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46U -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46U
KR20130003546U KR2020110010826U KR20110010826U KR20130003546U KR 20130003546 U KR20130003546 U KR 20130003546U KR 2020110010826 U KR2020110010826 U KR 2020110010826U KR 20110010826 U KR20110010826 U KR 20110010826U KR 20130003546 U KR20130003546 U KR 201300035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hydrant
display pane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웅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546U/ko
Publication of KR20130003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양 구조물, 시추선 등의 소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소화전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소화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급수관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는, 소화전(1)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관(2)의 둘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급수관 프로텍터와;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를 가압하여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에 소화전을 표시하는 문구, 도안이 인쇄된 소화전 표시판(10)에 체결되어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상기 급수관의 둘레부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는 각각 좌우 양측에 제1,2보스(23,24)(33,34)가 구비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의 양측에서 감싸며 서로 체결되는 제1,2프로텍터(20,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2프로텍터의 제1,2보스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관통하는 유볼트(40), 상기 유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2프로텍터를 상기 급수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2너트(50,60)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고정하는 제3너트(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HYDRANT OF FIRE EXTINGUISHING IN OFFSHORE FIXED PLATFORM AND SHIP}
본 고안은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구조물, 시추선 등의 소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소화전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소화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급수관을 보호할 수 있는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항 중인 선박은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는 특성 때문에, 선박에는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가 구비된다. 특히 원거리를 운항하고 탑승인원이 많은 여객선과 같은 선박에는 엄격한 안전규정이 적용된다.
이러한 설비로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 시스템이 적용된다.
소화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면,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관, 소화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소화액을 상기 소화호스에 공급하기 위한 소화전이 포함된다.
한편, 국제적으로 급격하게 산업 및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시설이 개발되어 있다.
즉,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시추선(Drill ship)이나 해양 구조물인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이 사용되고 있다.
많은 탑승객이 탑승하는 대형 유람선은 물론 해양 구조물과 시추선 등에도 소화 시스템이 적용되며, 해양 구조물과 시추선은 작업자의 보호뿐만 아니라 원유와 가스에 의한 화재 발생이 더욱 높고 화재 발생시 막대한 피해가 발생되므로 소화 시스템이 엄격하게 규정되며 선주로부터 이러한 소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소화 시스템에서 소화전은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해양 구조물과 선박(이하 선체라 칭함)의 적재적소에 배치되며, 또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화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선체에는 소화전의 위치를 알려주는 소화전 표시판이 설치된다.
종래 소화전 표시판은 표면에 소화전이라는 문구, 도안, 화재 도안 등이 인쇄되며 소화전의 옆에 별도로 세워지는 지주를 통해 설치된다.
그러나, 지주는 소화전 표시판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일 뿐이며, 따라서, 소화전 표시판과 소화전 간에는 거리가 발생될 것이므로 소화전의 위치를 빠르게 확인하지 못하고 따라서 소화호스를 소화전에 연결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진압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해양 구조물, 시추선 등은 원유와 가스 등의 생산을 위하여 많은 장비들이 구축되어 있으며, 작업 공간을 감안하여 장비들의 위치를 설계하지만 선체에는 넓은 작업공간이 마련되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전 표시판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의 설치시 주변 장비나 구조물 등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어 지주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제한된 면적의 선체에서 소화전 표시판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화전 표시판의 설치가 난해하다.
또한, 지주는 소화전 표시판을 설치하기 위한 전용이므로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반드시 요구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63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0824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 구조물, 시추선 등의 소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소화전의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소화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해양 구조물과 시추선 등에 탑재되는 각종 장비들과 주변 구조물의 간섭을 받지 않고 소화전 표시판을 고정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조물을 사용하지 않고 해양 구조물과 선박에 기 적용되어 있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소화전 표시판을 고정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는, 소화전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관의 둘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급수관 프로텍터와;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를 가압하여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에 소화전을 표시하는 문구, 도안이 인쇄된 소화전 표시판(10)에 체결되어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상기 급수관의 둘레부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는 각각 좌우 양측에 제1,2보스가 구비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의 양측에서 감싸며 서로 체결되는 제1,2프로텍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2프로텍터의 제1,2보스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관통하는 유볼트, 상기 유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2프로텍터를 상기 급수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2너트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고정하는 제3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에 의하면, 소화전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전에 소화전 표시판을 설치하여 소화전 표시판만 보더라도 소화전과 급수전의 위치를 육안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소화전에 소화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고 소화 시스템에 구성되는 급수관에 소화전 표시판을 설치하여 지지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작업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제1,2프로텍터(20,30)는 유볼트(40)와 함께 소화전 표시판(10)을 급수관(2)에 설치할 뿐 아니라, 자체 탄성력을 통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급수관(2)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소화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에 의한 소화전 표시판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는, 급수관(2)의 둘레부에 소화전(1)(표면에 소화전을 표시하는 문구, 도안이 인쇄)의 위치를 표시하는 소화전 표시판(10)을 설치하여 소화전 표시판(10)의 위치만을 보더라도 소화전(1)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급수관(2)의 안에 소화액이 공급되는 점을 감안하여 급수관(2)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도록 급수관 프로텍터와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급수관(2)을 보호하여 소화전 표시판(10)의 설치로 인한 급수관(2)의 손상을 방지하며, 각각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급수관(2)의 양측에서 감싸는 제1,2프로텍터(20,30)로 구성된다.
