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2559A -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62559A KR20240062559A KR1020220144215A KR20220144215A KR20240062559A KR 20240062559 A KR20240062559 A KR 20240062559A KR 1020220144215 A KR1020220144215 A KR 1020220144215A KR 20220144215 A KR20220144215 A KR 20220144215A KR 20240062559 A KR20240062559 A KR 20240062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shing gear
- location
- information
- fish species
- fishing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 G01S2201/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environments
- G01S2201/08—Marine or water born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중에 설치하는 어구에 부착한 위치발신기와의 거리 정보는 물론 조업 방식에 따라 사용하는 어구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해역별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수심 정보를 함께 반영하여 어구의 위치를 간단히 추정할 수 있으며 어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업방식에 따른 사용 어구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해역별 포획 어종 및 수심정보에 따라 어구의 정보를 세분화하고, 수중에 존재하는 위치발신장치가 부착된 어구로부터 거리값을 확보하여 어구의 위치를 추정 및 표시하여 어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구(漁具; fishing gear)는 물 속에 넣어서 직접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포획 ·채취하는 데 쓰이는 도구로서 대표적으로 자망이나 통발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어업활동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인 어구에 대해서 관리가 강화되는 법안이 생기고, 관심이 야기되고 있다. 어구의 생산단계에서부터 판매,사용,수거에 이르는 전주기 관리제도가 도입되는 등 폐어구에 의한 수산자원 감소와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한편 자망 등의 각종 어구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은 물론 선박의 안전한 항로를 유도하기 위해 부이(또는 부구)를 구비하여 어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어구의 위치 탐지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420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2116074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은 스마트기기 기반 어망어구 위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설치되는 어망어구에 LED, GPS, RF Modem, 자가발전을 포함한 부이(Guoy)를 장착하여 발생된 GPS DATA 신호를 RF Modem을 통해 수신기로 전송, 수신기로 전송된 RF 신호를 블루투스로 스마트기기와 연동한 지도를 통해 어망어구의 위치를 탐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참고문헌 2는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 게이트웨이에 관한 것으로,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여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이는, 구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어선용게이트웨이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저전력광역통신부 안테나;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고,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안테나;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어구를 연결하는 어망용고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참고문헌 1,2와 같은 방식의 경우 어구의 위치 탐지를 위해 부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부이는 해류에 의해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어종에 따라 수중에 수십 미터 깊이에 설치되는 어구의 정확한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고, 어구 또는 부이가 유실되는 경우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의 실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도 어렵다.
한편, 참고문헌 1,2의 부이를 이용하는 방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의 실제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가능한 방안으로 공개특허 제10-2021-0057267호(참고문헌 3)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3은 음향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어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포획하기 위해 해상 또는 해저에 위치하는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에서 송출되는 음향신호를 3척의 선박에서 수신하여 개별 선박으로 부터 어구에 설치된 수중 음향센서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위경도 좌표값을 이용해 어구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해석 및 추출하여 어구의 위치를 확인하고 신속하고 쉽게 추적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3차원어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참고문헌 3은 어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척 이상의 선박을 동원해야 어구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해석 및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어구 위치를 추적하는데 선박 운영 등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어구의 위치 추적에 필요한 음향수신기 역시 3위치 추적에 동원되는 모든 선박에 구비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업방식에 따른 사용 어구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해역별 포획 어종 및 조업 수심정보에 따라 어구의 정보를 세분화하고, 수중에 존재하는 위치발신장치가 부착된 어구로부터 거리값을 확보하여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여 어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선박에서 수중의 어구에 부착되는 위치발신장치와의 거리값과 해역별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 따른 포획 어종별 평균수심을 이용해 어구 위치를 추정 및 표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중에 위치하는 어구에 부착되어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수중 위치발신기와, 선박에 구비되어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과,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 관제센터의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은, 수중 위치발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기와, GPS위성으로 부터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와, 상기 위치수신기의 위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와 위치수신기 사이의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GPS수신기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위도 및 경도값을 추출하며 상기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제어부와, 상기 데이터제어부에서 생성된 거리 정보를 관제센터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센터의 관제서버는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거리 정보의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이용해 어구 위치를 추정하는 어구위치 추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은 상기 거리 정보와 포획 어종정보를 이용하여 어구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박에 구비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으로부터 어구에 부착된 수중 위치발신기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로부터 산출된 수중 위치발신기의 거리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와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를 이용하여 어구 위치를 추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에서 산출된 수중 위치발신기의 거리값과 GPS수신기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추출된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의 