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1746A -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746A
KR20190031746A KR1020170119550A KR20170119550A KR20190031746A KR 20190031746 A KR20190031746 A KR 20190031746A KR 1020170119550 A KR1020170119550 A KR 1020170119550A KR 20170119550 A KR20170119550 A KR 20170119550A KR 20190031746 A KR20190031746 A KR 2019003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ow
liquid cargo
pipelin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4847B1 (ko
Inventor
서가희
김성은
고두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8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선체 내부와 선체 외부 상호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선체의 선수부에 배치되는 로딩라인; 및 상기 로딩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선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체화물의 이동시 상기 선수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선체 전방으로 기 설정 거리만큼 돌출되게 슬라이딩되어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선체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키드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BOW DISCHARGING APPARATUS OF 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하역시 선체 외부로 길게 연장되어 하역용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선체 외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하역용 파이프가 낙하되더라도 선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에서 부유한 상태로 해양도시, 해상공항, 부유식 교량, 항만, 담수플랜트, 원유 및 LNG 비축 기지, 하수처리장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물이다.
부유식 구조물 중에서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해양 플랜트나 석유시추선에서 뽑아낸 원유를 정제 및 가공하고 이를 저장해서 셔틀탱커(Shuttle Tanker)를 이용하여 이송 장소에 하역을 할 수 있는 특수선박이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는 저장 기능을 하는 하부 선체구조와 원유를 생산하고 처리 기능을 하는 상부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는 저장된 원유(화물)를 하역하기 위하여 선체의 선미부에 하역 장치를 설치한 선미 하역 시스템(SDS; Stern Discharge System)을 사용한다.
그러나, 선미 하역 시스템은 바람, 조류 또는 파랑의 작용 방향으로 선수가 움직일 때 선미 부분의 움직이는 동작 범위가 매우 넓어지게 되는바, 선미 하역 시스템에 연결되어 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셔틀탱커도 선미와 함께 넓은 범위를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셔틀탱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으로 하역과 적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선수 하역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선수 하역 시스템은 화물 하역을 위해 선박의 선수 측에 하역용 파이프 라인을 연결하다가 파이프가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 낙하 파이프가 선박의 선수 측 하부에 돌출되어 있는 구상선수(Bulbous Bow)와 충돌하여 선체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45087호 (2015. 04. 2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의 선수 측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경우 파이프 연결라인에서 분리된 파이프가 낙하되더라도 선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역용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선체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체화물을 선체 내부와 선체 외부 상호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선체의 선수부에 배치되는 로딩라인; 및 상기 로딩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선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체화물의 이동시 상기 선수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선체 전방으로 기 설정 거리만큼 돌출되게 슬라이딩되어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선체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키드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키드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라인과 연통되며, 상기 액체화물이 이동되는 연장라인;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선수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라인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선체의 수미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선체의 수미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선박의 선수 측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경우 파이프 연결라인에서 분리된 파이프가 낙하되더라도 선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역용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선체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스키드유닛이 선체의 선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에서 하역용 파이프 라인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의 과정 중 파이프 라인에서 분리된 파이프가 낙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스키드유닛이 선체의 선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는 로딩라인 및 스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선수 하역장치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딩라인(100)은 액체화물을 선체 내부와 선체 외부 상호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선체(10)의 선수부(11)에 배치될 수 있다. 로딩라인(100)은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화물(예컨대, 원유)을 선체(10) 외부의 기타 설비(미도시)로 하역할 수도 있고, 선체(10) 외부의 설비로부터 액체화물을 제공받아 선체(10) 내부로 그 액체화물을 선적할 수도 있다.
선체(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체화물을 로딩(Loading) 또는 언로딩(Unloading)하기 위한 다양한 설비가 제공될 수 있고, 로딩라인(100)은 그 다양한 설비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키드유닛(200)은 로딩라인(100)과 연결되어 선체(10)의 선수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키드유닛(200)은 액체화물이 로딩라인(100)을 통해 이동되는 경우, 즉 액체화물의 하역 또는 선적시 선체(10)의 선수부(11) 끝단으로부터 선체(10) 전방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돌출되게 슬라이딩되어 하역용 파이프 라인(20)과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선체(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스키드유닛(200) 없이 로딩라인(100)의 끝단에 파이프 라인(20)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파이프 라인(20)과 연결되는 지점이 선체(10)에 인접하게 위치하였는바, 이에 따라 파이프 라인(20)의 연결 작업시 파이프가 낙하하는 사고가 발생하면 낙하되는 파이프가 선수부(11) 하부측의 구상선수(12)에 충돌하여 선체(10)를 크게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스키드유닛(200)에 의해 파이프 라인(20)과 연결되는 지점이 선수부(11) 끝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선체(10)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설령 파이프 라인(20)에서 파이프가 분리되어 낙하되더라도 선체(10)와 충돌하지 않아 선체(10)를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키드유닛(200)은 몸체(210)와 연장라인(220) 및 슬라이딩수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스키드유닛(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요소로서, 선체(10)의 선수부(11) 측에 슬라이딩수단(230)을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라인(220)은 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라인(100)과 연통되어 액체화물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210)의 이동에 따라 로딩라인(100)으로부터 돌출되기도 하고 로딩라인(100) 내부로 삽입되기도 하면서 액체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수단(230)은 몸체(210)의 타측에 설치되어 액체화물의 하역 또는 선적시 몸체(210)가 선수부(11)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210)는 액체화물의 하역 또는 선적시 슬라이딩수단(230)에 의해 선수부(11) 외측으로 돌출되며, 액체화물의 하역 또는 선적이 불필요한 경우 선체(10)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라인(220)의 끝단에는 파이프 라인(20)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221)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바, 예컨대 하역용 파이프와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공이 형성된 플랜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키드유닛(200)을 슬라이딩시키는 상기 슬라이딩수단(230)은 랙기어부(231)와 피니언기어부(232) 및 구동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부(231)는 곡률 반경이 무한대인 일자형 기어로서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 선체(10)의 수미방향(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부(232)는 랙기어부(231)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몸체(210)가 선체(10)의 수미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요소일 수 있다. 피니언기어부(232)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부(11) 측 데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33)는 피니언기어부(232)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부(23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33)는 엔진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전기적으로 쉽게 제어가 가능한 양방향 모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체화물의 하역이나 선적이 필요한 경우 상기 구동부(233)가 작동하면 구동부(233)는 상기 피니언기어부(232)를 회전시켜 구동력을 랙기어부(231)에 전달하고, 구동력은 제공받은 랙기어부(231)가 선체(10) 선미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키드유닛(200)의 몸체(210)가 선체(10) 외부로 돌출되거나 비돌출될 수 있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도3은 도2에서 하역용 파이프 라인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도3의 과정 중 파이프 라인에서 분리된 파이프가 낙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키드유닛(200)이 선체(10)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면 액체화물을 하역하거나 선적하기 위해 별도의 파이프 라인(20)을 스키드유닛(200)의 연장라인(220)에 연결할 수 있다. 파이프 라인(20)은 복수 개의 파이프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유식 구조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설비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액체화물의 하역 또는 선적시 파이프 라인(20)을 연결하거나 해체하는 작업 도중 파이프 라인(20)에서 분리된 파이프(21)가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낙하 파이프(21)와 선체(10)(특히, 구상선수(12)) 간의 거리(d)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낙하 파이프에 의한 선체(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선체 11 : 선수부
12 : 구상선수 100 : 로딩라인
200 : 스키드유닛 210 : 몸체
220 : 연장라인 221 : 접속부
230 : 슬라이딩수단 231 : 랙기어부
232 : 피니언기어부 233 : 구동부

