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074B1 -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 Google Patents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074B1
KR102116074B1 KR1020180044862A KR20180044862A KR102116074B1 KR 102116074 B1 KR102116074 B1 KR 102116074B1 KR 1020180044862 A KR1020180044862 A KR 1020180044862A KR 20180044862 A KR20180044862 A KR 20180044862A KR 102116074 B1 KR102116074 B1 KR 10211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gateway
smart buoy
smart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490A (ko
Inventor
이성렬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7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6Sin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도출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스마트부이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관제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Smart Buoy for Provides Location Coordinates and Detects the Loss of Fishing Gear and Gateway for Fishing Vessels f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도출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스마트부이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관제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경제적 손실 등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매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톤 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해양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800억원 수준에 이를 정도이고,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폐어구로 인한 각종 피해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여러 제도들을 도입하고 있지만, 실효성을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여러 제도들 중에서 이전부터 시행되고 있는 어구실명제는 바다에 설치된 어구 및 어망에 부표 또는 깃발을 설치하여 소유자 및 어업허가 사항을 표시하는 제도로써, 어구의 과다사용 및 폐어구 저감을 유도하여, 과도한 어획과 해양환경 오염에 따른 수산자원의 급격한 감소 및 고갈, 폐어구로 인한 해양 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고자 하며 또한, 어구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업인들의 어업분쟁이 심화되고, 어구에 대한 경비비용의 과다지출로 어업경영이 악화되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어구실명제는 해양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시키고, 폐어구에 의해 발생하는 해양 사고를 줄이고자 도입되었으나, 오히려 어구실명제를 위해 사용되는 부표 또는 깃발에 의하여 해양 오염 및 해양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어구실명제에 대한 규제 순응도 또한 저조하여 본래의 취지가 이루고자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2015년도에 '생애주기별 어구관리 방안'을 발표하였고, 현재 어구관리법 제정을 추진 중에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안으로 전자 어구실명제 및 어구관리 시스템과 같이 어구관리에 대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다.
한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구 자동식별 부이는 사용자 소유의 어구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기술 수준은 부이의 좌표정보를 GPS플로터 상에 나타내는 등 사용자의 어획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상기 기술한 어구의 유실을 방지하거나 폐어구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부이의 연구 및 상용화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으로부터 위치좌표를 도출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스마트부이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관제시스템으로 송신하기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여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는, 구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어선용게이트웨이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어구를 연결하는 어망용고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는, 내부 공간을 갖는 게이트웨이몸체부;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게이트웨이덮개부;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게이트웨이 안테나; 및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를 외부 구조물에 거치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는 기둥형태를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GPS안테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몸체부 내부 공간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속이 빈 형태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무게추;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부이의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부; 어선에게 스마트부이의 좌표정보 및 어구의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 상기 스마트부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부이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부이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구식별부; 및 상기 스마트부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마트부이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부,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어구식별부, 및 상기 스마트부이 전원부는 상기 무게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무게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어망용고리와 결합되는 고리연결부; 상기 고리연결부의 일부와 접촉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고리연결부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지지스프링; 상기 지지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연결부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수직하여 연장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가 상기 압력센서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로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망용고리에 어구가 연결되는 경우, 어구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가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어망용고리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가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게이트웨이거치부는 1 이상의 천공을 포함하고, 1 이상의 상기 천공은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를 어선의 구조물에 거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는 압력센서모듈을 사용하여, 어구가 유실되었을 때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는 내부 공간을 갖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모듈 및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어, 상기 무게추에 필요한 무게의 일부를 상기 전자모듈 및 압력센서모듈로 대신 할 수 있고, 상기 전자모듈 및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무게추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부이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자원 및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부이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어선용게이트웨이는 게이트웨이거치부에 1 이상의 천공을 포함하여 어선의 구조물 중 스마트부이로부터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는 곳에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하므로, 상기 스마트부이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여, 장시간 상기 스마트부이를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는 어구식별부를 사용하여, 스마트부이의 고유한 값 및 어구의 고유한 값을 어선용게이트웨이로 송신하므로, 사용자가 관리하는 어구들만 도출 할 수 있고, 따라서,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에서 송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구를 관리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에 포함되는 압력센서모듈이 동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에서 어구의 유실정보를 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표정장치송신기가 