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29B1 -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 Google Patents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29B1
KR102339829B1 KR1020190133845A KR20190133845A KR102339829B1 KR 102339829 B1 KR102339829 B1 KR 102339829B1 KR 1020190133845 A KR1020190133845 A KR 1020190133845A KR 20190133845 A KR20190133845 A KR 20190133845A KR 102339829 B1 KR102339829 B1 KR 102339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magnetic
phrase
fishing gear
smart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496A (ko
Inventor
임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씨엔
Priority to KR102019013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거나 체결 강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 Smart Buoy that Detects the State of a Fishing Gear}
본 발명은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거나 체결 강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이에 의한 경제적 손실까지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매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톤 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가운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해양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800억원에 이를 정도이며,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폐어구로 인한 각종 피해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여러 제도들을 도입하고 있지만, 실효성을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러 제도들 중에서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어구실명제는 바다에 설치된 어구 및 어망에 부표 또는 깃발을 설치하여 소유자 및 어업허가 사항을 표시하는 제도로써, 어구의 과다사용 및 폐어구 저감을 유도하여 과도한 어획과 해양환경 오염에 따른 수산자원의 급격한 감소 및 고갈, 폐어구로 인한 해양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하며 또한, 어구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업분쟁의 심화와 어구 경비에 대한 비용의 과다지출로 어업경영이 악화되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어구실명제는 해양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시키고, 폐어구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사고를 줄이고자 도입되었으나, 오히려 어구실명제를 위해 사용되는 부표 또는 깃발에 의하여 해양오염 및 해양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어구실명제에 대한 규제 순응도 또한 저조하여 본래의 취지가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2015년도에 '생애주기별 어구관리 방안'을 발표하였고 현재 어구관리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안으로 전자 어구실명제 및 어구관리 시스템과 같이 어구관리에 대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구 자동식별 부이는 사용자 소유의 어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 수준은 부이의 좌표정보를 GPS플로터 상에 나타내는 등 사용자의 어획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목적의 부이의 경우 어구가 유실된 상태만을 감지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므로, 어구의 유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어구의 유실을 방지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가운데, 한국등록특허 제10-1634357호("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2016년 6월 22일 등록)에서는 외력에 의하여 부이의 깃대 및 계류로프 사이의 인장력을 최소화하여 부이에서 깃대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깃대를 확인하여 어구를 찾아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어구의 유실을 저감하는 기술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부이 및 어구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 등이 끊어짐에 따라 깃대의 탈락없이도 어구가 유실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유실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어구의 유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634357호 (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2016년 6월 22일 등록)
본 발명은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거나 체결 강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스마트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어구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부, 내부공간을 갖고 상단 외측에는 상기 상측몸체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부, 상기 상측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어구결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스마트부이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부유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결합부는, 나사산이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에 상응하여 체결되고, 상기 스마트부이와 상기 어구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어구고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유체부는, 반구 형태의 부유체상부; 및 반구 형태의 부유체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부유체하부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부유체상부와 상기 부유체하부가 상호 결합된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에서 상기 부유체하부의 일부까지 연속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내부에 상기 하측몸체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부유체하부는 상기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는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속이 빈 로드형태이고, 상기 부유체하부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유체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구결합부는, 상단에 플랜지 구조가 형성되어있는 이동막대부; 상기 이동막대부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는 자성체부; 상기 이동막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동막대부에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내부에 원주형태의 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막대부가 관통되고, 상기 부유체부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고리부에 상기 어구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어구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는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와의 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감소하고, 상기 어구고리부에서 상기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는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와의 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자성체센서부로부터 자성 세기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자성 세기의 값에 기초하여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몸체부는 배터리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몸체부; 및 배터리수용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기판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자성을 