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29A - 어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29A
KR20130099329A KR1020120020744A KR20120020744A KR20130099329A KR 20130099329 A KR20130099329 A KR 20130099329A KR 1020120020744 A KR1020120020744 A KR 1020120020744A KR 20120020744 A KR20120020744 A KR 20120020744A KR 20130099329 A KR20130099329 A KR 20130099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information
fishing net
fishnet
buoy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주
Original Assignee
(주)유일
안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일, 안기주 filed Critical (주)유일
Priority to KR102012002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329A/ko
Publication of KR2013009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표를 이용하여 어망의 위치 또는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어망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어망 관리 시스템은,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부표; 상기 모선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전달하는 무선 통신망;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어망 관리 서버; 및 상기 어망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망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EMENT OF FISH NET}
본 발명은 어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유하는 어망의 부표를 이용하여 어망의 상태 및 위치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어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국제적인 환경 변화 현상의 하나인 엘리뇨 현상 등으로 인해 급격한 수온 변화와 같은 해양 환경의 변화가 심해지고 있으며, 어업 자원의 고갈로 인해 주변 국가 외국 어선의 국내 어업권 침해 등 어장의 주변 환경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어장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국내 어장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대처 방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다 위라는 어장의 특수한 환경으로 인해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대처 방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어류를 채집하기 위해서는, 육지로부터 먼 거리에 이격된 바다에 어망을 설치한 후 다시 육지로 복귀하여 어망에 어류들이 충분히 유입될 수 있는 시간을 대기하게 된다. 일례로 전일 저녁에 어망을 설치하고 익일 새벽에 어망을 수거하는 방식으로 어류 채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어망을 설치한 후에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어망이 그대로 방치되기 때문에, 해류나 파도 등에 의해 어망의 위치가 설치한 위치로부터 먼 거리 이동할 수 있으며, 외국 어선 등에 의해 설치된 어망이 도난 당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어망을 설치한 후 대기하는 시간 동안 어망의 이동이나 도난 또는 어망에 채집된 어류의 양 등에 대해 전혀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어망을 수거해야 하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없거나 도난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어망 내에 충분히 어류가 유입되어 어망을 수거할 수 있음에도 불필요하게 대기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표를 이용하여 어망의 위치 또는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어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부표;
상기 모선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전달하는 무선 통신망;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어망 관리 서버; 및
상기 어망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지피에스(GPS)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부표가 수면 위로 이탈함을 감지하는 수압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부표가 수면 위로 이탈함을 표시하는 어망 도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어망에 부착되어 상기 어망 내에 채집된 어류에 의한 자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어망 내에 채집된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기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부표는,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분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송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송신 신호를 상기 통신 망으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부표는,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부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무선송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송신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 기지국;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수신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상기 어망 관리 서버 전달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어망 관리 서버가 연결된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표에 지피에스 센서를 설치하고 지피에스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파도나 해류에 의해 어망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격한 위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망이 도난 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표에 수압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부표가 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어망이 도난 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며, 이를 사용자에게 즉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망에 자기 센서를 설치하여 어망에 수집된 어류의 양을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조업시간을 단축하고 조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망 관리 시스템의 부표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망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어망(12)에 연결되어 수면 위에서 부유하는 부표(11)와, 무선 통신망(21), 어망 관리 서버(31) 및 사용자 단말(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표(11)는 수면 아래 수중에 설치되는 어망(12)에 연결되어 수면 위에서 부유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어망(12)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부표(11)는 어망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센서에서 