제1,2프로텍터(20,30)는 급수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탄성패드(21,31), 탄성패드(21,31)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스틸(steel)의 보강판(22,32)으로 구성된다.
탄성패드(21,31)는 급수관(2)의 둘레부에 제1,2프로텍터(20,30)를 결합할 때 유볼트(40)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 변형하면서 급수관(2)에 가해지는 힘을 최소화한다.
보강판(22,32)은 탄성패드(21,31)의 외부에 덧대어져 유볼트(40)와 너트들의 체결시 발생될 수 있는 탄성패드(21,31)의 손상을 막는다.
탄성패드(21,31)와 보강판(22,32)은 유볼트(40)를 통해 체결되므로 서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취급(보관, 운반 등)을 위하여 접착제 등으로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제1,2프로텍터(20,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볼트(40)의 체결시 급수관(2)을 보호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선박에 탑재된 장비 등이 충돌할 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급수관(2)을 보호하는 기능도 한다.
제1,2프로텍터(20,30)는 유볼트(40)의 제1,2볼트부(41,42)가 각각 관통되는 제1,2보스(23,24)(33,34)가 구비된다.
체결수단은 유볼트와 너트로 구성된다.
유볼트(40)는 제1,2프로텍터(20,30)가 급수관(2)에 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소화전 표시판(10)을 고정하는 2가지 기능을 하는 고정볼트의 일 예이며, 즉, 2개의 고정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2개의 고정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이 번거로울 것이므로 유볼트(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볼트(40)의 제1,2볼트부(41,42)는 제1,2프로텍터(20,30)의 제1,2보스(23,33)(24,34)와 소화전 표시판(10)을 관통하며, 제1,2,3너트(50,60,70)를 통해 제1,2프로텍터(20,30)를 급수관(2)에 고정하고 소화전 표시판(10)을 고정한다.
제1,2너트(50,60)는 제1,2프로텍터(20,30)의 반대쪽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제1,2프로텍터(20,30)를 급수관(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지지하고, 제3너트(70)는 소화전 표시판(10)의 전면에 체결되어 소화전 표시판(10)을 제2프로텍터(30)측으로 지지하여 고정한다.
제3너트(70)는 소화전 표시판(10)의 전후 양측에 각각 나사 체결되어 소화전 표시판(10)을 지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소화전(1)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소화전 표시판(10)을 설치하며, 소화전(1)의 위치를 가장 빨리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전 표시판(10)을 급수관(2)에 소화전(1)과 근접되도록 설치한다.
먼저 유볼트(40)의 제1,2볼트부(41,42)에 제1프로텍터(20)의 제1,2보스(23,24)를 끼워 제1프로텍터(20)를 결합한다. 제1프로텍터(20)를 결합하기 전에 제1너트(50)를 제1,2볼트부(41,42)에 체결하여 제1프로텍터(20)의 위치를 셋팅한 후 제1프로텍터(20)를 유볼트(40)에 결합한다.
제1프로텍터(20)가 급수관(2)을 감싸도록 한 후 제1,2볼트부(41,42)에 제2프로텍터(30)의 제1,2보스(33,34)를 결합하여 제2프로텍터(30)를 유볼트(40)에 결합하고, 제2너트(60)를 체결하여 제2프로텍터(30)가 급수관(2)을 감싸도록 한다.
제1,2너트(50,60)는 급수관(2)을 중심으로 하여 제1,2프로텍터(20,30)의 바깥쪽에 체결되어 제1,2프로텍터(20,30)를 급수관(2)의 둘레부에 밀착시키며, 이 과정에서 탄성패드(21,31)는 탄성 변형(압축)되면서 급수관(2)의 둘레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지만 급수관(2)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1,2너트(50,60)의 체결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는 제1,2프로텍터(20,30)의 상하 이동과 회전 이동이 가능하므로 제1,2프로텍터(20,30)의 이동을 통해 소화전 표시판(10)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급수관(2) 주변의 구조물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소화전 표시판(10)을 원거리에서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소화전 표시판(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소화전 표시판(10)을 유볼트(40)의 제1,2볼트부(41,42)에 끼워 조립하고 제3너트(70)를 체결한다.