갖는 재질의 자성체부를 사용하여, 어구의 유실에 따른 자성체부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종국에는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부의 제1내부공간은 부유체부를 관통하지 않고, 몸체부는 부유체부의 내부에 체결되고, 상측몸체부 및 하측몸체부가 체결되는 데 있어서 오-링(O-ring)을 사용하므로 몸체부 내부에 대한 수밀성을 향상시켜, 기판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부유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부는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는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을 구비하여 부유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부유체부의 일부가 오염되는 경우 일부만 교체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상기 부유체하부의 내면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혹은 나사홈을 포함하여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자성체센서부에 의해 어구유실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도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여 어구유실여부를 외부의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하부의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 및 기판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수용부에 의하여 스마트부이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부이가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 및 하측몸체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단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단면에 기판부가 배치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하단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의 체결 상태에 따른 어구결합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구(2000)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1000)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부(1110), 내부공간을 갖고 상단 외측에는 상기 상측몸체부(1110)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부(1120), 상기 상측몸체부(1110) 및 상기 하측몸체부(1120)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1130), 및 상기 기판부(1130)에 배치되어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를 포함하는, 몸체부(1100); 및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어구결합부(1400)를 수용할 수 있는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부유체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나사산이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에 상응하여 체결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0)와 상기 어구(2000)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어구고리부(1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부이는 바다의 수면에 띄워져 항로를 안내하거나, 암초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수행하며, 어선에서 사용하는 부이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어망 혹은 어구(2000)를 부이에 체결하여, 어망 혹은 어구(20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표지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0)는 원주형태의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00)의 중앙부분에는 별도의 로드형태의 형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0)는 케이스 형태로써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케이스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혹은 케이스의 일부 내부영역에만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기판부(1130) 및 다른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구성요소들을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기판부(1130) 및 기판부(113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부이(1000)가 수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0)에는 스위치커버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위치커버부는 상기 몸체부(1100)의 로드형태로 배치된 형상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커버부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와 체결되어 해수와 같은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스위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스위치와 몸체부사이의 틈으로 해수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체부(1200)는 상기 몸체부(1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부유체부(1200)는 내부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부유체부(1200)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것 외에도 스티로폼 재질과 같이 부력을 부여하기에 용이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유체부(120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기계적 성질의 구성요소를 오염원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어구고리부(1300)는 후술하는 부유체부(1200) 내부에 배치되는 어구결합부(1400)와 체결되어 스마트부이(1000)의 하면에 돌출되어 있어, 어구(2000)를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 및 하측몸체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0)는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속이 빈 로드형태이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부(1100)의 하측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1123)에 상응하는 나사홈(12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유체부(1200)가 상기 몸체부(1100)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1210)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0)는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가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측몸체부(1110)의 하단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상응하여, 하측몸체부(1120)의 상단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에 의해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측몸체부(1110)의 하단 외측에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몸체부(1120)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홈의 아래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가 체결됨에 따라 몸체부(1100)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부유체부(1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부유체부(1200)가 상기 몸체부(1100)에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외면에는 스위치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전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하측몸체부(1120)에는 상기 제2돌출부의 상면에 지지되어 배치되는 오-링(O-ring)(1122)을 포함하고, 상기 오-링(1122)은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가 체결되는 데 있어 체결되는 부분의 간극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오-링(1122)은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의 결합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간극 