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954B1 -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954B1
KR102533954B1 KR1020210079400A KR20210079400A KR102533954B1 KR 102533954 B1 KR102533954 B1 KR 102533954B1 KR 1020210079400 A KR1020210079400 A KR 1020210079400A KR 20210079400 A KR20210079400 A KR 20210079400A KR 102533954 B1 KR102533954 B1 KR 102533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fishing gear
buoy body
maritim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4369A (ko
Inventor
이수호
공영모
이윤섭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이수호
디에스미래기술(주)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주식회사 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디에스미래기술(주),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주식회사 마르 filed Critical 이수호
Publication of KR2021008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energy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2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자가발전(예를 들어, 풍력, 파력 등)을 하여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부이 본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부이 본체의 상부에 풍력발전 모듈이 구비하되, 회전날개에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 물질의 부이 위치 표시부가 부착되어, 회전날개의 회전 시, 야간에 식별력을 배가시킴으로써, 해상 운항중인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MULTI-FUNCTIONAL BUOY ON THE SEA}
본 발명은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가발전(예를 들어, 풍력, 파력 등)을 하여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부이 본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경제적 손실 등 다양한 피해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 톤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해양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800억 원 수준에 이를 정도이고,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폐어구로 인한 각종 피해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여러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만, 실효성을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러 제도 중에서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어구 실명제는 바다에 설치된 어구 및 어망에 부표 또는 깃발을 설치하여 소유자 및 어업허가 사항을 표시하는 제도로서, 어구의 과다 사용 및 폐어구 저감을 유도하여, 과도한 어획과 해양환경 오염에 따른 수산자원의 급격한 감소 및 고갈, 폐어구로 인한 해양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 또한 어구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업인들의 어업분쟁이 심화하고, 어구에 대한 경비비용의 과다지출로 어업경영이 악화되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어구 실명제는 해양 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하고, 폐어구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사고를 줄이고자 도입되었으나, 오히려 어구 실명제를 위해 사용되는 부표 또는 깃발에 의하여 해양 오염 및 해양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어구 실명제에 대해 규제 순응도 또한 저조하여 본래의 취지가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2015년도에 '생애주기별 어구관리 방안'을 발표하였고, 현재 어구관리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안으로 전자 어구 실명제 및 어구관리 시스템과 같이 어구관리에 대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종래 해상용 부이는 자가발전을 하는 구조가 아니어서 반영구적이지 못하며,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구성이 아니어서, 부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없으며, 야간에 식별이 어려워서 해상 운항중인 선박과의 충돌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9496호(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2021.05.06.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자가발전(예를 들어, 풍력, 파력 등)을 하여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부이 본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부이 본체의 상부에 풍력발전 모듈이 구비하되, 회전날개에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 물질의 부이 위치 표시부가 부착되어, 회전날개의 회전 시, 야간에 식별력을 배가시킴으로써, 해상 운항중인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부이 본체의 하부에 파력발전 모듈을 구비하되, 복 수개의 웨이브 엑츄에이터가 하나의 토크 제너레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도가 없어지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발전 가능하여 에너지 발전 효율이 높고, 작은 사이즈를 갖고 수면 및/또는 수중에 설치함에 따라 대규모의 토목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추가 설치 및 이전이 매우 용이한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해상에 설치된 어구(1)에 연결되며, 해상에 부유하여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어구(1)의 유실 여부를 탐지하며, 자가 발전을 수행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로서, 상기 어구(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상에 부유하는 부이 본체(10); 상기 부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 모듈(200);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에서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30); 및 상기 GPS 모듈(30)에서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0);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은,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3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날개(232)에는 부이 위치 표시부(237)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232)의 회전 시 야간 식별력을 배가시키되,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는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하는 야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센서(S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등하거나 점멸도록 하는 작동 제어부(2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이 본체(10)의 하부에는 파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파력발전 모듈(100),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전지 모듈(300), 및 파력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이 본체(10)에는 풍향계(11), 풍속계(12) 및 온도계(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 센터(14)의 관리자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가 해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구(1)의 유실 시, 상기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어구(1)에 설치되는 수중 음향발신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는 음향 수신기(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GPS 모듈(30)은 상기 부이 본체(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부이 본체(10)가 조류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부이 본체(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서 육상의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부이 본체(10)와의 이격 거리, 방위 변화와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의 충돌을 감지하고 각 측정 및 감지에 따른 실시간 운영상황 감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육상 관제 센터(14)나 상기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는 