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870B1 - 해양 관측용 부이 - Google Patents

해양 관측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870B1
KR100958870B1 KR1020080008702A KR20080008702A KR100958870B1 KR 100958870 B1 KR100958870 B1 KR 100958870B1 KR 1020080008702 A KR1020080008702 A KR 1020080008702A KR 20080008702 A KR20080008702 A KR 20080008702A KR 100958870 B1 KR100958870 B1 KR 10095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observation
flange
cover
ma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2764A (ko
Inventor
박창엽
Original Assignee
태양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기계(주) filed Critical 태양기계(주)
Priority to KR102008000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8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8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해수면에 하부가 수장되고 상부가 노출되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몸체(120)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110)와; 상기 몸체(120) 내부에 형성된 충진재(130)와; 상기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한 덮개(150)와; 상기 덮개(150)에 기상관측계를 하나 이상 형성한 폴(160)과; 상기 몸체(120) 내부에 형성한 전자장비(140)와; 상기 폴(160)에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기(170)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해양에 균형부재가 체인, 닻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파랑에 의하여 부이가 요동할 경우, 내부에 설치된 전자장비가 충진재에 의하여 보호되면서 요동이 최소화 되어 기상관측계에서 관측한 관측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해양, 부이, 기상관측계, 전자장비, 몸체