사이로 해수와 같은 외부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측몸체부(1110) 및 하측몸체부(1120)는 각각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호 체결됨에 따라 상기 기판부(1130)가 배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00)의 내부에 기판부(1130)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하측몸체부(1120)의 하단 외측에는 별도의 나사산(1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산은 후술하는 부유체부(1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1221)과 상응하여 부유체부(1200) 내부에 체결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사산(1123)에서부터 하측몸체부(1120)에 배치된 제2돌출부 사이까지의 하측몸체부(1120)의 일부가 부유체부(120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마트부이(1000)는 각 구성요소들이 나사산과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일부 구성요소가 오염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부이(100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부(1200)는, 반구 형태의 부유체상부(1210); 및 반구 형태의 부유체하부(1220);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1210)는 상기 부유체하부(1220)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부유체상부(1210)와 상기 부유체하부(1220)가 상호 결합된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1210)에서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일부까지 연속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내부에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상기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1230.1, 123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체부(1200)는 부유체상부(1210) 및 부유체하부(12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부유체상부(1210)는 부유체상부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상기 부유체상부결합홈(미도시)에 상응하는 부유체하부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상부결합홈(미도시) 및 상기 부유체하부결합홈(미도시)은 상호 체결되는 결합홈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혹은 나사산 및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체상부결합홈(미도시) 및 상기 부유체하부결합홈(미도시)이 체결되는 구성은 상기 부유체부(12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부유체부(1200)를 교체함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상부(1210) 또는 상기 부유체하부(122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유체상부(1210)는 내부에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내부의 일부까지 관통하는 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부유체상부결합홈(미도시) 및 상기 부유체하부결합홈(미도시)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경우, 연속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체결로 인해 형성되는 상기 연속된 중공은 상기 몸체부(1100)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하측몸체부(112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가 체결되어 각각의 상기 중공이 연속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체상부(1210)는 부유체상부중공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상기 부유체상부중공결합홈(미도시)에 상응하는 부유체하부중공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상부중공결합홈(미도시) 및 상기 부유체하부중공결합홈(미도시)은 상호 체결되는 결합홈 방식으로 체결되거나 혹은 나사산 및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유체부(1200)에 상기 몸체부(1100)의 일부가 수용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체하부(1220)에 포함된 중공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1123)에 상응하는 나사홈(1221)이 형성되어, 연속된 중공의 하단에 상기 몸체부(110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체상부(1210)의 상단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하단은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상부(1210)의 상단 수평면은 상기 몸체부(1100)에 형성된 로드형태의 돌출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 하단의 수평면은 상기 어구고리부(1300)가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하단에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어구(200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단면의 형상 및 스마트부이의 단면에 기판부가 배치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몸체부(1110) 및 상기 하측몸체부(1120)는 상호 형성된 나사산 및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에 의해 체결되어 몸체부(1100)를 형성하고,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는 상호 형성된 결합홈에 의해 체결되어 부유체부(1200)를 형성하고,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1123) 및 이에 상응하는 상기 부유체하부(1220)에 포함된 중공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1221)에 의해 상기 몸체부(1100) 및 상기 부유체부(120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하부(1220)에는 부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1230.1, 1230.2)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형성부(1230.1, 1230.2)는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형성하도록 하여, 스마트부이(1000)가 수면에 부유하는 데 있어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과 같이 무게를 부여하기 용이한 성분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무게형성부(1230.1, 1230.2)의 무게는 스마트부이(10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무게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무게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부유체부(1200)는 어구결합부(1400)를 수용할 수 있는 제1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나사산이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에 상응하여 체결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0)와 상기 어구(2000)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어구고리부(1300)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체부(1200)에 포함되는 제1내부공간은 상기 부유체상부(1210) 및 상기 부유체하부(1220)가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연속된 중공과 구별되는 공간에 해당하며, 상기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연속된 중공이 구별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속된 중공에 체결되는 몸체부(1100)가 제1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내부공간은 상기 어구결합부(14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에 해당하며,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하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과 상응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몸체부(1110) 및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체결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기판부(1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130)에는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 및 배터리수용부(1134)가 배치된다.