충돌 감지부(400); 및 상기 충돌 감지부(400)에 의한 충돌 감지시 충돌이 발생한 상기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영상촬영 및 기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해상에 설치된 어구(1)에 연결되며, 해상에 부유하여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로서, 해상에 부유하는 부이 본체(10);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어구(1)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30); 및 상기 GPS 모듈(30)에서 도출한 GPS 좌표 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는 무선통신부(40);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해상에 설치된 어구(1)에 연결되며, 상기 어구(1)의 유실 여부를 탐지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로서, 상기 어구(1)의 유실 시, 상기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어구(1)에 설치되는 수중 음향발신기(50); 및 상기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는 음향 수신기(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 수신기(51)는 상기 어구(1)의 유실 시, 상기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여 상기 어구(1)를 회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가발전(예를 들어, 풍력, 파력 등)을 하여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부이 본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부이 본체의 상부에 풍력발전 모듈이 구비하되, 회전날개에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 물질의 부이 위치 표시부가 부착되어, 회전날개의 회전 시, 야간에 식별력을 배가시킴으로써, 해상 운항중인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이 본체의 하부에 파력발전 모듈을 구비하되, 복 수개의 웨이브 엑츄에이터가 하나의 토크 제너레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도가 없어지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발전 가능하여 에너지 발전 효율이 높고, 작은 사이즈를 갖고 수면 및/또는 수중에 설치함에 따라 대규모의 토목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추가 설치 및 이전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어구의 일측에는 어구의 유실 시, 어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중 음향발신기가 설치되고, 부이 본체의 일측에는 수중 음향발신기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한 음향 수신기가 설치되어, 음향 수신기가 수중 음향발신기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여 어구의 유실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부이 본체에 풍향계, 풍속계, 온도계 등이 설치되어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육상 관제 센터로 전송하여 육상 관제 센터의 관리자가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있어서, 부이 본체에 어구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이 본체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이 본체 간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있어서, 작동 제어부에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부이 위치 표시부를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웨이브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토크 제너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엑셀러레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엑셀러레이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충돌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영상촬영 및 기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 및 기록부에 있어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해수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있어서, 부이 본체에 어구가 설치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이 본체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이 본체 간의 연결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해상에 설치된 어구(1), 예를 들어 어망 등에 연결되며, 해상에 부유하여 어구(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어구(1)의 유실 여부를 탐지하며, 자가 발전을 수행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있어서, 부이 본체(10)는 해상에 부유하며, 해상에 설치된 어구(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고리(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이 본체(10)는 어망 등의 어구(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본체(10)의 형상은 도 1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3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이 본체(10)에는 풍향계(11), 풍속계(12), 온도계(13)가 설치되어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육상 관제 센터(14)로 전송하며, 육상 관제 센터(14)의 관리자가 해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어구(1)의 유실 시,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어구(1)에 설치되는 수중 음향발신기(50); 및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는 음향 수신기(5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음향 수신기(51)는 어구(1)의 유실 시, 어구(1)에 부착된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여 유실된 어구(1)의 위치를 탐지하여 어구(1)를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이 본체(10)는 타측 부이 본체(10')(10'')에 선택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부이 본체(10')(10'') 간의 연결은 수면 아래에서 연장되는 케이블(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을 통해서 필요한 전원 등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어구(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상에 부유하는 부이 본체(10); 부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 모듈(200); 풍력발전 모듈(200)에서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 부이 본체(10)에 설치되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10)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30); 및 GPS 모듈(30)에서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는기 위한 무선통신부(40); 를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 모듈(30)은 부이 본체(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주간, 야간에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에서 전기를 제공받아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GPS 모듈(30)은 부이 본체(10)가 조류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부이 본체(10)에 대한 위치정보를 무선통신부(40)를 통해서 육상의 관제 센터(14) 또는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모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은, 회전속도를 증가하는 증속기(210),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220), 및 회전하는 수직회전자(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속기(210)는 고정풀리(212)와 벨트(214)를 통해 수직회전자(230)와 연결되어 수직회전자(230)의 회전력을 발전기(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220)는 증속기(210)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직회전자(230)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증속기(210) 및 발전기(220)에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고 전기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회동부(231), 회전날개(터빈 날개)(232), 회전지지부재(2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23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관통된 원통축(231a)과, 원통축(231a)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231b)을 구비한다.
