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594B1 -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594B1
KR101841594B1 KR1020160041409A KR20160041409A KR101841594B1 KR 101841594 B1 KR101841594 B1 KR 101841594B1 KR 1020160041409 A KR1020160041409 A KR 1020160041409A KR 20160041409 A KR20160041409 A KR 20160041409A KR 101841594 B1 KR101841594 B1 KR 10184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bservation
housing
buoy
sens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480A (ko
Inventor
서영교
김임학
김종규
Original Assignee
지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5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서 표류가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 상기 부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계류로프; 상기 계류로프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 상기 계류로프와 연결되어 상기 계류로프를 통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고, 상기 센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부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방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여 물과 이물질의 출입이 차단되어,
부이를 이용하여 수중 해양환경 관측을 함에 있어서 심도별 해양환경 요소들을 측정할 때 각각의 관측센서들을 방수부재를 이용하여 거치하면서 부력이나 자중을 부여하여 설정된 심도별 배치가 가능하여 물이나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각각의 관측센서들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THE BUOYANCY DEVICE EQUIPPED WITH A WATERPROOF FORMULA OCEAN OBSERVATION}
본 발명은 해양 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이를 이용하여 관측하는 경우에 방수기능이 구비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심도별 정확한 해양환경 관측이 가능한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환경의 관측을 위하여 사용되는 관측장비는 해양이라는 설치영역의 특성상 유인화(有人化)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관측장비의 설치와 관측자료의 수집 및 관측기기의 제어 측면에도 많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는 데이터로거(Data logger) 등의 자체기록장치를 환경측정용 센서기구와 함께 관측장비에 탑재시켜 관측자료를 자동으로 수집한 다음 이를 정기적으로 회수하거나, 무선통신에 의하여 관측기기를 제어하고 관측자료를 송, 수신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해양환경 관측장비에는 데이터로거 등의 자체기록장치 및 센서기구와 더불어, 이들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와, 제어신호 및 관측자료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장치와, 관측장비의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다양한 보조기구가 추가로 탑재되며, 이들은 대부분 전기,전자기기에 해당하므로 해상의 열악한 부식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측기기의 보호 및 수밀처리(水密處理) 등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그러나, 기존의 해양환경 관측장비는 소정의 부력을 가지는 부이(Buoy) 또는 폰툰(Pontoon) 등의 부체 상부에 관측기기를 탑재시키거나, 수밀처리된 상태로 부체와 결속되는 별도의 하우징에 관측기기를 내장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서, 관측장비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이고, 관측기기가 외부로 노출되어 선박 또는 표류물(漂流物) 등과의 충돌에 따른 파손의 위험성 또한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예가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87289호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에서 개시 되었다.
종래기술은 해저면의 앵커수단과 계류로프로 연결되어 해수면을 부유하면서 해당 수역의 해양환경을 측정하는 한편, 측정된 각종 환경데이터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육상의 관측시스템으로 전송시키도록 한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측부이에 탑재된 장비의 가동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케이싱 또는 콘크리트블록이 내장된 무게추케이싱을 상기 배터리케이싱과 함께 해저면으로 안착시켜 이를 앵커수단으로 활용토록 함에 따라, 관측부이의 실질적인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동시에, 대용량 배터리의 손쉬운 적용을 통하여 관측부이의 가동기간을 최대한으로 확보토록 하며,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콘크리트앵커를 배제시키거나 콘크리트와 해수의 접촉을 차단시킨 상태로 콘크리트앵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배터리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라인을 계류로프와 함께 관측부이와 연결시킴으로서, 관측부이가 보다 안전하고 유연하게 계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양환경의 측정에 필요한 센서기구를 요구하는 수심층별로 용이하게 매달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관측부이의 부이본체 중심부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플랜지파이프의 내부에 데이터로거를 구비하는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유닛 및 GPS 등을 내장시킴으로서, 해당 장비의 안전한 보호와 손쉬운 유지보수가 가능토록한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에 관한 것이다.
한편, 기존의 계류타입의 센서케이블은 센서, 계류라인, 보호케이스 등의 무게로 인하여 가라앉기 때문에 계류라인의 상부에 중간 부력구를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지구환경의 변화로 인한 환경오염 및 양식장의 대량폐사, 해양연구 등을 목적으로 많은 해양관측시스템을 해양에 설치하여 운용중이다.