Claims (4)

  1. 액체화물을 선체 내부와 선체 외부 상호간에 이동시키기 위해 선체의 선수부에 배치되는 로딩라인; 및
    상기 로딩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선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체화물의 이동시 상기 선수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선체 전방으로 기 설정 거리만큼 돌출되게 슬라이딩되어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는 지점이 상기 선체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키드유닛;
    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유닛은,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라인과 연통되며, 상기 액체화물이 이동되는 연장라인;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선수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라인의 끝단에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부가 형성된,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선체의 수미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부;
    상기 랙기어부에 기어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선체의 수미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피니언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기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KR1020170119550A 2017-09-18 2017-09-18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KR101984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50A KR101984847B1 (ko) 2017-09-18 2017-09-18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50A KR101984847B1 (ko) 2017-09-18 2017-09-18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46A true KR20190031746A (ko) 2019-03-27
KR101984847B1 KR101984847B1 (ko) 2019-05-31

Family

ID=6590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50A KR101984847B1 (ko) 2017-09-18 2017-09-18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8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799A (ko) * 2013-11-04 2014-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적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운반선
KR2014014482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매니폴드 장치
KR20150045087A (ko) 2013-10-18 2015-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수 하역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KR20160000102U (ko) * 2014-07-01 2016-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선박의 카고 매니폴드 드립 트레이용 드레인 배관 회전장치
KR20170054135A (ko) * 2015-11-09 201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827A (ko)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매니폴드 장치
KR20150045087A (ko) 2013-10-18 2015-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수 하역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KR20140001799A (ko) * 2013-11-04 2014-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일 적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운반선
KR20160000102U (ko) * 2014-07-01 2016-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선박의 카고 매니폴드 드립 트레이용 드레인 배관 회전장치
KR20170054135A (ko) * 2015-11-09 201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847B1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8015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типа "spar" для условий потока плавучего льда
CN101356092B (zh) 系泊系统
NO314250B1 (no) Dynamisk posisjonert lasteböye
US3839977A (en) Floating marine terminal
EP3013679B1 (en) Cargo transfer vessel
US20190329693A1 (en) Boat support fram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EP1648804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t sea-side of ship
KR101599452B1 (ko) 터렛용 계류 체인의 손상 방지장치
JP4052406B2 (ja) 洋上移載装置
KR101984847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선수 하역장치
RU2483967C2 (ru) Ледоко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лавающих тел
CN110352159B (zh) 用于联接两艘船的装置
CN107000816A (zh) 在外海上转移货物流体的方法与系统
CN111824338A (zh) 可移动双工位的深浅海精确抛石作业石料输送系统
KR101903670B1 (ko) 선박용 펜더 장치
RU2377155C1 (ru) Морское грузовое судно для подъема,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в пункт приема
KR20150045087A (ko) 선수 하역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구조물
KR101399596B1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US20040261681A1 (en) System for converting existing tankers to shuttle tankers
KR101580976B1 (ko) 채광선
KR20160027392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CN212267778U (zh) 可移动双工位的深浅海精确抛石作业石料输送系统
KR101894362B1 (ko) 스러스터 고정 장치
KR102007734B1 (ko) 벙커링 장치
RU2360828C1 (ru) Подводный спас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