어구에 포함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혹은 '~모듈'등은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 혹은 '~모듈'가 있는 경우, 각각의 '~부' 혹은 '~모듈은'은 각각의 1 이상의 물리적 부재,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 혹은 '~모듈'를 구현함에 있어서, 중복적으로 적용되는 1 이상의 하드웨어, 1 이상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혹은 1 이상의 소프트웨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웨어, 제2 하드웨어, 제1 소프트웨어가 있고, A부, B부, C부, D부가 있는 경우, A부는 제1 하드웨어 및 제1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B부는 제1 하드웨어와 제2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되고, C부는 제2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되고, D부는 제1 소프트웨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의 구성과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어구를 관리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에 있어서, 위성(600)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GPS신호를 수신하여 좌표정보를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고, 연결된 어구가 유실되면, 유실정보를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는 1 이상의 스마트부이(100); 상기 스마트부이(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하거나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하는 어선용게이트웨이(210); 상기 어선(200)에서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 및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어선용관제시스템(500); 및 육상에서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 및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육상관제시스템(400);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GPS신호에 기초하여, 좌표정보를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하단에 연결된 1 이상의 상기 어구가 유실된 경우, 유실정보를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여 장시간 운용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좌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저전력광역통신은 사물인터넷의 통신기술로써, 9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기사용 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망과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소모전력을 절감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장시간 운용을 위하여, 저전력광역통신기술에 기초하고 작은 대역폭 및 넓은 통신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시간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1 이상의 스마트부이(100)로부터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하거나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이더넷에 기초하여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육상관제시스템(400)은 LTE 통신에 기초하여 육상기지국(300)을 통해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무선랜 기술을 포함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이 테블릿 형태의 이동형 모니터링 단말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은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와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선(200)이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은 사용자가 쉽게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해도를 기반으로한 사용자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테블릿 형태의 이동형 모니터링 단말에서도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육상기지국(300)을 통해 1 이상의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와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어구가 유실되었을 경우, 관리선박(700)을 통해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선박(700)은 생략되고,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에서 상기 어선(200)으로 관리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어선(200)이 상기 관리선박(700)을 대체하여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생략되고,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이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와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하는 관제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1 이상의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어구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어구의 사용을 억제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해양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저전력광역통신에 기반하여 수신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전송해 상기 어선(200)에서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하도록하고, 스마트부이(1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LTE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육상기지국(300)으로 전송하여,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이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로부터 수신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 및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이더넷에 기초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은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LTE 통신에 기초하여 육상기지국(300)으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육상기지국(300)은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1 이상의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와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상기 어구가 유실되었을 경우, 관리선박(700)을 통해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관리선박(700)은 생략되고,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에서 상기 어선(200)으로 관리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어선(200)이 상기 관리선박(700)을 대체하여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생략되고,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이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와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하는 관제시스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하기 기술하는 어구식별부(112) 및 메모리부(216)에 의해, 상기 어선(200)에서 관리하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만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으로부터 수신되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21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 상기 스마트부이(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LTE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하는 LTE부(215); 상기 스마트부이(1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이더넷에 기반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하는 이더넷부(214);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부(213); 및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게이트웨이 전원부(217);를 포함하고,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메모리부(216)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216)는 상기 어선(200)의 관리대상인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부(213)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획득한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부(216)에 저장된 상기 어선(200)의 관리대상인 1 이상의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어구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관리대상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는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를 포함하는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를 통해 수신된다.