상기 기판부(113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1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100)의 형성된 내부공간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부(1130)는 상기 몸체부(110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오염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수용부(1134)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내부에서 체결하고, 외부로는 기판부(1130)와 체결하여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기판부(1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수용부(1134)는 상기 기판부(1130)의 하단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기판부(1130)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 및 배터리수용부(1134)가 결합된 구성의 경우,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상기 스마트부이(1000)가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수용부(1134)는 기판부(113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하단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몸체부(1120)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1123)에 상응하여 부유체하부(1220)의 내부에 나사홈(1221)이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체하부(1220)에는 제1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부공간에는 어구결합부(14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상단에 플랜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막대부(1410);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는 자성체부(1420);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동막대부(1410)에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1430); 및 상기 스프링부(1430)의 하단을 지지하고, 내부에 원주형태의 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관통되고, 상기 부유체부(1200)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지지부(1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어구(2000)와 체결되며,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에 따라서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포함된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하여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에서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감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구결합부(1400)는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상단 내부에는 자성을 갖는 상기 자성체부(1420)가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부(1420)에는 네오디뮴 자석, 페라이트 자석, 사마륨코발트 자석, 알리코 자석, 고무 자석 및 전자석 등의 자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1430)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어구결합부(1400)와 상기 어구(2000)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어구(200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부(1430)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에 형성되어있는 플랜지 구조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어구(2000)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어구(2000)의 유실로 인하여 압축된 상기 스프링부(1430)는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자성체부(1420)를 어구(2000)가 체결되었을 때의 위치에 비해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부(1430)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가 변화하게 되고,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가 자성의 세기의 변화값을 감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는 상기 스프링부(14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관통하여 상하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의 중공을 통해 상기 이동막대부(1410) 전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상기 이동막대부(1410)는 상단에 플랜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의 상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부(1430)의 상단은 상기 이동막대부(1410)에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 구조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부(1430)의 하단은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어구(2000)가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의해 체결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1430)는 지지하는 양 단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고, 상기 어구(2000)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1430)는 탄성에 의해 상기 자성체부(1420)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의 하단 외면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유체하부(1220)에 포함된 제1내부공간의 하단 내면에는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어구결합부(1400)가 상기 부유체부(1200)의 제1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포함되는 상기 어구고리부(1300)는 상기 부유체부(1200)의 제1내부공간 안에 배치되는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서 상기 부유체부(1200) 바깥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 어구고리부(1300)는 상기 어구(2000)와 체결하기 위하여 고리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0)는 보호케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케이스부(미도시)는 상기 어구결합부(1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포함되는 이동막대부(1410), 스프링부(1430) 및 자성체부(1420)와 같이 금속으로 제작되는 구성요소들은 해수에 의해 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호케이스부(미도시)는 상기 어구결합부(14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보호케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의 하단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여 상기 보호케이스부(미도시)의 하단 내면에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어, 보호케이스부(미도시)와 어구결합부(14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호케이스부(미도시)의 하단 외부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체하부(1220)의 제1내부공간의 하단 내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체결되어, 상기 어구결합부(1400)가 상기 부유체부(1200)의 제1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의 체결 상태에 따른 어구결합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1132);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1133);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고리부(1300)에 상기 어구(2000)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어구(200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1420)는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와의 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감소하고, 상기 어구고리부(1300)에서 상기 어구(2000)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1430)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1420)는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와의 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는 상기 어구고리부(1300)에 상기 어구(2000)가 체결된 경우의 상기 어구결합부(14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상기 어구고리부(1300)에 상기 어구(2000)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어구(2000)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어구고리부(1300)와 체결된 상기 이동막대부(1410)는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상기 스프링부(1430)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의 형성된 플랜지 구조 및 상기 스프링지지부(1440)에 의해 양단에서 지지되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는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하측으로 힘을 받으므로 처음 어구(2000)가 체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서의 위치보다 아래쪽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에 포함된 자성체센서부(1132)와 상기 자성체부(142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에서 감지하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어구(2000)가 체결되었음을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에 포함된 중앙처리부(1133)에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7의 (B)는 체결된 상기 어구(2000)가 상기 어구고리부(1300)로부터 유실된 경우 상기 어구결합부(1400)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에 해당한다. 