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851B1 -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 Google Patents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851B1
KR102515851B1 KR1020200145920A KR20200145920A KR102515851B1 KR 102515851 B1 KR102515851 B1 KR 102515851B1 KR 1020200145920 A KR1020200145920 A KR 1020200145920A KR 20200145920 A KR20200145920 A KR 20200145920A KR 102515851 B1 KR102515851 B1 KR 10251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coupled
smart buoy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205A (ko
Inventor
임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씨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씨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씨엔
Priority to KR102020014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8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 Smart Buoy that Detects the Loss of a Fishing Gear}
본 발명은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해상의 기상상황을 측정하고, 해상에서의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다.
한편,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에게 어구의 위치를 식별하는 것은 필수적이고, 사람의 육안으로 넓은 바다에 설치된 어구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은 쉽지 않다. 또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이에 의한 경제적 손실까지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매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톤 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가운데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어구의 위치를 식별하는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필요에 따라 어구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스마트부이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구 자동식별 부이는 사용자 소유의 어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 수준은 부이의 좌표정보를 GPS플로터 상에 나타내는 등 사용자의 어획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상기 기술한 어구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폐어구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의 연구 및 상용화의 수준은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특허 1(한국등록특허 10-2085630)은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저전력광역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부이에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면, 관제시스템이 스마트부이의 위치 및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스마트부이에 연결된 상기 어구에 의한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부이의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부; 상기 어선에게 스마트부이의 좌표정보 및 상기 어구의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어구가 결합된 스마트부이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부이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구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제1나사홈 및 제2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부; 상기 스마트부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상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케이스부; 상기 상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PCB부; 상기 PCB부에 배치되어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 상기 상측몸체부의 하단의 상기 제1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몸체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캡; 상기 상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부이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부유체부; 상기 부유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몸체부의 제2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체부와 상기 상측몸체부를 체결시키는 스크류부;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부유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하측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부이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부; 및
상기 자성체부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자성체케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자성체케이스부가 결합될 수 있는 자성체케이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배터리캡을 둘러싸는 고리형태의 방수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캡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측몸체부의 제1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캡의 하측면에는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오링의 외주면과 상측몸체부의 내부면이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캡과 상기 상측몸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배터리캡을 둘러싸는 고리형태의 방수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캡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측몸체부의 제1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캡의 하측면에는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오링의 외주면과 상측몸체부의 내부면이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캡과 상기 상측몸체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케이스부의 하단의 외측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포고스프링; 및 포고핀;을 포함하는 포고핀부;를 수납할 수 있는 포고핀보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고핀 및 상기 배터리터미널부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스마트부이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PCB기판 및 상기 포고스프링은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PCB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제1PCB기판부; 상기 제1PCB기판부에 수직하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고 안테나패턴을 포함하는 제2PCB기판부;을 포함하고,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상기 제2PCB기판부상에 배치되고,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상기 제2PCB기판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유체부는, 부유체상부; 제1부유체하부; 