상기 원통축(231a)의 외주면에는 회전날개(232)가 유선형으로 설치되고, 원통축(231a)의 상부에는 중심축(231b)과 연결되어 중심축(231b)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날개(232)는 원통축(231a)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로막(232a)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미약한 풍력 또는 유속에도 수직회전자(2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력이나 풍력의 흩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회전자(230)의 회전력이 집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날개(232)의 후방에는 회전날개(232)를 지지하는 동시에, 풍력의 저항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판(235)을 설치하여 회동부(231)에 대해 회전날개(232)가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통축(231a)에는 방사형으로 회전날개(232)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반원의 오목한 날개 말단은 일자형 또는 "ㄱ" 형상으로 절곡되는 보조날개(234)를 구비하여 풍력이나 수력을 반원형태의 오목하게 형성된 회전날개(232) 내측으로 수력이나 풍력이 집중하여 안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날개(232)는 수력 또는 풍력이 어느 방향에서 작용하여도 이를 통해 회동부(2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유선형태로 원통축(231a)에 일률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하여서 회전 효율을 높이는 한편, 둥근 형태로 형성된 회전날개(232)의 후방에는 회전날개(232)를 지지하는 동시에, 가로막(232a)에 의해서 풍력의 저항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회동부(231)에 대해 회전날개(232)가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지지부재(233)는 원통축(231a)과 중심축(231b) 사이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수차나 풍차의 하중을 극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풍력발전 모듈(200)에 있어서, 회전날개(232)의 형상은 본 도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형상이나, 도 9에 도시된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에 있어서,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32)에는 부이 위치 표시부(237)가 설치되어, 회전날개(232)의 회전 시, 야간에 식별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부이 위치 표시부(237)의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이나 띠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는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하는 야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있어서, 작동 제어부에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부이 위치 표시부를 점등하거나 점멸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S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등하거나 점멸하도록 하는 작동 제어부(238)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광센서(S1)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며, 광센서(S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작동 제어부(238)는 야간인지를 판단하며, 주간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멸하지만, 반대로 야간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등하여 야간에 식별력을 높여서 운항하는 선박에 부이 본체(10)가 충돌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부이 본체(10)의 하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파력발전 모듈(100),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전지 모듈(300), 및/또는 파력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종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웨이브 엑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토크 제너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엑셀러레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파력발전 모듈의 엑셀러레이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력발전 모듈(100)은 수면 또는 수중에서 파랑/파도(이하 파랑 에너지로 총칭함)에 의하여 부유하는 도 1의 부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파랑 에너지에 의한 파력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장치이다.
파력발전 모듈(100)은 웨이브 엑츄에이터(110), 토크 제너레이터(120), 엑셀러레이터(130), 발전기(140), 배터리(150), 발광부(160), 및 하우징(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웨이브 엑츄에이터(110)는 파랑 에너지를 단방향 회전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토크 제너레이터(120)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크 제너레이터(120)는 상기 웨이브 엑츄에이터(110)의 단방향 회전에너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엑셀러레이터(130)를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엑셀러레이터(130)는 기어비 조절에 따라, 토크 제너레이터(120)의 회전력을 가속하여 발전기(140)에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140)는 엑셀러레이터(130)에 의해 회전자(141)가 회전되면서 전력을 생산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50)는 발전기(140)에 의해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발광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160)는 LED 또는 복수의 LED로 이루어진 LED 램프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부이 본체(10)의 선단 또는 외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배터리(150) 없이 발전기(140)에서 발전한 전원을 직접 발광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파력 에너지는 끓임 없이 발생하는 것임에 따라 별도의 배터리(150)를 구비하지 않고, 발전기(140)에서 직접 발광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배터리(150)는 사업자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발광부는 배터리(150)에서 공급된 전원 또는 발전기(140)에서 직접 공급된 전원으로 발광되며, 이를 위하여 공급 전원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D/D 컨버터 또는 A/D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150)가 추가된 경우에는 배터리(150)의 충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있다.