전술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어구고리부(1300)에 체결된 어구(2000)가 도 7의 (B)에서와 같이 유실된 경우, 상기 어구(2000)에 의하여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받고 있는 하측의 힘이 감소하므로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부(1430)는 복원력 혹은 탄성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이동막대부(141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는 상기 어구(2000)가 체결되었을 때의 위치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와 상기 자성체부(142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되어,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에서 감지하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은 감소하게 되고, 결국 체결되었던 어구(2000)가 유실되었음을 상기 주앙처리부에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는 상기 자성체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감지하므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가 감지할 수 있는 자성 세기값의 범위 및 변화값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자성체부(1420)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자성체부(1420)의 재료의 고유한 자력에 기초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는 감지할 수 있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부(1130)는, 자성체부(1420)로부터 자성의 세기를 감지하고,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 상기 스마트부이(1000)를 구동하는 배터리 및 상기 기판부(113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수용부(1134), 상기 스마트부이(1000)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체결된 어구(2000)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식별정보관리부(1135) 및 타 스마트부이 혹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13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는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 및 상기 중앙처리부(1133)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는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의해 생성되는 자성의 세기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2000)의 유실 및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는 상기 어구결합부(1400)에 의해 생성되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어구결합부(1400)와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131)는 상기 기판부(113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상기 자성체센서로부터 자성 세기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자성 세기의 값에 기초하여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에 의해 감지된 자성 세기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 및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전기 혹은 전자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136)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1136)에서 수신하는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한 정보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1136)를 통해서 타 스마트부이 및 외부의 서버 또는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로부터 수신하는 자성 세기의 값은 상기 자성체부(142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자성 세기의 변화값 또는 자성체부(1420)의 위치에 따른 자성의 세기값이 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1133)가 상기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성 세기의 변화값의 증가 및 감소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2000)의 체결 또는 유실여부를 판별하게 되고, 상기 자성의 세기값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성의 세기값의 비교기준이 되는 기준값을 기저장하여 상기 기준값 및 상기 자성의 세기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 어구(2000)의 체결 및 유실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어구유실처리신호를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1136)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는 현재 스마트부이(1000)의 위치에 대한 좌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단순히 어구(20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성의 세기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어구(2000)의 체결정도를 판별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센서부(1132)에 의해 감지된 자성 세기의 변화값이 기설정된 제1기준값에서 제2기준값 사이에 있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어구(2000)가 완전히 유실된 것이 아니라 체결 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고, 상기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어구(2000)가 양호하게 체결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어구(2000)가 완전히 유실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1133)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MC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부(1133)가 수신한 정보 및 생성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수용부(1134)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몸체부; 및 배터리수용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몸체부(1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기판부(1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및 배터리수용부(1134)가 결합된 구성의 경우,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상기 스마트부이(1000)가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수용부(1134)는 기판부(113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관리부(1135)는 해당 스마트부이(10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및 해당 스마트부이(1000)에 체결된 1 이상의 어구(2000)에 대한 식별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부(1133)에서 어구유실처리신호를 도출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1133)에서 송신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부(1135)로 해당 스마트부이(10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해당 어구(2000)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36)는 타 스마트부이 및 외부의 서버와 같이 외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처리부(1133)에서 도출하는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1136)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자성을 갖는 재질의 자성체부를 사용하여, 어구의 유실에 따른 자성체부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종국에는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부의 제1내부공간은 부유체부를 관통하지 않고, 몸체부는 부유체부의 내부에 체결되고, 상측몸체부 및 하측몸체부가 체결되는 데 있어서 오-링을 사용하므로 몸체부 내부에 대한 수밀성을 향상시켜, 기판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부유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부는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체상부 및 부유체하부는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을 구비하여 부유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부유체부의 일부가 오염되는 경우 일부만 교체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상기 부유체하부의 내면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는 나사산 혹은 나사홈을 포함하여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자성체센서부에 의해 어구유실여부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도출하고, 상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여 어구유실여부를 외부의 시스템에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하부의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 및 기판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배터리수용부에 의하여 스마트부이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부이가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어구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부, 내부공간을 갖고 상단 외측에는 상기 상측몸체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부, 상기 상측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어구결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내부공간 및 상기 스마트부이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제2내부공간을 갖는 부유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결합부는, 나사산이 하부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홈에 상응하여 체결되고, 상기 스마트부이와 상기 어구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어구고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부는,
    반구 형태의 부유체상부; 및 반구 형태의 부유체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부유체하부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부유체상부와 상기 부유체하부가 상호 결합된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에서 상기 부유체하부의 일부까지 연속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내부에 상기 하측몸체부의 일부가 수용되고,
    상기 부유체하부는 상기 제2내부공간의 하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무게형성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된 속이 빈 로드형태이고,
    상기 부유체하부의 내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하측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유체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마트부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구결합부는,
    상단에 플랜지 구조가 형성되어있는 이동막대부;
    상기 이동막대부의 상단 내부에 배치되는 자성체부;
    상기 이동막대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이동막대부에 상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 및
    상기 스프링부의 하단을 지지하고, 내부에 원주형태의 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막대부가 관통되고, 상기 부유체부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지지되는 스프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구고리부에 상기 어구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어구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는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와의 거리가 증가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감소하고,
    상기 어구고리부에서 상기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부에 의하여 상기 자성체부는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자성체센서부와의 거리가 감소하여 상기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부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자성체센서부로부터 자성 세기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자성 세기의 값에 기초하여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부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배터리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수용부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몸체부; 및 배터리수용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기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마트부이.