수중의 층별 해양환경을 관측함에 있어서 기존의 관측부이 및 관측시스템은 조석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수직으로 내려서 관측하였으나, 이 방법은 조석으로 인한 수심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정확한 층별 관측이 매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531321호(발명의 명칭: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부이를 이용하여 수중 해양환경 관측을 함에 있어서 심도별 해양환경 요소들을 측정할 때 각 요소별 센서 등에 부력이나 자중을 부여하여 설정된 심도별 배치가 가능하며, 물이나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각 요소별 센서 등을 보호하는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센서들의 작동을 관리하고 해양관측 자료들을 저장하는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는, 해양에서 표류가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 상기 부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이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계류로프; 상기 계류로프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 및 상기 계류로프와 연결되어 상기 계류로프를 통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고, 상기 센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부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모듈은, 방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여 물과 이물질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계류로프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심도별 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 상기 센서유닛들과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심도별 해양환경 관측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송신하는 센서케이블; 및 상기 센서유닛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케이블을 수용하면서 연결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콘센트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해양환경을 관측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관측센서; 및 상기 관측센서를 감싸면서 마감하여 상기 관측센서를 물과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관측센서와 상기 센서케이블이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면서 거치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거치프레임과 밀봉되게 결합되면서 상기 관측센서에 물과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의 단면형상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상기 센서케이블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을 밀봉시키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지지대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관측센서가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상기 거치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단을 밀봉시키는 하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계류로프와 연결되어 상기 부이의 표류위치를 고정시키는 함체형의 고정박스; 및 상기 고정박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상기 센서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측 장치는, 상기 하우징내의 공간부분에 채워져 상기 하우징내 상기 관측센서를 해양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을 연직 계류시키는 방호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는, 부이를 이용하여 수중 해양환경 관측을 함에 있어서 심도별 해양환경 요소들을 측정할 때 각각의 관측센서들을 방수부재를 이용하여 거치하면서 부력이나 자중을 부여하여 설정된 심도별 배치가 가능하여 물이나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각각의 관측센서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해 관측센서들의 작동을 관리하고 해양관측 자료들을 저장하여 데이터화하여 향후에 해양 연구나 개발 작업에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상기 센서유닛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방수부재의 분해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3은 상기 센서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방수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이(100), 계류로프(200), 센서모듈(300), 고정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이(100)는 해양에서 표류가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계류로프(200)는 부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부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계류로프(200) 또는 계류삭(mooring rope, mooring line, mooring wire)은 선박을 계류하기 위해 선박에 설치한 로프로 나일론 로프, 섬유로프, wire rope 등을 말하며, 최근에는 대부분 나일론 로프를 Mooring Hawser로 사용하고, LNG선을 포함한 대형선에서는 Wire rope hawser를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센서모듈(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며 계류로프(20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해양환경을 관측할 수 있다.
센서모듈(300)은 방수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여 물과 이물질의 출입이 차단될 수 있다.
센서모듈(300)은 센서유닛(310), 센서케이블(320) 및 케이블 콘센트박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며 계류로프(20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심도별 해양환경을 관측할 수 있다.
센서유닛(310)은 관측센서(312)와 방수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측센서(312)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해양환경을 관측하여 컨트롤러(5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측센서(312)는 수압센서, 온도센서, 염도측정센서 등이 있다.
상기 방수부재(600)는 관측센서(312)를 감싸면서 마감하여 관측센서(312)를 물과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방수부재(600)는 거치프레임(610)과 하우징(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610)은 관측센서(312)와 센서케이블(320)이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면서 거치될 수 있다.
거치프레임(610)은 지지대(612), 커버플레이트(614), 거치플레이트(616) 및 하단플레이트(6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612)는 하우징(6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하우징(6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614)는 지지대(612)의 상단에 하우징(62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센서케이블(320)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우징(620)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하우징(620)을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플레이트(616)는 지지대(612)의 설정된 위치에 커버플레이트(6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관측센서(312)가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단플레이트(618)는 지지대(612)의 하단에 거치플레이트(616)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하우징(620)의 하단을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620)은 거치프레임(610)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어 거치프레임(610)과 밀봉되게 결합되면서 관측센서(312)에 물과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하는 동시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워진 공기(AIR)에 의해 센서유닛(310)이 자체적인 부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해저면의 고저에 관계없이 해수면으로부터 일정한 수심층의 해양환경을 관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620)은 경량이며 내구성이 뛰어난 PVC 등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620)과 거치프레임(610)의 결합이 더욱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우징(620)과 거치프레임(610) 사이에 오링 같은 실링재를 사용하여 밀착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상기 센서케이블(320)은 센서유닛(310)들과 컨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심도별 해양환경 관측신호를 컨트롤러(500)에 송신할 수 있다.
