노즐 부재에 연결되는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유닛은 상기 선체로 접근하는 물체의 여부 또는 상기 선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선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노즐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상기 제어 부재로 상기 노즐 부재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40076661A 2014-06-23 2014-06-23 선박 KR101607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61A KR101607943B1 (ko) 2014-06-23 2014-06-23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61A KR101607943B1 (ko) 2014-06-23 2014-06-23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76A KR20160000076A (ko) 2016-01-04
KR101607943B1 true KR101607943B1 (ko) 2016-04-01

Family

ID=5516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61A KR101607943B1 (ko) 2014-06-23 2014-06-23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747A (ja) * 2001-07-23 2003-01-29 Mitsui Kagaku Sanshi Kk 発泡ポリウレタン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る塗装体
KR100791547B1 (ko) 2007-06-18 2008-01-04 (주) 군장조선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6747A (ja) * 2001-07-23 2003-01-29 Mitsui Kagaku Sanshi Kk 発泡ポリウレタン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る塗装体
KR100791547B1 (ko) 2007-06-18 2008-01-04 (주) 군장조선 선박의 침몰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76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943B1 (ko) 선박
KR101903670B1 (ko) 선박용 펜더 장치
KR101835154B1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유빙 충돌 방지구조
US3109404A (en) Marine fenders
KR101599364B1 (ko) 터릿 유닛 및 터릿 설치 방법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101476833B1 (ko) 해상의 기름 확산 방지를 위한 단위 펜스 모듈
KR20180076513A (ko)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폰툰 구조 및 이를 가지는 해양구조물
KR101680341B1 (ko) 머드 저장용 탱크
KR20210001753A (ko) 선체보호 프로텍터 구조체
KR101400336B1 (ko) 해적선의 접근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505461B1 (ko) 조파 저항 저감장치
KR20140040905A (ko) 반잠수식 시추선의 유빙 충돌 방지구조
JP6380876B2 (ja) 船舶用浸水防止システム及びこれを有する船舶
KR102027520B1 (ko) 착저형 부유식 구조물
KR20190031746A (ko)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KR200482644Y1 (ko) 스트라이킹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머드 탱크
KR101724594B1 (ko) 터렛의 동적거동 저감장치
KR20180034886A (ko) 톱사이드에 구비된 비상탈출장치
KR20160031285A (ko) 분사 장비를 이용한 빙제어 장치
KR101523903B1 (ko) 선박과 파이프의 연결 장치
KR20130003546U (ko)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KR101332446B1 (ko) 탈부착 가능한 이중구조의 고속단정 방현대
KR102297874B1 (ko)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102495459B1 (ko) 다점계류 해양플랜트의 해저시추 유체이송라인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