또한,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는 주파수 도약 방법 및 송신 전 신호감지 방법으로 동작 방법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하여, 1 이상의 채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안테나(211)의 수신감도에 따라 통신의 속도를 가변하여, 출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는 소모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저전력광역통신기술에 기초하고 작은 대역폭 및 넓은 통신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최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옴니형 안테나 및 패널형 안테나 및 격자형 파라볼라 안테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수신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어선용관제시스템(500) 및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더넷부(214)에서 이더넷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하고, 상기 LTE부(215)는 LTE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육상기지국(300)을 통해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216)는 상기 어선(200)이 관리하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메모리부(216)는 상기 어선(200)이 관리하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저장 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의 관리대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부(213)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획득한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부(216)에 저장된 상기 어선(200)의 관리대상인 1 이상의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어구의 식별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관리대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은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 가운데 어선(200)의 관리대상 여부를 판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어구에 따른 타 어선(200)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개시된 스마트부이(10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에 연결된 상기 어구에 의한 압력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센서(131); 상기 위성(600)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부(103); 상기 어선(200)에게 스마트부이(100)의 좌표정보 및 상기 어구의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4);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마트부이 전원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압력센서(131)로부터 유실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어구가 유실된 경우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어구식별부(1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구식별부(112)는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는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GPS부(103)는 GPS안테나(101)를 통해 위성(600)으로부터 수신한 GPS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GPS좌표를 도출한다. 상기 좌표정보는 상기 GPS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좌표정보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를 포함하는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에서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는 다이폴 안테나 형태를 사용하고, 상기 GPS안테나(101)는 다이폴 안테나의 상단에 위치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와 상기 GPS안테나(101)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밴드 형태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센서(131)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하단에 연결된 상기 어구가 끊어지게 되면, 상기 어구로 인하여 압력이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상기 어구식별부(112)는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고유한 값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에서 상기 식별정보를 메모리부(216)에 저장된 상기 관리대상인 1 이상의 스마트부이(100) 및 어구의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1 이상의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관리대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구식별부(112)에 저장된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고유한 값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는,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관리하기 용이하게 하여, 다른 사용자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4)는 스마트부이(100)를 제어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와 연결된 상기 어구가 끊어지게 되면, 상기 압력센서(131)는 유실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04)로 유실정보를 송신하고, 제어부(104)는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에 포함되는 압력센서(131) 및 어구식별부(112) 및 제어부(104) 및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 및 GPS부(103)는 스마트부이(100)의 소모전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저전력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설정된 주기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는 소모전력을 절감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장시간 운용을 위하여, 저전력광역통신기술에 기초하고 작은 대역폭 및 넓은 통신범위를 특징으로 하는 LoRa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기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상기 압력센서(131)를 사용해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를 통해 유실정보를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여, 어선용관제시스템(500) 및 육상관제시스템(400)이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어구를 관리하는데 있어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스마트부이(100)가 GPS 기술을 이용한 좌표정보 및 압력센서(131)를 사용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감지하여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송신하므로, 어구를 관리하는데 있어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스마트부이(100)와 어선용게이트웨이(210)가 통신하므로, 스마트부이(100)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여, 장시간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어구식별부(112) 및 메모리부(216)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관리하는 어구들만 도출 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1000)은 육상관제시스템(400)을 통해 전체적인 어구들의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어구의 사용을 억제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해양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개시된 스마트부이(100)는 구형의 몸체부(102); 상기 몸체부(102)의 상단에 배치되고,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 상기 몸체부(102)의 상단에 배치되고,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101); 및 상기 몸체부(102)의 하단에 배치되고, 어구를 연결하는 어망용고리(10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기구적인 요소 및 전자장비로 구성되어있고, 장시간 해수에 부유하면서,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를 포함하는 상기 어선(200)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해상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장시간 해수에 노출되므로 방수, 방진, 내파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상기 몸체부(102) 내부 공간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속이 빈 형태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무게추(106); 위성(600)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부(103); 어선(200)에게 스마트부이(100)의 좌표정보 및 어구의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04);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구식별부(112); 