및 제2부유체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제1부유체하부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부유체하부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와 결합되어 반구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부유체상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몸체부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에 결합되는 제1하측몸체부; 제1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측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측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무게추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1 이상의 볼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캡에 결합되는 방수오링을 사용하여 상측몸체부 내부에 대한 수밀성을 향상시켜 내부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반경이 큰 자성체를 이용함으로써 강력한 자력이 발생되어 어구의 유실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체상부 및 제1부유체하부 및 제2부유체하부는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을 구비하여 부유체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부유체부의 일부가 오염되는 경우 일부만 교체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부유체하부 및 제1하측몸체부를 나사로 체결하고, 나사의 체결부에 방수 실리콘을 투입함으로써 해수의 침투를 방지하여 스마트부이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부이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를 사용하여 어구의 유실에 따라 자성체센서부가 감지하는 자성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므로, 어구의 관리를 보다 수월하게 함으로써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측몸체부의 하단에 무게추부를 체결함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나사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해수의 거친 물살에 의해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무게추부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부에 의하여 스마트부이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부이가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 배터리케이스부, 배터리캡, 방수오링, 및 상측몸체부가 결합된 스마트부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가 결합된 배터리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 배터리케이스부, 방수오링, 및 배터리캡이 결합된 스마트부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 부유체부, 하측몸체부 및 무게추부가 결합된 스마트부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1000)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상측몸체부(1100); 배터리부(1200); 배터리케이스부(1210); PCB부(1300);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 배터리캡(1400); 부유체부(1700); 스크류부(1600); 하측몸체부(1800); 및 무게추부(19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측몸체부(110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 같이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제1나사홈(1110) 및 제2나사홈(1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케이스부(1210), 배터리부(1200), PCB부(1300),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 및 배터리캡(14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는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1200)를 수납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부(120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PCB부(1300)는, 제1PCB기판부(1310) 및 제2PCB기판부(1320)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CB부(1300)는 상기 제1PCB기판부(1310) 및 제2PCB기판부(1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PCB기판부(1320)에는 안테나패턴, 자성체센서부(1322.1) 및 중앙처리부(1322.2)를 포함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 및 통신부를 포함하여 안테나신호를 송수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는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캡(1400)은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하단의 상기 제1나사홈(1110)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몸체부(1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캡(1400)은 방수오링(14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오링(1490)의 외주면과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면이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캡(1400)과 상기 상측몸체부(11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부(1700)는 부유체상부(1710); 제1부유체하부(1720); 및 제2부유체하부(1730);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1710); 제1부유체하부(1720); 및 제2부유체하부(1730)는 나사로 체결되어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유체상부(1710)의 상단에는 스크류부(1600)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부(1600)는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제2나사홈(1120)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체부(1700)와 상기 상측몸체부(1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하측몸체부(1800)는, 상기 부유체부(17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몸체부(1800)의 내부공간에는 폼이 삽입되어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게추부(1900)는, 상기 하측몸체부(18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마트부이(1000)가 해수에 적절히 잠길 수 있는 무게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각 구성요소들이 나사산과 이에 상응하는 나사홈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일부 구성요소가 오염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스마트부이(1000)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1100)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1300), 배터리케이스부(1210), 배터리캡(1400), 방수오링(1490), 및 상측몸체부(1100)가 결합된 스마트부이(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외측면에는 자성체케이스부(1510)가 결합될 수 있는 자성체케이스홀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성체케이스홀은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PCB부(1300)의 자성체센서부(1322.1)와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부이(1000)는 상기 PCB부(1300)의 자성체센서부(1322.1)에 의하여 센싱되는 자성체의 세기에 따라 어구의 