이와 같은 발광부(160)의 구동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장치를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발전기(140)의 위치정보나 배터리(150)의 충전 상황을 무선통신을 통하여 육상 관제 센터(14)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휴대 단말기(모바일 단말기)(M)에 전송됨으로써, 배터리(150) 충전상황을 원격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웨이브 엑츄에이터(110)는 하우징(170)의 외측에서 고정되는 고정추(116)와, 고정추(116)에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력을 단방향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클러치 어셈블리(111~114)를 포함한다.
고정추(116)는 도면에 도시된 바를 예로 설명하자면, 부채꼴 형상으로서 하우징(170)의 외측에서 파랑 에너지의 주기에 상관없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중량을 갖는다. 예를 들면, 고정추(116)는 클러치 어셈블리(111~114)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됨에 따라 파도나 바람의 방향에 따른 운동 에너지가 가해지더라도 자체 중량에 의해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고정추(116)는 운동 에너지의 방향에 상관없이 원래의 위치/형상/자세를 유지함에 따라 클러치 어셈블리(111~114)에 양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클러치 어셈블리(111~114)는 운동 에너지의 방향에 따라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단방향 회전력으로 변환시킨다.
즉, 클러치 어셈블리(111~114)는 한 방향의 운동에너지가 가해지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크 제너레이터(120)에 한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반대 방향의 운동에너지가 가해지면 토크 제너레이터(120)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클러치 어셈블리(111~114)는 파랑/파력에 의한 운동 에너지의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한 단방향의 회전력을 토크 제너레이터(120)에 전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클러치 어셈블리(111~114)는 고정추(116)에 연결되는 제1축(111)과, 제1축(111)과 맞물려 회전되는 제2축(112)과, 제1축(111)과 제2축(112)의 하측에서 회전되는 제3축(113)과 제4축(1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축(111)은 제2축(112)과 제3축(113)에 연결되고, 제2축(112)은 제1축(111)과 제4축(114)에 연결되고, 제3축(113)과 제4축(114)은 후술되는 토크 제너레이터(120)의 제1토크기어(121)에 연결된다.
제1축(111)은 고정추(116)에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제1축(111)은 인접한 제2축(112)과, 하측의 제3축(113)에 맞물리되는 기어치(111a)를 포함한다.
제2축(112)은 제1축(111)과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어 제1축(111)의 양방향 회전시에 힘을 받고, 제4축(114)에 힘을 전달하는 기어치(112a)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축(112)은 제1축(111)이 한 방향 및 반대방향 회전시에 반대 방향 및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4축(114)에 힘을 전달한다.
제3축(113)은 제1축(11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힘을 받는 단방향 베어링(113a)과, 토너 제너레이터(120)에 힘을 전달하는 기어치(113b)를 포함한다.
단방향 베어링(113a)은 제1축(111)의 기어치(111a)에 맞물려서 제1축(11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힘을 받고 일방향으로 회전시에 헛돌게 된다.
또한, 제3축(113)의 기어치(113b)는 단방향 베어링(113a)에 힘이 전달되면 회전되어 토크 제너레이터(120)에 반대 방향의 힘을 전달한다.
즉, 제3축(113)은 제1축(11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축(111)이 한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단방향 베어링(113a)이 헛돌게 됨에 따라 회전되지 않는다.