및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마트부이 전원부(1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부(103),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 상기 제어부(104), 상기 어구식별부(112), 및 상기 스마트부이 전원부(105)는 상기 무게추(10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2)는 상기 스마트부이(100)가 부력을 사용하여, 수면위에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고, 상기 몸체부(102)의 재료로는 가격대비 효율성이 뛰어난 스티로폼을 사용하거나, 높은 강도 및 탄성 계수를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미드 글라스 섬유 합성물질인 RENY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는 기둥형태를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102)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102)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GPS안테나(101)는 상기 몸체부(102)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의 일단은 상기 몸체부(102) 내부의 중심을 향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안테나는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 및 상기 GPS안테나(10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고, 상기 GPS안테나(101)는 상기 몸체부(102)의 외주면에 배치 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111) 및 상기 GPS안테나(101)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안테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모듈(120)은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GPS부(103),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 제어부(104), 어구식별부(112), 스마트부이 전원부(105)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모듈(120) 및 하기 기술하는 압력센서모듈(130)은 상기 무게추(10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게추(106)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균형을 고려하여, 상기 몸체부(102) 내부 하단에 위치하고, 철 계열의 재료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모듈(120) 및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게추(106)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전자모듈(120) 및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이 배치되는 것은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자원 및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모듈(120)은 상기 어구식별부(112)를 포함하므로, 상기 전자모듈(120)은 상기 어구식별부(112)에 포함된 스마트부이(100)의 고유한 값 및 어구의 고유한 값을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관리하는 어구들만 도출 할 수 있고, 따라서,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에 포함되는 압력센서모듈(130)이 동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개시된 스마트부이(100)는 상기 무게추(106)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모듈(1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은, 상기 어망용고리(107)와 결합되는 고리연결부(132); 상기 고리연결부(132)의 일부와 접촉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131); 상기 압력센서(131)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하는 지지대(134); 상기 고리연결부(132)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지지스프링(133); 상기 지지스프링(133)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대(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리연결부(132)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수직하여 연장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가 상기 압력센서(131)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133)은 상기 로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연결부(132)는 상기 압력센서(131)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어구 및 상기 지지스프링(133)으로부터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131)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는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에서 상기 어망용고리(107)에 연결된 상기 어구가 유실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에서 상기 어망용고리(107)에 어구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망용고리(107)에 어구가 연결되는 경우, 어구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132)가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131)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어망용고리(107)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지지스프링(133)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132)가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131)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7의 (B)의 경우 상기 어망용고리(107)에 연결된 상기 어구의 무게에 의해 상기 고리연결부(132)는 하측으로 힘을 받게 되고, 상기 고리연결부(132)에 포함된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가 상기 고리연결부(132)를 지지하는 상기 압력센서(131)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A)의 경우 상기 어망용고리(107)에 연결된 상기 어구가 유실되면, 상기 스프링지지대(135)에 의하여 지지된 상기 지지스프링(133)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132)는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되어, 상기 압력센서(131)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거나 혹은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131)는 도 7의 (B)에서 상기 고리연결부(132)가 가하는 압력과 도 7의 (A)에서 상기 고리연결부(132)가 가하는 변화된 압력을 감지 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된 각각의 압력은 상기 전자모듈(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모듈(120)은 상기 압력의 차이를 감지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모듈(120)에 포함된 제어부(104)는 상기 압력에 변화에 의한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별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100)에서 어구(900)의 유실정보를 어선(200)으로 송신하는 과정 및 음향표정장치송신기(800)가 어구(900)에 포함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8은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상기 어구(900)가 유실된 경우,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어선(200)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어구(900)가 유실된 경우,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은 상기 어구(900)에 의하여 감소된 압력을 상기 전자모듈(120)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모듈(120)에서 압력의 변화에 의한 상기 어구(900)의 유실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11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어선(200)은 어선용게이트웨이(21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된 상기 유실정보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포함되는 상기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로 수신되며,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수신된 상기 유실정보를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하여, 상기 어선(200)이 상기 어구(900)의 유실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되는 상기 유실정보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수신되고,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유실정보를 이더넷에 기반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무선랜 기술을 포함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이 테블릿 형태의 이동형 모니터링 단말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어선(200)의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유실정보를 LTE 통신에 기초하여, 상기 육상기지국(300)을 통해 상기 육상관제시스템(4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9는 