센서케이블(320)과 방수부재(600)의 연결은 케이블 그랜드(321)를 이용하여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그랜드(321)는 전기접속함에 인입 또는 인출선을 시설할 경우 외부와의 공기나 수분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선도구로서, 사용을 쉽게 하기 위해서 전선(케이블)을 관통시키고 조이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콘센트박스(330)는 센서유닛(3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센서케이블(320)을 수용하면서 연결시키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400)은 계류로프(200)와 연결되어 계류로프(200)를 통해서 부이(100)와 센서모듈(300)을 고정시키고, 센서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고정유닛(400)은 고정박스(410)와 배터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박스(410)는 함체형으로 제작되며 계류로프(200)와 연결되어 부이(100)의 표류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420)는 고정박스(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센서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부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센서모듈(300)과 연결되어 센서모듈(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모듈(300)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호유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호유체는 하우징(620)내의 공간부분에 채워져 하우징(620)내 관측센서(312)를 해양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자중에 의해 센서유닛(310)을 연직 계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모선이나 지상의 기지국에서 원격제어를 통해서 관측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해양 관측 자료 등의 수집이 가능하다.
본 발명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행양 관측 장치의 운용방법으로, 작업자는 계류로프(200)를 이용하여 부이(100)와 고정유닛(400)을 연결하고 계류로프(200)의 설정된 위치에 센서모듈(300)을 복수로 설치하여 심도별로 관측한 해양관측 자료를 컨트롤러(5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센서케이블(320)을 통해서 컨트롤러(500)와 고정유닛(400)의 배터리(420)에 연결되어 센서유닛(31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센서유닛(3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관측 장치의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부이 200 : 계류로프
300 : 센서모듈 310 : 센서유닛
312 : 관측센서 320 : 센서케이블
321 : 케이블 그랜드 330 : 케이블 콘센트박스
400 : 고정유닛 410 : 고정박스
420 : 배터리 500 : 컨트롤러
600 : 방수부재 610 : 거치프레임
612 : 지지대 614 : 커버플레이트
616 : 거치플레이트 618 : 하단플레이트
620 : 하우징 700 : 방호유체

Claims (7)

  1. 해양에서 표류가 가능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이(100);
    상기 부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부이(1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계류로프(200);
    물과 이물질의 출입이 차단되어 방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류로프(20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모듈(300);
    상기 계류로프(200)와 연결되어 상기 계류로프(200)를 통해 상기 부이(100)와 상기 센서모듈(300)을 고정시키고, 상기 센서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정유닛(400); 및
    상기 부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300)과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서모듈(300)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센서모듈(300)은,
    상기 계류로프(20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심도별 해양환경을 관측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유닛(310);
    상기 센서유닛(310)들과 상기 컨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심도별 해양환경 관측신호를 상기 컨트롤러(500)에 송신하는 센서케이블(320); 및
    상기 센서유닛(3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케이블(320)을 수용하면서 연결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콘센트박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유닛(310)은,
    수압센서, 온도센서, 염도측정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해양환경을 관측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로 전송하는 관측센서(312); 및
    상기 관측센서(312)와 상기 센서케이블(320)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거치되는 거치프레임(610) 및 상기 거치프레임(610)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거치프레임(610)과 밀봉되게 결합되어 상기 관측센서(312)에 물과 이물질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하우징(6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수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610)은,
    상기 하우징(6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게 제작되어 상기 하우징(6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대(612);
    상기 지지대(612)의 상단에 상기 하우징(620)의 단면형상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상기 센서케이블(320)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20)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하우징(620)을 밀봉시키는 커버플레이트(614);
    상기 지지대(612)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커버플레이트(61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관측센서(312)가 거치되는 거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플레이트(616); 및
    상기 지지대(612)의 하단에 상기 거치플레이트(616)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620)의 하단을 밀봉시키는 하단플레이트(618)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커버플레이트(614), 거치플레이트(616) 및 상기 하단플레이트(618)를 통하여 상기 관측센서(312)와 상기 센서케이블(320)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플레이트(614) 및 상기 하단플레이트(618)에 의해 상기 하우징(620)의 내부가 밀봉되어 상기 관측센서(312)를 물과 해양의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620)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AIR)에 의하여 상기 센서유닛(310)이 자체적인 부력을 가지게 되는 것에 의해 해저면의 고저에 관계없이 해수면으로부터 일정한 수심층의 해양환경을 관측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심도별 해양환경 관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400)은,