제4축(114)은 제2축(11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힘을 받는 단방향 베어링(114a)과, 토크 제너레이터(120)의 기어치(121a)와 연결되는 기어치(11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4축(114)의 단방향 베어링(114a)은 제2축(11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제2축의 기어치(112a)로부터 힘을 받아 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축(112)이 한 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헛돌게 된다. 즉, 제3축(113)과 제4축(114)은 제1축(111)과 제2축(112)의 기어치(111a, 112a)에 각각 맞물리는 단방향 베어링(113a, 114a)을 각각 포함하고 있어 양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축(111)과 제2축(1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단방향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토크 제너레이터(120)는 제1토크기어(121)와, 제2토크기어(122) 및 토크축(123)을 포함한다. 제1토크기어(121)는 제3축(113)과 제4축(114)의 기어치(113b, 114b)에 각각 맞물리는 제1기어치(121a)와, 제2토크기어(122)의 기어치(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에 맞물리는 제2기어치(121b)를 포함한다.
제1기어치(121a)는 제3축(113)의 기어치(113b)와 제4축(114)의 기어치(114b)에 각각 맞물림에 따라 제1축(111)이 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4축(114)에 의해 전달되는 힘으로 회전되고, 제1축(111)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3축(113)에 의해 전달되는 힘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제3축(113)과 제4축(114)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은 동일 방향의 회전력이다.
따라서, 제1토크기어(121)는 고정추(116)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단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제1토크기어(121)는 제3축(113)과 제4축(114)의 단방향 베어링(113a, 114a)에 의하여 단방향으로 변환되어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2기어치(121b)는 제1토크기어(121)의 수평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두께가 증가하여 경사면으로 형성된 끝단 외면에 형성되어 제2토크기어(12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2토크기어(122)는 평면형으로서 중심부에 토크축(123)이 체결되는 홈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표면에서 제1토크기어(121)의 제2기어치(121b)와 맞물리는 기어치(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토크기어(122)는 제1토크기어(121)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토크축(123)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2토크기어(122)는 기어치(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가 형성된 표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첨단에서 하향된 홈 또는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토크축(123)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토크기어(121)는 토크 제너레이터(120)의 구성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웨이브 엑츄에이터(110)의 제5축(제1토크기어)으로 구분함도 가능하다. 즉, 웨이브 엑츄에이터(110)는 상기의 제1토크기어(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토크기어(121)를 포함하는 웨이브 엑츄에이터(110)는 복 수개가 하나의 토크 제너레이터(120)의 제2토크기어(122)에 동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웨이브 엑츄에이터(110)는 서로 다른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부이 본체(10)의 하부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전지 모듈(30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해수전지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해수전지 모듈(300)은, 부이 본체(10)의 하부에 고정되어 해수에 침수되는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는 양극부; 유기 전해질에 함침되는 애노드(anode)를 포함하는 음극부; 및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고체 전해질: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는 나트륨 이온의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 및 이작용성(bifunctional) 전극 촉매 반응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화학 촉매 물질로 이루어진 촉매 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태양광 모듈은 지속된 악천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소정의 전력이 저장된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충돌 감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부이 본체(10)의 운영상황을 실시간 감시하기 위해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를 감지하고 부이 본체(10)와의 이격 거리, 방위 변화와 기울기를 측정하여 부이 본체(10)의 충돌을 감지하고 각 측정 및 감지에 따른 실시간 운영상황 감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육상 관제 센터(14)나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는 충돌 감지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영상촬영 및 기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 및 기록부에 있어서, 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는 충돌 감지부(400)에 의한 충돌 감지시 충돌이 발생한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영상촬영 및 기록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영상촬영 및 기록부(500)는, 부이 