상기 음향표정장치송신기(800)가 어구(900)에 포함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구(900)는 상기 음향표정장치송신기(800)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에는 음향표정장치수신기를 포함하여, 상기 어구(900)가 유실된 경우 유실된 상기 어구(9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음향표정장치송신기(800)를 통해 상기 음향표정장치수신기에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부이(100)는 유실된 상기 어구(900)의 위치정보를 상기 어선용게이트로 송신하여,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이 상기 유실된 어구(900)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선용관제시스템(500)을 통해 상기 유실된 어구(900)의 위치를 상기 어선(200)이 파악하여, 상기 유실된 어구(900)를 회수 할 수 있으므로, 어구(900)의 남용 및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해양생태계의 건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선용게이트웨이(210)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개시된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게이트웨이몸체부(250);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게이트웨이덮개부(251);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게이트웨이 안테나(211); 및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를 외부 구조물에 거치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거치부(25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도 4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더넷부(214), 상기 LTE부(215), 상기 메모리부(216), 상기 게이트웨이 전원부(217),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부(213), 및 상기 게이트웨이 저전력광역통신부(212)가 배치되고, 상기 게이트웨이덮개부(251)는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250)의 내부 공간을 외부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에 포함된 상기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는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최적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옴니형 안테나 및 패널형 안테나 및 격자형 파라볼라 안테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게이트웨이 안테나(211)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어선(200)의 구조물에 거치되므로, 해상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강수를 차단 할 수 있는 방수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해수의 염분에 의한 부식방지를 고려하여 부식방지용 금속을 사용하여 도금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의 (B)에 개시된 게이트웨이거치부(252)는 1 이상의 천공(253)을 포함하고, 1 이상의 상기 천공(253)은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를 어선의 구조물에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게이트웨이거치부(252)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의 후면에 배치되고, 1 이상의 천공(253)을 포함하여, 어선(200)의 구조물에 거치하도록 하고, 상기 게이트웨이거치부(252)는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스마트부이(100)에서 송신하는 상기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있어서, 어선(200)의 구조물 가운데 수신감도가 높은 위치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부이(100) 및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210)의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100)는 압력센서모듈(130)을 사용하여, 어구가 유실되었을 때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1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무게추(106)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추(106)의 내부 공간에는 전자모듈(120) 및 압력센서모듈(130)이 배치되어, 상기 무게추(106)에 필요한 무게의 일부를 상기 전자모듈(120) 및 상기 압력센서모듈(130)로 대신 할 수 있고, 상기 전자모듈(120) 및 상기 압력센서모듈(130)은 상기 무게추(106)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자원 및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오작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게이트웨이거치부(252)에 1 이상의 천공(253)을 포함하여 어선(200)의 구조물 중 스마트부이(100)로부터 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는 곳에 거치를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스마트부이(100) 및 어선용게이트웨이(210) 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100) 및 어선용게이트웨이(210)는 저전력광역통신에 기초하여 상호간의 통신을 하므로, 상기 스마트부이(100)의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여, 장시간 상기 스마트부이(100)를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스마트부이(100)는 어구식별부(112)를 사용하여, 스마트부이(100)의 고유한 값 및 어구의 고유한 값을 어선용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하므로, 사용자가 관리하는 어구들만 도출 할 수 있고, 따라서, 어구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간의 분쟁을 감소시키고, 어업보안을 강화하는데 있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여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는,
    구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어선용게이트웨이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어구를 연결하는 어망용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의 하단측에 위치하고, 속이 빈 형태로 내부 공간을 가지는 무게추;
    위성으로부터 GPS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부이의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부;
    어선에게 스마트부이의 좌표정보 및 어구의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
    상기 스마트부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스마트부이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스마트부이 및 1 이상의 상기 어구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구식별부; 및
    상기 스마트부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스마트부이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GPS부, 상기 스마트부이 저전력광역통신부, 상기 제어부, 상기 어구식별부, 및 상기 스마트부이 전원부는 상기 무게추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는,
    내부 공간을 갖는 게이트웨이몸체부;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보호하는 게이트웨이덮개부;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게이트웨이 안테나; 및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게이트웨이몸체부를 외부 구조물에 거치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거치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는 기둥형태를 가지고, 일단이 상기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GPS안테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부이는,
    상기 무게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어망용고리와 결합되는 고리연결부;
    상기 고리연결부의 일부와 접촉되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센서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고리연결부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지지스프링;
    상기 지지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리연결부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의 일부에서 수직하여 연장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의 일부가 상기 압력센서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지지스프링은 상기 로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어망용고리에 어구가 연결되는 경우, 어구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가 하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어망용고리에서 어구가 유실되는 경우, 상기 지지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고리연결부가 상측으로 힘을 받아, 상기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거나 혹은 제거되는,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거치부는 1 이상의 천공을 포함하고,
    1 이상의 상기 천공은 상기 어선용게이트웨이를 어선의 구조물에 거치하도록 하는, 시스템.