이로써 소화전 표시판(10)의 설치 작업이 완료된다.
작업자는 소화전 표시판(10)을 보고 소화전(1)과 급수전(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작업자는 소화전 표시판(10)을 육안 확인하여 소화전(1)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고, 신속하게 소화전(1)에 소화호스를 연결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한편, 선박 위의 각종 장비가 소화전 표시판(10)에 충돌하여 소화전 표시판(10)이 파손된 경우 제3너트(70)를 풀고 소화전 표시판(10)을 보수,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즉, 유볼트(40)와 제1,2프로텍터(20,30)를 교체하지 않고 소화전 표시판(10)만을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장비 등이 제1,2프로텍터(20,30)에 충돌하는 경우 제1,2프로텍터(20,30)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장비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급수관(2)을 보호한다.
1 : 소화전, 2 : 급수관
10 : 소화전 표시판, 20,30 : 제1,2프로텍터
21,31 : 탄성패드, 22,32 : 보강판
23,24,33,34 : 보스, 40 : 유볼트
50,60,70 : 너트,

Claims (2)

  1. 소화전(1)에 소화액을 공급하는 급수관(2)의 둘레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재질의 급수관 프로텍터와;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를 가압하여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표면에 소화전을 표시하는 문구, 도안이 인쇄된 소화전 표시판(10)에 체결되어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상기 급수관의 둘레부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 프로텍터는 각각 좌우 양측에 제1,2보스(23,24)(33,34)가 구비된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의 양측에서 감싸며 서로 체결되는 제1,2프로텍터(20,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2프로텍터의 제1,2보스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관통하는 유볼트(40), 상기 유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2프로텍터를 상기 급수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제1,2너트(50,60)와 상기 소화전 표시판을 고정하는 제3너트(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프로텍터는 상기 급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탄성패드(21,31), 상기 탄성패드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보강판(22,3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KR2020110010826U 2011-12-06 2011-12-06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KR201300035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826U KR20130003546U (ko) 2011-12-06 2011-12-06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826U KR20130003546U (ko) 2011-12-06 2011-12-06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46U true KR20130003546U (ko) 2013-06-14

Family

ID=5368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826U KR20130003546U (ko) 2011-12-06 2011-12-06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5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28U (ko) * 2014-01-21 2015-07-29 (주)생활낙원 조립식 매트
CN109011299A (zh) * 2018-07-28 2018-12-18 滁州安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管固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28U (ko) * 2014-01-21 2015-07-29 (주)생활낙원 조립식 매트
CN109011299A (zh) * 2018-07-28 2018-12-18 滁州安阳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管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ritas Risk assessment of pipeline protection
KR101302036B1 (ko) 해양 구조물
US9725863B2 (en) Vertical pneumatic fender and monitoring method for same
CN102745315A (zh) 大型组块浮托安装横荡护舷装置
CN105416508A (zh) 提高舾装先行率的方法
KR20130003546U (ko) 해양 구조물과 선박용 소화시스템의 소화전 표시판 고정장치
KR100659207B1 (ko) 지중선로 보호구
CN111989262B (zh) 系泊装置和包括至少一个系泊装置的浮动单元
KR20140141314A (ko) 회전식 라이트 지지장치
KR100805072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보호구
CN106764078B (zh) 管线海运临时辅助支架的固定工艺
KR102051647B1 (ko) Fpso 호스 비상 릴리스에 대비한 위험방지기구
CN102417015B (zh) 一种内置分离式船体结构抗冲击防护装置
CN210288085U (zh) 一种栈桥基座抗撞结构
KR101122275B1 (ko) 격리밸브 보호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선박용 소화시스템
Tawekal et al. Subsea pipeline protection design subjected to dropped anchor using concrete mattress
KR20130062743A (ko) 수중호스 연결작업용 플랫폼
CN204062271U (zh) 加紧式海洋静态软管弯曲加强器
CN105539766B (zh) 全回转拖船橡胶护舷装置
CN206466140U (zh) 船用护舷端头及船用护舷装置
KR20140066861A (ko) 시추선의 연료유 탱크 보호장치
CN213358560U (zh) 一种新型无需焊接的减轻孔防护装置
CN100389047C (zh) 一种护舷碰垫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101443688B1 (ko) 연결도교를 이용한 함선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