Description

해양 관측용 부이{BUOY FOR OCEANOGRAPHIC OBSERVATION}
본 발명은 해양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환경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해양의 해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또는 암초·침몰선 등 항해양의 위험물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용, 해류의 흐름, 표층수온, 기압, 풍향, 풍속 등과 같은 기상 정보를 감지하여 자체 내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여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 등이 있다.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는 강, 호수 또는 바다 위에서 표류하면서 파향이나, 파고, 해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자체 내에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된 해양 기상 정보를 수시로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해양 기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해양관측용 부이는 관측장비 및 송수신 장비와 부이가 고정되 는 형태로서, 파랑에 의하여 부이가 요동할 경우, 내부에 설치된 장비이 요동하게 되므로, 정확한 관측과 관측치 및 제어신호의 안정적인 송수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진 구조체를 해수면에 부상시킴으로써 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들 뿐 아니라 기상 조건의 악화시 해류 등에 의해 손실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종류의 해양 관측용 부이가 선보이고 있으나, 그 외관 및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해양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해양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비 자체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재질을 스테인레스로 형성하면서, 몸체와 덮개의 플랜지를 용접방식으로 고정하면서 덮개가 밀착되는 부분에 오링을 삽입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덮개를 플렌지에 볼트로 체결하도록 하여 몸체의 내부에 형성한 공간부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장비를 보호하도록 우레탄폼을 충진한 해양 관측용 부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하부가 수장되면서 상부측이 수면으로 노출되며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 힌지를 일측에 구비한 플렌지를 형성시킨 몸체와; 상기 수장된 몸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 하부에 충진되어 공간부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형성하면서, 전원수단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부를 형성한 충진재와; 상기 몸체의 플렌지에 일측이 힌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상관측계를 형성한 폴과;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기상관측계에서 관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전자장비 및; 상기 폴의 일측에 전자장비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부재의 상부에 체결수단을 형성하고, 몸체의 저면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결합공을 형성하여 몸체와 균형부재가 분리 결합 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의 몸체는; 해수에 수장되는 하부몸체와; 해수면에 노출되는 상부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를 상호 접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접합된 외측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수밀띠를 구성한다.
삭제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몸체의 플렌지 상면에 플렌지띠홈을 형성하고, 플렌지와 대향되는 덮개의 저면에 플렌지띠홈과 대응되는 덮개띠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수밀링을 삽입시키고, 플렌지와 덮개를 결합부재로 고정시켜 수밀링이 압착되면서 해수가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의 폴에 형성한 기상관측계는; 상기 폴의 기상관측계는 기압계, 풍향계, 풍속계로 구성되며,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몸체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의 일측에 해류의 유속을 측정하도록 유속센서를 형성하여 해양 기상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의 폴 상부측으로 부이의 위치,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도록 섬광등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해수에 수장된 몸체의 하부몸체 외측에 전자장비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형성하여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덮개의 상면에 운반고리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를 해수로부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재질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파랑에 의하여 부이가 요동할 경우, 내부에 설치된 전자장비가 충진재에 의하여 보호되면서 요동이 최소화 되어 기상관측계에서 관측한 관측치 및 제어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부이 전체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면서 부식을 방지하게 되고, 몸체가 안정적인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해수에 수장되어 고정되는 균형부재의 체결수단에 몸체를 간편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어 조립성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성이 향상되면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덮개가 힌지를 중심으로 플렌지에서 개폐되면서 공간부에 형성한 전자장비의 점검이 용이하여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는; 덮개와 플렌지가 결합되면서 대응되는 띠홈 내부에 수밀링이 삽입되면서 플렌지와 덮개가 결합공의 체결 고정되면서 내부에 형성한 띠홈에 수밀링을 형성하게 되면서 수밀성이 향상되어 공간부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아 전자장비를 호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해수감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플렌지와 덮개의 결합부분 확대도이고,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몸체와 균형부재의 결합부분 확대도이며,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계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100)는; 해수면에 하부가 수장되고 상부가 노출되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몸체(120)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110)와; 상기 몸체(120) 내부 에 형성된 충진재(130)와; 상기 몸체(120)의 상면에 형성한 덮개(150)와; 상기 덮개(150)에 기상관측계를 하나 이상 형성한 폴(160)과; 상기 몸체(120) 내부에 형성한 전자장비(140)와; 상기 폴(160)에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기(170)로 구성한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몸체(120)는; 상부측이 수면에 노출되면서 하부측이 수중에 수장되어 균형부재(110)와 분리 결합도록 체결수단(111)이 결합되는 결합공(128)을 하부에 형성한다.
그리고, 몸체(120)의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121)를 형성하면서, 상면에는 힌지(123)를 일측에 구비한 플렌지(122)를 형성하면서, 플렌지(122)의 상면일측으로 수밀링(125)이 안착되는 홈 형태의 플렌지띠홈(124)을 구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몸체(120)를 수중에 수장되는 하부몸체(120b)와; 수면에 노출되는 상부몸체(120a)로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몸체(120b)와 상부몸체(120a)를 상호 접합하여 일체로 구성한다.
나아가, 상기 하부몸체(120b)와 상부몸체(120a)가 접합된 외측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키도록 수밀띠(126)를 구성하여 공간부(121)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균형부재(110)는; 몸체(120)의 하부에서 수직하향으로 형성하여 하부가 수장된 몸체(120)가 넘어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수중에 수장되면서 파랑 등에 의하여 움직을 예방하도록 하부측에 체인 또는 닻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균형부재(110)의 하부에는 해류를 측정하도록 유속센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직경이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증하도록 형성하여 설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균형부재(110)의 형상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충진재(130)는; 몸체(120)의 공간부(121) 하부에 우레탄 폼으로 충진되어, 외력으로 부터 내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밧데리와 같은 전원수단(190)을 공간부(121) 내부에 설치하여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충진재(130)에 전원수단(190)이 고정되는 설치공간부(13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덮개(150)는; 몸체(120)의 플렌지(122)에 형성한 힌지(123)에 일측을 결합하여 힌지(123)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며, 상면 일측으로 운반고리(153)를 구성한다.
아울러, 몸체(120)의 플렌지(122)와 대향되는 덮개(150)의 저면에 플렌지띠홈(124)에 안착된 수밀링(125)이 삽입되도록 플렌지띠홈(124)과 대응되는 덮개띠홈(151)을 구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플렌지띠홈(124), 덮개띠홈(151)으로 삽입된 수밀링(125)이 압착되도록 플렌지(122)와 덮개(150)를 고정하는 결합부재(15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덮개(150)의 상면에는 기상관측계(180) 중 하나인 풍향계(182)를 구성하여 해풍이 불어오는 방향을 관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폴(160)은; 덮개(150)의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폴(160)의 상단부에는 기상관측계(180) 중 하나인 풍속계(181)를 구성하여 해풍이 부는 세기를 관측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폴(160)의 일측으로 전원수단(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야간시 불빛이 점멸되어 부이(100)의 위치 와 선박의 항로를 안내 할 수 있도록 섬광등(161)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전자장비(140)는; 유속센서(112)에 의해 관측된 해류방향, 온도센서(127)에 의해 관측된 수온, 풍향계(182)에 의해 관측된 풍향, 풍속계(181)에 의해 관측된 풍속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처리부(141), 처리된 데이터를 기록과 저장하는 메모리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의 송수신기(170)는; 폴(1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자장비(140)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메모리부(142)에 저장된 기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외부에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100)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여 해수에 의해 부식을 예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양 관측용 부이의 작용 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균형부재(110)를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고, 상부측으로 체결수단(111) 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균형부재(110)의 하부에는 해수를 흐름을 측정하는 유속센서(112)를 형성하며, 심해가 깊은경우 균형부재를 복수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힌지(123)를 구비한 플렌지(122)를 상면에 형성시킨 상부몸체(120a)와 온도센서(127)를 구비한 하부몸체(120b)를 접합하여 내부에 공간부(121)를 구비한 몸체(1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120)의 하부몸체(120b) 저면에 결합공(128)을 형성하여 균형부재(110)의 체결수단(111)에 견고히 결합하게 되며, 이때 하부몸체(120b)가 수중에 수장되게 된다.
나아가, 하부몸체(120b)와 상부몸체(120a)가 접합된 외측 부분에 수밀띠(126)를 형성하며, 수밀띠(126)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면서 해수가 공간부(12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공간부(121) 하부에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충진재(130)를 형성하게 되면서 외부충격으로 부터 전자장비(140), 전원수단(190)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충진재(130)에 전원수단(190)이 장착되는 홈 형태의 설치공간부(131)가 형성되면서 전원수단(19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공간부(121)의 상부에 회로적으로 구성된 전자장비(140)를 장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플렌지(122)의 힌지(123)에 덮개(150)를 회동되도록 결합하여 힌지(123)를 중심으로 개폐되면서 공간부(121)를 폐쇄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간부(121) 폐쇄시 기밀성이 향상되어 공간부(121)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덮개(150)가 플렌지(122)에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부재(152)로 상호 결합하여 플렌지띠홈(124)과 덮개띠홈(151)으로 삽입된 수밀링(125)이 압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덮개(150)의 상면에는 폴(160)을 설치하여, 전자장비(140)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풍속계(181), 풍향계(182), 기압계(183)와 같은 기상관측계(180)를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폴(160)의 상부측에 야간에 부이(100)의 위치 및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도록 전원수단(1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섬광등(161)을 결합하도록 한다.
아울러, 덮개(150)의 상면에 운반고리(153)를 형성하여 몸체(120)가 균형부재(110)와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120)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부이(100)가 해양에 설치되면, 몸체(120)가 해수면에서 균형부재(110)가 무게중심을 유지하게 되면서 부유하게되며, 이때 균형부재(110)의 하부가 체인, 닻 과 같은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면서 파랑 발생시 이동하지 않고 현 자리에 지속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수단(190)에 의하여 섬광등(161)이 작동되며, 기상관측계(180)의 풍속계(181)가 해풍이 부는 속도를 측정하게 되고, 풍향계(182)가 해풍이 부는 방향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기압계(183)가 현 위치의 기압과 고도를 측정하게 되고, 온도센서(127)가 수온을 측정하게 되며, 유속센서(112)가 해류의 흐름을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된 데이터는 전자장비(140)의 처리부(141)에서 입력받아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게 되며, 처리된 데이터는 메모리부(142)에서 기록과 저장을 하게된다.
그리고, 저장된 각종 데이터는 송수신기(170)를 통하여 관측소 등으로 송신하게 되며,
아울러, 관측소 등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송수신기(170)에서 입력받게 되어 부이(100)를 제어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를 나타낸 정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를 나타낸 평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몸체와 균형의 결합부분 확대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플렌지와 덮개의 결합부분 확대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관측용 부이의 계통을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부이 110: 균형부재
111: 체결수단 112: 유속센서
120: 몸체 120a: 상부몸체
120b: 하부몸체 121: 공간부
122: 플렌지 123: 힌지
124: 플렌지띠홈 125: 수밀링
126: 수밀띠 127: 온도센서
128: 결합공 130: 충진재
131:설치공간부 140: 전자장비
141: 처리부 142: 메모리부
150: 덮개 151: 덮개띠홈
152: 결합부재 153:운반고리
160: 폴 161: 섬광등
170: 송수신기 180: 기상관측계
181: 풍속계 182: 풍향계
183:기압계 190: 전원수단