거리값, 위도 및 경도에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조업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으로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선박 1대의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에서 거리정보가 수신되면 거리값과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단계는, 선박 N대의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에서 거리정보가 수신되면 N개의 거리값을 이용한 교차지점을 산출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에 설치하는 어구에 부착한 위치발신기와의 거리 정보는 물론 조업 방식에 따라 사용하는 어구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해역별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수심 정보를 함께 반영하여 어구의 위치를 간단히 추정할 수 있으며 어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어구 위치 추적을 위해 어구의 포획 어종의 조업을 위한 포획 어종별 평균수심을 반영함으로서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선박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 역시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에 필요한 평균 조업수심 정보 테이블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후 관제시스템으로의 표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에 필요한 평균 조업수심 정보 테이블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후 관제시스템으로의 표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은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1)와 해상의 선박(2) 사이의 거리 정보와 어구(1)가 포획하는 어종 정보를 이용함으로서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1)의 위치를 최소한의 선박(2)을 이용해 추정하여 표기하기 위해, 어구(1)에 위치신호를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위치발신기(100)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상의 선박(2)에 설치된 위치수신기(210)를 통해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발신기(100)와 위치수신기(210)간 거리값을 계산하고,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 정보로부터 어구(1)가 설치되는 조업 평균수심(이하, '평균수심'이라 한다.)을 획득하여 어구(1)의 위치를 추정하고 표기한다.
이러한 상기 선박(2)은 어구(1)를 이용하여 고기를 잡는 어선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선박(2) 자체의 위치(위도 및 경도) 정보를 수집 가능한 구성인 경우 어구(1)의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수심)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은 수중에 위치하는 어구(1)에 부착되어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선박(2)에 구비되어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정보와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이용하여 어구(1)의 위치를 추정하는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선박(2) 자체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에 전송하는 거리 정보는 선박(2)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서, 최종적으로 관제서버(300)에서 어구(1)의 위치를 추정시 수중에 설치되는 어구(1)의 위도, 경도 및 수심을 함께 산출 및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어구(1)는 수중 또는 해저에 위치하는 자망, 통발 등의 각종 어구(1)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어구(1)에 수중 위치발신기(100)가 부착되어 위치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중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수중 위치발신기(100)는 음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음향센서는 공지의 구성으로 전기신호 형태의 위치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한편, 선박(2)에 구비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100)에서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여 어구(1)와 선박(2)간의 거리 좀더 구체적으로는 어구(1)에 부착되는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선박(2)에 구비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의 위치수신기(210) 사이의 거리 정보로서 거리값을 산출한다.
이러한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기(210)와, GPS위성으로 부터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220)와; 상기 위치수신기(210)의 위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위치수신기(210) 사이의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위도 및 경도값을 추출하며, 상기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제어부(230)와; 상기 데이터제어부(230)에서 생성된 거리 정보를 관제센터(3)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위치수신기(210)는 상기 위치발신기(100)를 구성하는 음향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 형태로 변환하는 소나 등과 같은 공지의 음향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GPS수신기(220)는 지구 주위를 도는 GPS위성으로 부터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GPS정보를 수신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한편, 상기 데이터제어부(230)는 상기 위치수신기(21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위치발신기(100)와 떨어져 있는 거리값을 산출함은 물론 상기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위도 및 경도값을 추출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데, 선박(2)과 어구(1)는 해상 및 수중에서 이동함에 따라 어구(1)에 설치된 위치발신기(100)와의 거리는 물론 선박의 위치인 위도 및 경도가 변하므로, 주기적으로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떨어져 있는 거리값을 산출함은 물론 상기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를 분석하여 위도 및 경도값을 업데이트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제어부(230)는 주기적으로 산출되는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부(240)로 송출하여 관제센터(3)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데이터제어부(230)는 일 예로 구동프로그램과 생성된 거리 정보가 저장되는 내장메모리가 구비되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부(240)는 원격지의 관제센터(3)로 거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상기 데이터제어부(230) 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전원부는 선박 구동전원, 밧데리 또는 태양전지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실시간으로 거리 정보를 육상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는 생성되는 거리 정보를 주기적(예를 들어 수초 ~ 수분 단위)로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에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 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면 관제서버(300)에서는 지속적으로 어구(1)의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거리값 변화에 따른 어구 위치의 변화 추이를 반영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어구(1) 위치의 추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는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주기적으로 송출되는 거리 정보가 수신되면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이용해 어구 위치를 추정하는 어구위치 추정모듈(310)과,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에서 생성된 어구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가 기등록되어 있어,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은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정보가 수신시 해역별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 따라 산출되거나 등록된 조업 평균수심을 이용하여 어구(1)의 위치를 추정한다.