생성되는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망 관리 시스템의 부표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부표(11)는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로서,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센서(111) 및 수압 감지 센서(112)와, 상기 센서들(111, 112)에서 생성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분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와,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로부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송신 모듈(114) 및 상기 무선 송신 신호를 통신 망(도 1의 21)으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피에스 센서(111)는 부표(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피에스 신호를 지피에스 위성으로부터 수신하는 센서로서 상기 지피에스 센서(111)에 의해 생성되는 어망 상태 정보는 부표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피에스은 지구 상공의 정해진 궤도에 다수의 인공위성을 배치하여 지구상 어디에서나 위성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지구 상공에 배치된 인공위성은 정해진 궤도를 따라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신의 천체 위치와 시스템 시간을 포함하는 지피에스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고, 지피에스 센서(111)는 적어도 4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동시에 전송되는 지피에스 신호들의 상대적인 도착 시간들을 계산하여 정확한 시간과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지피에스 센서(111)에 의하면 파도나 해류에 의해 어망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지피에스 센서(111)에서 지속적으로 부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쉽게 어망의 위치를 파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압 감지 센서(112)는 부표(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압을 감지하도록 배치된다. 부표(11)가 수면 위에 부유하는 상태에서 수면 위로 이탈하게 되면 수압 감지 센서(112)에서 감지하는 수압이 변경된다. 이 수압 감지 센서(112)는 외국 어선 등에 의해 어망이 도난 당하는 경우 부표가 수면에서 이탈하면서 발생하는 급격한 수압 변경을 검출하여 전송하게 함으로써 어망이 도난됨을 즉시 파악되게 할 수 있다. 즉, 수압 감지 센서(112)에 의해서 생성되는 어망 상태 정보는 부표(11)가 수면 위로 이탈함을 표시하는 어망 도난 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은 지피에스 센서(111)나 수압 감지 센서(112)에서 검출되는 어망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어망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지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지피에스 센서(111)에 의해 검출되는 부표의 위치가 최초 어망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과도하게 멀어지거나, 수압 감지 센서(112)에서 검출되는 수압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수신되는 어망 상태 정보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즉시 무선 통신 모듈(114)을 이용하여 이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어망 상태 정보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현재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114)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로부터 전달되는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114)은 적용되는 통신규약에 따라 전달 받은 어망 상태 정보를 변조하고 코딩하며 주파수 변환을 통해 안테나(117)로 전송 가능한 형태의 무선 송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114)에 적용되는 무선통신 방식은 어망이 설치되는 위치가 육지로부터 먼 거리 이격된 바다라는 점을 고려하여 장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상용의 무선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서는 휴대 전화망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기지국과의 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위치에서는 위성을 이용한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17)는 무선 통신 모듈(114)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송신 신호를 통신 망(21)으로 무선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부표(1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로부터 어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115)와 부표(11)에 설치되는 센서(111, 112), 마이크로 프로세서(113), 무선 통신 모듈(114) 및 메모리부(115)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15)는 사전 설정된 주기 마다 또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로부터 어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15)는 상용의 플래시 메모리를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6)는 일반적인 상용의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의 교체 주기를 더욱 길게 유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와 태양전지를 함께 채용하여, 태양광이 수집될 수 있는 낮 동안에는 태양전지로 전원을 공급하고 태양광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한 해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망(21)은 전술한 것과 같이 부표(11) 내의 무선 통신 모듈(114)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망으로써,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서는 휴대 전화망이 될 수 있으며, 기지국과의 거리가 확보되지 않는 원거리에서는 위성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21)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모듈(114)로부터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어망 관리 서버(31)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21)이 위성 통신망인 경우, 상기 어망 관리 서버(31) 측에 위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구비되어 무선으로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망(21)이 휴대 전화망인 경우, 상기 어망 관리 서버(31)는 위성통신과 유사하게 무선 통신망(21)으로부터 무선으로 직접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휴대 전화망의 기지국과 인터넷 망을 통해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망이 휴대 전화망으로 구현되는 예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무선 통신망(21)은 기지국(211)과 데이터 기록부(212) 및 인터넷 망(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211)은 부표(11) 내의 무선 통신 모듈(114)과 직접 무선 통신하여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별도로 마련된 데이터 기록부(data logger)(212)에 기록할 수 있다. 