KR1020190133845A 2019-10-25 2019-10-25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33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845A KR102339829B1 (ko) 2019-10-25 2019-10-25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845A KR102339829B1 (ko) 2019-10-25 2019-10-25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96A KR20210049496A (ko) 2021-05-06
KR102339829B1 true KR102339829B1 (ko) 2021-12-16

Family

ID=7591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845A KR102339829B1 (ko) 2019-10-25 2019-10-25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954B1 (ko) 2021-02-10 2023-05-26 이수호 다기능 해상표식용 부이
KR102490353B1 (ko) * 2021-08-24 2023-01-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무게추 고정 및 분리 방법
KR102542041B1 (ko) * 2022-12-09 2023-06-13 (주)우진엔지니어링 친환경 금속재 부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748B1 (ko) 1998-02-06 2000-06-15 김평길 엘이디 점멸부이
KR100804549B1 (ko) 2007-06-28 2008-02-20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등부표
KR100839202B1 (ko) 2006-12-15 2008-06-1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전자찌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6-25 삼영이엔씨 (주) 어망관리 시스템
KR101797648B1 (ko) 2016-02-12 2017-11-15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777B1 (ko) * 2005-07-04 2007-11-28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멀티 전자찌
KR101634357B1 (ko) 2015-11-30 2016-06-30 대한민국 어구 유실 저감형 부이
KR101854678B1 (ko) * 2016-02-12 2018-05-04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748B1 (ko) 1998-02-06 2000-06-15 김평길 엘이디 점멸부이
KR100839202B1 (ko) 2006-12-15 2008-06-19 주식회사 원도하이텍 낚시용 전자찌
KR100804549B1 (ko) 2007-06-28 2008-02-20 뉴마린엔지니어링(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등부표
KR101159510B1 (ko) 2012-01-11 2012-06-25 삼영이엔씨 (주) 어망관리 시스템
KR101797648B1 (ko) 2016-02-12 2017-11-15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496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829B1 (ko)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He et al. Technologies for the marking of fishing gear to identify gear components entangled on marine animals and to reduce abandoned, lost or otherwise discarded fishing gear
CN103213660A (zh) 水下定时释放回收装置
US20170158289A1 (en) Mooring system and mooring buoy
KR101374864B1 (ko) 선박정지장치
KR101854678B1 (ko)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AU2018216270A1 (en) System for securing a submerged beacon
KR102127515B1 (ko) 해양관측용 스마트 부이
KR20200050608A (ko)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EP2857868A1 (en) Wing releasing system for a navigation control device
US5350330A (en) Floating marker for an anchor line
KR20140089932A (ko) 저인망으로부터 자체 방어 기능을 갖는 부양식 해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5851B1 (ko)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190121490A (ko)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Broad et al. Effects of a shark repulsion device on rocky reef fishes: no shocking outcomes
KR102167231B1 (ko)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Liu et al. A comprehensive model of vessel anchoring pressure based on machine learning to support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s of coastal cities
KR20110011108U (ko) 조난 선박 표시기
US10081411B1 (en) Signaling apparatus and system to identify and locate marine objects and hazards
CN106218816A (zh) 一种多功能海洋声学浮标
KR100390858B1 (ko)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WO2004014724A1 (en) Locating equipment in water
GB2441561A (en) Man-overboard alarm system using RFID tags
KR20130099328A (ko) 도난방지용 부표
KR200423083Y1 (ko) 어구 실명표시에 관한 정보를 발광표시하는 부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