상기 포획 어종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역, 포획어종 및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것으로, 일 예로 해역은 '동해연안'이고, 포획어중은 '살오징어'이며, 조업 수심은 10 ~ 20m일 수 있으며, 여기서 조업 수심은 10 ~ 20m이므로 조업 평균수심을 "(10 + 20) / 2"로 계산하여 15m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은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부터 수신한 거리 정보와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등록(기저장)된 포획 어종정보를 이용하여 어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은 상기 거리 정보의 거리값과 평균수심을 이용해 어구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수심)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다. 일 예로 거리값의 제곱값에서 평균수심의 제곱값을 뺀 값의 제곱근을 구하고 거리 정보의 위도 및 경도를 반영하여 어구의 실제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할 수 있고, 수심은 평균수심을 사용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제서버(300)는 선박 1대에서만 거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거리값과 평균수심을 반영(매칭)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추정할 수 있고, 선박 N대(예를 들어 2대)에서 거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N개(예를 들어 2대의 거리 정보 참조)의 거리값의 교차지점을 산출한 후 평균수심을 반영(매칭)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서버(300)는 일회성으로 거리 정보의 거리값을 한번만 이용하여 어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어구 위치에 관하여 복수의 3차원 좌표값이 산출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면서 거리값 변화에 따른 어구 위치의 변화 추이를 반영하여 하나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추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에서 추정되는 어구의 위치 정보는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 즉 위치발신기(100)의 위도 및 경도와 수심을 포함하며, 이러한 어구의 위치정보는 관제시스템(330)으로 제공하여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제서버(300)는 산출된 어구의 위치정보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 송신하여 선박(2)의 관리자가 신속하게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어구(1)의 관리 및 회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제서버(300)는 어구(1)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로 어구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제시스템(330)은 도 4에서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통상의 단말을 포함하며 어구(1)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의 단말기 등에 추적정보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무선송신 기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기(210)를 포함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가 구비된 어선 등의 선박(2)을 해상에서 이동시키면서 목적하는 어구(1)에 설치된 위치발신기(100)의 위치신호를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수신한다.(S1)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상기 위치신호가 음향센서인 경우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위치발신기(100)와 떨어져 있는 거리값를 추출하고,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위도 및 경도값을 추출하며,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S2)
한편, 상기 단계(S2)를 통해 생성된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의 거리 정보는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로 수집되어 현재 어구(1)의 위치를 추정한다.(S3)
이때 상기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는 선박 1대의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만 거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거리값과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매칭)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추정(S31)하며, 선박 N대(예를 들어 2대)에서 거리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N개(예를 들어 2대의 거리 정보 참조)의 거리값의 교차지점을 산출한 후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매칭)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추정(S32)한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300)에서 추정된 어구(1)의 3차원 좌표값(위도, 경도,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는 관제시스템(330)으로 제공함은 물론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하여 관제사가 확인할 수 있다.(S4) 물론 상기 관제서버(300)는 산출된 어구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 송신하여 선박(2)의 관리자가 신속하게 어구(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어구(1)의 관리 및 회수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어구 3: 관제센터
2: 선박 100: 수중 위치발신기
200: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 210: 위치수신기
220: GPS수신기 230: 데이터제어부
240: 무선통신부 300: 관제서버
310: 어구위치 추정모듈 320: 데이터베이스
330: 관제시스템
2: 선박 100: 수중 위치발신기
200: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 210: 위치수신기
220: GPS수신기 230: 데이터제어부
240: 무선통신부 300: 관제서버
310: 어구위치 추정모듈 320: 데이터베이스
330: 관제시스템
Claims (7)