데이터 기록부(212)는 인터넷 망(213)을 통해 어망 관리 서버(31)와 연결되어, 인터넷 망(213)을 통한 TCP/IP 통신 등을 통해 어망 관리 서버(31)로 어망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어망 관리 서버(31)는 어망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저장하여 그 이력을 관리하고, 수신된 어망 상태 정보에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즉시 이용자 단말(4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어망 관리 서버(31)와 이용자 단말(41) 간의 통신은 전술한 것과 같은 무선 통신망(21)을 이용하거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41)은 어망을 설치한 선주 등이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또는 피디에이(PDA)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1)에서 어망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알림음으로 사용자에게 어망 상태 정보의 수신을 통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41)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어망 상태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수중에 설치되는 어망(12)에 부착되는 자기 센서(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망(12)에 부착된 자기 센서(14)는, 어망(14) 내에 채집된 어류에 의한 자기 변화를 감지하여 어망(14) 내에 채집된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지피에스 센서(111)와 수압 감지 센서(112)와는 달리, 상기 자기 센서(14)는 부표(11)에 설치되지 않고 어망(12)에 부착되는 차이가 있으나 부표(11)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지피에스 센서(111)와 수압 감지 센서(112)와 유사하게, 자기 센서(14)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어망 상태 정보의 하나로서 처리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자기 센서(14)에서 전달되는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사전 설정된 양 이상 어류가 채집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무선 통신 모듈(114)을 통해 무선 전송되게 할 수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3’은 어망(12)이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무게추이며, 본 발명의 주된 기술 사상과 연관이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어망 관리 시스템은, 설치된 어망(12)에 연결된 부표(11) 내의 지피에스 센서(111) 및 수압 감지 센서(112)와 어망(12)에 부착된 자기 센서(14)에서 각종 감지 정보를 센싱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S11, S13, S14).
이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각 센서(111, 112, 14)에서 검출되는 어망 상태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감시하고,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거나 사전 설정된 주기적인 어망 정보 전송 시간이 되는지 판단한다(S12, S14, S16). 도 4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판단(이상 상태 발생의 판단, 주기적인 전송시간이 됨을 판단)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특이사항’이 발생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S114)에 의해 특이사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 때의 어망 상태 정보를 부표(11) 내의 메모리부(115)에 저장한다(S17).
이어, 무선 통신 모듈(114)를 통해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고 무선 송신된 어망 상태 정보는 무선 통신망(21)을 통해 어망 관리 서버(31)로 전송된다(S18).
이어, 어망 관리 서버(31)는 전송 받은 어망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어망 상태 정보를 사용자 단말(41)로 전송하여 어망을 설치한 선주 등이 자신의 어망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표에 지피에스 센서를 설치하고 지피에스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파도나 해류에 의해 어망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급격한 위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어망이 도난 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어망을 설치한 선주나 단속 기관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표에 수압 감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부표가 수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어망이 도난 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며, 이를 어망을 설치한 선주에게 즉시 통보함으로써 선주나 단속 기관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망에 자기 센서를 설치하여 어망에 수집된 어류의 양을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조업시간을 단축하고 조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부표 111: 지피에스 센서
112: 수압 감지 센서 113: 마이크로 프로세서
114: 무선 통신 모듈 115: 메모리부
116: 전원 공급부 117: 안테나
21: 무선 통신망 211: 기지국
212: 데이터 기록부 213: 인터넷망
31: 어장 관리 서버 41: 사용자 단말

Claims (8)

  1. 어망과 연결되어 수면에 부유하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부표;
    상기 모선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전달하는 무선 통신망;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어망 관리 서버; 및
    상기 어망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지피에스(GPS)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부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부표가 수면 위로 이탈함을 감지하는 수압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부표가 수면 위로 이탈함을 표시하는 어망 도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에 부착되어 상기 어망 내에 채집된 어류에 의한 자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어망 내에 채집된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자기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어망 상태 정보는 상기 어류의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서 생성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지 분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어망 상태 정보가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이상 상태를 나타내는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송신 모듈; 및
    상기 무선 송신 신호를 상기 통신 망으로 무선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무선송신 모듈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상기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송신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 기지국;
    상기 무선통신 기지국에서 무선 수신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데이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어망 상태 정보를 상기 어망 관리 서버 전달하도록 상기 데이터 기록부와 상기 어망 관리 서버가 연결된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관리 시스템.