본체(10)에 설치되어 부이 본체(10)의 주변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며, 충돌 감지부(400)에 의한 충돌 감지 시,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10); 및 카메라(510)에서 촬영된 부이 본체(10)의 실시간 주변영상 및 사고영상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영상 기록부(52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510)는, 광각 렌즈 카메라로 구성되며, 빛의 밝기에 따른 전체 색감의 밸런스를 조절하여 촬영된 영상을 보정하는 역광보정부(Wide Dynamic Range); 야간의 조명 밝기를 샹향 조정하여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밝게 보정하는 슈퍼나이트비젼부(Super Night Vision); 광각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양끝에 발생하는 세로 수직선의 왜곡을 보정하는 디와핑부(De-Warping); 및 렌즈 표면의 습기를 감지하여 습기를 억제 또는 제거하여 렌즈의 시야를 확보하는 디포그부(Defog);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가발전(예를 들어, 풍력, 파력 등)을 하여 전원으로 사용하여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지 않아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며,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부이 본체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고,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 또는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부이 본체 및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부이 본체의 상부에 풍력발전 모듈이 구비하되, 회전날개에 발광소자 또는 자체 발광 물질의 부이 위치 표시부가 부착되어, 회전날개의 회전 시, 야간에 식별력을 배가시킴으로써, 해상 운항중인 선박과의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부이 본체의 하부에 파력발전 모듈을 구비하되, 복 수개의 웨이브 엑츄에이터가 하나의 토크 제너레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파도가 없어지지 않는 한 연속적으로 발전 가능하여 에너지 발전 효율이 높고, 작은 사이즈를 갖고 수면 및/또는 수중에 설치함에 따라 대규모의 토목공사가 필요하지 않고, 추가 설치 및 이전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넷째, 어구의 일측에는 어구의 유실 시, 어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중 음향발신기가 설치되고, 부이 본체의 일측에는 수중 음향발신기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한 음향 수신기가 설치되어, 음향 수신기가 수중 음향발신기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여 어구의 유실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부이 본체에 풍향계, 풍속계, 온도계 등이 설치되어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육상 관제 센터로 전송하여 육상 관제 센터의 관리자가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M: 휴대 단말기(모바일 단말기) 1: 어구
10: 부이 본체 11: 풍향계
12: 풍속계 13: 온도계
14: 육상 관제 센터 20: 전기에너지 저장모듈
30: GPS 모듈 40: 무선통신부
50: 수중 음향발신기 51: 음향 수신기
100: 파력발전 모듈 110: 웨이브 엑츄에이터
120: 토크 제너레이터 130: 엑셀러레이터
140: 발전기 141: 회전자
150: 배터리 160: 발광부
170: 하우징 200: 풍력발전 모듈
210: 증속기 212: 고정풀리
214: 벨트 220: 발전기
230: 수직회전자 231: 회동부
231a: 원통축 231b: 중심축
232: 회전날개 232a: 가로막
234: 보조날개 235: 지지판
237: 부이 위치 표시부 238: 작동 제어부
300: 해수전지 모듈 400: 충돌 감지부
500: 영상촬영 및 기록부 510: 카메라
520: 영상 기록부

Claims (12)

  1. 해상에 설치된 어구(1)에 연결되며, 해상에 부유하여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어구(1)의 유실 여부를 탐지하며, 자가 발전을 수행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로서,
    상기 어구(1)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해상에 부유하는 부이 본체(10);
    상기 부이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풍력발전 모듈(200);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에서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는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고,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의 위치에 대한 GPS 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30); 및
    상기 GPS 모듈(30)에서 도출한 GPS 좌표정보를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풍력발전 모듈(200)은, 수직으로 형성된 중심축(231b)을 중심으로 바람에 의해 회전하되 유선형태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회전날개(232)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상기 회전날개(232) 각각에는 부이 위치 표시부(237)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날개(232)의 회전 시 360도 전방향에 대한 식별력을 배가시키되,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는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모듈(2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에 마련되는 광센서(S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주간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멸하고, 야간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부이 위치 표시부(237)를 점등하도록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23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구(1)의 유실 시 음향을 송출하여, 상기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어구(1)에 설치되는 수중 음향발신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본체(10)의 하부에는 