- 수중에 위치하는 어구(1)에 부착되어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선박(2)에 구비되어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위치신호가 수신되면 거리 정보를 추출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과,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어구(1)의 위치를 추정하는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은,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위치수신기(210)와, GPS위성으로 부터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GPS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기(220)와; 상기 위치수신기(210)의 위치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수중 위치발신기(100)와 위치수신기(210) 사이의 거리값을 산출하고, 상기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위도 및 경도값을 추출하며, 상기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터제어부(230)와; 상기 데이터제어부(230)에서 생성된 거리 정보를 관제센터(3)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관제센터(3)의 관제서버(300)는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20)와, 상기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과 상기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거리 정보의 거리값과 위도 및 경도값을 이용해 어구 위치를 추정하는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위치 추정모듈(310)은 상기 거리 정보와 포획 어종정보를 이용하여 어구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 선박(2)에 구비되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으로부터 어구(1)에 부착된 수중 위치발신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위치신호로부터 산출된 수중 위치발신기(100)의 거리값을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제1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와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를 이용하여 어구 위치를 추정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산출된 수중 위치발신기(100)의 거리값과 GPS수신기(220)에서 수신되는 GPS정보에서 추출된 위도 및 경도를 포함하는 거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거리 정보의 거리값, 위도 및 경도에 포획 어종에 따른 조업 평균수심을 포함하는 포획 어종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20)의 조업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 위치를 3차원 좌표값으로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선박 1대의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거리정보가 수신되면 거리값과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선박 N대의 선박용 데이터 수집수단(200)에서 거리정보가 수신되면 N개의 거리값을 이용한 교차지점을 산출한 후,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등록된 어구 종류 및 포획 어종정보에서 산출된 평균수심을 반영하여 어구의 3차원 좌표값을 추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4215A KR20240062559A (ko) | 2022-11-02 | 2022-11-02 |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44215A KR20240062559A (ko) | 2022-11-02 | 2022-11-02 |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62559A true KR20240062559A (ko) | 2024-05-09 |
Family
ID=9107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4215A KR20240062559A (ko) | 2022-11-02 | 2022-11-02 |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62559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420U (ko) | 2016-08-03 | 2018-02-13 | 주식회사 이트랜씨엔씨 | 스마트기기 기반 어망어구 위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16074B1 (ko) | 2018-04-18 | 2020-05-27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
KR20210057267A (ko) | 2019-11-11 | 2021-05-21 | (주) 지씨 | 음향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어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
2022
- 2022-11-02 KR KR1020220144215A patent/KR20240062559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420U (ko) | 2016-08-03 | 2018-02-13 | 주식회사 이트랜씨엔씨 | 스마트기기 기반 어망어구 위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116074B1 (ko) | 2018-04-18 | 2020-05-27 |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치좌표를 제공하고, 어구의 유실여부를 탐지하는 스마트부이 및 관제시스템을 위한 어선용게이트웨이 |
KR20210057267A (ko) | 2019-11-11 | 2021-05-21 | (주) 지씨 | 음향 센서를 이용한 3차원 어구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4985B2 (en) | Detec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 |
Zimmer et al. | Three-dimensional beam pattern of regular sperm whale clicks confirms bent-horn hypothesis | |
US8180507B2 (en) | Manoeuvre an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or an installation | |
CN108415323A (zh) | 一种海洋牧场智能化管理系统 | |
CN104215988A (zh) | 一种水下目标定位方法 | |
CN104267643A (zh) | 水下机器人目标定位识别系统 | |
CN109856638A (zh) | 一种特定水下目标自动搜索定位的方法 | |
Bellingham | New oceanographic uses of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 |
JP2021076567A (ja) | 音響センサーを用いた3次元漁具位置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 |
CN111137405B (zh) | 一种数据传输系统 | |
CN109781382A (zh) | 一种基于矢量传感器的有缆潜标海洋内波监测系统 | |
CN111103008A (zh) | 一种基于传感器的海洋安全检测方法 | |
Hagen et al. | Rapid environmental assessment wi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Examples from HUGIN operations | |
CN101358867A (zh) | 一种海洋水位实时监测系统 | |
US12078736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PS/GNSS based real time global asset tracking | |
Medagoda et al. | Water column current profile aided localisation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 |
CN111578910B (zh) | 一种航标潮位观测装置和观测方法 | |
KR102132488B1 (ko) |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고밀도 수심정보 제공 시스템 및 수심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수심관측위치 및 수심정보 추정방법 | |
KR20240062559A (ko) | 거리 정보 및 포획 어종 정보를 이용한 어구 위치 추정 및 표기 시스템 및 방법 | |
Baumgartner et al. | Tracking large marine predators in three dimensions: the real-time acoustic tracking system | |
Sharma et al. | Benthic disturbance and impact experiments in the Central Indian Ocean Basin | |
Cruz et al. | Estuarine environment studies with Isurus, a REMUS class AUV | |
CN212658823U (zh) | 一种实时化深海逆式回声观测系统 | |
KR102157300B1 (ko) |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고밀도 수심정보 제공 시스템 | |
Hauge et al. | Fish finding with autonomous surface vehicles for the pelagic fisheri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