KR1020180044862A 2018-04-18 2018-04-18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KR10211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62A KR102116074B1 (ko) 2018-04-18 2018-04-18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862A KR102116074B1 (ko) 2018-04-18 2018-04-18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90A KR20190121490A (ko) 2019-10-28
KR102116074B1 true KR102116074B1 (ko) 2020-05-27

Family

ID=6842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62A KR102116074B1 (ko) 2018-04-18 2018-04-18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559A (ko) 2022-11-02 2024-05-09 (주) 지씨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004B1 (ko) 2020-06-10 2022-07-25 주식회사 호서텔넷 어망의 비정상적 이동을 감지하는 서버와 이를 이용한 어망 이동 정보 제공 서비스
KR102515851B1 (ko) * 2020-11-04 2023-03-30 주식회사 알씨엔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102248602B1 (ko) 2020-11-25 2021-05-06 광주과학기술원 해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649A (ja) 1999-04-23 2001-01-12 Shinwa Technique Consultant Corp Gpsによる流動体移動の計測システム
KR200394533Y1 (ko) 2005-06-22 2005-09-02 김성근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406B1 (ko) * 2005-11-04 2008-01-28 한국수자원공사 실시간 위치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유속측정 시스템 및 이에사용되는 측정용 부자
KR101249535B1 (ko) * 2010-10-25 2013-04-01 (주)휴엔텍 어망 감시 시스템
KR101896000B1 (ko) * 2016-02-22 2018-10-24 (주)넥스트팩토리 해상에 포설된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iot 부표, iot 마스터 부표, iot 게이트웨이 부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649A (ja) 1999-04-23 2001-01-12 Shinwa Technique Consultant Corp Gpsによる流動体移動の計測システム
KR200394533Y1 (ko) 2005-06-22 2005-09-02 김성근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2559A (ko) 2022-11-02 2024-05-09 (주) 지씨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490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074B1 (ko)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AU2015296885B2 (en) Mooring system and mooring buoy
KR102000483B1 (ko)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858845B1 (ko)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20200050608A (ko)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 기반의 어구관리시스템
US8553501B1 (en) Tracking system for underwater equipment
US20170336381A1 (en) Sensing of water quality
KR200394533Y1 (ko) 해상 및 해중 시설물 감시장치
US20090219160A1 (en) Marine personnel safety system
WO2017148912A1 (en) A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205374739U (zh) 一种全方位水下监控系统
CA2971547A1 (en) Sensing of water quality
US20110080285A1 (en) Distress beacon and distress alarm system
KR102339829B1 (ko) 어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KR20130099329A (ko) 어망 관리 시스템
AU2017371381B2 (en) Modular mooring buoy system, and buoyant body and modular unit thereof
US20110304480A1 (en) Apparatus for locating one mooring in a field of moorings
KR102085630B1 (ko)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18617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sonar systems
CN106199598A (zh) 一种基于航海雷达的海上遇险目标搜寻系统及方法
KR102167231B1 (ko) 어구유실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JP6406831B2 (ja) 水中係留物監視システム
EP2863476A1 (en) Transmission device, and fender provided therewith
WO2010151863A3 (en) Sensor for detecting water level for watercraft trailer
KR102515851B1 (ko) 어구의 유실을 감지하는 스마트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