유실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케이스부(1510)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부(1500)를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성체부(1500)는 복수의 크기를 가지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몸체부(110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몸체부(1100)의 하단 내측에는 제1나사홈(1110) 및 제2나사홈(112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사홈(1110)에는 배터리캡(14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나사홈(1120)에는 스크류부(1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나사홈(1110) 및 제2나사홈(1120)을 통해 상기 PCB부(1300), 배터리케이스부(1210), 배터리캡(1400), 방수오링(1490), 및 상측몸체부(1100)를 결합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에 외부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요소들을 체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나사홈(1110) 및 상기 제2나사홈(1120) 사이에는 방수오링(1490)이 끼워지는 방수오링(1490)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방수오링(1490)을 통해 상측몸체부(1100) 내부로 해수와 같은 외부의 물질로부터 내부 부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마트부이(1000)의 자성체의 세기를 감지하여 어구의 유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1300)가 결합된 배터리케이스부(12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의 상면에는 PCB부(1300)가 체결될 수 있고, 상기 PCB부(1300)는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에 결합되는 제1PCB기판부(1310); 및 상기 제1PCB기판부(1310)에 수직하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고 안테나패턴을 포함하는 제2PCB기판(13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PCB기판부(1310)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1 이상의 볼트홀을 포함하여, 삽입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PCB부(1300) 및 배터리케이스부(1210)는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는 상단에 상기 PCB부(1300)와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연결선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의 하단의 외측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포고스프링(1212); 및 포고핀(1213);을 포함하는 포고핀(1213)부를 수납할 수 있는 포고핀보호부(1211)를 포함한다. 상기 PCB부(1300)와 상기 포고핀(1213)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극이 접촉됨으로써, 스마트부이(10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PCB기판(1320)은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 및 상기 안테나패턴을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는,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1322.1); 및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13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PCB기판(1320)의 자성체센서부(1322.1)가 배치된 위치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에 자성체부(1500)가 수납된 자성체케이스부(1510)가 상측몸체부(1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부(120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어구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고 안테나패턴을 통해 외부의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몸체부(1100), 배터리케이스부(1210), 방수오링(1490), 및 배터리캡(1400)을 결합시킨 스마트부이(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상기 배터리캡(1400)을 둘러싸는 고리형태의 방수오링(14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캡(1400)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측몸체부(1100)의 제1나사홈(1110)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캡(1400)의 하측면에는 상기 방수오링(1490)이 결합될 수 있는 방수오링(1490)홈;을 포함하여, 상기 방수오링(14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오링(1490)의 외주면과 상측몸체부(1100)의 내부면이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캡(1400)과 상기 상측몸체부(110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캡(1400)의 나사를 통해 방수오링(1490)을 누름으로써 배터리케이스부(1210) 및 배터리캡(1400)이 체결되는 부분의 간극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캡(1400)의 상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배터리터미널부(1410);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터미널부(1410)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부(1200)와 접촉되어 배터리부(1200)를 눌러주는 배터리스프링부(14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케이스부(1210)의 하단의 외측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포고스프링(1212); 및 포고핀(1213);을 포함하는 포고핀(1213)부를 수납할 수 있는 포고핀보호부(1211)를 포함한다. 상기 포고스프링(1212)은 제1PCB기판부(1310)에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포고핀(1213)은 상기 배터리터미널부(1410)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부(1200)의 전원을 스마트부이(10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스마트부이(1000)는 방수오링(1490)을 통해 외부의 해수와 같은 외부의 물질로부터 스마트부이(1000)의 내부 부품을 보호할 수 있고, 해수상에 설치되는 스마트부이(1000)의 전원을 배터리부(1200)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부(17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부(1600), 부유체부(1700), 하측몸체부(1800) 및 무게추부(1900)가 결합된 스마트부이(10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부유체부(1700)는, 부유체상부(1710); 제1부유체하부(1720); 및 제2부유체하부(1730);를 포함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상부(1710)는 상기 제1부유체하부(1720)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부유체하부(1720)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1730)와 결합되어 반구 형태를 형성한다. 