KR1020120020744A 2012-02-29 2012-02-29 어망 관리 시스템 KR20130099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44A KR20130099329A (ko) 2012-02-29 2012-02-29 어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744A KR20130099329A (ko) 2012-02-29 2012-02-29 어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29A true KR20130099329A (ko) 2013-09-06

Family

ID=4945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744A KR20130099329A (ko) 2012-02-29 2012-02-29 어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93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96A (ko) 2014-12-30 2016-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망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망의 위치 측정 방법
CN107885173A (zh) * 2017-11-06 2018-04-06 信阳农林学院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渔业养殖精准投饵方法
CN108200887A (zh) * 2018-02-28 2018-06-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遥控推进式渔网捕捞装置
KR20190119473A (ko) 2018-04-12 2019-10-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어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어망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CN110637764A (zh) * 2019-08-29 2020-01-03 江苏大学 一种河蟹养殖投饵量的精准确定方法
CN111401088A (zh) * 2019-09-12 2020-07-10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渔船作业网具标识和管理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80109B1 (ko) 2019-12-17 2020-11-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자가발전 어구 표시 부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596A (ko) 2014-12-30 2016-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망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어망의 위치 측정 방법
CN107885173A (zh) * 2017-11-06 2018-04-06 信阳农林学院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渔业养殖精准投饵方法
CN108200887A (zh) * 2018-02-28 2018-06-26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遥控推进式渔网捕捞装置
CN108200887B (zh) * 2018-02-28 2023-10-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遥控推进式渔网捕捞装置
KR20190119473A (ko) 2018-04-12 2019-10-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어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어망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CN110637764A (zh) * 2019-08-29 2020-01-03 江苏大学 一种河蟹养殖投饵量的精准确定方法
CN110637764B (zh) * 2019-08-29 2022-01-11 江苏大学 一种河蟹养殖投饵量的精准确定方法
CN111401088A (zh) * 2019-09-12 2020-07-10 浙江海洋大学 一种用于渔船作业网具标识和管理的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80109B1 (ko) 2019-12-17 2020-11-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럭형 자가발전 어구 표시 부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9329A (ko) 어망 관리 시스템
KR101858845B1 (ko) 어구통합관리시스템
KR101896000B1 (ko) 해상에 포설된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iot 부표, iot 마스터 부표, iot 게이트웨이 부표
KR101249535B1 (ko) 어망 감시 시스템
US7411492B2 (en) Pet tracking systems, other tracking systems, and portable virtual fence
US8922363B2 (en) Animal training apparatus for locating collar transceiver using GP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206296A1 (en) Self-charging power controlled system for locating animals by gps
CN103728644A (zh) 一种定位系统及定位方法
US20180244354A1 (en) Detec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KR102000483B1 (ko) LoRa 기반 위치정보 송수신기와 다기능 표시 장치를 이용한 어망 위치 추적 시스템
CN109405810A (zh) 海底原位实时观测系统及方法
NO335208B1 (no) Overvåking av et objekt
KR102296978B1 (ko)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94860A (zh) 一种海上设施警戒系统
KR20140086030A (ko) Gps기반 수질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713595B (zh) 水域监测装置及控制方法
KR101197753B1 (ko) 어망 감시기
Hays et al. Why do Argos satellite tags stop relaying data?
Bradford et al. An evaluation of passive acoustic monitoring using satellite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near real-time detection of tagged animals in a marine setting
KR20180000420U (ko) 스마트기기 기반 어망어구 위치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57736A (ja) ブイおよび魚群探知システム
RU117196U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судов и бортовой навигационно-связной комплекс
KR101559498B1 (ko) 실시간 국지적 해류 모니터링 시스템
JP2007293384A (ja) 落水検知装置及び落水検知装置用サーバ
JP2016189083A (ja) 管理サーバ及び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