Claims (9)

  1. 하부가 수장되면서 상부측이 수면으로 노출되며 내부에 상면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면에 힌지를 일측에 구비한 플렌지를 형성시킨 몸체와;
    상기 수장된 몸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 하부에 충진되어 공간부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하도록 형성하면서, 전원수단이 설치되도록 설치공간부를 형성한 충진재와;
    상기 몸체의 플렌지에 일측이 힌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상관측계를 형성한 폴과;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기상관측계에서 관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 및 저장하는 전자장비 및;
    상기 폴의 일측에 전자장비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균형부재의 상부에 체결수단을 형성하고, 몸체의 저면에 체결수단이 체결되도록 결합공을 형성하여 몸체와 균형부재가 분리 결합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장되는 하부몸체와; 수면에 노출되는 상부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를 상호 접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접합된 외측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키 도록 수밀띠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플렌지 상면에 플렌지띠홈을 형성하고, 플렌지와 대향되는 덮개의 저면에 플렌지띠홈과 대응되는 덮개띠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수밀링을 삽입시키고, 플렌지와 덮개를 결합부재로 고정시켜 수밀링이 압착되면서 해수가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의 기상관측계는 기압계, 풍향계, 풍속계로 구성되며,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몸체 하부에 형성한 균형부재의 일측에 해류의 유속을 측정하도록 유속센서를 형성하여 해양 기상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 측용 부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의 상부측에 부이의 위치, 선박의 항로를 안내하는 섬광등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7. 청구항 2에 있어서,
    해수에 수장된 몸체의 하부몸체 외측에 전자장비와 연결된 온도센서를 형성하여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면에 운반고리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양 관측용 부이를 해수로부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관측용 부이.
KR1020080008702A 2008-01-28 2008-01-28 해양 관측용 부이 KR10095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02A KR100958870B1 (ko) 2008-01-28 2008-01-28 해양 관측용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02A KR100958870B1 (ko) 2008-01-28 2008-01-28 해양 관측용 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64A KR20090082764A (ko) 2009-07-31
KR100958870B1 true KR100958870B1 (ko) 2010-05-20