상기 제1부유체하부(1720) 및 상기 제2부유체하부(1730)는 일차적으로 접착 후에 도장을 수행하고, 이후,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홀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부유체하부(1730) 및 하측몸체부(1800) 또한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볼트가 체결된 볼트홀에는 방수실리콘을 적용하여 상기 부유체부(1700) 내부의 공간으로 해수와 같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부유체하부(1720) 및 상기 제2부유체하부(1730)의 체결로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폼이 삽입되고, 상기 제1부유체하부(1720)의 상단에 부유체상단이 복수의 볼트홀을 통해 체결되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유체부(17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상부(1710)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부(1600)가 결합되어 상기 부유체부(1700)와 상측몸체부(1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상부(1710)의 상단에 스크류부(1600)의 접착 후 1 이상의 볼트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부이(1000)는 부유체부(1700)의 내부공간의 폼을 삽입하여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고, 볼트가 체결된 볼트홀에 방수실리콘을 투입함으로써, 스마트부이(1000)의 내부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측몸체부(1800)는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부유체부(17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몸체부(1800)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1730)에 결합되는 제1하측몸체부(1810); 제1하측몸체부(18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측몸체부(18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측몸체부(1810) 및 상기 제2하측몸체부(1820)는 접착 후 볼트홀에 볼트를 삽입함으로써 체결할 수 있고, 제1하측몸체부(1810) 및 제2하측몸체부(1820)의 체결로 생성된 내부 공간에는 폼이 삽입되어 스마트부이(1000)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하측몸체부(1820)의 하단에는 무게추부(19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측몸체부(18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부(1900)에 의하여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부이(1000)가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측몸체부(1820)의 하단에는 상기 무게추부(19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1 이상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 제2하측몸체부(1820)의 하단에 무게추부(1900)를 체결함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볼트의 삽입을 통해 상기 제2하측몸체부(1820)와 상기 무게추부(1900)를 체결함으로써 해수의 거친 물살에 의해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무게추부(1900)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CB부(13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부(1300)는 제1PCB기판부(1310) 및 제2PCB기판부(1320)를 포함하고, 자성체부(1500)로부터 자성의 세기를 감지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 상기 스마트부이(1000)를 구동하는 배터리 및 상기 PCB부(1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터리수용부, 상기 스마트부이(1000)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0)에 체결된 어구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식별정보관리부 및 타 스마트부이(1000) 혹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32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1322)는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 및 상기 중앙처리부(1322.2)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는 자성체부(1500)의 자성의 세기값에 기초하여, 어구의 유실 및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성체센서부(1322.1)는 자성 세기의 변화값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와 일정 간격 이격된 이웃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1322.2)는, 상기 자성체센서로부터 자성 세기의 값을 수신하고, 상기 자성 세기의 값에 기초하여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에 의해 감지된 자성 세기의 변화값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센서부(1322.1)및 상기 중앙처리부(1322.2)는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전기 혹은 전자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322.2)는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는 정보들을 처리하거나,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한 정보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상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타 스마트부이(1000) 및 외부의 서버 또는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322.2)는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어구유실처리신호를 도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구유실처리신호는 현재 스마트부이(1000)의 위치에 대한 좌표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처리부(1322.2)는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MC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부(1322.2)가 수신한 정보 및 생성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수용부(1323)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몸체부; 및 배터리수용몸체부의 상면에 체결되는 배터리수용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측몸체부(18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2PCB부(1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부(1200) 및 배터리수용부(1323)가 결합된 구성의 경우, 상기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성에 해당하므로, 상기 스마트부이(1000)가 용이하게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수용부(1323)는 기판부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스마트부이(1000)의 무게중심이 낮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관리부(1324)는 해당 스마트부이(10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 및 해당 스마트부이(1000)에 체결된 1 이상의 어구에 대한 식별정보가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부(1322.2)에서 어구유실처리신호를 도출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부(1322.2)에서 송신하는 호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부(1324)로 해당 스마트부이(1000)에 대한 식별정보 및 해당 어구에 대한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타 스마트부이(1000) 및 외부의 서버와 같이 외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중앙처리부(1322.2)에서 도출하는 어구유실처리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상기 제2PCB부(1300)는 안테나패턴을 포함하여 안테나패턴(1321)을 통해 안테나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어구의 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로서,
    내부공간을 갖고 하단 내측에는 제1나사홈 및 제2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부;
    상기 스마트부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
    상기 상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케이스;
    상기 상측몸체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상면에 체결되는 PCB부;
    상기 PCB부에 배치되어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는 어구유실감지판별부;