파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파력발전 모듈(100),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해수전지 모듈(300), 및 파력의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압전소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본체(10)에는 풍향계(11), 풍속계(12) 및 온도계(1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해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육상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 센터(14)의 관리자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가 해상정보와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음향발신기(50)에서 송출하는 음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는 음향 수신기(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모듈(30)은 상기 부이 본체(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인공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부이 본체(10)가 조류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부이 본체(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부(40)를 통해서 육상의 관제 센터(14) 또는 상기 어구(1)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이 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부이 본체(10)와의 이격 거리, 방위 변화와 기울기를 측정하여 상기 부이 본체(10)의 충돌을 감지하고 각 측정 및 감지에 따른 실시간 운영상황 감시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서 육상 관제 센터(14)나 상기 어구의 사용자 휴대 단말기(M)에 전송하는 충돌 감지부(400); 및
    상기 충돌 감지부(400)에 의한 충돌 감지시 충돌이 발생한 상기 부이 본체(10) 주변의 선박이나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사고 영상을 촬영하고 기록하는 영상촬영 및 기록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79400A 2021-02-10 2021-06-18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KR102533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8888 2021-02-10
KR1020210018888 2021-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369A KR20210084369A (ko) 2021-07-07
KR102533954B1 true KR102533954B1 (ko) 2023-05-26

Family

ID=7686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400A KR102533954B1 (ko) 2021-02-10 2021-06-18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567B1 (ko) * 2021-12-21 2023-10-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양식어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577A (ja) * 2009-10-23 2011-05-06 Sankei:Kk 表示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939A (en) * 1980-04-03 1981-11-07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Method and equipment for embedding submarine cable
KR100958870B1 (ko) * 2008-01-28 2010-05-20 태양기계(주) 해양 관측용 부이
KR20120126506A (ko) * 2011-05-12 2012-11-21 김영문 수중 탐사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443435B1 (ko) * 2012-04-16 2014-09-2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용 부표에 탑재되는 무선 신호 송출 기능을 갖춘 복합 등명기
KR20160049552A (ko) * 2014-10-17 2016-05-04 김재진 신재생에너지 부표
KR20180000420U (ko) * 2016-08-03 2018-02-13 주식회사 이트랜씨엔씨 스마트기기 기반 어망어구 위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4937B1 (ko) * 2018-06-12 2020-06-2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상 이동식 미세먼지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미세먼지 측정방법
KR102339829B1 (ko) 2019-10-25 2021-12-16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577A (ja) * 2009-10-23 2011-05-06 Sankei:Kk 表示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369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3118B (zh) 能量自供型多功能深海网箱
JP7062028B2 (ja) 海水電池が設けられた独立型ブイ
CN101477104A (zh) 可水上定位或巡航的智能监控检测系统
KR20100091860A (ko) 파력가동 및 태양전지 병행식 자가발전등부표
CN112814829B (zh) 一种点吸收式波浪能发电装置
KR102533954B1 (ko)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CN215155526U (zh) 一种水上救援装置及全自主无人巡逻救援船
CN108791718B (zh) 一种自航式航标灯
CN206544580U (zh) 一种透明球形的波浪浮标
CN111391977A (zh) 监控浮标
AU2017100006A4 (en) Floating photography device
CN111038648A (zh) 一种水利工程管理用智能测量装置
CN113699957A (zh) 一种实现海漂垃圾捕获和运输的水上机器人
CN108909945B (zh) 一种可用于海上救援的气象浮标及其救援方法
KR101326728B1 (ko) 다기능 부표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감시 시스템
CN114771749B (zh) 一种海洋动力环境观测平台
CN113623121B (zh) 一种海上灯浮标波流耦合水下发电装置
KR101734646B1 (ko) 파도의 고저차를 이용한 캡슐형 압전 발전기
KR102423960B1 (ko) 부구형 자가발전 발광 부상 조립체
CN211167301U (zh) 一种高分子生态环境监测浮标系统
CN211617997U (zh) 一种海上浮标
CN110386224B (zh) 一种水中溶解氧含量检测装置
CN112813917A (zh) 一种滩涂垃圾的全自动收集装置
CN110823294A (zh) 一种浮漂式水下信息智能监测系统
KR101486020B1 (ko) 회전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