Family

ID=4129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702A KR100958870B1 (ko) 2008-01-28 2008-01-28 해양 관측용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8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96Y1 (ko) * 2014-01-07 2014-03-28 이재홍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KR102240126B1 (ko) 2020-02-28 2021-04-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종의 해양표층요소 획득을 위한 관측시스템
KR102311739B1 (ko) 2021-07-28 2021-10-14 대한민국 파랑에 강한 해양관측부이의 구조
KR102361654B1 (ko) 2020-09-25 2022-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정성이 향상된 해양표층관측 관측시스템
KR102485655B1 (ko) 2022-09-13 2023-01-10 (주)대한엔지니어링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063B1 (ko) * 2014-04-01 2014-08-07 제용근 해양 관측 등부표
CN111077337A (zh) * 2019-12-20 2020-04-28 佛山世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水流测速仪
KR102233817B1 (ko) 2020-12-18 2021-03-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플랫폼형 라그랑주 자료수집 부자
CN112623119B (zh) * 2021-01-06 2021-11-02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洋监测浮标
CN112874694B (zh) * 2021-01-20 2022-02-08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定点观测的溢油报警浮标装置
CN113022787A (zh) * 2021-02-08 2021-06-25 大连理工大学 一种海洋环境监测的小型浮标抗冰结构
KR102533954B1 (ko) * 2021-02-10 2023-05-26 이수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CN114771735B (zh) * 2022-03-28 2023-06-23 大连理工大学 一种具有防冰性能的海洋环境监测浮标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633A (en) * 1978-07-25 1980-02-12 Zeniraito V:Kk Buoyancy body
JPH0375097U (ko) * 1989-11-27 1991-07-29
JP2001278183A (ja) * 2000-03-29 2001-10-10 Matsushita Seiko Co Ltd ブ イ
KR100640291B1 (ko) * 2004-10-29 2006-12-0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력변환장치 및 부력 변환장치를 이용한 수중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633A (en) * 1978-07-25 1980-02-12 Zeniraito V:Kk Buoyancy body
JPH0375097U (ko) * 1989-11-27 1991-07-29
JP2001278183A (ja) * 2000-03-29 2001-10-10 Matsushita Seiko Co Ltd ブ イ
KR100640291B1 (ko) * 2004-10-29 2006-12-05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력변환장치 및 부력 변환장치를 이용한 수중측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96Y1 (ko) * 2014-01-07 2014-03-28 이재홍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KR102240126B1 (ko) 2020-02-28 2021-04-1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종의 해양표층요소 획득을 위한 관측시스템
KR102361654B1 (ko) 2020-09-25 2022-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정성이 향상된 해양표층관측 관측시스템
KR102311739B1 (ko) 2021-07-28 2021-10-14 대한민국 파랑에 강한 해양관측부이의 구조
KR102485655B1 (ko) 2022-09-13 2023-01-10 (주)대한엔지니어링 이송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부유식 해양 기상 관측용 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2764A (ko) 200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167685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531321B1 (ko)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KR101841594B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KR100848032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WO2015194062A1 (ja) 海洋データ計測システム
JP4453842B2 (ja) 海中プラットホーム
US4138752A (en) Marine buoy
CN104627323A (zh) 一种投弃式气象漂流浮标
CN203294291U (zh) 一种海洋水文参数测量导航浮标
KR102343922B1 (ko) 침몰 선박 위치 식별 장치
KR101645240B1 (ko) 간접계류식 해양관측용 부이장치
CN112407154A (zh) 一种浮标系统
CN105691556A (zh) 海洋环境噪声源记录浮标
RU2294000C1 (ru) Мор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донная станция для сейсморазведки и сейсмолог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CN214267883U (zh) 一种浮标系统
US4448068A (en) Shallow water environmental/oceanographic measurement system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Allen et al. Field determination of the leeway of drifting objects
KR101019657B1 (ko) 음파 유속계의 계류 장치
KR101521292B1 (ko) 해양관측용 소형 부표추적기
KR20180044689A (ko) 비상 대피 기능을 가진 부이
RU2381530C1 (ru) Мор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дон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еофизических и геологоразведочных работ
KR100832679B1 (ko)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Meindl Guide to Moored Buoys and Other Ocean Data Acquisi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