    상기 상측몸체부의 하단의 상기 제1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몸체부에 결합되는 배터리캡;
    상기 상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부이에 부력을 부여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부유체부;
    상기 부유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측몸체부의 제2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유체부와 상기 상측몸체부를 체결시키는 스크류부;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부유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하측몸체부; 및
    상기 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부이는,
    자성을 갖는 자성체부; 및
    상기 자성체부를 수납하여 보호하는 자성체케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측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자성체케이스부가 결합될 수 있는 자성체케이스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부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배터리캡을 둘러싸는 고리형태의 방수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캡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측몸체부의 제1나사홈에 상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캡의 하측면에는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방수오링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오링의 외주면과 상측몸체부의 내부면이 접하는 형태로 상기 배터리캡과 상기 상측몸체부가 결합되는, 스마트부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캡의 상면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배터리터미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터미널부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부와 접촉되어 배터리부를 눌러주는 배터리스프링부;가 형성되는, 스마트부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하단의 외측면에는 실린더 형태의 포고스프링; 및 포고핀;을 포함하는 포고핀부;를 수납할 수 있는 포고핀보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고핀 및 상기 배터리터미널부가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상기 스마트부이에 공급할 수 있고,
    상기 PCB부 및 상기 포고스프링은 전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부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CB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PCB기판부;
    상기 제1PCB기판에 수직하는 형태로 접합되어 있고 안테나패턴을 포함하는 제2PCB기판부;을 포함하고,
    상기 어구유실감지판별부는,
    제2PCB기판부상에 배치되고, 자성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성체센서부; 및
    제2PCB기판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자성체센서부에서 감지한 자성의 세기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부는,
    부유체상부; 제1부유체하부; 및 제2부유체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상부는 상기 제1부유체하부와 상호 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부유체하부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와 결합되어 반구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부유체상부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부가 결합될 수 있는, 스마트부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측몸체부는,
    상기 제2부유체하부에 결합되는 제1하측몸체부;
    제1하측몸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하측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측몸체부의 하단에는 상기 무게추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가 측면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1 이상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스마트부이.
KR1020200145920A 2020-11-04 2020-11-04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51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20A KR102515851B1 (ko) 2020-11-04 2020-11-04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920A KR102515851B1 (ko) 2020-11-04 2020-11-04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05A KR20220060205A (ko) 2022-05-11
KR102515851B1 true KR102515851B1 (ko) 2023-03-30

Family

ID=8160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920A KR102515851B1 (ko) 2020-11-04 2020-11-04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5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20A1 (ko) * 2022-07-07 2024-01-11 김남성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802A (ja) * 1997-05-08 1998-11-17 Masaaki Inoue 沈降流失した漁具の浮上回収装置
KR101854678B1 (ko) * 2016-02-12 2018-05-04 삼영이엔씨 (주)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KR102116074B1 (ko) * 2018-04-18 2020-05-27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KR102167231B1 (ko) * 2018-10-30 2020-10-19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205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221B1 (ko) 해양 관측용 부이
KR101531321B1 (ko)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2339829B1 (ko)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515851B1 (ko)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CN110520352A (zh) 用于固定浸没式浮筒的系统
KR20200050608A (ko)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KR102116074B1 (ko)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CN104764444A (zh) 一种座底式剖面海流计实时监测仪及其使用方法
US20190329844A1 (en) Modular mooring buoy system, and buoyant body and modular unit thereof
CN113311503B (zh) 一种水下声磁电一体化目标探测装置、方法及应用
JP2007139430A (ja) リングフロート式水位計
KR101732039B1 (ko) 안정적인 해수 유출입을 위한 수질 측정 장치
RU2344962C1 (ru) Автономная буйковая придонная станция
US9815532B2 (en) Device for detecting dislogded anchoring apparatus and the like
KR100832679B1 (ko) 수심 자동적응기능성 수질측정부이시스템
CN219467938U (zh) 海洋检测浮标
CN103448881A (zh) 一种船舶的吃水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CN106218816A (zh) 一种多功能海洋声学浮标
KR101324267B1 (ko) 도난방지용 부표
CN202686700U (zh) 一种卡槽式引水员梯紧固装置
KR102167231B1 (ko)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1734851B1 (ko) 압력보정식 장력계
KR20110011108U (ko) 조난 선박 표시기
KR100390858B1 (ko) 해양관측을 위한 계류표시 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