    상기 계류로프(200)와 연결되어 상기 부이(100)의 표류위치를 고정시키는 함체형의 고정박스(410); 및
    상기 고정박스(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센서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측 장치는,
    상기 하우징(620) 내의 공간부분에 채워져 상기 하우징(620) 내의 상기 관측센서(312)를 해양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센서유닛(310)을 연직 계류시키는 방호유체(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KR1020160041409A 2016-04-05 2016-04-05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KR10184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09A KR101841594B1 (ko) 2016-04-05 2016-04-05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409A KR101841594B1 (ko) 2016-04-05 2016-04-05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80A KR20170114480A (ko) 2017-10-16
KR101841594B1 true KR101841594B1 (ko) 2018-03-26

Family

ID=6029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09A KR101841594B1 (ko) 2016-04-05 2016-04-05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37A (ko) 2018-11-05 2020-05-13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20200051246A (ko) 2018-11-05 2020-05-13 광주과학기술원 케이블 꼬임 및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93216B1 (ko) 2019-10-11 2020-12-18 동강엠텍(주)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KR102648692B1 (ko) * 2023-05-18 2024-03-18 주식회사 선진해양 계류형 해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672B1 (ko) * 2018-07-16 2020-03-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상회수 및 착수형 분리장치
CN109367705A (zh) * 2018-11-26 2019-02-22 国家海洋局第海洋研究所 一种极地季节性冰区准实时通信潜标
CN110466687A (zh) * 2019-08-29 2019-11-19 山东省科学院海洋仪器仪表研究所 一种深海腐蚀潜标系统的系留结构及其回收方法
CN110435822B (zh) * 2019-09-12 2024-04-12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水下潜标观测破断装置
KR102139251B1 (ko) * 2019-12-30 2020-07-2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트롤 피해 방지용 지능형 해저면 계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36033B1 (ko) * 2020-09-25 2022-08-2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심별 측정용 센서 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131B2 (ja) * 1995-03-28 1999-07-28 協和商工株式会社 海象観測用ブイ
KR101357763B1 (ko) * 2013-10-07 2014-02-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동기록식 수중청음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수중방사소음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131B2 (ja) * 1995-03-28 1999-07-28 協和商工株式会社 海象観測用ブイ
KR101357763B1 (ko) * 2013-10-07 2014-02-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동기록식 수중청음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수중방사소음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37A (ko) 2018-11-05 2020-05-13 동강엠텍(주)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20200051246A (ko) 2018-11-05 2020-05-13 광주과학기술원 케이블 꼬임 및 따개비의 부착을 방지하는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
KR102193216B1 (ko) 2019-10-11 2020-12-18 동강엠텍(주) 해상 기상 관측용 부이의 파손 방지 및 진단 장치
KR102648692B1 (ko) * 2023-05-18 2024-03-18 주식회사 선진해양 계류형 해양 환경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480A (ko)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594B1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KR101531321B1 (ko)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KR101167685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RU2596383C2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28842B1 (ko) 해양계측용 로봇 부이
CN108189969A (zh) 一种基于卫星通讯数据实时传输的深海锚系潜标系统
CN108216492A (zh) 一种实现海洋数据区域监测的高精度潜标阵系统
WO2015194062A1 (ja) 海洋データ計測システム
KR100958870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AU2014279255B2 (en) Underwater mobile body
KR101011887B1 (ko) 해양관측용 부표
EP28020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floor exploration
JP2016155392A (ja) 水中移動体
KR102052014B1 (ko) 다기능 위치추적체
WO2014023925A1 (en) Survey apparatus and methods for collecting sensor data in a body of water
US11808570B2 (en) Sensor and telemetry unit (STU) adapted for securable coupling to a floating object or buoyant aid to navigation (AtoN) to operate as a selectively deployable ocean data acquisition system (ODAS)
KR20150031796A (ko) 부이 계류라인의 끊어짐 방지 구조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WO200306204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derwater conditions
KR20200059782A (ko) 초음파 모듈을 통한 선박 탑재형 방오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2679B1 (ko)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RU2381530C1 (ru) Мор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донная станция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еофизических и геологоразведочных работ
RU2406640C1 (ru) Цикличе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гидрофиз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рофилирования
RU2406639C1 (ru) Автономная гидрофиз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рофилирования
Shih Real-time current and wave measurements in ports and harbors using ADC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